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분산 가상 환경을 위한 버킷 기반 적응형 동기화 제어 계층 구현

        김재윤(JaeYoun Kim),김종원(Jong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Ⅲ

        연속적이고 동기화된 미디어 스트림을 요구하는 분산 가상 환경(DVE: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 시스템은 크게 3개 계층, 즉 가상환경, 동기화, 그리고 네트워크 계층 등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그 중 동기화 계층의 목적은 그룹 멤버들 간에 일관된 전역적인 상태와 멤버쉽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분산 가상 환경에서 이질적인 종단 시스템들 간에 효율적인 미디어 재생들 위해 적응형 동기화 기업들이 연구 되어 왔으나, 기존의 적응형 동기화 기법은 가변적인 재생지연의 조절로 인하여 skipping과 pausing현상을 야기한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가상환경 시스템에서 다자간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화 계층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특히, 가변적인 네트워크 상태로 인해 발생되는 이벤트 패킷 지연(delay)과 순서 오류(out of sequence)를 수신 측에서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응형 동기화 재생 기업을 제안하고 skipping과 pausing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재생 버퍼 구조를 소개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기업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속성간의 교류`(communicatio idiomatum) 교리와 그 함의에 대한 일고찰 -루터와 본회퍼를 중심으로-

        김재윤 ( Jaeyou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7 한국개혁신학 Vol.55 No.-

        속성간의 교류 (communicatio idiomatum)교리는 그리스도의 두 본성의 관계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고대교회에서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 교리는 루터에 와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루터는 죄인에게서 일어나는 놀라운 교환이라는 구원론적 사건을 그리스도안에서 일어나는 속성간의 교류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리스도안에서의 속성간의 교류는 죄인에게서 일어나는 구원 사건의 원천이고 술어이다. 본회퍼는 루터의 속성간의 교류는 지나치게 신성위주라는 점을 비판하면서 인성 중심의 속성간의 교류를 주장한다. 십자가는 그리스도가 변두리에 계신다는 그의 인성을 드러내지만 바로 거기에서만 그리스도의 신성 곧, 그의 초월을 경험할 수 있다. 속성간의 교류는 존재론적 접근을 극복하고 구원론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Doctrine of `Communicatio idiomatum` (exchange of the properties) came into the picture in the Early Churches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vine and human nature in Christ. Reformed theologian Martin Luther highlighted this article of confession to be central not only in Christology but also in all other areas of theology. He described the salvific event of `der froliche Wechsel` (the marvelous exchange) which happened in sinners as the `communicatio idiomatum` in Christ. Consequently, exchange of the properties of two natures in Christ functions as the resource as well as the predicate of our salvation. Modern lutheran theologian Bonhoeffer argued that this doctrine must be redesigned focusing more on the human nature in Christ. In Luther, to his eyes, only one-sided communication from the divine properties to the human is stressed. Only the Cross which is the boundary of existence of Christ can be interpreted as the centrality of Christ in the human existence and in history which is none other than the transcendence of Christ. Salvation rather than metaphysics must be the motive of this doctrine of `communcatio idiomatum`.

