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골어류 잉어과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의 난자형성과정

        김동희,김완종,등영건,김석,이규재,Kim, Dong-Heui,Kim, Wan-Jong,Teng, Yung-Chien,Kim, Seok,Lee, Kyu-Jae 한국현미경학회 2010 Applied microscopy Vol.40 No.1

        경골어류, 잉어과, 모래무지아과에 속하는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의 난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쉬리의 난소는 한 쌍으로 부레와 창자사이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회색을 띠었다. 난소의 형태는 장타원형(장축 20 mm, 단축 5 mm)이었다. 난원세포는 다각형으로 세포질은 호염기성이었고 핵 안에 여러 개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초기시기의 제1난모세포(primary oocyte)는 난원세포에 비하여 크기가 커졌으며 난황포(yolk vesicle)들은 핵 주변부에는 관찰되지 않았고 세포질의 가장자리에만 국한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1난모세포가 발달함에 따라서 난황포는 바깥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증식되어 핵 쪽으로 이동되었으며 난막 바깥쪽은 짙은 푸른색의 여포상피(follicular epithelium)로 싸여 있었다. 그러나 핵의 주변부는 아직 푸른색을 띠고 있었다. 제2난모세포는 세포질이 전체적으로 호산성이었으며 난황포가 세포질 전체에 분포하였다. 성숙한 난자는 난자의 크기가 상당히 커졌으며 난막이 두꺼워졌다. 또한 난황포는 난황괴(yolk mass)로 전환되었다. 이상과 같이 쉬리의 난자형성과정은 난세포의 크기 증가, 난황낭의 축적, 세포질 내 염기성 물질이 산성으로 전환 및 난막의 발달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다른 과의 담수경골어류와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어종의 종특이성을 찾기 위해서 난막의 미세구조적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oreoleuciscus splendidus is a teleost belonging to Gobioninae, Cyprinidae. The oogenesis was investigated by light microscope. The ovary was located between intestine and air bladder, a grayish and ellipsoidal shape with the major axis 20 mm and the minor axis 5 mm. Cytoplasm of oogonia was basophilic and many nucleoli were located at inside of nuclear membrane. In primary oocytes, yolk vesicles were distributed only in the marginal area and egg envelope was not formed on the outside of an egg. In secondary oocytes, the egg envelope was formed and yolk vesicles in the cytoplasm were increased than the earlier stage. The basophilic substance of cytoplasm was changed to acidic. In case of matured egg, thickness of egg envelope and size of egg were increased. The yolk vesicles were changed to yolk mass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oogenesis of C. splendidus was characterized by the increase in cell size, the formation and accumulation of yolk, and the decrease of basophilic substance in the cytoplasm. The oogenesis of C. splendidus is similar with other Cyprinidae fishes. But further study on ultrastructural study of fertilized egg envelope will be necessary to get the species specificity.

      • KCI등재

        정지용의 일본어 시 개작과 『聲』에 실린 종교시

        김동희(Kim, Dong-hee) 한국근대문학회 2016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7 No.1

