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Health Literacy 수준에 따른 인터넷 건강정보 신뢰도 및 인터넷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

        지온 ( Kim Ji On ),지경 ( Park Ji Kye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본 연구는 보건의료정보관리 전공 대학생 321명을 대상으로 e-Health Literacy 수준에 따른 인터넷 건강정보 신뢰도 및 인터넷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Health Literacy 수준은 3.51점이며, 여자보다 남자가 더 높았다. 둘째, 인터넷 건강정보 신뢰도는 3.23점이며, 여자보다 남자가 더 높았으며, 다른 학년에 비해 3학년이 가장 높았다. 셋째, 인터넷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는 평균 3.07점이며, 세부항목 중에서 이해도, 몰입도, 신뢰도, 관심도 순으로 높았으며, 다른 학년에 비해 1학년이 가장 높았다. 넷째, e-Health Literacy 수준은 인터넷 건강정보 신뢰도와 인터넷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Health Literacy 수준을 높여 양질의 건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연구결과, e-Health Literacy 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높았으며, 인터넷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e-Health Literacy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grasp a correlation between the reliability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the medical advertising`s attitude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e-Health Literacy level in university students with a major in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The research tool used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Health Literacy level stands at 3.51 points. Men were higher than women. Second, the reliability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comes to 3.23 points. Men were higher than women. Compared to other school years, junior was the highest. Third, the medical advertising`s attitude on the internet reaches 3.07 points on the average. Out of the detailed items, it was high in order of understanding, immersion, reliability and interest. Compared to other school years, freshman was the highest. Fourth, e-Health Literacy level was indicate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eliability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the medical advertising`s attitude on the internet.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 ability of acquiring health information in good quality will be needed by increasing e-Health Literacy level. It is considered tha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to raise the level of e-Health Literacy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 KCI등재

        공유의사결정의 선행 개념으로서의 자율성

        김지경(Kim Ji-Kyeong)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1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Vol.15 No.1

        오늘날 의료 현장에서 환자의 의사결정 참여가 중요시되면서 ‘공유의사결정’ 개념이 주목받고있다. 이는 비첨과 췰드리스가 주창한 “생명의료윤리의 네 가지 원칙들” 중 하나인 “자율성 존중의 원칙”을 바탕으로 한다. 그러나 공유의사결정에서 환자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것에 비해, 실제로 공유의사결정과 자율성 개념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각각의 개념을 통합할 수 있는 논의의 설명이 필요하다. 공유의사결정은 의료적 의사결정의 과제에 직면했을 때, 의사와 환자가 최선의 가능한 증거들을 공유하고, 환자가 정보에 입각한 선호도를 달성하기 위한 선택지를 고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접근방식이다. 오늘날 환자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공유의사결정을 실현시키는 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그중에서 특히 한국의 의료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보장되고 작용하고 있는 가족의 개입에 주목하고자 한다. 공유의사결정 과정에서 가족이 개입하고 결정을 주도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환자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요소로서 작용한다. 생애말기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자율성’ 개념은 기존의 추상적이고 절대적인 자아에서 도출되어, 거시적인 삶의 가치를 말하는 데 쓰이는 것이 아닌, 각 환자가 겪는 구체적인 맥락 속에서 이루어진 그의 결정이 도덕적 반성이라는 절차를 거침으로써, 자율적이라고 평가될 수 있는 의미를 지녀야 한다. 이러한 자율성의 개념을 기초로 할 때, 공유의사결정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관계에서 파생되는 문제에 대한 고민과 더불어 더욱 정교한 ‘공유의사결정’ 모델을 마련하기 위한 토대가 될 것이다. Today, as patients’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the medical field, the concept of “sharing decision-making” is drawing attention. This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autonomy,” one of the “Principle of Biomedical Ethics” advocated by Tom L. Beauchamp and James F. Childress. However, compared to emphasizing patient autonomy in shared decision-making,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decision-making and the concept of autonomy is insufficient.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discussion that can integrate each concept being done individually. Shared decision-making is an approach that helps doctor and patient share the best possible evidence when faced with medical decision-making challenges, and allows patients to consider options to achieve informed preferences. Despite the increasing awareness of patients’ rights today, there are still difficulties in realizing shared decision-making in reality. Among them, this paper focuses on the intervention of families that are practically guaranteed and working in the medical decision-making process in Korea. Family intervention and leading decisions in the process of ‘sharing decision-making’ fundamentally act as a factor that violates patient autonomy.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patients at the end of their lives, the concept of “autonomy” should not be derived from the existing abstract and absolute self and used to speak of macroscopic life values, but should be evaluated as autonomous b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moral reflection. Based on this concept of autonomy, it will be the basis for preparing a more sophisticated ‘sharing decision-making’ model along with concerns about problems derived from various relationships that actually appear in the sharing decision-making process.

