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 변화와 교육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김수임(Soo-Im Kim)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2

        본 연구는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 간의 차이와 교육실습만족도와의 관련성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재학 중인 유아교육과 학생 134명을 대상으로 실습 전 ·후에 직업기초능력 설문지를 사전, 사후 실시하였고, 실습만족도 설문지는 실습 후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9년 5월 1일 부터 7월 10일 이었다. 연구결과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은 직업기초능력 하위 6개 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실습 만족도 상위 집단은 하위집단에 비해 의사소통능력을 제외한 직업기초능력 수준에 대한 인식이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실습만족도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의 교육실습 전·후 인식 차이는 문제해결능력에서 가장 컸으며, 실습만족도 중 실습제도에 대한 만족도는 모든 직업기초능력 영역의 인식 변화에 가장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of whic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e and post student teaching and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and student teaching satisfaction. To this end, 134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asked pre and post questionnaires for the vocational competencies. And student teaching satisfactio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fter student teach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th to July 7th 2019.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before and after student teaching in all six areas of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Groups with highly satisfied in student teaching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the level of vocational basic skills, excluding communication skills, compared to lower groups. The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student teaching has shown a significant increase in awareness of one s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compared to the lower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experience perception of the upper and lower groups of students was the biggest i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student teaching system among the student teaching satisfaction level was found to be the factor that most positively influences the change of perception at all levels of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 간 차이

        김수임(Soo-Im Kim),정나영(Na-Young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 간의 차이 및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대구‧경북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44명이며,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의 영역별 하위내용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Scheffe 사후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 간 차이는 다양성, 자율성, 리더십 영역의 모든 하위내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과 실행 간의 차이는 유아교사의 직급별 자율성 영역의 하위내용, 학력별 리더십 영역의 하위내용, 경력별 다양성 영역의 하위내용, 그리고 연령에 따른 다양성 영역과 리더십 영역의 하위내용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is research studie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erception and realit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regarding the creative competenc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differences stemming from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ors. Subjects were 114 early childhood educators drawn from kindergarten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180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through physical visit or mail to the institu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one-way ANOVA and the Scheffe post hoc test, and the result is as thus. Firstly,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erception and the reality of the educato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sub-domains. Secondly,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erception and realit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following domain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educators, in some sub-domains of autonomy; according to the academic background, in some sub-domains of the leadership; according to the career of the educators, in some sub-domains of diversity; and according to the age of the educators, in some sub-domains of diversity and leadership.

      • KCI등재

        유아들에게 있어서 '음악하기'의 의미

        김수임(Soo-Im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통합 음악활동 중에 나타나는 음악적 경험을 바탕으로 유아들에게 있어 ‘음악하기’의 진정한 의미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유아음악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의 모색과 질적으로 보다 우수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2011년 9월 5일부터 11월 2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D시에 소재하고 있는 S 어린이집 만 4세 햇님반 유아 15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 관찰 내용은 현장 기록으로 작성하여 자료화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유아들의 음악적 경험의 범주- 노래 부르기, 음악듣기, 신체표현하기, 리듬 및 박자 익히기, 악기 연주하기-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에게 있어 ‘음악하기’의 의미는 ‘움직임 만들기’와 ‘따라 하기’를 통한 마음의 주고받기’, ‘즐겁고 기대되는 놀이’, ‘악기는 곧 놀잇감’, 그리고 ‘진짜로서의 ’나‘를 찾아가기’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usic education and to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improved music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through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what ‘musicing’ means to children on the basis of musical experiences - singing, listening, body expression, learning rhythms and time, playing instruments - in the children’s comprehensive musical activities.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5th, 2011 to November 25th, 2011, on 15 4-years-old children in Haetnim-class, in S nursery, in the city of D. The observations were recorded in the field and materialized, an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s that ‘doing music’ to children means ‘making movements,’ ‘sharing emotions through imitation,’ ‘fun activity that one can look forward to,’ ‘musical instruments as playthings,’ and ‘finding ‘the true me’.

