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석교사의 수업관찰전문성 제고를 위한 수업관찰 훈련 탐색

        김득준,정일화,김지은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2

        Instructional supervision should be based on accurate class observation. For class observation and analysis, observation training is essential to properly use class observation tools verified by research. Class observation training in the MET study in U.S. is conducted systematically for an average of 17 to 25 hours, focusing on the accurate use of class observation tools. Class observation programs in Korea's head teacher qualification training course consist of about 10 percent(10 hrs) of the total(102 hrs), and in-service job training programs after appointment as head teacher consist of about 6%(5 hrs.) of the total(79 hrs). Compared to the MET, Korea has a relatively low ratio in reference to class observation. Comparing the respective consistency of the first and second class observation practices in the class observation training using ICALT, a quantitative observation tool, in Korea, the consistency of the second class observation increased by 14.9% compared to that of the first class observation. As class observation and analysis training were repeated, class observation expertise was improved. To cultivate professional class observers, there is a need to train a class observation specialist focused on systematic observation on teaching and coaching using scientific tools to ensure the continued reliability of the results of class observation, and follow-up studies are needed on how to produce master class videos and coach classes using ICALT tools to help understand the tools. 수업관찰과 분석을 위해서는 연구로 검증된 수업관찰도구를 제대로 사용할 수 있는 관찰 훈련이 필수적이다. 미국 MET 연구의 수업관찰 훈련은 관찰도구 사용에 집중해서 평균 17∼25시간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 국내 수석교사 자격연수에서 수업관찰과 직접적 관련 프로그램은 전체 102시간의 약 10%인 10시간, 임용 후 직무연수는 총 79시간 가운데 약 6%인 5시간으로 구성되어, 해외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수업관찰의 비율이 낮은 편이다. 한국수업전문성연구센터가 2018년 11월에 수석교사를 대상으로 개최한 ICALT 수업관찰도구의 사용법에 집중한 수업관찰 훈련에서 1차와 2차 실습의 일치도를 비교한 결과, 1차(72.5%)는 통과 기준(70.0%)을 약간 상회했으나 2차(87.4%)의 일치도는 14.9% 상승하여 관찰도구를 익히는 연습이 반복됨에 따라 도구의 준거에 따른 수업관찰 역량이 향상되었다. 수업장학의 핵심인 정확한 수업관찰을 위해서는 좋은 수업의 기준이 되는 과학적으로 검증된 수업관찰도구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체계적 훈련을 통해 수업관찰전문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도구의 이해를 돕는 마스터 수업동영상 제작 및 ICALT 도구를 활용한 수업 코칭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청소년의 매체이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득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3 복지상담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매체이용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 구를 위해 매체는 컴퓨터와 휴대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교생활적응 변인은 청소년의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 · 청소년 패널조사 2010~2011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매체의 이용변화가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있어서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학 교생활적응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이 더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규칙과 교우관계에서는 조사차년도와 성별의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하 였으며 학교규칙에서는 여학생이, 교우관계에서는 남학생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 체이용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교우관계에서 컴퓨터의 이용 변화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조사차년도와 컴퓨터 이용 변화의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의 이용 변화에 따라 청소년의 학교규칙과 교우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사관계에서 조사 차년도와 휴대폰 이용 변화의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is the impacts of media usage on adolescent's school life adaptation. For this study, A computer and a mobile phone were examined as medium, and adolescent's school life adaptation was measured by through learning activity,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relationship with friend, relationship with teacher. To accomplish this goal, there was analysed a data of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at was surveyed adolescent at the level of national in Korea at from 2010 to 2011. As a result, Change in media usage is to influence the learning activities,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relationship with friend. There was an significant difference in adolescents school life adaptation at the gender, and the school life adaptation of girl is higher. Also, There was an year and gender’s interactivity effect in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and relationship with friend, girls in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and boys in relationship with friend are positively change. Aspect of change in media usage, there was an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ship with friend according to change in computer usage, there was an interactivity effect of year and change of computer usage. There was an significant difference in adolescent’s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and relationship with friend according to the change in mobile phone usage. Also there was an interactivity effect of the year and the change in mobile phone usage in relationship with teacher.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의 휴대폰 사용변화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득준 ( Kim Deuk Joo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6 초등교육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휴대폰 사용변화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1·2차 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학교생활적응은 초등학생의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 변인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2차 년도의 조사기간에 초등학생의 전반적인 학교생활적응에는 부적인 변화가 있었으며, 학습활동과 학교규칙의 변화양상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학교생활적응 변화가 휴대폰사용 변화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과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가운데 학습활동적응과 교사관계적응 변화양상은 초등학생의 휴대폰사용 변화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학년이 변화하는 시점에는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학습활동적응과 학교규칙적응 교육이 필요하며, 휴대폰사용 여부에 변화가 발생 된 경우에는 학습활동적응과 교사관계적응을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is The impact of an mobile phone usage change of elementary student on school life adaptation. For this study, there was analysed a data of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that was surveyed adolescent at the level of national in Korea at from 2010 to 2011, and elementary student`s school life adaptation was measured by through learning activity,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relationship with friend, relationship with teacher. As a result, In the Study period, the overall school life adapt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had a negative change, changes of learning activity and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gender. In addition, change in school life adapt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mobile phone usage change were different, and change of school life adaptation and learning activity, relationship with teacher among sub-domain in school life adaptation were analyzed tha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elementary student mobile phone usage change. Thus, differentiated adaptation teaching for learning activity and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is required, at the time of changing the grade of elementary school, if occurred at change of whether mobile phone use, adaptation teaching for learning activity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is needed.