      • KCI등재

        선사시대의 極東 全身像 土偶와 환동해문화권

        김재윤(Kim, JaeYoun) 한국상고사학회 2008 한국상고사학보 Vol.60 No.-

        동아시아의 선사시대 토우는 지역에 따라서 황하상류와 위수 유역, 황하하류역과 장강 하류역, 장강 중류역, 하북성 중부 이북의 동북아시아와 일본열도로 구분되었다. 특히 하북성 중부 이북으로 분류된 동북아시아 문화권 내에서 아무르 하류·연해주·한반도 두만강 하류에서는 특징적인 토우가 출토된다. 이 지역에서는 성별 구별할 수 없고, 가느다란 몸퉁에 머리가 각을 이루며 부착되어 머리가 젖혀진 형태를 한 인물상 토우가 출토되는데 이러한 토우를 ‘극동 전신상 토우’로 명명하고자 한다. 동 토우는 동아시아의 요서, 요동지역과 대비해서 재질, 자세, 성별, 출토위치 등의 차이가 있다. 극동 전신상 토우가 가장 먼저 발행한 아무르 하류의 신석기 전기부터 신석기 후기까지 확인되며 얼굴과 몸의 형태 등에서 변화가 보인다. 연해주~두만강 하류에서 토우는 청동기시대에 나타나며 아무르 지역에 비해서 얼굴표현이 없어지고, 단독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반신 부분이 변한 점 등이 관찰된다. 미시적으로 토우는 고아시아족의 木偶와 출토위치 등을 고려해 볼 때 집을 지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토우가 고고학적 유물로써 이데올로기를 포함한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동 토우의 통시적·거시적 역할은 설정된 환동해문화권의 고고학적 표식이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rehistoric clay dolls in East Asia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regions which include the upper reaches of the Yellow River and Wei basins, the lower reaches of the Yellow River and the lower course of the Yangtze river, the middle course of the Yangtze river, the North East Asia of the middle-upper part of Hebei, Japan's archipelage. However, distinct clay dolls were excav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Amur River, Primorye and the lower course of the Duman river within the cultural scope of North East Asia. The dolls in those three areas are human figures that have no sexual distinction. Their bodies are slim and their pointed heads are turned over, which haven't been found in Liao-dong, Liao-xi and Jilin. These dolls shall be called 'The Far East full-length clay dolls' The earliest ones among the Far East dolls were made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Neolithic era and there were some changes in face shape among them. In the areas around Primorye and the lower part of the Duman River, the Neolithic full-lenth dolls have not been discovered yet. The full-length clay dolls of the Bronze Age are the earliest ones until now. Their faces are simpler than the Neolithic ones created in the Amur River and their lower parts were changed so that they could stand up on their own. The Far East clay dolls can by considered to belong to the Pan East Sea culture encompassing the Korean Peninsula and Primorye.

      • KCI등재

        반구대암각화와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배 문양 암각화 비교검토:신석기시대 환동해문화권 바닷길과 관련해서

        김재윤(Kim Jaeyo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2

