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SWPBS) 모형의 중요성과 학교 현장에서의 실행가능성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김우리(Kim, Woori)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3

        본 연구는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SWPBS) 모형의 중요성과 현장 실행가능성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들의 인식 차이를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교사 67명과 특수교사 40명 총 10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실시하여, SWPBS를 구성하고 있는 3개 차원의 행동지원 즉 학교단위, 소그룹단위, 개별단위 행동지원의 각 차원 내 주요 요소별 중요성과 실행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결과는 t-test를 이용하여 비교·분석되었다. 또한, 주요 요소별로 현장 적용이 어려운 이유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SWPBS의 주요 요소별 중요성에 대한 두 교사 집단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학교단위 행동지원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그룹단위와 개별단위 행동지원에서는 측정 및 평가에 대한 항목과 효과적인 교수법 제공에 대한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수교사가 일반교사보다 그 중요도를 높게 판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WPBS의 주요 요소별 실행가능성에 대한 두 교사 집단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개별단위 행동지원의 ‘문제행동 지원을 위해 전문상담교사와의 협력’ 항목에서 유일하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일반교사가 특수교사보다 그 실행가능성을 높게 판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각 교사 집단별로 SWPBS의 주요 요소별 중요성과 실행가능성 간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일반교사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특수교사 또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두 집단 모두 중요성에 비해 실행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판단하였다. 넷째, 실행가능성이 낮은 이유에 대해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는 ‘교사 업무 과다’, ‘행정적 지원 부족’에 대해서 의견을 함께하였다. 그러나 일반교사는 ‘SWPBS에 대한 이해 부족’을 언급하였고 특수교사는 ‘팀 접근의 어려움’을 지적하는 등 교사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이유를 들기도 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와 함께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s on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implementing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SWPBS) model. A total of 107 teachers participated in survey. They rated necessity and applicability of major components of SWPBS and reported obstacles in implementing them. We collected data and analyzed the results using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necessity of major components within each level of SWPB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in any components of level 1. In levels 2 and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components related to ‘conducting assessment’ and ‘implementing strategies such as behavioral management and behavior modifi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rated their necessity significantly higher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Second, as for the applicability of major components within each level of SWPB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erceptions in only one component,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 and counselor’ in level 3. General education teachers rated its applicability higher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rd,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necessity and applicability of SWPBS in each group. The results show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omponents of SWPBS not only in general education teachers but also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Both groups rated applicability of SWPBS lower than its necessity. Fourth, regarding obstacles in conducting SWPBS, both teacher groups indicated teachers’ heavy workload and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in schools. Also,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dicated limited knowledge of SWPBS and special eduction teachers indicated lack of cooperation among teachers as additional obstacles. Lastl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ith discussion were provided.

      • KCI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김우리(Kim, WooRi),심효진(Shim, HyoJin),김정섭(Kim, JungSu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기본심리욕구, 자기주도학습능 =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에 소재한 일반 고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의 자율성 지지, 기본심리욕구, 자기주도적학습능력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477부(남 167명, 여 310명) 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기본심리욕구, 자기주도학습능력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자기주도학습능력간의 관계에 있어서 기본심리욕구의 부분매개효과 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등학생들이 부모로부터 자율성을 많이 지지받는다고 지각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를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ed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relations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were 477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hree measurements were employed: the parental autonomy support scale,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 (1986),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arental autonomy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Second, the results of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partial mediated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In order to improv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it is important for high school students not only to perceive that their parents are supporting their autonomy but also to satisfy basic psychological needs.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생애목표의 매개효과

        김우리(Kim, WooRi),김정섭(Kim, JungSu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생애목표,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생애목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시와 K지역 소재의 5개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 7월부터 9월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한 자료 중 428 부(남학생 196명, 여학생 232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부모의 자율성 지지 척도, 미래지향목표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생애목표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내재적 생애목표와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외재적 생애목표는 모의 자율성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내재적 생애목표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외재적 생애목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내재적 생애목표가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ed role of life goals on relations between parental autonomy-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WB)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relations among parental autonomy-support, life goals, and PWB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Second, are there mediation effects of life goals on relations between parental autonomy-support and PWB? Participants were 428 (male=196 and female=232)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Three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employed: the Autonomy-Support Scale, the Aspiration Index,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arental autonomy-support, intrinsic life goals, and PWB.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xtrinsic life goals and PWB. Second, through mediation analysis, there was partial mediation effects of intrinsic life goals(except extrinsic life goals) on relations between parental autonomy-support and PWB.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rinsic life goals can ply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support and psychological PWB.

