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주 단위 보고서 작성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미정 ( Mijung Kim ),우애자 ( Aeja Woo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科學敎育硏究誌 Vol.39 No.2

        본 연구에서는 주 단위 보고서의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 자연 계열 학생으로 실험반과 비교반을 각각 3개 반으로 구성하였다. 수업 처치 단원은 화학Ⅰ ‘Ⅳ. 닮은꼴 화학 반응’으로 선정하였고, 총 16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후과제로 실험반은 주 단위 보고서를 작성하였고, 비교반은 문제 풀이로 수업내용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 단위보고서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p〈.05). 동기 변인과 학습 전략 변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총 15개의 하위 영역 중에서 시험 불안과 노력 규제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주 단위 보고서를 활용한 수업은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갖지 못했으나(p〉.05), 총5개의 하위 영역 중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와 과학수업에 대한 즐거움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주 단위 보고서를 활용한 수업은 학업 성취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상위권과 하위권 성취 수준의 학생들 사이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writing a weekly report on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the academic achievements were examined. Two hundred and three students, second graders of a high school participated.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writing a weekly report,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erformed regular science less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SLQ test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p〈.05). For sub-factors of motivation region, such as internal goals, extrinsic goals, learning beliefs, task value, and self-efficacy and for sub-factors of learning strategy region, such as meta-cognition, peer learning, time management, critical thinking, and demonstrati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econd, TOSRA test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p〉.05). However, for sub-factors, such as scientific inquiry and joy to science cla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ChemistryⅠclass (p〉.05). However, top and low achievement leve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 보건교사의 알레르기 질환 관련 환경 관리 현황 및 지식과 교육요구도

        김미정(Mijung Kim),양인숙(In-Suk Yang),엄지연(Jiyon Eom) 대한여성건강학회 2018 여성건강 Vol.19 No.1

        Purpose: The study purposes were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to prevent allergy in school setting and to identify disease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allergy among school nurses. Methods: The data collected from January 8, to January 11, 2018, and a total of 73 subjec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number,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the leve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disease knowledge were moderate. Educational needs for high-ranking were side effect of medication and special day management. Conclusion: The results refers that administers need to establish environmental management policies to prevent allergy in the school setting. Educational needs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disease knowledge when developing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school nurses.

      • KCI등재

        명상을 적용한 암 환자 영적 돌봄 단일 사례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분석연구

        김미정(Kim Mi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연구의 목적은 암 환자의 투병과정 중 영적 돌봄가의 돌봄으로 인해 환자가 자신의 병의 경험으로 삶의 의미를 해석하고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환자-돌봄가의 관계정립과 영적돌봄의 본질을 고찰하고자 한다. 방법 환자와 영적돌봄가(연구자)의 1:1 심층인터뷰를 자료로 하여 개별성을 중시하는 질적연구방법인 해석현상학적분석(Interpretative Phenomenologocal Analysis: IPA)을 한다. 환자의 느낌과 명상체험 내용 중 핵심어휘를 분석하고 목록화하여 생성된 상위 주제와 하위 주제로 분류한다. 결과 환자는 돌봄가와 신뢰가 형성되어 가면서 억압된 감정과 부정적 정서가 긍정적 수용으로 바뀌어 감을 드러내고 있다. 영적 돌봄가의 도움으로 기도와 명상을 연습하여 환자 스스로 돌봄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결론 환자는 투병과정의 고립과 고통이 돌봄가로 인해 완화되며 영적성장이 일어났다. 향후 환자 돌봄에서 교육받은 영적 돌봄가와의 연결로 환자의 심신 이완과 치유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atient reflect and accept the meaning of their life through their own disease experience under the care of a spiritual caregiver during the disease-fighting process. This study also focuses on the review of the relationship establishment between the patient and the caregiver and the essence of spiritual care. Methods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emphasizes the individuality is performed to analyze 1 on 1 in-depth interviews between patient and spiritual caregiver (researcher). Results As the patient builds trust with caregiver, their suppressed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changed into positive acceptance. The patient was able to take care herself by practicing prayer and meditation with the help of a spiritual caregiver. Conclusions The patient’s isolation and pain in the disease fighting processes are alleviated by caregiver and the patient shows spiritual growth. In future, the connection with educated spiritual caregivers to patients should help the patient’s mind and body relax and heal.