        유라시아 대륙의 북반구에는 북극해 주변과 환동해문화권에 배 문양이 그려진 암각화가 확인된다. 북극해 주변은 스칸디나비아 반도, 추코트카 반도와 가까운 지역에서 발견된다.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는 기원전 3000년 기~기원전 2000년기에 그려져고, 추코트카의 배 문양은 베링고모르스카야 문화와 관련되어 기원후 7~8세기 암각화로 알려졌다. 태평양을 끼고 있는 환동해문화권의 북부지역인 아무르강 하류 및 연해주 우수리 강변의 암각화와 남부지역인 반구대와 석장리 유적의 암각화에서는 배 문양이 확인된다. 북부 지역의 암각화 중에서 아무르강 하류는 동심원문을 기반으로 한 마스크형, 방형문, 사슴문양보다 뒤에 그려진 것이 확인된다. 우수리 강변에서는 마스크형 암각화, 동심원문양과 같은 시점에 그려져 한 그림을 구성하고 있다. 아무르강 하류의 동심원문 마스크형 암각화는 9000년 전 이후에 그려진 것이고, 배 문양으로 고쳐서 그려진 사슴 문양은 몸통을 동심원문양으로 채운 점으로 보아, 마스크형 암각화와 같은 시점이다. 그렇다면 아무르강 하류의 배 문양은 사슴을 고쳐서 그린 것으로 사슴 보다 늦게 그려졌다. 우수리 강변의 마스크형 암각화와 동심원문양은 환동해문화권 남부지역과의 교류관계를 생각한다면 6500~6000년 전에 그려진 것으로, 함께 그려진 배 문양도 같은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아무르강 하류의 배도 이 시점에 그려졌을 수 있다.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에서 남부지역으로 문화가 이동한 시간은 신석기시대 6500~6000년 전, 청동기시대 3100~2900년 전으로 알려졌다. 신석기시대는 주로 강원도 동해안의 해안가 유적에서 그 정황이 확인되고, 청동기시대는 강원도 영서 지역과 영남의 남강에서 출현한다. 즉 환동해북부지역에서 남부지역으로 내려오는 경로가 달랐다고 볼 수 있으며 신석기시대에는 바닷길을 이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반구대 암각화의 고래사냥 장면에 등장하는 배 그림은 외양성 어업이 있었던 근거로 보이고, 죽변 유적이나 비봉리 유적에서 발견되는 신석기시대 실제 배도 이러한 정황을 설명한다. 뿐만 아니라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과 남부지역에서 보이는 암각화의 배도 바닷길을 따라서 이동한 근거가 될 수 있다. It is believed that between the coastal waters and the downstream of the Amur River, there was a road and sea road in the Yeongseo area along the Shihote Alin Mountains. The remains of Saturn of Lidovka culture in the Bronze Age have been identified along the west area of the Sihote Alin Mountains, and this point has been proved. This traffic route was studied not only during the Bronze Age, but also during the Balhae and Jin Dynasty. However, this sea road is likely to have existed since the Neolithic period, as it was found in the petroglyphs of the Amur River and the Ussuri River in the northern part of the Pan-East Sea Cultural Area, and the petroglyphs of the Daegokcheon and Seongseong River in the south, as well as the actual ships excavated from the ruins of Jukbyeon and Bibong-ri in Korea. Material cultures such as pottery and stone tools in the Neolithic Age, which moved from the northern region of the East Sea culture area 6500 to 6000 years ago to the southern region, can be seen as being attributed to the people who used the sea road. The ship depicted in the scene of whale hunting in the Bangudae Petroglyphs represents an outward fishery, and it can be said that it was possible to use the sea route. In addition to the ships of the petroglyphs in the northern region of the East Sea Culture Zone, some similar expression methods such as concentric originals and deer and tiger patterns are found in the Bangudae petroglyphs. The Yeongnam region has a strong local character and is characterized by abstract detection-type petroglyphs, but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lso an influence from the northern part of the East Sea culture area, characterized by realistic petroglyphs.