      • KCI등재

        읽기 성취 및 인지과정 검사를 통한 읽기부진 학생의 읽기이해 특성 분석

        김우리(Kim, Woori),연준모(Yun, Joonmo) 한국학습장애학회 2018 학습장애연구 Vol.15 No.2

        본 사례연구는 다양한 검사, 즉 표준화 검사와 함께 안구운동 검사와 소리내어 생각하기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읽기 내 인지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교사평정을 통하여 학생들이 읽기이해 과정에서 보이는 특성에 대해 추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초등학교 4학년인 읽기부진 학생 3명과 일반 학생 3명이 참여하였으며, 먼저 표준화된 검사인 RA-RCP 읽기이해 소검사를 실시하였고, 읽기이해 과제에 대한 안구운동 검사와 소리내어 생각하기 검사, 그리고 학생들의 읽기이해 능력에 대한 교사평정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표준화 검사 결과, 읽기부진 학생은 읽기이해 장애로 진단되었고, 일반 학생은 평균 혹은 상위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구운동 검사 결과, 글 전체에 대한 고정빈도와 고정시간은 부진학생들이 일반학생에 비하여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글의 중심 문장이나 핵심어에 대한 고정 빈도나 고정 시간은 부진 여부와 관계없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재고정 빈도는 일반 학생이 읽기부진 학생에 비해 일관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소리내어 생각하기 검사에서는 일반 학생들은 읽은 내용을 정교화시키고 정확한 추론을 하였다. 그러나 읽기부진 학생은 읽은 내용을 그대로 반복해서 말하기, 추론하기 등 다양한 형태의 인지과정을 보였으나 잘못된 추론을 하는 빈도가 높았다. 한편, 교사평정에서는 모든 하위 문항에서 읽기부진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poor readers in reading comprehension by employing eye-movement test, think-aloud test, and teachers’ rating as well as standardized test. Three poor readers and three typical readers in fourth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rst, a standardized reading comprehension test (RA-RCP) were administered to those students; then, eye movement and think-aloud tests were administered to examine their cognitive processes in reading comprehen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in RA-RCP test showed that poor readers were diagnosed with reading comprehension disabilities, while typical readers were found to be the average or upper level of reading. Second, in the eye movement tests, overall, the poor readers had a longer duration and higher frequency in fixation than the typical readers for the whole texts. However, the typical readers indicated more visit counts than the poor readers for the areas of core contents and key words while fixation duration and fixation frequency for the areas varied regardless of reading difficulties of the students. Third, the think-aloud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typical readers elaborated the contents and made accurate inferences, while poor readers repeated sentences or made wrong inferences when they read sentences. In addition, in teachers’ rating, poor readers received lower scores than typical readers in all items.

      • KCI등재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간의 구조적 관계

        김우리(Woori Kim),박영희(Young Hee Park),김정섭(Jungsub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4 敎育心理硏究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자아정체감 및 진로정체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에 소재한 3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338명(남:187/여:151)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한국형 기본심리욕구척도, 한국형 자아정체감검사, 진로정체감 검사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Mplus 5.21(Muthen and Muthen, 2009)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과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자아정체감 및 진로정체감은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17<rs<.761, ps<.001). 둘째, 이와 같은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 기초해서 기본심리욕구와 진로정체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이 매개역할을 한다는 모형을 상정하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정체감이 기본심리욕구와 진로정체감을 완전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모든 경로는 p<.001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기본심리욕구뿐만 아니라 자아정체감도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uctural relations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s(BPNs), ego identity, and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38(male=187) students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a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Three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employed;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the Ego-Identity Scale, and the Career Identity Tes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program and Confirm Factor Analysis(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ith Mplu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BPNs, ego identity, and career identity(.417<rs<.761, ps<.001). Secon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ego identity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BPNs on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influence of BPNs on ego identity was .873 and the influence of ego identity on career identity was .561(ps<.001). The fitness indices of the final model were CRI=.916, TLI=.902, RMSEA=.062, SRMR=.043.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go identity is much more important than the BPNs to prompt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identity. It means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middle school students’ ego identity as well as to satisfy their BPNs in order to develop their career identity.

      • KCI등재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증강·가상현실 활용현황, 인식 및 TPACK 수준 비교