        이 논문은 정지용이 일본 유학 중 창작한 일본어 시의 의미를 되짚어 보고 새로 발굴된 자료인 일본 종교잡지 『聲』에 실린 지용의 일본어 작품을 검토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재 확인되는 지용의 일본어 작품은 총 65편, 중복되는 작품을 제외하면 47편, 이 중 국문 시와 관련 있는 작품은 20편이다. 본문에서는 국문시와 관련성이 있는 20편의 일본어 작품들을 발표년도에 따라 정리해보고 지용의 일본어 시에 대해 검토해보았으며 『聲』에 실린 지용의 종교시편을 살펴보았다. 지용은 초기 동요와 민요풍의 시를 창작하다가 근대시로 작품 변환을 시도하였다. 지용에게 일본 유학은 근대시를 쓰는 과정에서 중요한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지용은 일본어를 빌려 창작활동을 하였는데 그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 한 바는 조선어로 근대시를 창작하는 것이었다. 지용이 다수의 작품을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목과 내용으로 국문과 일본어로 발표한 것은 조선어로 근대시를 창작하기 위한 과도기적 과정이었다고 추측된다. 지용은 국문으로 창작한 시를 일본어로, 일본어로 창작한 시를 국문으로 바꾸는 과정을 통해 조선어로 근대시를 구현해 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나간 것이다. 지용은 일본 유학을 마친 이후로는 일본어로 시를 발표한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최근 일본의 종교잡지 『聲』(1942.9)에 지용의 일본어 시 「勝利者金アンドレア」(勝利者金안드레아), 「不死鳥」, 「臨終」 3편이 게재된 것을 확인하였다. 『聲』에 실린 종교시 3편은 지용의 개작작품이라는 큰 범주에는 포섭되나, 일본 유학시기 발표한 다른 일본어 작품들과는 구별해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일본 유학시기 발표한 일본어 시들은 지용의 자발적인 내적 욕구에 의해 탄생한 것이라면, 『聲』에 실린 일본어 시는 종교적 특수성 때문에 외부로부터 호출되어 활용된 것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newly found Japanese works of Jeong Ji-yong, published in the Japanese religious magazine 『Voice』(『聲』, 1942.9). These works ruminate on the significance of Japanese poetry during Jeong Ji-yong’s staying in Japan as a student. There are currently 65 works attributed to Jeong Ji-yong; after removing duplicates, 47 works remain with 20 being closely related to his Korean work and including similar titles and content. This study organizes these 20 works chronologically to review the significance of Jeong Ji-yong’s Japanese poetry and examine his religious poetry published in 『Voice』. In his early years, Jeong Ji-yong created poems similar to children’s songs and folk songs. He gradually attempted to transition to modern style poetry, and his studying in Japan w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his style. Jeong Ji-yong deliberately used Japanese when creating his modern Korean poems. It is speculated that publishing similar works both in Korean and Japanese was his transitional attempt to create Korean modern poetry. He tried to realize a complete form for Korean modern poetry using an iterative process of transforming Japanese works into Korean and vice versa. Jeong Ji-yong stopped publishing any Japanese poems after returning from Japan. However, it has recently been identified that three of his works 「Winner Andrew Kim」 (「勝利者金アンドレア」), 「Phoenix」 (「不死鳥」), and 「Death」 (「臨終」), which were written in Japanese, were published in the Japanese magazine 『Voice』. Even though these three works are included in the 20 works published in both Japanese and Korean, they must be studied separately from the rest of his Japanese poems, which were published during his stay in Japan and based on his own desires. In contrast, the three works in 『Voice』 were based on external requests and used for religious purposes.

      • KCI등재

        경골어류 황어아과 버들치의 정자형성과정

        김동희,장병수,김완종,이명선,등영건,김석,이규재,Kim, Dong-Heui,Chang, Byung-Soo,Kim, Wan-Jong,Lee, Myeong-Seon,Teng, Yung-Chien,Kim, Seok,Lee, Kyu-Jae 한국현미경학회 2010 Applied microscopy Vol.40 No.1

        경골어류 잉어과(Cyprinidae), 황어아과(Leuciscinae)에 속하는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의 정자형성과정과 정자의 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버들치의 정소는 부레와 창자사이에 위치하고 있었고 장축 약 2.3 cm, 단축 약 6 mm 정도로 팽창된 긴방추형이었고 흰색을 띠고 있었다. 정자형성과정은 정소낭(testicular cyst)에서 이루어졌으며, 각 정소낭 내에서 다양한 분화시기의 생식세포가 분포하고 있었다. 정원세포는 전자밀도가 매우 낮고 미토콘드리아의 발달이 현저하였다. 제1정모세포는 원형으로 정원세포보다 크기가 작았고 제2정모세포는 제1정모세포보다 더 작아졌고 핵의 전자 밀도는 더 높았다. 정세포의 초기발달시기에는 세포의 크기가 정모세포보다 작아졌고 두부의 전자밀도가 높아졌으며 편모가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미토콘드리아는 핵 주변에 분포하였다. 정자 완성과정 말기에는 핵의 염색질 응축이 뚜렷하였으며 핵은 세포질 한쪽에 치우쳐 있었고, 미토콘드리아는 편모 주변에 집중되었다. 완전히 성숙한 정자의 경우 두부형태는 구형이었고 두부에서 첨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편모의 미세소관 배열은 9+2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편모 양쪽으로 lateral fin은 관찰되지 않았다. The ultrastructure of spermatogenesis and sperm in Chinese minnow, Rhynchocypris oxycephalus belonging to Leuciscinae was investigat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whitish testis was located between intestine and air bladder. The size of testis was major axis 2.3 cm, minor axis 6 mm. The testis contained numerous testicular cysts, and spermatogenesis was non-synchronized in these testicular cysts. In the case of spermatogonium, the nucleus was comparatively large ellipsoidal, and mitochondria showed a marked development. The size of primary spermatocyte was smaller than that of spermatogonia, and secondary spermatocyte was smaller than primary spermatocyte. The chromatin of spermatocyte was highly condensed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 The nucleus with electron-dense was round shape. In spermiogenesis, flagella started to be formed and chromatin was more condensed. The mitochondria were rearranged in a middle piece. The sperm was formed by loss of cytoplasm. The head of mature sperm was a spherical shape and have not acrosome. The microtubules of flagella were arranged 9+2 structure. Also, the tail of sperm have not lateral fins.