      • KCI등재

        반구대암각화의 비교고찰

        김재윤(Kim Jaeyo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4

        부산 ․ 경남의 신석기시대 교류는 주로 토기와 석기를 위주로 일본과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런데 신석기시대에 북방과의 교류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반구대 암각화가 있다. 반구대암각화는 한반도 암각화 자료 중 유일하게 사실적으로 표현된 것으로 그간 주목받았다. 여러 연구법이 있지만 암각화가 주로 많이 분포하고 있는 유라시아 암각화와의 비교연구는 부족한 편이었다. 아무르강 하류와 추코트카 암각화는 반구대 암각화와 주제와 표현방법에서 공통성을 보이고 있는데, 이들 자료와 비교해서 반구대암각화의 조성 시기와 상징성 등을 고찰해 보도록 하겠다. 반구대 암각화에서 가장 많이 그려지는 주제는 고래와 사슴이다. 그 외에도 육상동물과 해상동물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반구대 암각화의 주제와 표현법을 중점으로 하면 유사한 암각화는 아무르강 하류의 사카치 알리안 유적과 추코트카의 페그티멜 암각화가 있다. 사카치 알리안 암각화, 페그티멜 암각화와 반구대 암각화는 사슴의 표현법이 유사하다. 사카치 알리안 암각화는 사슴의 몸통을 전면 음각하지 않고, 선각한 후 내면에 격자문이나 동심원문으로 표현하고 있다. 페그티멜 암각화는 사슴을 표현할 때 전면을 음각한 것과 선각 한 것으로 나눠진다. 반구대 암각화의 사슴그림은 사카치 알리안의 선각 후 내면을 격자로 그려 넣은 것과 페그티멜 암각화에서 관찰되는 선각 한 방법이 함께 확인된다. 반구대 암각화와 사카치 알리안 암각화에서 확인되는 호랑이는 그 표현법이 유사하다. 뿐만 아니라 반구대 암각화와 페그티멜 암각화는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고래가 그려진다는 공통성이 있다. 사카치 알리안 암각화는 암각화 중 인면문과 인근한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의 인면문이 유사해서 신석기시대 후기인 기원전 20세기 중반부터 그려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페그티멜 암각화는 기원전 10세기 부터로 보고 있다. 따라서 반구대 암각화도 단 시기에 그려졌기 보다는 오랜 기간 조성되었으며, 사카치 알리안과 사슴 표현법에서 유사함을 고려한다면 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까지 그려졌을 가능성이 있다. 반구대암각화와 페그티멜 암각화에서는 유라시아 다른 지역에서 확인할 수 없는 고래라는 주제를 확인할 수 있어 유라시아 암각화에서 극동 암각화의 지역성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반구대암각화는 한반도 내에서도 유일하게 사실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부산 ․ 경남의 선사시대 지역성을 드러낸다. 그 지역성은 아무르강 하류부터 관련된 환동해문화권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크다. Bangudae petroglyph has received attention as the only petroglyph that is realistically described in the Korean Peninsula. There has been several researches about this petroglyph however there are lack of comparative studies with Eurasian petroglyphs. It is similar with the downstream area of Amur River and Chukotka petroglyph in the theme and its expressions. In this paper, comparing with these petroglyphs, consider its comstructed time and symbol. The main theme of Bangudae petroglyph is a whale and a deer. Other land animal and sea animal is also realistically described. Focused on the theme and its expressions, it is similar with Sakachi-Alyan petroglyph of the downstream area of Amur River and Pegtimel petroglyph of Chukotka. The expression of a deer is similar. First carve a body of a deer and describe alattice and concentric circle inside in Sakachi-Alyan petroglyph. In Pegtimel petroglyph, the description of a deer is devided into two patterns, intaglio and carving. After carving, describing alattice pattern inside of Sakachi-Alyan petroglyph and carved deer of Pegtimel petroglyph in Bangudae petroglyph. The pattern of a tiger of Bangudae petroglyph is similar with that of Sakachi-Alyan petroglyph. A whale that is not found in other area is described in Bangudae petroglyph and Pegtimel petroglyph. As a human face pattern of Sakachi-Alyan petroglyph is similar with the pattern of pottery in neighboring sites, it is thought that it was painted from the middle of B.C 3000. It is thought that Pegtimel petroglyph was painted from B.C 10th century. So Bangudae petroglyph was not described for a short time, but it was costructed for a long tome. Comsidering the similarity with description of a deer, it should be constructed from the Neolithic Era to the Bromze Age. As a whale that is not found in other area is described in Bangudae petroglyph and Pegtimel petroglyph, the regionality of the Far Eastern petroglyph is emerged in Eurasian petroglyphs. As it is unique that the patterns are realistically described in Bangudae petroglyph among petroglyph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the regionality of Busan-Gyeongnam area in prehistoric times emerged. This regionality should be originated from the Pan-eastern sea cultural area connected with the downstream area of Amur River.

