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취업애로계층 가구주의 노동속성변화에 관한 연구 - 장애인과 비장애인 가구주 비교 -

        김선희 ( Kim Sunny ),이정자 ( Lee Jeong Jar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0 장애인복지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을 이용하여 취업애로계층이 실질적으로 가구를 대표하고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가구주의 노동속성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 동안 ‘취업애로계층 가구주의 장애여부에 따라 근로형태, 근로능력, 근로형태별 불완전취업자의 직종, 실업자의 구직 중 어려운 점, 비경제활동상태의 경우 비경제활동 사유, 그리고 균등화 소득에 따른 분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취업애로계층 가구주의 근로형태는 공식적인 실업률은 안정적인 반면, 연도별 패널이 진행됨에 따라 취업의사가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질병 또는 부상이나 노령으로 인한 심신무능력으로 비경제활동인구에 머무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둘째, 장애인 가구주 중 취업자의 경우 비장애인 가구주에 비해 임시직 또는 일용직으로 불완전취업 상태에 있고, 직업 분포는 단순노무직, 기능원 및 기능 관련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은 반면, 전문직 종사자는 아주 극소수에 불과하였다. 셋째, 공식적인 실업상태에 있는 장애인 가구주의 경우 구직과정에서 건강을 주요한 걸림돌로 느끼고, 패널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나이, 기술이나 경력부족의 비율이 점점 높게 차지하였다. 비장애인 가구주의 경우는 나이, 기술부족이나 저임금, 열악한 근무환경, 경력부족을 주요 요인으로 들고 있다. 넷째, 장애인과 비장애인 가구주 모두에서 비경제활동 사유로 ‘근로무능력’은 점차 낮아진 반면 ‘근로의사가 없거나 구직활동을 아예 포기’하는 비율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다섯째, 균등화 소득에 따른 취업애로계층 가구주의 소득변화는 장애인 가구주가 비장애인 가구주에 비해 저소득층에 포함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종단연구 중 짧은 기간 동안의 동태를 살펴봄으로써, 취업애로계층의 장애인 및 비장애인 가구주의 노동속성의 변화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성을 알 수 있었고, 향후 취업애로계층의 고용지원정책 마련에 기여함과 동시에 지원된 정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실질적인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is aimed to analyze changes of labour properties from the head of the household who belongs to a class of the unemployed but is responsible for living expens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works, implemented by KWPS (Korea Welfare Panel Study) in 2006, 2007, and 2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 (1)The official unemployment rates of underclass' households continue to be stable; as KWPS continued, however, the rates of unemployment are gradually increased because their willingness to work has been decreased, they intended to transfer to another job, or they suffered from mental and physical incapability from injuries and aging. (2)The most participants are employed as lower non-manual, unskilled manual workers and technical services, but only a few are manual workers. But The official unemployed rates of the economically inactive are gradually increased, which is categorized as they have a desire to be employed, working arrangements or disabilities by aging and an injuries. (3)In case of the disabled households who are under official unemployed conditions, they point health problems out as the important barrier on the process of job search. As the KWPS proceeded, they felt increasing problems in aging and lack of functions, skills, and experiences. (4) The reasons of the economically inactive are unwillingness to work and giving up to be employed, rather incapability to work. (5)Regarding the equal income, the possibility belonging to the low-income bracket tends to be included in a group of the disabled rather a group of non-disabled. The findings of this quantitative study which implemented in a longitudinal study revealed the basic trends in changes of labour properties from the underclass, disabled, and non-disabled households, and as a result, it can provide a practical base in the future, which contributes to set up an employment supporting policy as well as to improve the effects of supporting policy.