      • 웹기반 협력학습 모형과 지원도구 분석

        김득준(Kim Deuk Joo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7 韓國敎育論壇 Vol.6 No.1

        이 연구는 웹기반 협력학습을 위한 효과적인 모형을 도출하고, 이러한 웹기반 협력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적 도구유형과 기능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웹기반 협력학습을 위한 모형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자는 전통적인 교실기반 면 대 면 협력학습 모형과 절차 및 단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실기반 면대면 협력학습 모형들은 공통적으로 준비, 도입, 전개, 정리 4가지 절차를 가지고 있으며, 각 절차는 공통적인 학습단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웹 기반 협력학습 활동은 학습자가 동료와 공유된 학습공간에 함께 있다고 느끼는 공존과정과, 동료들과 공동으로 학습활동을 할 수 있음을 인지하는 등의 인식과정, 그리고 의사소통 등의 상호작용 활동을 통해 특정과제를 협력하여 공동 목적을 달성하는 협력과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웹기반 환경에서의 협력학습 지원도구는 협력의 과정과 목적에 따라 지식 개발 및 공유, 협력 및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촉진, 커뮤니티 관리용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효과적인 웹기반 협력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협력학습 과정과 절차에 부합하는 지원도구의 사용을 통해 정보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effective model for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types and functions of technical tools to support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To derive a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models, processes, and steps of the traditional classroom-based face-to-face collaborative learning. This analysis revealed that the classroom-based face-to-face models commonly had the four processes: preparation,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summary, and that each process had common learning steps. Furthermore,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consist of a coexistence process where the learners feel that they are in a learning space that they share with colleagues, a recognition process where they recognize that they can carry out learning activities jointly with colleagues, and a collaboration process where they collaborate on a specific task and achieve a common goal through interactive activities such as communication. The supporting tools for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web-based environmen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ocess and purpose of collaboration into knowledge development and sharing, collaboration and promotion of interactions among learners, and community management. It is expected that based on this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ctivity processes, and the types and functions of technical tools derived from this study, we could design an effective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and minimize information interference through the use of supporting tools in tune with th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and procedure. In the future,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to subdivide interactions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improv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which are important in collaborative learning.

      • KCI등재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과 질문과정의 관계

        김득준 ( Kim Deuk-joon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을 Schommer(1990)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식관과 학습관의 두 요인으로 재 구인하고, 이러한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과 질문과정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의 학습관이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질문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학습자의 학습관이 질문과정에 있어서 질문생성의 원인이 되는 학습자의 인지적 혼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이는 학습자가 인지적 불평형화를 경험한다고 반드시 인지적 혼란이 생성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인지적 불평형화가 질문생성의 전 단계인 인지적 혼란을 생성하고 교육적 대화로서의 질문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학습에 대한 신념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지적 혼란이 생성된다고 해서 이것이 바로 질문생성의 단계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그 과정에 학습자의 학습관이 매개하고 있다는 결론 또한 제시하였다. 결국,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불평형화를 끌어내는 교수자의 질문 또는 수업이 학습자의 인지적 혼란을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인지적 혼란이 질문생성의 단계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관에 대한 의미 있는 변화가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heir questioning process. or this purpose, undergraduates and graduate students, studying at universities located in Daejeon and Chungchongbuk-do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ith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scale suggested by Kim(2014) was used to measure student questioning behavior process and the scale proposed by Song(2009) was used to measure learners` epistemological beliefs.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se scales, the effect of double mediation was measured with SPSS MACRO by Hayes, Preacher and Myers (2011)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se issues including the two parameter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perspective of learning among the epistemological beliefs of learners had an influence on the actual questions mediated by cognitive confusion and the generation of questions. After all, it suggests that a meaningful change in the beliefs about the perspective of learning of learners must precede the development of questions generating level from the cognitive confusion level by questions and classes of teachers who lead un-equilibrium of learners` cognitive confusion in classes. Accordingly, there should be a deeper understanding on `how learners control their learning`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accurate measurements of beliefs about the nature of learning among the epistemological beliefs of learners in order to create questions in university classes as educational conversations. Also, educational program targeting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in higher education such as critical thinking training program to change epistemological beliefs of learners should be implem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