      • KCI등재

        우화의 인지적 해석: 이야기와 치유

        김수임 ( Soo Im Kim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3 동화와 번역 Vol.2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혼성이론을 토대로 천일야화 속의 황소와 당나귀 이야기를 통해서 우화가 인지수단으로서 어떻게 마음에서 작용하는지 탐구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샤라자드의 이야기들이 은유적 투사작용에 의하여 샤리야르에게 전달됨으로써 그의 병리적 심리상태를 회복시키는 단초가 됨을 살펴서 이야기가 지닌 치유의 힘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본 논문은 우화의 의미를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동시에 실증적인 맥락에서 인간의 마음에 접근하려는 것이다. 오랫동안 태평성대를 이끌던 사산 왕조의 샤리야르 왕은 왕비의 불륜을 목격한 후 여성에 대한 혐오감으로 3년 동안이나 처녀와 동침한 후 다음날 처형케 했고 매일 밤 왕에게 처녀를 대령하던 대신은 더 이상 찾을 수 없게 되자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이를 알게 된 그의 딸 샤라자드가 자신이 왕비가 되겠다고 간청한다. 이런 상황에서 대신은 ‘스스로의 꾀에 빠져 곤경에 처한 당나귀’의 이야기를 전하며 샤라자드가 당나귀에게 그녀 자신의 상황을 투사하여 왕비가 되려는 계획이 얼마나 무모하고 위험한 일인지를 깨닫고 포기하도록 경고하려 한다. 우화 혹은 이야기의 의미는 투사와 혼합의 복합작용에 의하여 발생한다. 에델만은 이러한 의식의 작용, 즉 우리가 어떻게 마음을 갖게 되었는가에 대한 생물학적 이론을 제시하기 위해 신경과학 분야 전반에 알려진 개념과 구조를 진화과정과 연결시켜 제시하였다. 그리고 오늘날 이와 같은 그의 이론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화(fMRI)나 전뇌맵핑(entire brain mapping)처럼 여러 신경구조의 활동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첨단 기법들이 개발되면서 과학의 영역 안으로 편입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우리는 과학적 환원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마음의 작용을 신경과학적 토대 위에서 한층 실증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결국 이것은 또한 우리가 혼성작용처럼 문학적인 과정들로 간주해왔던 것이 사실상 일상적인 마음의 작용과 다르지 않음을 증거하는 것이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how parable works as a means of cognition based on the conceptual metaphor and the conceptual blending theory in the cognitive linguistics. We can explore the activity of parable in the tale of the ox and the donkey of The Thousand and One Nights. The Great Sassanid King, Shahriyar, became involved in a distasteful episode that convinced him that no woman can be trusted. For the last three years it has been the vizier`s grim daily task to execute Shahriyar`s queen of the day before and procure for him another virgin. The vizier is running out of virgins and his daughter, Shahrazad, offers herself as the next bride. In this circumstance, the vizier tells her a story of a donkey who, proud of his intelligence, schemes to trick the master of the farm into excusing the simple ox from labor. The scheme doesn`t work as the donkey expected. The vizier intends to project the causal structure developed in the blend to the hypothetical story of Shahrazad and Shahriyar in the hope of dissuading his daughter from her plan to try to change the King`s mind through stories. However, her stories are available for projection to the specific case of Shahriyar metaphorically and finally lead to heal his pathological mind. Meaning of these stories is a complex operation of projecting and blending which could be explained as the binding problem in neuroscience. Gerald Edelman has made an attempt to solve the problem by invoking a conjectural neurobiological process called reentrant signaling that is practically established by advanced system like the fMRI or the entire brain mapping. As the result, we could understand how our mind works more empirically. This also means what we have always considered to be literary processes like blending is actually at the root capacities of the everyday mind.

      • KCI등재

        돈 들릴로의 『그레이트 존스 스트리트』 읽기 : 진화의 산물로서 뇌

        김수임(Kim, Soo-im)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0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9 No.-