      • KCI등재

        평생학습자로서 여성 노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고찰

        김선희(Kim Sunny),조미영(Cho Mi young) 한국노년교육학회 2017 노년교육연구 Vol.3 No.1

        고령화 사회에서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노후 준비교육, 은퇴 준비교육 등 노인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여성 노인의 기대수명은 85.48세로 세계3대 여성 장수국이 됨으로써 노인의 문제는 여성노인의 문제기 되었다. 여성노인의 경우 배우자의 사망 시 경제적 빈곤층으로 전락함과 동시에 손자녀 양육으로 인해 상당수준의 돌봄 노동에 시달리거나, 가족 및 사회적 관계로부터 고립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여가활동에 대한 요구가 더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 분석, 정책검토, 실증분석을 통해 여성노인들의 여가문화를 분석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demand and satisfaction of senior participants to attempt needs-oriented approach for seniors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customiz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manage educational system, increase a level of professionalism of instructors, continuously improve their competency, strengthen the cooperation among project-fulfilling agencies, gradually expand seniors participation of the social activities and develop a performance analysis system of the seniors culture and arts education.

      • KCI등재후보

        PBL(Problem-Based Learning)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김향자 ( Hyangja Kim ),김선희 ( Sunny Kim ),김희성 ( Heesung Kim ),송수민 ( Sumin So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4 열린부모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21세기 세계화, 전문화 시대에 능동적으로 적응·대처할 수 있는 교육서비스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는 사회복지과(지역사회복지론), 유아교육과(교육심리학), 청소년교육복지과(여성교육개론)의 교과목에 PBL을 적용하여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협력학습능력 등의 학습효과를 증진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조사, 전문가자문, 설문조사, 성찰일지 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능력에서 PBL 학습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 중 ‘자신감 및 자기통제능력’에서 증진효과가 있었고, 학습자의 성찰일지 분석 결과 과제를 수행하면서 과제수행에 대한 동기, 과제수행방법 등 전반적인 이해가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한 결과, 설문조사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찰일지 내용을 분석한 결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은 PBL 수업을 통해 스스로 교육 내용을 고민하고, 탐구하거나 자료 수집 범위를 확대하는 등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성 향상을 볼 수 있었다· 셋째, 협력학습에서 PBL 학습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별과제능력의 하위요소인 과제관련과 협력관련 능력 모두에서 증진효과가 있었고, 성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과정에서 팀별로 함께 활동함으로써 협동심, 배려, 믿음, 친밀감, 성취감, 의사소통 증진 등 긍정적 태도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PBL 수업방식이 기존의 강의식 수업방식의 한계를 보완하는 수업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으며, 더 나아가서 다른 학과에서도 PBL 수업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 및 그 외의 교수전략, 요인분석 등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educational effects and enhance students` learning abilities of problem solv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by applying PBL(Probelm-Based Learning) model·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classes of Department of Social Works(Introduction to Community Welfar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Educational Psychology),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Development(Women`s Studies)· Research methods was used literature review of PLB, a survey to identify students` achievement, and analysis of journal writings that learners had done· Results were follows· First, PBL model showed learning outcomes on problem-solving, especially in ‘confidence and self-control management,’ ‘the motivation of performance,’and ‘perception of assignments·’ Second, abilities of self-directed learning were improved in learners` oriented attitude· Third, PBL outcomes in collaborative learning also were showed positive attitudes in team work, communication skills, and intimacy· In conclusion, PBL model could be applied in order to overcome limitations of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and enhance educational effects·

      • KCI등재

        청소년지도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미영 ( Mi Young Cho ),김선희 ( Sunny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수준과 개인특성별 차이를 조사하고,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청소년수련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청소년지도사 202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에서는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 직무만족도에서는 동료에 대한 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성별, 최종급수, 근무시설, 근무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에서는 성별, 최종급수, 근무시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청소년지도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도는 중간정도의 정적상관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인은 행동의 준거로서 전문조직의 활용과 자기분야에 대한 소명의식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youth work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to analyze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A total of 202 professionals in the youth facilities completed a questionnaire including the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professional identities, and job satisfac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autonomy in the professional identity and contentment of relationships among colleagues in job satisfaction were ranked highes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fessional identity in relation to sex, recent position, working institution and working period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in relation to sex, recent position and working institution. Fourth,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youth workers. Finally, the utilization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sense of vocation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에 대한 자기인식 분석

        윤혜순(Yun Hyesun),김선희(Kim Sunny)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1 평생학습사회 Vol.7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much performances adult students at a cyber university consider they have obtained with cyber-learning. To the end, adult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s closely related with their learning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the performances into cognitive, affective, career and employment, and social domains. The result showed that adult learners regarded learning performances were very high. In particular, in cognitive and affective areas they showed very high performances. In the areas of career and employment, they perceived relatively low performances, but individual differences were large; therefore some individuals thought their performances were high.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questionaire, increase in intellectual interest, importance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in ordinary life, and desire for sustaining lifelong learning opportunities, opportunities to enter higher-level schools showed high scores. This means that they have a lot of intellectual desires and aspirations for continuing education. Adult students diagnose their own learning performances, as well as cyber university can utilize as a basis for evaluation.

