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데이터센터 공조․냉각시스템 효율개선을 위한 실험적 연구 :룸 단위에서 구역 단위 공조․냉각방식 변경을 중심으로

        조진균,박병용,정용대,김영팔,우제상 대한설비공학회 2019 설비공학 논문집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센터의 IT환경 및 에너지사용 특성을 반영한 룸 단위 공조․냉각방식과 구역 단위공조․냉각방식의 운영효율을 비교측정 및 분석을 통하여 개선효과 제시를 위한 것이다. 데이터센터의특수성을 반영한 정량적인 평가지표를 사용하여 실증 대상 데이터센터의 룸 단위 냉각시스템을 구역 단위냉각시스템으로 변경하고, IT환경 등 현장측정과 그 결과를 성능지표에 적용하여 시스템 효율을 객관적으로비교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룸 단위의 공조․냉각방식은 공간 제약에 큰 영향을 받고 전력 밀도가 증가하는 경우, cold/hot aisle containment가 적용되지 않을 경우, IT서버룸 전체의 공조․냉각에 대한 균일한 성능유지가 힘든 반면에 구역 단위공조․냉각방식은 공조공기 이동 경로를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능력과 송풍동력을 줄이고 효율성을높일 수 있다. (2) 전력밀도가 높은 데이터센터(랙 당 5 kW 이상)를 증설 또는 신설하는 경우는 구역 단위 공조․냉각방식을적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이중바닥 구조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공간구성에도 융통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3) 중소규모 데이터센터를 대상으로 룸 단위 서버냉각 방식의 IT환경을 측정하였고 IT장비의 인입/배출 공기및 CRAC의 급기/환기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기준으로 다양한 평가지표를 분석하였다. (4) 공조․냉각효율은 SHI, RHI, RCI, RTI 및 β의 6개 지표로 분석하였고 룸 단위 서버냉각 방식은 이동경로에서의 손실, 공조공기의 혼합과 공기유실의 비효율이 발생하였고 적정한 IT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더많은 냉각에너지를 공급하는 비효율성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5) Cold aisle과 hot aisle을 완전하게 구획한 구역 단위 공조․냉각효율은 룸 단위 서버냉각 방식에 비해 SHI/ RHI는 각각 37.1%와 20,0% 향상되었고 RTI는 73.2%, β 지표는 44.3% 개선효과가 있었다. (6) 향후, 급기온도 등을 변화 시키면서 공조․냉각 전력량 감소에 대한 민감도 분석의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이는 급기온도의 변화에 따른 직접적인 냉각열량의 감소 효과 및 CRAC/H 유닛의 COP 향상 효과 등을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데이터센터 설계단계에서 IT서버룸의 구성에 따른 공조효율을 미리 평가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건립후 운영 중에 투입되는 막대한 에너지 비용을 방지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선행업무이다. 고밀도 데이터센터의공조․냉각 에너지를 저감하기 위해 공조효율에 영향을 주는 운영요소와 각각의 영향도를 종합적이고 객관적인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룸 기반, 구역기반 나아가서 랙 기반의 상호 비교 검증한 공조성능 효율평가가 가능할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에서는 공조, 에너지관리시스템, 모듈러 관련 데이터센터의 요소기술 중심으로 연구가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데이터센터 운영․서비스 중심의 국내시장 특성 및 해외 기술과의 격차에 따른데이터센터 관련 장비의 외산 의존도의 극복과 요소기술이 상호 연계된 종합적인 통합 시스템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구역 단위 공조시스템은 궁극적으로 데이터센터의 신축 및 기축에 유연하게 직접 적용 가능한 모듈화된패키지 기술 제공이 필요하다. As server and IT equipment densities become more, the need for proper installation facilities is also becoming high. In addition to higher power supply density, cooling has become a major issue in data centers. This study evaluates two thermal performance strategies in data center cooling. The advantage of row-based cooling is that it is close to the hot spots, as opposed to room-based cooling systems where are losses in the air delivery path in the room. This paper examines IT environment (temperature and humidity distribution) and air distribution efficiency by field measurement of 6 performance indices. Row based cooling strategy was suggested, as it was found to be the more efficient in server cooling based on the observations and index evaluation results as compared to a room-based cooling system. Air management helps to reduce operating costs by enhancing economizer utilization and improving efficiency of the cooling system. Metrics play a significant role in providing performance indices of air management systems.

      • KCI등재

        장애위험영유아 조기중재의 효과와 행정지원 방안 연구

        이지효(Lee Ji Hyo),김영팔(Kim Young Pal),황영범(Hwang Yeong Beom),고재욱(Ko Jea U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포용적 보육관에 입각하여 장애위험영유아의 조기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장애위험영유아를 보육기관을 통해 조기선별하고 조기중재를 제공하여 그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이를 위해 구에 소재하는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251명을 대상으로 인식 및 실태조사를 실시하였고 장애위험영유아 조기중재 지원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사전사후 검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사전조사와 조기중재 효과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위험영유아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위험영유아를 조기선별하는 과정에서 장애진단가능급이 5.8%, 장애위험급이 8.9%, 부모 및 보육교사 상담급이 2.9%로 선별되었다 셋째 장애위험영유아에게 어린이집 내에서 치료지원을 제공하니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결과에 따른 행정지원 방안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위험영유아도 사회적서비스지원 대상이 될 수 있는 법제화가 필요하다 둘째 장애아 발생률 감소를 위하여 조기선별과 조기중재의 과정과 방법을 지속화 할 수 있는 체계화된 행정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장애위험영유아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통합보육 코디네이터가 필요하다 넷째 장애위험영유아의 발달 및 기능향상을 위해서는 어린이집 내에서 관련서비스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영유아 발달의 정상화를 위한 부모의 의무와 책임을 정책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In this study, I researched in the administrative of early intervening system for young children at risk. I early screened children-at-risk in day care centers and provided early interven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251 day care center teachers in E District were surveyed. And than, I conducted a single subject test and focus group interview. The survey and single tes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found that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young children-at-risk was generally high. Second, early screening showed that 5.8% of diagnosed as having a disability, 8.9% of the at-risk group, and 2.9% of the counseling group. Third, young children-at-risk, early intervention in day care centers was effective in language development.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First, young children-at-risk also need to be explicit in the law so that they can receive national support. Second, a systematic administrativ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enable early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 Third, an integrated education coordinator is needed to support young children-at-risk. Fourth, early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 should be provided within day care centers. Fifth, to normalize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at-risk, the state must administer the duties and responsibilities of parent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