      • KCI등재

        시베리아 청동기시대와 천전리 암각화의 비교고찰 : 오쿠네보 문화와 카라숙 문화 암각화를 중심으로

        김재윤(Kim, Jaeyoun)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1

        천전리 암각화는 반구대암각화와 함께 우리나라에서 드물게 사실적인 표현이 많다. 하지만, 추상적인 표현과 청동기시대부터 6~7세기, 근현대까지 이어지는 긴 제작기간으로 인해서 반구대 암각화에 비해서 주목받지 못했으나 유라시아 청동기시대 암각화의 특징이 확인된다. 천전리에서 청동기시대 그림으로 볼 수 있는 암각화는 선쪼기로 제작된 것이다. 대곡천에 근접해서 위치하는 반구대암각화에서는 같은주제이지만 다른 문양표현이 천전리에서 발견되는데, 반인반수, 출산, 얼굴모양이다. 이곳에서 발견된 반인반수와 출산 문양은 사실적이면서도 추상적인표현이 많은 기원전 25~19세기 시베리아 청동기시대 오쿠네보 암각화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다. 얼굴모양은 양 지역의 그림이 아주 유사하다. 뿐만 아니라 같은 방법으로 그려진 천전리에서 확인되는 아주 가늘게 몸통이 표현된 동물문양은 기원전 14~10세기 카라숙문화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천전리에서 팔을 둥글게 말고 있는 인간형상도 카라숙문화에서 보이는 것이다. 그런데 시베리아에서 오쿠네보 문화가 있는 동안 천전리가 있는 영남지역에서는 아직 신석기문화가 있던 시기이고, 오쿠네보 문화의 다른 물질문화가 한국에서 발견된 예가 없어서 양 지역의 교류가 있었다고 보기 힘들다. 반면에 카라숙 문화의 물질문화는 연해주에서 확인되고, 연해주 시니가이 문화의 토기, 석기, 청동기 등이 강원도와 경남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이 지역에 카라숙 문화의 간접적인 영향이 있었을 수 있다. 그러나 천전리에 그림을 남긴 사람의 주체가 누구인지는 현재의 자료로는 알 수 없다. 오쿠네보 문화의 암각화 아이디어는 천전리에서 확인되지만 그림이 완전히 같지는 않은데, 양지역이 동 시기에 인적 교류가 있지는 못했고 오쿠네보 문화의 아이디어만 남아서 후대에 그려졌을 수 있다. The Cheonjeon-ri petroglyphs, along with the hemispheric petroglyphs, are rare in Korea. However, due to the abstract expression and the long production period from the Bronze Age to the 6th to 7th centuries and modern times, i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compared to the hemispheric petroglyphs, but the features of the Eurasian Bronze Age petroglyphs have been confirmed, and thus have high academic value. The two petroglyphs are located close to the same river, but the same theme and differently expressed patterns are found in terianthropic, childbirth, and facial shapes. The petroglyphs, which can be seen as paintings of the Bronze Age in Cheonjeon-ri, were made using a squatting technique. The semi-human half and childbirth patterns found here are only found in Okunebo culture paintings during the 25th and 19th centuries BC, which are realistic and have many abstract expressions. The face shape is very similar to the paintings of both regions. In addition, animal patterns with very thin body patterns found in Cheonjeon-ri, painted in the same way, can be found in Karasuk culture from the 14th to 10th centuries BC. The shape of a human being curled his arms in Cheonjeon-ri is also seen in Karasuk culture. However, during the Okunebo culture in Siberia, there was still a Neolithic culture in the Yeongnam region