      • KCI등재

        디자인 사고 기반 이러닝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 탐색

        김지경(Kim, Ji-kyeong),남창우(Nam, Chang-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사고 기반 이러닝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과 학습성과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에 위치한 4년제 A대학교에 교육공학 관련 교과목을 수강하는 예비교사 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지속의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분석 절차에 다라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디자인 사고 기반 이러닝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학습몰입은 학습성과를 유의하게 예측한다. 둘째, 디자인 사고 이러닝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학습지속의향은 학습성과를 유의하게 예측한다. 셋째, 디자인 사고 이러닝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학습몰입은 학습지속의향을 유의하게 예측하며, 학습지속의향을 통해 학습성과에 영향을 준다. 결론 예비교사의 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 탐색을 기반으로 맞춤형의 디자인 사고 기반 이러닝 교육 프로그램과 플랫폼 개발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flow, learning persistence, and learning outcomes in design thinking-based e-learning environments.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99 pre-service teachers that took the classes of Educational Technology-related course in A University of Busan Metropolitan City. The mediated effect of the learning persistence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analysis procedure of the mediated effect of Baron and Kenny(1986).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flow of pre-service teachers significantly predicts their learning outcomes in design thinking-based e-learning environments. Second, the learning persistence of pre-service teachers significantly predicts their learning outcomes in design thinking-based e-learning environments. Third, the learning flow of pre-service teachers significantly predicts their learning persistence and affection to learning outcomes through learning persistence in design thinking-based e-learning environments. Conclusions Based o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flow, learning persistence, and learning outcomes,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design thinking-based e-learning education programs and platforms are required.

      • KCI등재

        대학생의 상태자존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지경(Ji Kyeong Park),지온(Ji On Kim)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3

        본 연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s,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이용률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청소년기와 성인기 사이의 성인진입기로 자아정체감 확립과 성인생활을 준비해야 하는 대학생의 상태자존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올바른 상태자존감을 확립하고 SNS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도움을 주고자 시도되었다. B시에 소재한 2개 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9일부터 3월 15일까지 Google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26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부정확한 응답이 이루어진 2부를 제외하고 25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Duncan 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상태자존감은 하위요인 중 ‘기능적 자존감’은 학년 및 SNS 사용시간, ‘본질적 자존감’은 성별, ‘사회적 자존감’은 성별, 학년, SNS 사용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중독경향성은 성별, SNS 사용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 중독경향성은 기능적 자존감, 본질적 자존감, 사회적 자존감과 모두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여자 및 SNS 사용시간은 양(+)의 영향, 기능적 자존감 및 사회적 자존감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첫째, 대학에서 SNS 중독예방프로그램 운영 시 성별에 따른 특징을 반영하면서 ‘본질적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과도한 SNS 이용을 하지 않으면서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낮출 수 있는 관계 형성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올바른 SNS 사용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우울감 · 불안감을 낮추고 ‘기능적 자존감’과 ‘사회적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자존감 강화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and self-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who need to establish self-identity and prepare for adult life at the present time when SNS (social network services) use rate is rapidly increasing. It was attempted to help establish the right state self-esteem by identifying the impact and to help prepare measures to prevent SNS addict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a Google questionnaire from March 9 to March 15, 2023,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located in B city. 26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25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2 copies with incorrect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5.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state self-esteem, 'functional self-esteem'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level and SNS usage time, 'essential self-esteem' by gender, and 'social self-esteem' by gender, grade level, and SNS usage time. Second, SNS addiction tendency was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SNS usage time. Third, SNS addiction tendenc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correlation with functional self-esteem, essential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Fourth, as for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tendency, gender female and SNS use time had a positive (+) effect, functional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had a negative (-) effect. In conclusion, first, when operating an SNS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at a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apply a program that can increase 'essential self-esteem' whil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der. Second, a relationship building program that can reduce the difficul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out excessive use of SNS should be conducted. Third, it is necessary to apply a self-esteem strengthening program that can lower depression and anxiety and increase 'functional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as well as educational programs on the correct use of SNS.

      • KCI등재
      • KCI등재

        이방성 희토류 본드자석용 유기 바인더에 관한 연구

        허정섭(Jeong-Sub Heo),조연화(Yeon-Hwa Cho),남성철(Sung-Cheol Nam),김지경(Ji-Kyeong Kim),이정구(Jung-Goo Lee),유지훈(Ji-Hoon Yu) 한국자기학회 2014 韓國磁氣學會誌 Vol.24 No.3

        Anisotropic bonded magnet is composed of magnetic powder and organic binder. organic binder in bonded magnet, serves to orientation of the powder. organic binder is composed of polymer resin, lubricant, hardener and coupling agent, etc. in this study, selection of the various components to producing an organic binder and by adjusting the composition ratio and concentrate, apply to bonded magnet for producing an organic binder that suitable for magnetic powder. so evaluation of magnetic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 organic binder ratio and component was confirmed to suitable for bonded magn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