      • KCI등재

        위기의 현재, 어떤 쇄신이 교회에 요구되나? : 교회 패러다임의 변천을 중심으로

        김미정(Mijung KIM) 신학과사상학회 2021 가톨릭 신학과 사상 Vol.- No.85

        세상을 인식하는 새로운 통합체계로 급변하고 있는 사회 한 가운데서 교회는 그 영향을 교회 안팎으로 크게 받고 있다. 더욱이 팬데믹으로 이 패러다임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오늘의 현실속에서 교회는 이 시대를 사는 사람들과 어떻게 소통할 수 있을까? 영적인 것을 갈급해하지만 세이렌의 노랫소리에 넋이 나간 현대인들에게, ‘인간됨’의 음악, 복음의 선율을 제공하기 위해서 교회는 어떻게 쇄신되어야 하는가? 이를 탐구하기 위해서 20세기 초부터 21세기 초반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하여, 교회가 이해한 하느님관과 교회론을 보고, 교회가 이를 구체화한 삶의 방식과 활동 방식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오늘’을 숙고하였다. 1장에서는 20세기 초에 인간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전환되는 서구사회와, 세계 곳곳에 교회를 설립하면서 만나는 새로운 세계와, 교회는 어떻게 소통하고자 했는지, 또 그 한계는 어떠한 것이었는지를 몇 가지 문헌을 통해 보았다. 2장에서는 비역사적이고 사변적이며, 객관적인 지식으로 전달되었던 하느님의 계시를 내면적이고 상호 주체적인 관계를 통해 소통하고 체험할 수 있는 신비로 접근하면서 교회를 쇄신하고자 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노력을 몇 가지 문헌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3장에서는 공의회 50년 후 더 깊어지고, 더 넓어지고, 더 빨라진 세계화 현상 가운데, 더욱 다원화되어가는 세상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공의회를 현대 사회에 맞도록 어떻게 재해석하면서 교회를 쇄신하고자 하는지, 또 어떠한 ‘삶의 방식과 행동 방식’을 제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탐구를 바탕으로, 오늘날 현대인들의 새로운 통합적 인식체계와 소통하는 교회, 그러면서 교회의 본연의 성사적 역할을 다하고 일치의 표징과 도구가 되는 교회가 되기 위해서 교회는 어떠한 삶의 방식과 행동 방식으로 전환되어야 하는지를 보았다. 즉 현교황이 제시하는 삼천년대의 교회상인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에 근간을 둔 공동합의적 교회로 쇄신되기 위해서 어떠한 구체적 변화가 요구하는지 살펴보았다. Today, the Church finds herself at the heart of a society that is in full mutation, which has been further accelerated by the pandemic. In this time of uncertainty and transition, how can the Church better communicate the Good News of salvation to the people of this present time? In what ways must she be reformed so that the ‘fresh music’ of the Gospel may be heard by the people of today who hunger and thirst for salvation but are seduced and hypnotized by the siren song of society. In order to face the present time of the church and to think about her future, we will work on the period beginning with the 20th century up until the present day by dividing it into 4 parts. Chapter 1 will explore the period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o the threshold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 the time when Western society was in the midst of a paradigm shift to put man at the centre, and also the time when the Churches began to be established in the four corners of the world. We will examine the modus vivendi et operandi of the Church during this period and the theology of revelation, ecclesiology and missiology that supported its modus. We will specifically focus on her way of acting towards the churches born of mission. Chapter 2 will explore some of the primordial texts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which are at the source of the Church s aggiornamento, that is, at the source of her new paradigm of being and acting. In chapter 3, 50 years after the Council, in a world that has become more pluralistic under globalization, which has evolved in depth, in breadth and in speed, we will see how Pope Francis tries to apply the conciliar spirit by reinterpreting it for today s world and by proposing a reform of the Church adapted for today. Finally, at the base of all this work, we will approach a reflection on modus vivendi and operandi of the Church which will be able to manifest her role as a sacrament of unity in the heart of this constant changing and uncertain world. Finally, our attention will be drawn to deepening the meaning of the synodal Church as a proposed model for the third millennium by Pope Francis, and its application in all modus vivendi and operandi in the life of the Church.