        본 연구의 목적은 들릴로가 1973년 발표한 『그레이트 존스 스트리트』에서 처음으로 드러낸 과학에 대한 그의 관심을 탐구하려는 것이다. 주인공 버키가 머무는 아파트 건물은 마치 살아있는 유기체처럼 뇌의 진화과정에서 분화된 생존의 뇌, 감정의 뇌 그리고 생각의 뇌와 유사한 특질을 지닌 인물들을 수용한다. 건물 1층에는 뇌의 가장 아랫부분에 위치하며 원시적인 공포의 반응을 일으키는 뇌간, 즉 생존의 뇌를 상징하듯 물렁한 두개골을 지닌 선천적인 장애아 미클화이트가 살고 있다. 제일 높은 3층에는 생각의 뇌로 불리는 대뇌 신피질과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는 작가 페니그가 있다. 그리고 뇌간과 대뇌 신피질 사이의 중간지대를 점유하며 충동적인 감정에 사로잡힌 버키는 2층을 차지한다. 들릴로는 이렇듯 문학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중심인물들을 진화과정에서 형성된 뇌의 특이성과 병치시킴으로써 문학과 과학의 경계를 가로지른다. 본 연구는 들릴로의 소설 『그레이트 존스 스트리트』에서 문학과 과학의 세계가 서로 얽히며 공통의 영역으로 포섭되는 지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DeLillo’s interest in science that originated from Great Jones Street, which was written in 1973. Bucky’s apartment building, similar to a living organism, accommodates the major characters symbolizing the three cerebral levels of survival brain, feeling brain and thinking brain divided in the process of evolution. Micklewhite, a deformed boy with a soft skull, occupies the lowest level of the building. He mirrors the survival brain that evolved the earliest. On the top level of the building resides the writer Fenig, who corresponds to the cerebral neocortex called the thinking brain. Bucky, on the second floor, represents the emotional battleground of the midbrain. DeLillo crosses the boundary between literature and science by imaginatively juxtaposing characters with singularities of brains. The two worlds are thus entangled and proceed to converge in the novel.

      • KCI등재

        돈 들릴로의 문학적 상상력과 음악의 진화 : 『그레이트 존스 스트리트』를 중심으로

        김수임(Kim, Soo-im)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1 스토리&이미지텔링 Vol.22 No.-

        들릴로는 과학이 현대의 구체적인 현실을 재정의하는 방식에 관심을 보인다. 본 연구는 특히 『그레이트 존스 스트리트』를 중심으로 음악의 진화가 들릴로의 문학적 상상력을 통하여 은유적 연결망을 구현하는 지점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버키의 음악은 군중에게 베트남 전쟁 및 케네디와 킹 목사의 암살 등 1960년대 발생한 국내외의 고통스러운 역사를 소환하는 매개가 됨으로써 그들을 공분의 소용돌이로 몰아넣는다. 본 연구는 음악이 어떻게 인간의 감정을 극단으로 몰아넣고 공감 능력을 자극하면서 공동체 의식을 이끌 수 있는가하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그 해결방안은 음악이 인간의 소통방식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진화론적 논거를 중심으로 들릴로의 소설 읽기에 도전하려는 것이다. Don DeLillo has been sensitive to the way science has redefined the concrete realities of contemporary life. This study is especially focused on the point that the evolution of music constructs metaphorical network by DeLillo’s literary imagination in Great Jones Street. The protagonist, Bucky Wunderlic’s music cried out against the Vietnam War and the assassinations of John F. Kennedy and Martin Luther King Jr. in the 1960s, giving vent to the people’s rage at these injustices. How can music amplfy people’s indiscriminate rage? This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and its solution is to analyze DeLillo’s novel based on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that music could be a means of exploring social interaction.

      • KCI등재

        영화 이미지로 금융자본주의 읽기

        김수임(Kim, Soo-im),왕영균(Wang, Young-gyu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6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1 No.-