where Cheonjeon-ri was located, and no other material culture of this culture was found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culture of Karasuk culture was identified in Primorsky, and the earthenware, stone tools, and bronze ware of this culture were found in Gangwon-do and Gyeongsangnam-do, so it was indirectly influenced by Karasuk culture. Thus, as the Karasuk culture found in Cheonjeon-ri s petroglyphs moved east, the flow of human exchanges could have continued to Cheonjeon-ri. Though the idea of the petroglyph of Okunebo culture is found in Cheonjeon-ri, the picture is not exactly the same, but the two regions did not have human exchanges at the same time, and only the idea of Okunebo culture remained, which may have been painted later.

      • KCI등재

        4,800~4,100년 전 신석기시대「압록강문화권」의 고찰 - 이중구연세퇴문토기와 뇌문토기를 중심으로

        김재윤(Kim Jaeyoun) 동북아역사재단 202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7

        압록강문화권은 미송리 유적을 근거로 설정되었는데, 그 이후는 압록강 유역의 쌍학리 유적 및 인접한 지역에서 이중구연세퇴문토기와 뇌문토기가 확인되어 이를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이중구연세퇴문토기는 하요하 유역의 편보문화 토기로 알려졌지만 압록강 유역의 토기와 형식상 유사하고, 이 지역의 토기가 시간상 이르다는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압록강을 중심으로 양상을 살필 수 있다. 그런데 이 토기는 압록강 유역과 가까운 청천강 및 요동 북부와 남부, 하요하 유역 및 요서 통요 부근의 소하연문화 남보력고토 유적에서도 출토된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 알려진 소하연문화의 토기 중에 대표적인 채색된 존형토기와 기대, 고배형토기 등이 출토되지 않고 새로운 요소가 포함된다. 원저토기와 옥제품, 조합식석인도, 두부장신구, 무덤의 장법은 시베리아의 세로보문화와 글라스코보문화의 특징이다. 이중구연세퇴문토기와 뇌문토기도 알려진 소하연문화의 다른 지역유형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그래서 남보력고토 유적은 4,000~3,800년 전 소하연문화의 통요유형으로 설정하고자 한다. 통요유형에서 확인되는 이중구연세퇴문토기와 뇌문토기는 압록강 유역 주변의 유적과 기형의 형태, 문양 등에서 차이가 있어 형식상 구분되고, 측정연대도 늦으며, 압록강문화권에서 볼 수 없는 시베리아문화의 요소가 있어 포함될 수 없다. 따라서 미송리 유적 이후에 압록강문화권은 이중구연세퇴문토기와 뇌문토기가 모두 확인되는 압록강 및 청천강 유역에서 하요하 유역, 요동남부와 요동북부를 포함하며, 그 기간은 4,800~4,400년 전쯤으로 압록강문화권 3기로 볼 수 있다. 압록강문화권 4기는 4,400~4,100년 전쯤으로 압록강 유역과 요동남부에서만 뇌문토기가 확인된다. 다른 지역은 청동기시대까지 유적이 확인되지 않아서 정확하지 않다. Yijunggu yeonse toemun earthenware (double-mouthed earthenware) and noemun earthenware (lightning-patterned earthenware) from 4,800 years ago have been found in the Amnok River basin, northern and southern Liaodong, the lower Liao River basin and the west Liao River. 4,400 years ago, there was a change in the earthenware of the cultural sphere surrounding the Amnok River. For the period between 4,400 and 4,100 years ago, only noemun earthenware have been identified in the Amnok River basin, and northern and Southern Liaodong.