      • KCI등재

        C57BL/6 마우스에서 나노밀 가공된 초미세분말(상황버섯)의 식이 안전성 연구

        김동희,등영건,윤양숙,최주봉,정현석,주경복,이규재,Kim, Dong-Heui,Teng, Yung-Chien,Yoon, Yang-Sook,Qi, Xu-Feng,Jeong, Hyun-Seok,Joo, Kyung-Bok,Lee, Kyu-Jae 한국현미경학회 2009 Applied microscopy Vol.39 No.2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건강 증진 및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약용버섯으로서 항산화효과와 항암효과를 비롯한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다. 상황버섯은 주로 추출물이나 분말의 형태로 복용되고 있으며, 최근 분쇄기법의 발달로 초미세분말 형태의 제품이 상용화되면서 식이 안전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상황버섯 초미세분말과 일반 미세분말을 동물에게 먹인 후 입자의 크기에 따른 식이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부피평균에 의한 입도분석 결과, 상황버섯 초미세분말(SPL)과 미세분말(FPL) 입자의 평균지름은 각각 11.8 ${\mu}m$와 216.1 ${\mu}m$였고, d (0.5)는 각각 5.5 ${\mu}m$와 147.9 ${\mu}m$였다. 동물의 체중, 사료 섭취량 및 각 기관의 무게를 관찰한 결과 SPL군은 정상군(N)이나 FPL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액학 및 생화학적 검사에서는 ALT(N vs. FPL, P<0.001)와 BUN(N vs. FPL, P<0.01; N vs. SPL, P<0.01)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였으나 FPL군과 SPL군 사이의 유의성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그 밖의 다른 검사항목들은 모두 정상범위 내에 포함되었다. 또한 조직학적 검사 결과에서도 비정상적인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는 초미세 가공된 상황버섯을 경구투여할 경우 혈액학, 생화학, 조직학적인 측면에서 동물에게 유해하지 않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나 다량의 초미세입자가 소화기와 장기간 접촉할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조직학적 유해성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는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 officinal mushroom, Phellinus linteus (PL) has been known to exhibit potent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effect. PL is consumed as a type of powder or extract for the purpose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treatment. Recently superfine PL products was commercializ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pulverizing technology such as nanomill, so the evaluation of food safety is sugges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od safety of superfine PL (SPL) through hematological,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in mice as compared with fine PL (FPL). 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volume after nanomill processing, the mean diameter of SPL and FPL particles was 11.78 ${\mu}m$ and 216.1 ${\mu}m$, and d (0.5), the particle diameter measured at 50% of distribution was 5.5 ${\mu}m$ and 147.9 ${\mu}m$, respectively. As the result of body weight, food intake and the weight of organs, SPL group didn't show any statistical difference compared with FPL group and normal group (N).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were also involved in the normal range, although ALT (N vs. FPL, P<0.001) and BUN (N vs. FPL, P<0.01; N vs. SPL, P<0.01) showed significance compared with N group but there are no significance between FPL and SPL group. In the result of histological examination with liver, kidney, spleen, and small and large intestine, abnormal findings such as inflammatory reaction and histological changes were not observed.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oral intake of SPL diet is not harmful to the animal in the hematological,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aspects although particle size was reduced to the level of superfine. However, further study will be necessary to confirm the histological safety in relation to the gastrointestinal contact of superfine particles in the case of large amount and long-term intake.