      • KCI등재

        1950년대 부산 지역미술의 리얼리즘 경향

        김미정(Kim Miju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22 No.-

        This paper explores a stream of korean realism art focusing on the artists in Busan area post Korean war. At that time around Busan, there were some distinctive artistic inclinations to represent the humanistic reality and social issus. Kim Kyung and Kim Youngduk seems to be eminent among the 1950’s painters as a member of ‘Tobyuk [土壁]’ and ‘Chungmak [靑脈]’. After researching their life and arts, I came to a conculsion that their achieves need to be reevaluated as the realism art after korean war. Follwing the general view on Korean modern art after war, It has been insisted that korean art stream shows the locus from figurative art toward the abstract until resently. But there were radical politic voice like Muijung Art as the realistic art trends in 1980’s and two different kinds of realistic aspects as social realism at 1920-30’s and romantic history paintings of Lee Quedae during the liberation times. Furthermore the diaspora artists like Jo Yang-gyu residing in Japan was newly evaluated as expressive realistic painter. They trid to make artistic efforts to reveal the concerns of life and the social issue of historical statues. Besides I’d like to introduce some artists of Busan area at this time, who didn’t miss the concerns on society and history either. Even though the abstract and pure art dominated the korean modern art during some periods, realism has been never broken off during the whole span of korean modern art. To this goal, I examined the Busan art field microscopically, then I realized the artists from Seoul invited some animosity to the Busan arti field and the local artists felt the competition toward the visitors. So after the artists returning to their home, the local artist made efforts to make new their own group as ‘Tobyuk’ and ‘Chungmak.’ And they tried to make their own specific art tendencies. As a result they insisted the realistic art contrary to the abstract art which was exploded in Seoul art field. The specific trends in Busan area were connected to the post war Europe figurative art movement as ‘Homme Temoin’, Mexican mural paintings and German expressive prints of Kathe Kolwitz. Especially post war realistic inclination in Busan seems to be intimately associated with the Japanese post-war realism or reportage art. I think that these connections are exceptional phenomena during the post war korean art.

      • KCI등재

        전문대학생이 인식한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적응성과의 관계에서 진로신념의 매개효과

        김미정(Kim, MiJung),김영희(Kim, Yeo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1학년~3학년 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9월 11일부터 9월 2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진로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이 인식한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적응, 진로신념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신념(통제감, 명확성, 융통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졸업과 취업이라는 두 가지 심리적 부담감이 큰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신념,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전문대학생의 미래 직업세계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는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진로신념의 하위요인을 구체적으로 점검하고, 전문대학생의 진로에 장애가 되는 요소들을 극복할 수 있는 적극적인 진로상담 개입 방안과 맞춤식 진로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belief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for two-year college students. For thi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a total of 478 students (260males and 218 females) who were enrolled in a two- or three-year system junior college in Gyeonggi do.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belief.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belief perceived by junior colleg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career belief (control, clarity, and flex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adaptation of the junior college students to their future career world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belief, and career adaptability on the subjects of junior college students who have two psychological burdens such as graduation and employment.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 detail sub -factors of career beliefs, to have active career counseling interventions to overcome obstacles to their careers and to develop tailored career programs in order for junior college students to make a reasonable career decision in their career exploration process.