        본 연구의 목적은 크로넨버그가 들릴로의 동명 소설을 각색해서 만든 <코스모폴리스>를 중심으로 오늘날 전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금융자본주의의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한다. 들릴로의 소설은 발표된 지 10여 년이 지났음에도 2008년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으로 촉발된 금융위기라든지 혹은 2011년 발생한 월가를 점령하라 운동이 연상되는 장면들로 인하여 탁월한 현재적 적실성을 드러내며 ‘지금’ ‘여기’의 현실 문제를 대면케 한다. 영화의 중심 플롯은 2012년 세계 경제 공황이 불어 닥치면서 부자들을 타도하자는 시위대로 들끓는 뉴욕을 배경으로 28살의 거물 투자가 에릭 패커가 전용 리무진을 타고 어린 시절의 추억이 깃든 이발소를 찾아가는 하루 일과에 초점을 맞춘다. 금융자본주의는 특히 20세기 후반 금융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완화되고 주식과 채권을 넘어 선물, 옵션, 사모펀드, 헤지펀드 등 새로운 형태의 금융자본이 등장하면서 시장 규모는 더욱 복잡해지는 양상을 띠게 되었다. 이처럼 고도로 발전된 자본주의사회는 물건을 직접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 돈에 투자해서 돈을 버는 파생상품으로 변모하여 수와 도표 그리고 정보와 분석 등으로 이뤄지고 화폐가 만들어낸 숫자만 남는다. 이는 결국 실체가 사라진 추상의 세계를 의미하는 것이고 크로넨버그는 잭슨 폴락과 마크 로스코의 그림을 영화의 시작과 끝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자본주의의 추상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에릭 패커는 수억 달러의 막대한 자금을 위안화 가치절하에 배팅했다가 파산직전의 상태에 놓이면서 금융위기의 주범으로 몰려 살해 위험에 처한다. 이를 반영하듯 영화는 중간 중간 월가점령운동의 시위자들이 ‘쥐가 화폐 단위가 되었다’는 구호를 외치고 에릭 패커에게 쥐를 던지며 비난하는 장면을 반복적으로 보여준다. 그리고 마지막 장면에서는 패커 회사의 실직 노동자인 베노 레빈을 등장시켜 자본가와 노동자를 대립시키고 이들 사이의 좁힐 수 없는 간극을 제시하며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그러나 영화는 특별한 대안을 제시하지 않고 두 사람 사이의 설전 끝에 베노 레빈이 에릭 패커에게 총을 겨누는 것으로 끝난다. 이는 금융자본주의의 문제점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을 대신할 대안 역시 없음을 드러내려는 상징적 장치로 읽을 수 있다. 이로서 크로넨버그는 영화라는 매체를 통하여 비판담론을 만들어냄으로써 개인이나 사회가 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방식으로 지식인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some problems of financial capitalism in Cronenberg’s Cosmopolis based on DeLillo’s futuristic novel which now appears to have anticipated in recent financial crisis such as ‘the banking crisis of 2008’ and ‘the Occupy Wall Street movement’. Cosmopolis is about 24 hours in the life of a 28-year-old financial whizzkid, Eric Packer. He wants to get a haircut from his regular and longtime barber across midtown Manhattan but, because of anti-capitalist demonstrations, has to endure urban chaos. Cronenberg’s film shows the obsessive world of money and the currency market through a background of abstract-expressionist paintings by Jackson Pollack and Mark Rothko in the opening and closing credit sequences. It implies the abstraction of finance. Financial capitalism is characterized by a predominance of the pursuit of profit from the purchase and sale of, or investment in, currencies and financial products such as bonds, stock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Since the late 20th century, it has become the predominant force in the global economy. In a world of cyber-capital, Packer has made the worst gamble of his life by betting against the value of Chinese yuan. His financial empire crashes possibly taking the world economy down with it. As a result, anti-capitalist activists demonstrate on the street using dead rats as their symbol of protest. Packer learns that an assassin is out to kill him, but seems curiously uninterested in who the person might be. The final scene involves a nutty little man named Benno Levin who is Eric’s ex-employee and feels adrift in the capitalist system. The film ends with the potential murderer holding a gun to Eric"s head threatening to kill him, but does not show a final shot. In short, what Cronenberg describes in Cosmopolis is an enslavement to money markets, scrolling screens and virtual realities. Through this, he seems to tell us where we are heading. This is his duty as an intellectual.

      • KCI등재

        대학생의 자의식이 우울과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이윤희(Lee, Yun-hee),김수임(Kim, Soo-im),강민철(Kang, Min-chul)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의식의 하위구인 (사적자의식-자기초점화, 사적자의식-동기/감정인식, 공적자의식, 사회불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우울 및 수치심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잠재계층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영남지역에 소재한 6개 대학으로부터 총 329명의 대학생의 설문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혼합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잠재계층이 도출되었고, 각 잠재계층을 1) 우울 & 수치심/사적자의식 기능적 역할 집단, 2) 수치심/사적자의식(동기/감정인식) 역기능적 역할 집단, 3) 수치심/자의식 역기능 집단, 4) 우울/공적자의식 & 수치심/사적자의식(동기/감정인식) 역기능 역할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잠재계층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 특히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회피중심 대처 수준이 잠재계층 별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three sub factors: private self-consciousness (self-focus), private self-consciousness(motivation/emotion recognitio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phobia. In addition, it purposed to test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and stress coping strategy on determining the latent classes. A total of 329 university students from 6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Yeongnam region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a mixture regression model. Results showed that four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which could be defined as 1) Depression & Shame/functional private self-consciousness group, 2) Shame/dysfunctional private self-consciousness group, 3) Shame/dysfunctional self-consciousness group, and 4) Depression & Shame/dysfunctional self-consciousness group. Next, we tested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and stress coping strategy on the latent classes and the effects were generally significant. Especially, the level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voidance coping varied depending on the latent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 limitation,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 학업소진 관련 국내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 고찰