      • KCI등재

        모의실험을 통한 인천항의 운영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김동희,최운,김봉선,이창호,Kim, Dong-Hee,Choi, Un,Kim, Bong-Sun,Lee, Chang-Ho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1999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22 No.4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ort simulation program for Inchon Port. The arrival and departure data from Inchon Port is analyzed and the berthing rule based on formal materials and experiences is constructed. A Port-Simulation program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hanges in ship arrivals, service capacities upon the demurrage is constructed and several scenarios are analyzed. It is expected that we can use the simulation results in order to prepare proper service levels and plan appropriate investment strategi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양측 제 1,4 단중족증의 자가골을 이용한 일단계 골연장술(1예 보고)

        김동희,정덕환,한정수,이재훈,박재용,오경일,탁대현,Kim, Dong-Hee,Chung, Duke-Whan,Han, Chung-Soo,Lee, Jae-Hoon,Park, Jae-Yong,Oh, Kyung-Il,Tak, Dae-Hyu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0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4 No.2

        19 years old girl presented with bilateral 1, 4th brachymetatarsia. We have used an autograft interposition technique to lengthen the brachymetatarsia involving first and fourth metatarsal. The technique was to graft the bone fragment from the relatively long second and third metatarsal bone to be used as an autograft to the short first and fourth metatarsal bone. The method is superior in not having the necessity of a long term external fixator which is needed using callotasis method and in also avoiding the inconvenience of performing an allograft. Absence of donor site complication during autograft from iliac bone is also an advantage to be mentioned. Our technique can therefore be ascertained as a successful method in both cosmetic results and improvement of symptoms including reduction in length of recovery.

      • KCI등재

        중요한 이벤트만을 검색함으로써 분류기의 최적 성능을 찾는 방법

        김동희,이원돈,Kim, Dong-Hui,Lee, Won D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6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수많은 정보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 정보들은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에 이로부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 할 수 있는 정보를 얻기란 쉽지가 않다. 이로 인해 의사 결정 트리 알고리즘은 데이터 마이닝 분야 또는 기계 학습 시스템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왜냐하면 빠르고 정확하게 정보를 분류하여 좋은 결과를 도출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때때로 의사 결정 트리가 매우 작은 데이터나 노이즈 데이터로 구성된 리프 노드들로 인해 좋은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분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류기, UChoo를 사용할 것이고 노이즈 또는 노이즈 형태로 보이는 리프들을 제외하고 오직 중요한 리프들만을 검사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험을 통하여 의사 결정시 오직 중요한 리프들만을 의사 결정 트리에서 선택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에러가 줄어드는 것을 보일 것이다. Too much information exists in ubiquitous environment, and therefore it is not easy to obtain the appropriately classified information from the available data set. Decision tree algorithm is useful in the field of data mining or machine learning system, as it is fast and deduces good result on the problem of classification. Sometimes, however, a decision tree may have leaf nodes which consist of only a few or noise data. The decisions made by those weak leaves will not be effective and therefore should be excluded in the decision proces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using a classifier, UChoo, for solving a classification problem, and suggests an effective method of decision process involving only the important leaves and thereby excluding the noisy leaves. The experiment shows that this method is effective and reduces the erroneous decisions and can be applied when only important decisions should be made.

      • 대퇴 전외측 피판술의 해부학적 특성과 유용성

        김동희,정덕환,Kim, Dong-Hee,Chung, Duke-Whan 대한미세수술학회 2010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Vol.19 No.2

        The anterolateral thigh flap is a reliable and versatile flap. It has been extensively used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because minimal donor site morbidity is attractive feature of this flap. It can be harvested as a cutaneous, fasciocutaneous, muscluocutaneous flap. We can be used to form as desired shape and thickness. But variation of vascular anatomy make difficult for many surgeons. We review of vascular anatomy of the anterolateral thigh to be easier access to surgery. With understanding anatomic variation, it allows you to take advantage of this surgery using little more variable form.

      • KCI등재

        CM단장 핵심역량 발굴에 관한 연구

        김동희,김한수,Kim, Dong-Hee,Kim, Han-S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2 No.6

        As the construction management(CM) market has grown, so has the CM competition in the market place. Consequently, competent construction managers become a core part of CM firms' competitivenes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and discuss core competencies of construction mangers based on literature survey, Delphi Method and AHP. Among various competencies required for construction managers, skills for problem solving, trust and negotiation skills were identified as the crux of construction managers' competencies. A better understanding of construction managers' core competencies is very critical in terms of CM firms' training of construction managers and continuos self-improvement for construction managers. CM시장이 성장하면서 CM기업의 수도 증가하고 기업 간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경쟁력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유능한 CM단장을 보유하는 것은 CM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중요한 현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M조직의 리더이자 발주자 만족과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CM단장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발굴하는 것이다. CM단장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다양하지만 문제해결능력, 신뢰도, 협상능력 등이 가장 중요한 핵심역량으로 나타나고 있다. CM단장 핵심역량에 대한 이해는 우수한 CM단장 육성과 CM단장의 자기계발을 위해 중요하며 궁극적으로는 CM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중요한 전제조건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