        김우리 ( Kim Woori ),옥민욱 ( Ok Min Woo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2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증강현실과 가상현실(AR·VR) 활용현황 및 관련 인식을 살펴보고, 교사유형과 AR·VR 활용 여부에 따른 TPACK 수준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일반교사 127명과 특수교사 190명을 포함하여 총 317명을 대상으로 AR·VR 활용경험 및 인식, TPACK 수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독립표본 t 검정, 이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모두 AR·VR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활용하는 교과목에 대해서는 특수교사는 진로와 직업이 가장 많았고, 일반교사는 내용교과가 가장 많았다. 둘째, AR·VR 활용의 장애물로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모두 AR·VR 활용에 대한 지식 부족과 테크놀로지 기기 부족을 들었고, 이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였다. 셋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는 AR·VR 활용과 관련하여 TPACK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AR·VR 활용경험 여부에 따라 TPACK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사들이 AR·VR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AR·VR 활용경험 기회를 제공하고,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특수교사의 경우, 장애 학생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연수 과정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pecial and general educators’augmented and virtual reality(AR·VR) usage, perceptions, and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levels. It also aimed to compare TPACK levels between the two types of teachers and between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teachers. [Method] A total of 317 participants including 127 special educators and 190 general educators were surveyed on their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using AR and VR and on their TPACK levels.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two-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Neither special nor general educators were found to make substantial use of AR·VR. Where they did use AR·VR, special educators used it mostly for career and occupational purposes, and general educators used it mostly for teaching subject content. Both special and general educators reported that they lacked knowledge and ability regarding the use of AR·VR, and the lack of AR·VR devices was one of the biggest barriers to using the technolog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eacher types in any TPACK area,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with and without experience in AR·VR in all TPACK areas. [Conclusion] To support the effective use of AR·VR by teachers, opportunities to gain experience in using AR·VR must be provided, as well as training aimed at helping them integrate AR·VR into their teaching. Considering the special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differentiate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special educators.

      • KCI등재

        직접어휘교수와 내용구조화 중재를 활용한 과학교수가 학습장애 위험군의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김우리(Kim, Woori)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직접어휘교수와 내용구조화 중재를 활용한 과학교수가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과학어휘와 내용지식 습득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 62명이었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31명씩 할당되었다. 실험집단 학생들은 직접어휘교수와 내용구조화 중재를 적용한 과학교수를 받았다. 두 가지 중재 전략은 일주일을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훈련된 교사에 의해 전달되었다. 통제집단은 담임교사에 의해 일반적인 과학교수를 받았다. 측정 도구로는 과학어휘검사와 내용지식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중재 전과 후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중재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ㆍ사후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중재를 통한 성장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집단의 사전ㆍ사후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재 제공 후 학생들은 과학어휘와 내용지식 습득에 유의한 성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과학어휘와 내용지식 성취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재 만족도에 대한 교사인터뷰 결과, 교사들은 중재의 용이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와 함께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rect vocabulary instruction and content structure on science vocabulary and content knowledge acquisition of students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Sixty two second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assigned to either treatment or comparison group. The treatment group students received science instruction applying direct vocabulary instruction and content structure strategies by trained teachers. The students in comparison group received general science instruction by their homeroom teachers. Science vocabulary test and content knowledge test were employed as dependent measures and student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o evaluate the group differences in posttest means, two analysis of covariance were conducted for each outcome. To measure growth of treatment group, paired t-tests were conducted for each outcome. Results indicated that treatment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performance after providing instruction.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reatment and comparison groups in both science vocabulary and content knowledge tests. From the teacher interview, it was found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use of direct vocabulary instruction and content structure in terms of usefulness and efficacy. Lastly,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 KCI등재

        한국의 읽기학습장애 진단모형별 진단 절차 및 준거

        김우리(Kim, Woori),고혜정(高惠貞)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아시아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읽기중재 연구에서의 읽기학습장애의 선별 및 진단 방법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확인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한 해결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00년에서 2013년 현재까지 국내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52편을 대상으로 학습장애 진단모형, 진단절차 및 준거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진단모형은 불일치모형, 저성취모형, 중재반응모형으로 분류되었고, 대부분의 연구(80.8%)가 불일치모형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일치모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지능검사는 웩슬러 지능검사였으며, 학업성취도 검사는 기초학습기능검사로 나타났다. 둘째, 저성취모형을 사용한 연구는 3편(5.8%)으로 사용빈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학업성취도 검사로는 KISE-BATT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저성취모형에서 ‘저성취’의 기준은 다양하게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재반응모형을 사용한 연구는 5편(9.5%)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취도 검사로는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읽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중재반응모형을 사용한 연구 5편 모두 진단기준으로 이중불일치 기준을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반응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준거를 적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와 함께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methods of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RD), and investigate trends in the identification of RD in South Korea. A total of 52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from 2000 to 2013 were reviewed. The identification methods used in those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models: (a) IQ-achievement discrepancy model, (b) low achievement model, (c) response to intervention (RTI) model, and (d) other model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most of the studies (80.8%) applied the discrepancy model to identify the students with RD. The major criteria for the identification were the results from Wechsler Intelligent tests and KEDI-Individual Basic earning Skills tests: Reading. Second, only three studies (5.8%) applied the low achievement model for the identification and KISE-BATT was used to measure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criteria of ‘low achievement’ was not consistent across studies. Third, five studies (9.5%) applied the RTI model and used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Reading to monitor student progress in reading. In addition, the five studies used the dual-discrepancy approach, and there was lack of agreement on the definition of nonresponder.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