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영상 부가 정보 추가를 위한 참조 정보 시스템 개발

        김시정 ( Si Jung Kim ),희진 ( Hee Jin Kim ),정효숙 ( Hyo Sook Jung ),유수진 ( Su Jin Yoo ),박성빈 ( Seong Bin Park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4 No.1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Open APIs 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영상 부가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교사들은 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존의 일반적인 동영상을 교육목적에 맞게 재구성할 수 있다. 특히 교사들은 어려운 프로그래밍 작업 없이도, 단순한 키워드 입력만으로 다양한 Open APIs를 손쉽게 가져와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영상 키워드 정보를 적응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수준에 맞는 내용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학생은 키워드 정보를 적응적으로 제공받음으로써 동영상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지식의 확장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In this paper, we develop a system that can add additional information to video for educational purposes by utilizing various Open APIs. Teachers can use the system to reconstruct general videos for educational purposes. Especially, teachers can use various Open APIs easily without programming by simply typing keywords. In addition, the system manages the information about keywords so that it can provide learning content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students. Using the proposed system, students can easily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video and extend the knowledge since the information about keywords are adaptively provided.

      • KCI등재

        대학 R&D재정지원의 매개효과와 기술이전성과 영향요인 연구

        김시정 ( Kim Si-jeoung ),최상옥 ( Choi Sang Ok ),이희경 ( Lee Hue-kyung ) 한국행정연구원 2016 韓國行政硏究 Vol.25 No.2

        기업가적 대학 성과로서 기술이전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 지식정보사회로의 전환 및 과학기술 발전의 흐름 속에서 대학패러다임이 변화하였고, 국가혁신체제 하의 대학-산업-정부 간 상호협력 관계에 있어서 대학이 중요한 혁신 주체로서 기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대학 성과 측면에서 대학 기술이전성과 창출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문자본주의 관점에서 대학 기술이전성과 창출을 위한 R&D재정지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학의 인적역량 및 조직·인프라가 대학 기술이전성과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둘째, R&D재정지원의 매개효과 분석결과로 교내 R&D재정지원은 인적역량이 기술이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였다. 셋째, 정부 R&D재정지원 및 민간 R&D재정지원은 인적역량과 조직·인프라가 기술이전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술이전 영향 요인 분석 및 R&D재정지원 매개효과 분석에 있어서 교원의 해외특허실적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대학의 기술이전성과 창출 및 R&D재정 확보를 위한 대학 자체의 자발적 노력과 정부, 민간 재정지원의 전략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echnology transfer and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Recently, paradigm in the university has been shifted; influenced by the flow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the modern society. The university become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ctors of innova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industry and the government under NIS(National Innovation System). Under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is conducted to analyze the affecting factors and their performance of technology transfer in the university in discussion of its entrepreneurial quality. Especi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R&D funding is discussed from the view of academic capitalism. First, the result shows the university`s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is affected by human resources and organization/infrastructure of the university. Second, in the result for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intramural R&D funding shows a full impact on the influence from human resource and organization/infrastructure to the university`s technology transfer. Third, R&D funding from government and industry shows partial mediating impact on the influence from human resource and organization/infrastructure to the university`s technology transfer. Finally, the number of international patents of the professor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technology transfer.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ould suggest the most beneficial in terms of transferring technology and secure R&D funding; the university`s spontaneous effort and funding from government and industry.

      • KCI등재

        대학생의 진학 이전 ‘읽기 교육’에 대한 경험과 대학 공간에서의 읽기 교육 실행 방향

        김시정 ( Kim Sijeong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7

        이 연구는 그동안 관심을 받지 못했던 대학에서의 읽기와 지도 방향에 대하여 살피기 위하여 대학생이 지닌 이중적 위치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대학 공간에 존재하는 비판적 주체로서의 대학생들이 현재적 시점에서 읽기 교육에 대하여 지닌 인식과 향후의 요구를 살펴본 뒤, 이에 연계하여 대학 공간의 특성에 맞는 읽기 교육의 수월성 확보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 대학생의 읽기 교육에 대한 인식은 ‘읽기 교육에 대한 인식 부재, ‘읽기 학습에 대한 부정적 태도 형성, 비실제적 텍스트에의 몰입, 고등 수준 활동의 부작위’ 등으로 드러났으며, 교육적 요구로는 ‘텍스트 읽기 범위의 확장, 현실 목적에 탈피한 읽기, 읽기 상황에 대한 구체적 문제해결 추구’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에 따라 실행연구의 관점에서 현장 중심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읽기의 인식 및 요구 등에 대한 계량적이거나 문헌 중심의 접근을 취한 것이 아니라 실제 대학생들의 자료를 통한 질적 접근(실행연구)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러한 작업은 대학 읽기 교육에 대한 관심 확대 및 특성화, 읽기 공간을 중심으로 한 논의의 제기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dual position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examine the direction of reading and instruction in the university that have not been interested.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future needs concerning the reading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as a critical subject in university space at this current time. Second, connected with the first process, this study is to search for directions to have educational excellence of reading education which is suited to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pace. As a result of these discussions, the perception about reading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was revealed as ‘lack of awareness about reading education’, ’negative attitude toward reading learning’, ‘immersion to unpractical texts’, ‘omission of the high-level activities’, and so on. Also the educational demands of students were ‘expanding the reading range of texts, seeking to solve specific problems about reading situation, and reading to escape from reality’.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ed a problem-solving method based on a field in terms of action research. This study was constructed not by quantitative or literature-based approach to the perception and demand of reading, but by the qualitative approach through actual college students’ data. Therefore, this work is significant in that active discussion is focused on the expansion of the interest in college reading education and the characterization and reading space.

