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환경시스템 계획에 따른 건물 내 에너지 및 물 순환체계의 이동에 관한 연구

        조진균,김현수,김병선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3 No.4

        More than 60% of people all over the world are living in urban areas, and all of them try to keep expanding their own area, so a lot of buildings are concentrated in it. Moreover, the people and buildings keep spending water and energy, and it makes excessive shifting or problems of circulating system. Energy and water circulating systems are causes or effects from urban problems, s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duce unstable circulating system and to control the factors. To solve the problems of building and urban environment, research of energy and water circulation in building with green building method and minimizing causes of problems is very important. (1) All circulation systems have the process that is from consumption to release. It is from exergy to entropy in energy, and it is from water supply to sewage in water. (2) Entropy and sewage can be controlled as eco-system is applied and as the exergy and water supply are controlled in a building which is micro aspect. This method saves energy and minimized the environmental pollutants with improving circulating systemthat have excessive consumption and release. (3) Primarily, matters' release from a building which can be environmental problemsfor urban area in terms of micro aspect can be reduced by controlling them in the building. Consequently, when a eco-system is planned, the not only energy saving factors but also environmental factors have to be examined practically.

      • KCI우수등재

        감염병 격리 치료시설의 병원균 전파방지를 위한 위생설비 설치에 대한 사례조사와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조진균,장승민,박병용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8

        It is crucial for infectious disease isolation facilities to rapidly isolate patients with infectious diseases and provide effective care andinfection prevention measures. This study introduces an infection transmission prevention approach focused on sanitary and plumbing systems,which have been mostly overlooked in the planning of such facilities. In the future, we suggest implementing a sanitary and plumbing planalong with a standalone/mobile unit bath module for the swift and efficient transformation of isolation facilities that can respond to a globalinfectious disease pandemic. Airborne and droplet (aerosol) transmission viruses are unlikely to be present in the water supply and causeinfections in others. Sewage and drainage piping can create a pathway for virus-laden aerosols to flow back into a room as part of theairflow. Hence, it is crucial to separate the wastewater system from other wards. In cases where separation is not possible, chlorine dioxidedisinfection can be used as the most efficient pre-treatment disinfection method for viruses. To address this issue, we have developed amobile unit bath module that guarantees independence and can be immediately utilized by connecting the sanitary and plumbing piping andelectricity of the existing water supply and wastewater on the site. In the future, we will conduct field validation using a pilot modularsystem. 감염병 격리 치료시설은 감염병 환자를 신속하게 격리시키고, 효과적인 치료와 감염 예방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해당 치료시설 계획에 있어서 지금까지는 크게 다루어지지 않은 위생설비를 중심으로 감염전파 방지에 대한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향후, 세계적 감염병 팬더믹에 대응 가능한 격리 치료시설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전환을 위한 위생설비 계획과 독립/이동형 유닛 화장실 모듈을 제시하였다. 공기 및 비말(에어로졸) 전파 병원균이 상수에 포함되어 다른 사람에게 감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조건은 매우 희박하다. 그러나 오‧배수 배관은 병원균이 부유하는 에어로졸이 기류의 영항으로 배관을 통하여 다시 실내로 역류할 수 있는 경로가 될 수 있다. 감염병 병실의 환자로부터 배출되는 오‧배수는 배변이나 세정 및 청소 후 포함될 수 있는 병원균, 항생제, 세포 증식 억제제 및 페놀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오‧배수(폐수)는 그 영향을 감안하여 배관 등 다른 계통과의 분리는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기존 위생설비와의 계통분리 방법은 유형 A: 위생배관의 수직방향으로 연결/분산과 유형 B: 위생배관의 수평적 연결 후 수직분산으로 구분된다. 유형 A가 유형 B가 시공난이도 및 비용측면에서 불리하고 설치공간의 문제로 불가능할 경우가 많다. 오‧배수(폐수)의 계통분리가 불가하면 병원균 등의 전처리 소독방법 중 가장 효율적인 이산화염소소독(농도 2~6 mg/L)을 고려할 수 있다. 현장에서 기존의 급수/폐수의 위생배관과 전기를 연결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독립성이 보장된 이동형 유닛 화장실 모듈을 개발하였다. 화장실에서 발생한 오염물의 전처리 소독은 대변기와 펌프 패키지 내부 탱크에 주기적으로 공급 가능한 이산화염소 주입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감염병 격리 치료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른 일반계통과 분리 또는 격리는 불가피한 것이기 때문에 위생설비를 계획할 경우, 큰 시설변경 없이 병원균 전파를 방지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전략은 오‧배수 및 폐수배관을 별도로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인 이유로 모든 시설에 적용이 힘들기 때문에 독립/이동형 유닛 화장실 모듈의 향후 적용 확대가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국가 감염병 대응을 위한 이동형 음압격리병실 개발 및 감염방지 환기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조진균,김진호 대한설비공학회 2023 설비공학 논문집 Vol.35 No.5