      • 일의 세계로의 원활한 이행을 위한 대학생 멘토링 요구 조사

        장원섭,김선희,민선향,김성길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2 연세 교육연구 Vol.1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일의 세계로의 원활한 이행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대학생들의 요구를 조사하는데 있다. 국내 11개 대학, 453명의 대학생들의 요구를 설문조사한 결과, 96.2%의 학생들이 멘토링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특히 취업준비나 경력계획의 영역에서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향후 이러한 요구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깊이 있고 다양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멘토링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일의 세계로의 원활한 이행을 위한 가장 중요한 지원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임에 틀림없으며, 이러한 멘토링 프로그램이 여러 대학에서 유익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Mentoring was defined as an intense interpersonal exchange between a senior, experienced mentor and a junior, less experienced mentee, in which the mentor provides support, direction, and feedback regarding career plan and personal development. Mentoring can e categorized '1:1 mentoring', 'peer mentoring', 'group mentoring', 'face-to-face mentoring', 'e-mentoring', and so for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needs of effective mentoring program in college for smooth transition from college to the world of work. In this study, we surveyed 453 students of 11 colleges and universities by questionnaire to find the students' needs for mentoring programs. In this survey, We could find that most students needed the mentoring programs, especially for job search and career planning. We concluded that mentoring must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supportive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in their smooth transition from school to the world of work. We suggested the mentoring program model that can be useful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 KCI등재후보

        지방자치단체의 자연상징물 지정 및 활용방안 : 경상남도 창원시를 중심으로

        서주환,최현상,김선희 경희대학교 부설 디자인연구원 2008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제정한 자연상징물을 활용하여 지역경관을 개선하고 디자인 프로젝트를 활성화하여 지역의 정체성과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전국의 각 자치단체는 다른 지역과 특별히 다른 차별성을 찾아내고 개발함으로써 발전역량을 넓히는데 최선을 기울인다. 그런 노력의 일환으로 자연자원을 배경으로 그 지방을 상징할 만한 캐릭터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데 대부분의 구(區)나 시군단위 자치단체는 상징목(象徵木) 및 상징화(象徵花)를 지정해 놓고 있다. 이런 소재를 활용하여 지역의 경관과 디자인을 특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아울러 지방의 경쟁력과 정체성을 배가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창안하였다. 경상남도 창원시를 선정하여 문헌조사를 통해 자연상징물의 지정유래와 근거를 분석하고 관리현황을 검증하였다. 아울러 상징목인 소나무와 상징화인 진달래를 활용하여 자연경관미를 살리는 동시에 그 정체성과 부합되는 환경디자인 요소를 제안하였다. 진입도로와 주요간선도로에 시목인 소나무를 집중 식재하고, 근린공원과 체육공원 등 주요 녹지공간을 상징목과 상징화를 중심으로 테마공원화하고, 도시의 주요 공공기관과 학교 등에 집중 식재하고, 식목운동을 통해 도시의 상징화와 상징목을 위주로 수목원을 조성하며, 그 품종의 다양화내지는 고급화를 위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는 제언을 담았다. 창원시의 자연상징물에 대한 관심과 전승을 위한 노력을 촉구하고 이를 토대로 시민이 만족할 만한 수준의 관리 및 조성에 정성을 쏟아야 한다는 결론을 담았다. 조례제정을 통해 시민이 지정한 자연상징물에 대한 투자는 그 정당성이 보장되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한 지역경관 개선노력은 시민의 공감이 수반될 것이며 지역의 특성과 정체성을 한층 강화시킬 도시경관 디자인 프로젝트의 핵심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