      • KCI등재

        어린이집 보조교사 제도에 대한 여러 시각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김미정(Mijung Kim),김승희(Seunghe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 담임교사, 보조교사의 시각에서 보조교사 업무를 살펴봄으로써 보조교사 제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원장이나 담임교사와 보조교사 사이의 시각차를 줄이는 데 초점을 두는 만큼 원장, 담임교사, 보조교사 각각이 바라보는 보조교사 업무를 살펴보았다. 방법 경기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원장 5명, 담임교사 5명, 보조교사 5명 등 총 1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는 2020년 10월부터 12월까지 총 3개월 동안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원장은 보조교사 제도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담임교사는 긍정과 부정이 반반으로, 보조교사는 다소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각차를 극복하고 보조교사 제도가 활성화하려면 우선 교사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특히 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구체적인 교사교육이 필요한데, 왜냐하면 기관마다 유형이나 규모, 지역, 교육프로그램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처럼 어린이집이 다양하게 운영되는 만큼 보조교사 역시 기관이 자율적으로 근무시간과 인원 등을 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결론 보조교사 제도 활성화를 위해 각 기관이 자신의 특성에 맞게 자율적으로 보조교사의 수와 근무시간, 교육내용 등을 정하도록 보조교사 제도가 바뀌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activation plan for the assistant teacher system of daycare center by examining assistant teacher’s work from the viewpoints of director, class teacher, and assistant teacher.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viewpoints of director, class teacher, and assistant teacher about assistant teacher’s work, because this study focused on decreasing the difference in viewpoints among director, class teacher, and assistant teacher. Methods Participants were 5 directors, 5 class teachers, and 5 assistant teachers of day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 during three months from October to December in 2020, and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directors considered an assistant teacher system as a very positive one, class teachers as a positive or a negative one, and assistant teachers as a little negative one. In order to activate the assistant teacher system by overcoming the difference in viewpoints, teacher training should be strengthened first. In particular, teacher training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stitution should be operated, because each institution was very different in terms of type, size, area, education program, and so on. As daycare centers were operating differently, it required that each institution would decide autonomically the number, duty hours, and educational contents of assistant teachers. Conclusions This study demanded that the assistant teacher system should be changed in order for each daycare center to decide autonomically the number, duty hours, and educational contents of assistant teachers.

      • SCOPUSKCI등재
      • 페이스북(Facebook)상에서의 대인관계 친밀도 시각화 : 페이스북(Facebook)상에서의 대인관계의 가치 상관 관계에 따른 친밀도 분석 및 시각화

        김미정(Mijung Kim),김지영(Jeeyoung Kim),박자람(Jaram Park),임호경(Hokyung Im),정은정(Eunjeong Jeong),한상기(Sangki Han) 한국HCI학회 201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

        페이스북(Facebook)의 사용 대표적인 목적 중 하나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을 유지하고 기존의 관계를 지속시키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들은 자신의 프로필을 그들의 오프라인의 관계를 대상으로 업로드 한다. 이전의 연구에 따르면, 관계의 친밀도에 미치는 가치로 정서적 지원, 인터랙션의 빈도, 동종 친화성 등이 밝혀진 바 있다. 이에 연구는 이러한 가치들을 데이터화 하여 분석하고, 페이스북(Facebook) 오픈 API 를 활용함으로써 사용자들의 관계의 형태와 그 변화를 시각화한다. 이를 통해 향후 관계의 친밀도에 대한 가치들에 따른 개인의 네트워크 구조 변화 형태를 분석하고, 잠재적으로 가상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사용자들의 관계 사이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향상을 기대한다. One of the main purposes of Facebook usage has been proven to maintain the social capital and existing relationship from the past. Moreover, users primarily upload profiles on Facebook considering their offline connection. Studies have examined strong ties in relationships generates a high level of intimacy all over the values such as emotional supports, frequent interaction, activity exchanges, and homophiles. Accordingly, the study mainly analyzes the data of each value within the relationship and suggests the visualization of those relationships by using open API on the Facebook. Hence, the study looks forward to examining individual's network structure to evolve within time depending on different values on the close relationship. After all, such structural relationship visualization is potentially anticipated to enhance users to efficiently maintain their network cutting across the virtual and offline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