        박민지(Park, Minji),김수임(Kim, Soo-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통해 대학생의 학업소진과 관련된 변인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변인들을 분류하고 변인 간 관계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1차로 ‘대학생’, ‘소진’을 검색어로 118편의 논문을 검색하고 논문의 제목과 초록을 각각 검토하여 대학생 학업소진과 관련 없는 연구나 중복 논문을 삭제한 후 최종 17편의 분석 대상 논문을 선정하였다. 분석항목으로 연구대상 및 연구목적, 학업소진 측정도구, 학업소진 관련 변인 및 주요 연구결과 등을 확인하였다. 결과 대학생들의 학년별 분포는 개별 연구로는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고른 편이었으며, 측정도구는 MBI-SS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학업소진을 매개변인이나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연구 각 1편, 3편 외에 대부분의 연구는 학업소진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학업소진에 미치는 관련 변인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들의 합의과정을 통해 관련 변인들을 개인특성 차원, 진로⋅학습 차원, 관계 차원으로 분류하고 이들 관계의 구조를 도출하였다. 결론 학업소진 측정도구인 MBI-SS를 국내 대학생 대상으로 타당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대학생의 학업소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업, 개인특성, 진로, 관계 등 관련 변인의 구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variables and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by analyzing the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burnout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 Methods For this purpose, 118 papers were searched for as keywords ‘college student’ and ‘burnout’. After reviewing the title and abstract of the thesis and deleting any research not related to academic burnout or duplicate thesis, a total of 17 target artic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nalysis items, research subjects, research objectives, academic burnout measurement tools, academic burnout-related variables, major research results, and factors affecting academic burnout were identified. Results Although the distribution of college students by grade was differed, they were generally similar, and MBI-SS was the most used measurement tool. In addition to one and three studies in which academic burnout was set as a mediator or independent variable, most of the studies used academic burnout as a dependent variable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lated variables on academic burnout. Through the consensus process of the researchers, the related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dimension, the career/learning dimension, and the relationship dimension, and the structure of these relationships was derived. Conclusions In measuring academic burnout, it is necessary to validate MBI-SS for domestic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ademic burnout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not only academic levels but also personal characteristics, careers, and relationships.

      • KCI등재

        영유아 자위행위에 관한 부모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의사소통 이론을 기반으로

        신숙경 ( Shin¸ Suk Kyoung ),김수임 ( Kim¸ Soo Im ),강민철 ( Kang¸ Min Chul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의 자위행위를 중심으로 부모를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영유아 자위행위에 관한 부모 성교육 프로그램을 의사소통이론에 기반하여 지식 및 대처 방법의 두 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3곳에서 영유아 부모를 모집하여, 실험집단 21명과 대조집단 21명으로 나누어 집단 간 효과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 자위행위에 관한 부모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부모의 성태도, 부모-자녀 의사소통, 부모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심리적 통제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영유아 부모들은 본 프로그램이 영유아 성적 발달에 대한 이해 증가, 영유아 자녀의 자위행위에 대한 인식 개선, 영유아 자녀의 자위행위에 대한 대처 방법 숙지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영유아 자위행위에 관한 부모 성교육 프로그램은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가 영유아 자녀의 성 발달과 그에 따른 자위행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이에 대해 적절히 반응하도록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sex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focusing on the masturbation behavior of infants to verify the effect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sex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about infant masturbation was developed in two areas: knowledge and response methods based on communication theory. Parents of infants were recruited from three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divided into 21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1 in the control group, to verify the difference in effects between group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a sexual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on infant masturbation significantly improved parental sexual attitude,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al efficacy, and psychological control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parents of infa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evaluated that this program had the effect of increasing understanding of infant sexual development, improving infants' awareness of masturbation, and knowing how to cope with infants' masturbation. Summarizing the above, the sexual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on infant masturbation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help parents with infants to understand and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sexu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he resulting masturbation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