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sessment of antero-posterior skeletal relationships in adult Korean patients in the natural head position and centric relation

        Jang-Hoon Ahn(안장훈),Kwang-Hak Bae(배광학),Young-Ju Park(박영주),Ryoon-Ki Hong(홍윤기),Joeng-Hun Nam(남정훈),Mi-Ja Kim(김미자) 대한치과교정학회 201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0 No.6

        SN 기준선과 FH 기준선이 안모의 심미에 종종 맞지 않아서 모든 치열 교정 및 악교정 수술 증례를 이 기준선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정확히 진단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안정위에서 자연 두부 위치의 개인내 재현성을 확인하고 진성 수평선에 대해 SN 기준선과 FH 기준선의 개인간 다양성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두 연구를 바탕으로 Na 기준 진수선에서 A점 및 B점까지의 거리가 SNA 및 SNB 각도와 상관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부정교합 및 악골의 부조화를 치료받기 위해 강남성심병원과 한강성심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116명의 환자(남자 23명, 여자 93명)를 조사하였다. 중심위 왁스 바이트는 모든 대상들로부터 채득하였고 1주일 간격으로 자연 두부 위치와 중심위 상태에서 모든 대상자들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2번 촬영하였다. 3개의 변수에서 위치 선정의 방법 오류는 다른 연구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였다. 그리고 6개의 변수에서 군내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자연두부 위치의 개인간 재현성을 증명하였다 (p < 0.001). 각 환자에서 진성 수평선에 대한 FH 기준선간의 각도는 통계적으로 기준치 0도와 다르지 않았다 (p > 0.05). 하지만 임상적으로 다양한 수치를 보였다 (SD: 3.89˚). 반면 각 환자에서 진성 수평선에 대한 SN 기준선간의 각도는 기준치 7도와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p < 0.05). Na 기준 진수선에서 A점 및 B점까지의 거리와 SNA 및 SNB 각도와의 피어슨 상관 계수에서 유의하지만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다 (p < 0.01). 이에 자연 두부 위치는 치열 교정 환자 및 악교정 수술 환자의 진단을 위해 재현적이고 믿을 만한 위치이며 자연두부 위치 및 중심위 상태에서 Na 기준 진수선은 SN과 FH 기준선을 대신하여 한국인 성인 환자에서 상악골과 하악골의 전후 관계를 결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기준선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intra-individual reproducibility of the natural head position (NHP) in adult Korean patients in the centric relation (CR) position and to prove the inter-individual variability of the Frankfurt horizontal (FH) plane and sella-nasion (SN) line compared to the true horizontal line (THL). In addition,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linear measurements from A-point and B-point to the nasion true vertical line (NTVL) and angular measurements from A-point and B-point to the SN line. Methods: Two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of 116 subjects (23 males, 93 females) with CR wax bites in a NHP at a one-week interval. Results: Method errors of three variables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ix parameters proved the intra-individual reproducibility of NHP (p < 0.001). The angle of the FH to the TH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0˚ (p > 0.05), but it was clinically variable (SD 3.89o) on the inter-individual level. Conversely, the angle of the SN line to the TH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7˚ (p < 0.05). Very low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inear measurements and angular measurements of A-point and B-point (p < 0.01). Conclusions: The NTVL could be a useful reference line for assessing the antero-posterior position of the maxilla and mandibleof Korean adult patients in NHP and CR. (Korean J Orthod 2010;40(6):421-431)

      • KCI등재

        천연 항산화제로의 활용을 위한 사과, 포도, 및 고구마 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김미자(Kim, Mi-Ja),김영기(Kim, Young-Ki),김현순(Kim, Hyun-Soon),정철(Cheong, Chul),장기효(Jang, Ki-Hyo),강순아(Kang, Soon Ah)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6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산화제로써의 활용을 위해 부산물인 사과 껍질, 포도 껍질과 고구마 껍질의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FRAP 환원능과 ORAC 지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적으로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사과 껍질 1g에 각각 7.76 μM quercetin 당량과 1.03 μM quercetin 당량으로 존재하여 포도 껍질과 고구마 껍질 보다 유의적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사과껍질 1 g이 각각 포도 껍질보다는 3.2배, 고구마 껍질보다는 4.6배로 나타났고, ABTS 양이온 소거능 또한 사과껍질 1 g이 각각 포도 껍질보다는 2.8배, 고구마 껍질보다는 5.4배로 강력하게 소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FRAP 환원능 과 ORAC 지수 또한 사과 껍질이 포도 껍질이나 고구마 껍질보다 유의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사과 껍질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nt capacities of apple peel, grape peel, and sweet potato peel.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using total phenolic contents, total flavonoids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FRAP reducing power, and ORAC assay. The total phenolic (7.76 μM quercetin equivalent/g peel) and total flavonoids (1.03 μM quercetin equivalent/g peel) contents in apple pee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grape peel and sweet potato peel (P<0.05). The scavenging activities of DPPH and ABTS radicals of a 70% ethanol extract of apple peel was 3.2-4.6 and 2.8-5.4 times high than those of grape and sweet potato peel,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RAP reducing power and ORAC assay of 70% ethanol extraction from apple pee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samples. Therefore, apple peel can be used efficiently as a natural antioxidant.

