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 활동보조서비스 제공자의 직업의식 형성과정 연구

        김봉선,변소현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7

        To achieve the ultimate purpose of the welfare of the disabled such as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is inevitable and the stable recruitment and management of those human resources are very important.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and experiences during the service of such personal assistants and reviewed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composition process of the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3 times in‐depth interviews on the focused group composed of 11 people were performed and those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trauss and Corbin(1990)’s Grounded Theory. From the study, a total of 86 concepts were drawn, which were classified into 24 subcategories and 14 superordinate categories. The core concept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composition was found as ‘To overcome the chao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disability and work as an personal assistant.’As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cess to compose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personal assistants while the needs of quality enhancement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were increasing, it would be able to provide important basic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expertise of personal assistants in the future. 장애인 자립생활이라는 장애인복지의 궁극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활동보조 서비스가 필수적이며 그 제공인력의 안정적인 모집과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활동보조인들의 근로특성과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의 경험에 초점을 두고 활동보조인으로서의 직업의식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11명을 대상으로 3회에 걸친 포커스그룹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Strauss와 Corbin(1990)의 근거이론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86개의 개념과 24개의 하위범주, 14개의 핵심범주로 유목화 되었으며, 직업의식 형성과정의 핵심범주는 ‘장애 이해를 통해 혼란을 극복하고 활동보조인으로 일 해 나가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활동보조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의 직업의식이 형성되는 과정을 밝힘으로써 향후 활동보조인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활동지원서비스 코디네이터의 직무인식과 수행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사례관리 관점을 중심으로

        김봉선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3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22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service procedure and job structure to improv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service transmission owing to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being applied to service support institutions with different operation philosophy and service transmission system.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job importanc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frequency on the subject of 167 coordinators from service support institutions. As a result, supply procedure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based on case management viewpoints was embodied through intake, assessment, planning, service provision(intervention), monitoring, evaluation, and termination. And those surveyed had high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about most related tasks but their actual performance was done within the limit to intake, assessment related with personal assistance service needs, matching.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운영철학과 서비스 전달체계를 가진 활동지원기관에 포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서비스 과정을 탐색하고, 활동지원서비스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코디네이터의 직무를 구조화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활동지원기관 코디네이터 167명을 대상으로 직무중요도 인식 및 수행 빈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활동지원서비스 제공과정은 사례관리 관점에 기반하여 인테이크, 사정, 계획, 서비스 제공, 모니터링, 평가, 종결로 유형화 되었다. 그리고 조사대상자들은 이와 관련된 대부분의 과업에 대해 그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으나 실제 수행은 인테이크와, 활동보조서비스 욕구관련 사정, 매칭 등에 한정하여 수행되고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증장애인 일상생활동작기능 평가척도의 개발 필요성에 관한 연구 - Barthel Index의 구성타당도를 중심으로 -

        김봉선,이승욱,김종우 한국직업재활학회 2010 職業再活硏究 Vol.20 No.1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accuracy of the Barthel Index as a Service Evaluation instrument which is usually used for the measurement of ADL of severely disabled persons. The result are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Barthel Index is the powerful index composed of one factor and all of the variables explain ADL very well. However, the goodness of fit is low and the multicollinearity among independent variables are high. Therefore, the 10 questions of this model are lacking in its assessment function. Second, we find out the limitations of the index which is composed of 10 questions can not classify the difference of the surveyed.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 ADL 측정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Barthel Index가 서비스 평가도구로 적절한지를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첫째, Barthel Index는 분석결과 강력한 1요인으로 구성된 척도이며 모든 측정변수가 ADL을 잘 설명해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형의 적합도가 낮게 나왔고,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이 높게 나타나 10개의 문항들의 변별력이 떨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10개의 문항이 조사대상자간의 차이를 구분해내지 못하기 때문에 시설입소자격을 논하거나 혹은 시설의 서비스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활동보조서비스 코디네이터의 사례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봉선 한국직업재활학회 2015 職業再活硏究 Vol.25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case management and variables affecting their performance by Personal Assistant Service Coordinator. To achieve a research purpose, a mail survey was conducted upon 162 coordinator an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finding were as follows. Factors affecting such a case management performance included perception of management infrastructure, training provided and satisfaction with salary. Therefore, with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was suggested. First, case management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improve special abilities of coordinator. Second, studies to develop standardized measures for case management performance and instruction for concrete and standardized case management service were needed. 본 연구는 활동보조서비스 코디네이터들의 사례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총 167명의 코디네이터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162 부를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코디네이터의 사례관리 수행에는 코디네이터 개인의 인구학적 특성과 각 제공기관의유형, 기관의 서비스 제공기간, 코디네이터 1인당 사례량 등 기관의 프로그램 역량은 유의한 영향을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각 제공기관이 독특하게 구성하고 있는 조직관리 역량을 의미하는 관리기반 구조, 급여수준 등에 대한 코디네이터의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례관리가 코디네이터 개인의 필요성 인식이나 역량 수준에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제공기관이 사례관리와 관련하여 구성하고 있는 조직관리 역량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임을 의미 한다. 이에 따라 활동보조서비스 코디네이터의사례관리 수행에 대한 기관별 기준 및 절차를 제시할 것과 이에 대한 코디네이터 대상 교육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사회서비스시장에서 활동보조서비스에 대한 제공기관의 인식과 적응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김봉선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8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0 No.40

        본 연구는 전통적 사회복지서비스가 시장 개념에 입각한 사회서비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사회복지조직들이 어떤 경험을 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이 실제조직운영에는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장애인복지관 5개소와 장애인복지관 외 1개 기관의 활동보조서비스 제공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참여 기관들의 공통적 인식으로는 ‘새로운 전달체계에 대한 기대와 염려’,‘선택권을 온전히 활용하지 못하는 이용자’, ‘클라이언트와 노동자까지 이중적 정체성의 활동보조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관계갈등은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갈등’으로 표출되었다. 이와 함께 제도적 불확실성의 증가와 네트워크를 통한 공동대응 전략들은 ‘제도적 동형화’를 촉진하였다. 이에 따라 제공기관들 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독자적인 조직운영 전략을 형성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organizations experience social welfare services as social services in the market and how these experiences are applied to actual organization management.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roviding five kinds of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one other agency. The common perceptions of research institutions are expectation and concern for new delivery system , users who can not fully utilize options , clients and workers . And this relationship conflict was expressed as identity conflict of social workers . In addition, the increase in institutional uncertainty and joint response strategies through networks promoted institutional isomorphism . As a result, providers have been building their own organizational strategie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 AutoMod를 활용한 효율적 작업배정에 관한 연구

        김봉선,이승무,이석환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7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1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 efficient production strategy with changing factors to influence the productivity. The factors would be the number of Multi-Function worker, the method of job dispatching, and lot size. A simulation model has been developed for this study. We used AutoMod simulation and the process activity was animated to follow the flow of process easily. The alternatives have been tested through the simulation model, and the various alternatives is proposed for the efficient production strategy. We hope that the system is applied to similar typ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develop an efficient production strategy and to achieve the satisfactory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