      • KCI등재

        반구대암각화의 비교고찰 - 부산· 경남의 선사시대 지역성

        김재윤(Kim Jaeyoun)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7 No.-

        부산·경남의 신석기시대 교류는 주로 토기와 석기를 위주로 일본과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런데 신석기시대에 북방과의 교류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반구대 암각화가 있다. 반구대암각화는 한반도 암각화 자료 중 유일하게 사실적으로 표현된 것으로 그간 주목받았다. 여러 연구법이 있지만 암각화가 주로 많이 분포하고 있는 유라시아 암각화와의 비교연구는 부족한 편이었다. 아무르강 하류와 추코트카 암각화는 반구대 암각화와 주제와 표현방법에서 공통성을 보이고 있는데, 이들 자료와 비교해서 반구대암각화의조성 시기와 상징성 등을 고찰해 보도록 하겠다. 반구대 암각화에서 가장 많이 그려지는 주제는 고래와 사슴이다. 그 외에도 육상동물과 해상동물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반구대 암각화의 주제와 표현법을 중점으로 하면 유사한 암각화는 아무르강 하류의 사카치 알리안 유적과 추코트카의 페그티멜 암각화가 있다. 사카치 알리안 암각화, 페그티멜 암각화와 반구대 암각화는 사슴의 표현법이 유사하다. 사카치 알리안 암각화는 사슴의 몸통을 전면 음각하지 않고, 선각한 후 내면에 격자문이나 동심원문으로 표현하고 있다. 페그티멜 암각화는 사슴을 표현할 때 전면을 음각한 것과 선각 한 것으로 나눠진다. 반구대 암각화의 사슴그림은 사카치 알리안의 선각 후 내면을 격자로 그려 넣은 것과 페그티멜 암각화에서 관찰되는 선각 한 방법이 함께확인된다. 반구대 암각화와 사카치 알리안 암각화에서 확인되는 호랑이는 그 표현법이 유사하다. 뿐만 아니라 반구대 암각화와 페그티멜 암각화는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고래가 그려진다는 공통성이 있다. 사카치 알리안 암각화는 암각화 중 인면문과 인근한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의 인면문이 유사해서 신석기시대 후기인 기원전 20세기 중반부터 그려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페그티멜 암각화는 기원전 10세기 부터로 보고 있다. 따라서 반구대 암각화도 단 시기에 려졌기 보다는 오랜 기간 조성되었으며, 사카치 알리안과 사슴 표현법에서 유사함을 고려한다면 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까지 그려졌을 가능성이 있다. 반구대암각화와 페그티멜 암각화에서는 유라시아 다른 지역에서 확인할 수 없는 고래라는 주제를 확인할 수 있어 유라시아 암각화에서 극동 암각화의 지역성을 드러내고있다. 또한 반구대암각화는 한반도 내에서도 유일하게 사실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부산·경남의 선사시대 지역성을 드러낸다. 그 지역성은 아무르강 하류부터 관련된 환동해문화권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크다. Bangudae petroglyph has received attention as the only petroglyph that is realistically described in the Korean Peninsula. There has been several researches about this petroglyph however there are lack of comparative studies with Eurasian petroglyphs. It is similar with the downstream area of Amur River and Chukotka petroglyph in the theme and its expressions. In this paper, comparing with these petroglyphs, consider its comstructed time and symbol. The main theme of Bangudae petroglyph is a whale and a deer. Other land animal and sea animal is also realistically described. Focused on the theme and its expressions, it is similar with Sakachi-Alyan petroglyph of the downstream area of Amur River and Pegtimel petroglyph of Chukotka. The expression of a deer is similar. First carve a body of a deer and describe alattice and concentric circle inside in Sakachi-Alyan petroglyph. In Pegtimel petroglyph, the description of a deer is devided into two patterns, intaglio and carving. After carving, describing alattice pattern inside of Sakachi-Alyan petroglyph and carved deer of Pegtimel petroglyph in Bangudae petroglyph. The pattern of a tiger of Bangudae petroglyph is similar with that of Sakachi-Alyan petroglyph. A whale that is not found in other area is described in Bangudae petroglyph and Pegtimel petroglyph. As a human face pattern of Sakachi-Alyan petroglyph is similar with the pattern of pottery in neighboring sites, it is thought that it was painted from the middle of B.C 3000. It is thought that Pegtimel petroglyph was painted from B.C 10th century. So Bangudae petroglyph was not described for a short time, but it was costructed for a long tome. Comsidering the similarity with description of a deer, it should be constructed from the Neolithic Era to the Bromze Age. As a whale that is not found in other area is described in Bangudae petroglyph and Pegtimel petroglyph, the regionality of the Far Eastern petroglyph is emerged in Eurasian petroglyphs. As it is unique that the patterns are realistically described in Bangudae petroglyph among petroglyph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the regionality of Busan-Gyeongnam area in prehistoric times emerged. This regionality should be originated from the Pan-eastern sea cultural area connected with the downstream area of Amur River.