      • KCI등재

        안와골절 재건후 발생한 반흔성 하안검 외반증에 대한 증례보고

        장계표(Gye Pyo Jang),박영주(Young Ju Park),조영승(Young Seung Cho),김미자(Mi Ja Km),김정래(Jung Rae Kim),박준우(Jun Woo Park),안병근(Byung Keun Ahn)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98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4 No.2

        Ectropion is a drooping or eversion of the lower eyelid as a result of lower lid laxity, canthal tendon laxity, or cicatrix formation from scarring. Ectropion can also be congenital or develop with aging. This complication can arise from primary trauma to the lower lid apparatus or as a result of unfavorable healing and scar contracture. To prevent development of ectropion, a careful attention in case of operation for orbital frature repair or blepharoplasty is necessary. Especially, excessive dissection or retraction of skin and orbicularis muscle should be avoided, and formation of edema and hematoma should be prevented by complete hemostasis. It might be helpful to massage on the eyelid frequently. In spite of endeavors mentioned above, lareral canthoplasty or skin graft must be performed when postoperative ectropion is occurred. With literature review the authors present a case report that good clinical result is achieved by lateral tarsal strip procedure on cicatricial ectropion caused by a complication of reconstruction of blow-out fracture.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청국장 점질물의 3T3-L1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장기효(Ki-Hyo Jang),김민아(Min-Ah Kim),나하균(Ha Gyoon Na),유상권(SangGuan You),김지은(Ji-Eun Kim),김미자(Mi-Ja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1 No.11

        청국장의 점질물은 일반적으로 레반과 γ-PGA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청국장으로부터 분리된 레반과 γ-PGA가 3T3-L1 전지방 세포주의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청국장 점질물 유래 γ-PGA와 레반을 점질물 구성 비율인 6:4로 혼합한 점질물(PL64)을 200 μg/mL 농도로 처리할 경우 대조군에 비해 23.7% 유의적으로 지방축적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PL64의 처리는 pparγ, c/ebpα, srebp-1c, ap2, fas, acc1, cd36를 포함한 지방축적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PPARγ, C/EBPα, SREBP-1C, AP2, FAS, SCD1의 지방축적 관련 단백질 발현이 감소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청국장 점질물인 PL64는 3T3-L1 전지방 세포주의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유전자와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청국장 점질물은 지방축적 관련 유전자와 단백질을 하향 조절함으로써 항비만 기능성 물질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eonggukjang mucoid is typically composed of levan and polygamma glutamate (γ-PG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evan and γ-PGA isolated from Cheonggukjang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At 200 μg/mL PL 64 [γ-PGA : levan (6:4)] significantly inhibited triglyceride accumulation in adipocytes by 23.7% compared to untreated adipocytes (P<0.05). PL64 treatment reduced the expressions of fat accumulation-related genes, includ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c/ebpα),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adipocyte protein 2 (ap2), fatty acid synthase (fas), acetyl-CoA carboxylase 1, and cluster of differentiation 36. In addition, PL64 reduced the protein levels of PPARγ, C/EBPα, SREBP-1C, AP2, FAS, and SCD1. These results show PL64 suppresses fat accumulation in vitro by down-regulating the expressions of adipogenesis-related genes and proteins. Consequently, this study shows that Cheonggukjang mucoid could be used as a potent anti-obesity functional substance that down-regulates fat accumulation-related genes and proteins.

      • KCI등재

        반코마이신을 함유한 Polymethylmetacrylate 비드를 이용한 만성 골수염의 치험례

        이형석(Hyung Seok Lee),박영주(Young Ju Park),최동주(Dong Ju Choi),김미자(Mi Ja Kim),장계표(Gae Pyo Jang),김정래(Jung Rae Kim),김선엽(Sun Youp Kim),안병근(Byung Keun Ahn)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0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6 No.6

        One of the current treatment methods for chronic osteomyelitis is removal of the infected and necrotic tissue to reduce the bacterial concentration as much as possible. This is performed concomitantly with antibiotic therapy. Chronic osteomyelitis(C.O.) implies chronic ischemia of the diseased bone. Thus, the treatment for C.O. requires high systemic level of antibiotics. In some cases, however, inherent undesirable adverse effects(for example, nephrotoxicity, ototoxicity, and others) may render this course of treatment difficult. Knowing that residual monomers are released from hardened bone cement, installation of antibiotic-impregnated PMMA(polymethylmethacrylate) beads in situ have been one of treatment methods of C.O. When introduced into the wound, they established an exceedingly high level of local antibiotics for prolonged period without high systemic level of antibiotics. We experienced favorable results with vancomycin-impregnated PMMA beads for the treatment of C.O. of the mandible. So, we report it with literature reviews.