        본 논문에서는 신속한 공급뿐 아니라 의료진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이동형 음압격리병실을 제안하고 수치해석을 통한 치료공간 내부의 병원균에 의한 교차감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을 분석하였다. 국가 감염병 팬데믹 기간 동안 운영을 지속할 수 있는 임시 의료시설을 구축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시설은 안전하고 신속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안전성이 최우선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공통적으로 현재 운영 중인 이동형 음압격리병실은 의료진과 환자의 교차감염을 방지할 방안이 시설기준에 미반영되었거나 구현하기가 어려운 현실이며, 환자의 진료/치료를 위해 의료진은 개인 보호장비를 착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내재하고 있다. ∙이동형 음압격리병실은 기류방향을 의료진에서 환자 방향으로 한 방향으로 형성시켜 청정-오염 공간의 분리가 가능한 전실-음압병실 차압제어 환기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CFD 수치해석결과, 음압을 유지해야 하는 격리병실은 환기량 6 ACH와 화장실 배기 가동 여부와 상관없이 전실/복도와 -2.5 Pa 이상의 차압을 유지하여 교차감염 방지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독립모듈로 구성될 경우,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배기팬 미가동에 따른 음압유지 상태 및 환기성능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기존의 병원에 구성되는 음압격리병실은 차압유지를 위해 화장실 배기를 항시 가동하는 것을 권장하나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독립적인 이동형 음압격리병실은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배기 팬을 가동하지 않아도 운영상 문제가 없으며 에너지와 소음발생 측면에서 더욱 권장된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 이동형 음압격리병실의 국가 표준화를 목적으로 진행되었고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향후, 구간별 시간별 오염원의 농도 희석 정도를 수치해석과 현장실험을 하여 정량적인 환기효율 및 감염위험율을 평가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공기정화식물을 적용한 소형 공기청정기의 성능평가 및 효과에 대한 연구

        조진균,장승민,신철웅,박병용 대한설비공학회 2022 설비공학 논문집 Vol.34 No.6

        Indoor air quality (IAQ) refers to the air quality within and around buildings and structures, especially as it relates to the health and comfort of building occupants. Understanding and controlling common pollutants indoors can mitigate the risk of indoor health concer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combined performance of small air purifier in combination with air purifying plants. The CADR (clean air delivery rate)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est standards, by combining two small air purifiers and three plants with an air purifying effect. When the two air purifiers without performance certification were operated in the rated operation mode, it was found that all of them did not meet the minimum requirement. Although some air purifying plants had the effect, the particle removal efficiency of the combined air purifiers and air purifying plants, which operated in the rated operation mode, were half the level compared to the product with performance certification. In the market of the air purifier, consumers must be protected from air purifiers with air purifying plants, that advertise their effectiveness without performance verification. Although air purifying plants do not remove fine dust, it is clear that they are effective in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ir purifier that can improve the air purification ability of plants. 1인가구의 증가, 하루 중 대부분을 실내에서 생활하는 현대인, 초미세먼지의 증가와 COVID-19 펜데믹 등 실내공기오염에 관한 관심도와 함께 공기청정기를 포함한 환기시스템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공기정화식물과 조합한 성능인증 없이 판매되는 소형 공기청정기의 복합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식물거치가능 소형 공기청정기 2개와 공기정화효과가 있는 식물 3가지(후마타 넉줄고사리, 홍콩야자, 홍페페 페페로미아)를 조합하여 공인 시험규격으로 공기청정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공기정화식물은 거치하지 않고 2개의 대상 공기청정기를 정격운전모드로 가동할 경우, 공기청정성능시험 기준에 모두 미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대상 공기청정기와 3개의 공기정화식물은 조합하여 정격운전모드로 가동하여 측정한 결과, 1개의 대상만 유일하게 청정화능력 기준을 통과하였다. 따라서 일부 공기정화식물의 효과는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다른 대상의 경우, 성능인증을 받은 제품과 비교하여 절반수준의 입자제거효율이 나타났고 30분경과에 따른 챔버내 입자효율은 거의 효과가 없는 수준이었다. ⦁공기정화 식물의 순수 입자제거율을 기준으로 약 10평의 거실에 적용할 경우, 실험에 사용한 공기정화식물 11개 정도 설치를 해야만 정화효과가 발생한다. 식물정화식물의 효과와 공기청정기의 성능과 결합하여 복합적인 기능으로 입자제거효율의 상승을 기대했지만 현재 시판중인 인증을 득하지 않은 대부분의 공기청정기는 그 성능이 미달하는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시중에서 성능검증 없이 효과를 광고하는 공기정화식물 거치형 공기청정기로부터 소비자의 보호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공기정화식물은 미세먼지의 제거는 아니지만 실내공기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식물의 공기정화능력을 상승시키며 일정수준 이상의 입자제거효율을 유지하는 지속가능한 공기청정기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감염병 격리병실 내 의료진 보호를 위한 급‧배기 일체형 국부환기정화장치 개발

        조진균,오원석,박병용 대한설비공학회 2023 설비공학 논문집 Vol.35 No.12

        This paper emphasizes the need for a secure medical environment during infectious disease pandemics. It introduces a novel local ventilation and purification unit with integrated supply and exhaust air. This innovation prioritizes healthcare worker (HCW) stability, presenting a pioneering design to minimize cross-infection risks. Approximately 39 medical procedures are categorized as Aerosol-Generating Procedures (AGPs), elevating HCW exposure. Despite increased ventilation during AGPs, HCWs remain vulnerable to close interactions with infected patients. The introduced local ventilation and purification unit segregates patient-generated emissions from HCW breathing zones, enhancing infection control. A horn-shaped hood, chosen from thirteen designs, optimizes airflow, capturing pollutants efficiently during AGPs. Two air purification strategies are explored: HEPA-filtered recirculation and direct outdoor exhaust. This research standardizes integrated supply and exhaust air units, offering foundational insights. However, future work should quantitatively assess infection risk reduction through CFD numerical analysis and field experiments, guided by infection control expert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