      • KCI등재

        한국어 사고어휘의 평정 및 등급화 방안 탐

        김시정 ( Sijeo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한국어의 사고어휘에 주목하여, 이러한 어휘를 평정, 등급화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새로운 교육목표분류학과 사고 및 인지 관련 논의들을 통해 표준국어대사전의 동사 어휘를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사고어휘를 평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예비 사고어휘 목록을 추출하여 이를 최종적으로 272개의 사고어휘로 확정하고 구체적 양상을 범주와 등급별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어휘의 등급을 기초 사고 기능과 고등 사고 기능으로 나누었는데 기초 사고 기능에는 기본적 인지조작, 관계성 인식‘의 범주가 포함되고 고등 사고 기능에는 정보의 이해 및 적용, 정보의 평가, 정보의 창안 범주가 포함된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향후 아동의 사고력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나 연령별 발달 양상을 분석하거나 기존에 주목되지 못했던 사고 영역 등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분야의 후속연구를 추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rate and grade these vocabulary words by paying attention to the thinking vocabulary of Korean. To this end, the Thinking vocabulary was rated by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verb of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through not only the new Taxonomy of learning but also thinking and cognition-related discuss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a list of preliminary thinking vocabularies was extracted and finally confirmed as 272 thinking vocabulary and specific aspects were examined through cases by category and grade.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of thinking vocabulary was divided into basic thinking functions and advanced thinking functions. Basic thinking functions included the categories of basic cognitive manipulation and relational recognition and advanced thinking functions included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information evaluation and categories about information cre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future research in various fields, such as tools for measuring the level of children's ability to think, analyzing aspects of age-specific development or developing fields of thinking that have not been noticed before.

      • KCI등재

        아동발달지원 목적의 미술-언어 융복합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김시정(Kim, Sijeong),양선희(Yang, Sunhee),박윤미(Park, Yun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발달 지원을 도모하기 위하여, ‘미술’과 ‘언어’ 활동이 융복합된 통합교육과정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데 있다. 방법 아동의 발달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미술치료교육과 언어교육 전문가의 협업을 통하여 프로그램 구성 틀과 이에 따른 예비 프로그램을 활동 중심으로 개발하여 제시하고, 이를 현장교사가 실천, 보완하는 실행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결과 ‘미술’과 ‘언어’ 활동 융복합형 프로그램의 구성 틀에서는 아동 발달지원을 위한 주요 키워드와 다양한 활동 사례를 마련할 수 있었으며, 이를 실제 적용하는 과정에서 아동들의 유의미한 변화 양상과 상호작용을 관찰, 기록함으로써 향후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마련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미술로 대변되는 시각적 사고 영역과 언어로 대변되는 언어적 사고 영역의 교육내용 요소를 아동발달 지원에 맞도록 정련화하고, 양자가 효과적으로 통합될 수 있는 활동 사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아동 발달 관점에서의 통합교육과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n integrated curriculum program that combines ‘art’ and ‘language’ activities in order to support children s development. Methods In order to develop a children s development support program, we develop and present a program composition framework and a preliminary program based on activities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art therapy education and language education experts. Also, this study is to apply a practical research methodology that is practiced and supplemented by field experts. Results In the framework of the ‘art’ and ‘language’ activity convergence program, it was possible to prepare keywords and various activity examples for the children s development support. By observing and recording meaningful changes and interactions of children in the process of practical application, it was possible to prepare implications that could be used for future program development.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educational content elements of the visual thinking area represented by art and the verbal thinking area represented by language were refined to fit the child s development support, and activities cases were prepared that can effectively integrate both area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urriculum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모바일 환경에서 효과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LMS에 관한 연구

        김시정 ( Si Jung Kim ),조도은 ( Do Eun Cho ) 한국항행학회 2012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16 No.1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보급 확산으로 u러닝 기반의 학습 관리 시스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u-러닝 기반의 학습 관리 시스템은 콘텐츠 사용자의 접근 시간과 장소 그리고 다양한 접근 기기에 대한 제약이 없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하다. 그러나 사용자에 대한 접근의 인증과 학습에 대한 집중 여부에 대한 판단이 매우 어렵다. 본 논문은 일반적인 사용자 이벤트 중심의 인터페이스가 아닌 음성과 사용자 안면 캡춰 인터페이스를 학습 관리 시스템에 적용 하였다. 사용자가 학습 관리 시스템에 접근 시 등록된 본인의 패스워드를 음성 입력하여 로그인 하고, 사용자가 콘텐츠를 통해 학습이 진행 되는 과정에서도 간단한 단어의 응답 발화를 통해 사용자의 학습 태도 및 학습 성과를 판단하게 한다. 제안된 학습 관리 시스템의 평가 결과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와 집중도가 향상 되었으며 이에 따른 사용자의 비정상적인 학습태도에 대한 관리자의 모니터링을 가능 하게 했다. With the spread of the various mobile devices, the studies on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u-learning are actively proceeding. The u-learning-bas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is very convenient in that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various access devices as well as the access time and place. However, the judgments on the authentication for the user and whether learning is focused on are difficult. In this paper, the voice and user face capture interface rather than the common user event oriented interface was appli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When a user is accessing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user`s registered password is input and login as voice, and the user`s learning attitude is judged through the response utterance of simple words during the process of learning through content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ropos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e user`s learning achievement and concentration were improved, thus enabling the manager to monitor the user`s abnormal learning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