      • KCI등재
      • KCI등재

        Poloxamer-407로 유도한 이상지질혈증 생쥐에서 홍삼의 예방 효과

        홍성실(Sung-Sil Hong),이진우(Jin-Woo Lee),박윤아(Yun-A Park),김성혁(Sung-Hyeok Kim),장소희(So-Hee Jang),하창우(Chang-Woo Ha),김미자(Mi-Ja Kim),남궁승(Seung Namkoong),구현정(Hyun-Jung Koo),손은화(Eun-Hwa Soh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0

        본 연구에서는 홍삼의 이상지질혈증 개선 효능과 안전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Poloxamer-407(P407)에 의한 이상지질혈증을 유발한 동물모델에 홍삼추출물과 지질강하제 simvastatin을 2주간 복강 투여한 후 지질프로파일과 간독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동물은 8주령 수컷 ICR 마우스(n = 30)를 6개 그룹(무처치군, P407 유도군과 홍삼추출물 10, 50, 100 mg/kg 투여군 및 simvastatin 투여군)으로 나누어 각 그룹 당 5마리씩 무작위로 배치하였다. 실험종료 후 각 그룹의 마우스에서 간, 부고환 지방, 흉선 및 비장을 적출 하여 중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혈액에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질, 고밀도지단백질을 포함한 지질프로파일의 변화와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GOT) 및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GPT)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홍삼추출물 10 mg/kg 투여군에서 P407로 증가된 혈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질을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p <0.05), 그 효과는 simvastatin 10 mg/kg 투여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홍삼추출물은 혈중 GPT와 GOT 수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주요면역기관인 흉선의 무게를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홍삼이 이상지질혈증에 예방 효과가 있고 지질관련질환에 대한 statin계열 약물의 보조물질로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icacy and safety of red ginseng (RG) for improving dyslipidemia. After 2 weeks of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RG and simvastatin (lipid-lowering medication) to an animal model with dyslipidemia induced by poloxamer-407 (P407), the regulatory effects on the lipid profile and hepatotoxicity were confirmed. 8-week-old male ICR mice (n = 30) were divided into 6 groups (control, P407-induced dyslipidemia group, RG 10, 50, 100 mg/kg group, simvastatin group). 5 mice were randomly placed in each group.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weight of the liver, epididymal fat, thymus, and spleen was measured in each group. We also identified changes in the lipid profile, including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s (TG), low-density lipoproteins (LDL), high-density lipoproteins (HDL), and determined the levels of the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and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in the blood. The results show that 10 mg/kg RG significantly reduced the increase of P407-induced levels of TC, TG, and LDL (p <0.05), similar to the simvastatin group. Moreover, RG did not affect the levels of GPT and GOT, and increased the weight of the thymus, a major immune orga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G may be able to prevent dyslipidemia and has therapeutic potential as an adjuvant to statins for the management of lipid disorders.

      • KCI등재

        하악골 골절후 발생한 외상성 경동맥-해면 정맥동루

        박희건(Hee Geon Park),박영주(Young Ju Park),국승걸(Seung Geol Kook),조영승(Young Seung Cho),김미자(Mi Ja Kim),장계표(Gye Pyo Jang),안병근(Byung Geun Ahn)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98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4 No.1

        경동맥-해면 정맥동루는 두 개 안면 손상후 발생하는 합병증 중에서 발생하는 비율이 드물지만 뇌신경 손상, 시력 상실, 심지어 두개강내 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경동맥-해면정맥동루의 치료는 구강악안면 외과의 영역을 넘어서는 것이지만, 경동맥-해면 정맥동루가 발생한 경우 즉각적인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강악안면외과의는 악안면 손상 환자에 있어서 손상의 경중과 관계없이 이러한 합병증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Traumatic catotid-cavernous fistula(CCF) is an uncommon situation resulting from trauma. The blood shunted from the internal carotid artery to the cavernous sinus results in pulsation exophthalmos, orbital headache, bruit, loss of visual acuity, diplopia, ophthalmoplegia. We were recently faced with such a case. The patient sustained fracture of the mandible during sports activity. Five months later, all the classic signs and symptoms of CCF had appeared. A carotid angiography confirmed the presence of a CCF. The management was achieved intravascularly by platinum electothrombosis embolization. The main signs and symptoms of the CCF had resolved, but the patient remained in a visual loss of affected ey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