      • KCI등재

        신석기 후기 동북한문화권의 시간과 공간범위

        김재윤(Kim, Jaeyoun)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7 No.-

        신석기 후기 동북한문화권은 두만강부터 연해주, 목단강 유역까지 비슷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연해주의 신석기 후기는‘자이사노프카 문화’로 통칭되지만 두만강 유역과 접하고 있는 지역과‘한카호’라는 큰 호수를 중심으로 하는 내륙의 유적들 사이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두만강 유역을 따로 고찰하였다. 이 지역을 구체화해서 두만강 유역, 목단강 유역와 함께 검토한다면, 동북한의 신석기 후기 문화권의 시간과 지역의 범위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동북한문화권 신석기후기는 5000~3800B.P.이고, 3800~3500년에 존재한 유형은 청동기시대로 넘어 간 것으로 생각된다. 5000~4800B.P.에는 두만강 1유형, 한카호 1유형, 목단강 1유형이 공존하는데, 그 문화양상은 다치구압날문, 승선압날문, 점선자돌문, 침선문 토기 등이 공존한다. 주거지 양상은 각 유형에 따른 시간성보다도 지역성을 뚜렷하게 나타낸다. 이 시점의 주거지는 한카호 유역과 목단강 유역만이 알려져 있다. 한카호 유역에는 방형 주거지, 목단강 유역에서는 돌담 시설이 있는 장방형 주거지이다. 4800~4400B.P.에는 두만강 2유형인 점선압날문과 침선문이 공존하는 유형이 생겨나지만, 한카호 유역과 목단강 유역에서는 1유형이 계속되어 두만강 2유형의 하한과 비슷한 시기까지 존속한다. 두만강 2유형은 전고에서는 시간적 흐름만이 간취되었지만, 지역을 넓혀서 살펴본 결과 한카호 유역, 목단강 유역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지역적 유형이다. 주거지는 두만강 내륙(장방형)과 두만강 하류 (방형)간의 주거지 평면형태의 차이를 보이고, 그보즈제보–4 유적에서는 지상가옥이 확인되는 점이 특이하다. 4400~3800B.P.에는 두만강 3유형, 한카호 2유형, 목단강 2유형 등 동북한문화권 전역에서 확인되는데, 복합침선문과 침선문이 공반되는 유형이다. 침선문기법으로 시문된 횡주어골문 토기가 모든 지역에서 확인되는 공통성은 보이지만 한카호 유역과 목단강 유역에서는 궁형문 등의 곡선적인 문양이 확인되는데, 두만강 유역과는 구별된다. 주거지는 두만강 내륙에는 장방형, 두만강 하류에는 대체로 방형이지만 장방형 주거지도 확인되어, 이전 유형과는 차이점을 보인다. 한카호 유역에서도 대체로 방형 주거지이지만 장방형 주거지가 1기 등장한다. 목단강 유역은 이전시기와 같은 장방형주거지로 시기적인 차이로 주거지의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 3800~3500B.P.사이에는 침선문과 함께 무문토기가 등장하는데, 두만강 하류에는 서포항 5기, 한카호 유역에는 아누치노–29, 레티호프카 유적 등으로 무문의 돌대문토기 및 봉상파수부 토기 등이 등장한다. The east-northern Korea cultural area in the late Neolithic Era seems similar from the Duman river to the Maritime territory, Mudanjiang river basin . The late Neolithic Era of the Maritime territory is commonly called 'Zaisanovka Culture'. A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rea that is bordered to the Duman river basin and the inland sites around the big lake called Xhanka Lake, the Duman river basin is examined differntly. By examining the Duman river basin and the Mudanjiang river basin together with definitizing this point, temporal and spatial range of the east-northern Korea cultural area in the late Neolithic Era should be clear. As a result, the cultural area corresponds from 5000 to 3800B.P. The style that corresponds from 3800 to 3500B.P. enters the Bronze Age. The Doman river 1 style, the Xhanka river 1 style and the Mudanjiang river 1 style coexist during 5000~4800B.P. The cultural aspect includes Dachigu-Apnal pattern, the Sungsun-Jadol pattern, Jumsun-Jadol pattern and Chim-sun pattern pottery coexisted. The aspect of a dwelling shows the local feature markedly rather than the temporal feature. A dwelling in this term is found only in the Xhanka lake basin and the Mudanjiang river basin; a square dwelling in the Xhanka lake basin, a rectangular dwelling with a stone wall in the Mudanjiang river basin. The style that Jumsun-apnal pattern and Chim-sun pattern - the Duman river 2 style - coexists appears in 4800~4400B.P. However, in the Xhanka lake basin and the Mudanjiang river basin, the 1 style continues to exist till the Duman river 2 style disappears broadly. While the lapse of time is checked in the Duman 2 style before, it is a local style that is not found in the Xhanka lake basin or the Mudanjiang river basin. It shows a difference between the inland of Duman river - rectangular dwelling - and the downstream of the river - square dwelling - in a dwelling plan. It is unique that the ground dwelling structure is found in the Vozzevo-4 site. In 4400~3800B.P., the Duman river 3 style, the Xhanka lake 2 styel and the Mudanjiang river 2 style that complex-chimsun pattern and chimsun pattern is coexisted are checked in the entire east-northern Korea cultural area. Vertical herring bone pattern is drew as chimsun pattern. However, a curved pattern such as a gung-hyung pattern is checked in the Xhanka lake basin and the Mudanjiang river basin. It differs from the Duman river basin. In a swelling plan, while a rectangular dwelling is found in the Duman river basin and a square dwelling is found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Duman river, a rectangular dwelling is found as well. It is different The east-northern Korea cultural area in the late Neolithic Era seems similar from the Duman river to the Maritime territory, Mudanjiang river basin . The late Neolithic Era of the Maritime territory is commonly called 'Zaisanovka Culture'. A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rea that is bordered to the Duman river basin and the inland sites around the big lake called Xhanka Lake, the Duman river basin is examined differntly. By examining the Duman river basin and the Mudanjiang river basin together with definitizing this point, temporal and spatial range of the east-northern Korea cultural area in the late Neolithic Era should be clear. As a result, the cultural area corresponds from 5000 to 3800B.P. The style that corresponds from 3800 to 3500B.P. enters the Bronze Age. The Doman river 1 style, the Xhanka river 1 style and the Mudanjiang river 1 style coexist during 5000~4800B.P. The cultural aspect includes Dachigu-Apnal pattern, the Sungsun-Jadol pattern, Jumsun-Jadol pattern and Chim-sun pattern pottery coexisted. The aspect of a dwelling shows the local feature markedly rather than the temporal fe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