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소유역 미소유량 측정 정확도 개선을 위한 유량측정 방법별 적용성 평가
김경훈 ( Gyeonghoon Kim ),심규현 ( Kyuhyun Shim ),임태효 ( Taehyo Im ),김성민 ( Seongmin Kim ),김용석 ( Youngseok Kim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개수로상의 유량측정은 대부분 유속-면적법을 사용하며, 측정에 따른 오차(불확실도)를 수반하게 된다. 일반적인 유량조사는 5∼8%(3등급, Fair : USGS등급기준 준용)내외의 불확실도를 나타내지만,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계획 수립 여부 파악을 위한 낙동강수계 58개의 시·군 경계지점(저·갈수량)에서는 실측유량(2010∼2018년)에 대한 전체 평균 불확실도는 ±9.9%(4등급, Poor)로 높게 나타내고 있다. 미소유량시 유속계룰 이용한 유량측정은 많은 산포도를 보이며, 측정유량의 변동성도 매우 크게 발생한다. 이러한 유량의 정도 향상을 위해 측선수의 확대와 측정시간을 증가 시켜 유속을 정밀 측정하여도 관측유량에는 많은 오차들을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저·갈수기 미소유량이 발생하는 소하천 유역의 측정 정확도 향상 방안으로는 유량측정구조물(고정식, 이동식)을 이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총 불확실도 8%(4등급, Poor)을 초과하여 개선이 필요한 지점 21개소 중 현장조사를 통한 이동식 컷-슬로트 플륨(Cut-throat flume) 적용 최적 지점을 시험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소유역 미소유량 측정 정확도 개선을 위해 이동식 유량측정 구조물(플륨, 위어)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소유역 미소유량 측정 정확도 개선을 위한 유량측정 방법별 적용성 평가
김경훈 ( Gyeonghoon Kim ),심규현 ( Kyuhyun Shim ),임태효 ( Taehyo Im ),김성민 ( Seongmin Kim ),김용석 ( Youngseok Kim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개수로상의 유량측정은 대부분 유속-면적법을 사용하며, 측정에 따른 오차(불확실도)를 수반하게 된다. 일반적인 유량조사는 5∼8%(3등급, Fair : USGS등급기준 준용)내외의 불확실도를 나타내지만,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계획 수립 여부 파악을 위한 낙동강수계 58개의 시·군 경계지점(저·갈수량)에서는 실측유량(2010∼2018년)에 대한 전체 평균 불확실도는 ±9.9%(4등급, Poor)로 높게 나타내고 있다. 미소유량시 유속계룰 이용한 유량측정은 많은 산포도를 보이며, 측정유량의 변동성도 매우 크게 발생한다. 이러한 유량의 정도 향상을 위해 측선수의 확대와 측정시간을 증가 시켜 유속을 정밀 측정하여도 관측유량에는 많은 오차들을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저·갈수기 미소유량이 발생하는 소하천 유역의 측정 정확도 향상 방안으로는 유량측정구조물(고정식, 이동식)을 이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총 불확실도 8%(4등급, Poor)을 초과하여 개선이 필요한 지점 21개소 중 현장조사를 통한 이동식 컷-슬로트 플륨(Cut-throat flume) 적용 최적 지점을 시험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소유역 미소유량 측정 정확도 개선을 위해 이동식 유량측정 구조물(플륨, 위어)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소유역 미소유량 측정 정확도 개선을 위한 유량측정 방법별 적용성 평가
김경훈 ( Gyeonghoon Kim ),심규현 ( Kyuhyun Shim ),임태효 ( Taehyo Im ),김성민 ( Seongmin Kim ),김용석 ( Youngseok Kim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개수로상의 유량측정은 대부분 유속-면적법을 사용하며, 측정에 따른 오차(불확실도)를 수반하게 된다. 일반적인 유량조사는 5∼8%(3등급, Fair : USGS등급기준 준용)내외의 불확실도를 나타내지만,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계획 수립 여부 파악을 위한 낙동강수계 58개의 시·군 경계지점(저·갈수량)에서는 실측유량(2010∼2018년)에 대한 전체 평균 불확실도는 ±9.9%(4등급, Poor)로 높게 나타내고 있다. 미소유량시 유속계룰 이용한 유량측정은 많은 산포도를 보이며, 측정유량의 변동성도 매우 크게 발생한다. 이러한 유량의 정도 향상을 위해 측선수의 확대와 측정시간을 증가 시켜 유속을 정밀 측정하여도 관측유량에는 많은 오차들을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저·갈수기 미소유량이 발생하는 소하천 유역의 측정 정확도 향상 방안으로는 유량측정구조물(고정식, 이동식)을 이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총 불확실도 8%(4등급, Poor)을 초과하여 개선이 필요한 지점 21개소 중 현장조사를 통한 이동식 컷-슬로트 플륨(Cut-throat flume) 적용 최적 지점을 시험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소유역 미소유량 측정 정확도 개선을 위해 이동식 유량측정 구조물(플륨, 위어)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MOVE.2 확장기법 적용을 통한 장기 부하지속곡선 구축 및 유황조건별 수체손상평가
김경훈 ( Gyeonghoon Kim ),권헌각 ( Heongak Kwon ),임태효 ( Taehyo Im ),이규동 ( Gyudong Lee ),신동석 ( Dongseok Shin ),나승민 ( Seungmin Na ) 한국물환경학회 2017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on the applicability of the Load Duration Curve (LDC) method using a Maintenance of Variance Extension type 2 method and sampling data for efficient total maximum daily loads at the Nakbon-A unit watershed in Korea. The LDC method allows for characterizing water quality data, such as BOD, TOC, T-N and T-P in this study at different flow regimes (or quarters). BOD usually exceeded the standard value (probability 50%) at the low flow zone. On the other hand, TOC, T-N, and T-P usually exceeded the standard value at the dry and low flow zone. Seasonally, all water-quality variables usually exceeded the standard value at Q1 (Jan-Mar) and Q2 (Apr-Jun) zones. Improvement of effluent control from wastewater-treatment plants are effectively improves BOD and T-P.
낙동강수계 유역관리를 위한 중점관리 대상지류 선정(안) 마련 연구
김경훈 ( Gyeonghoon Kim ),나승민 ( Seungmin Na ),임태효 ( Taehyo Im ),신동석 ( Dongseok Shin ),권헌각 ( Heongak Kwon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낙동강유역환경청에서는 국정 목표인 “좋은 물 달성 비율”을 제공하고자 “윗물 살리기” 마스터플랜을 수립·시행 중에 있다. 본 마스터 플랜의 기초자료로는 2015년도 수질자료만 이용되었기에 특정년도 기상영향에 개별대책 우선순위가 영향을 받고 있어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낙동강 본류 수질개선효과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는 주요 지류(중점관리 대상 지류)에 대하여 유역여건에 맞는 실현가능한 현실적인 물 관리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환경과학원 소속기관인 낙동강물환경연구소에서 수행중인 “지류·지천 수질 및 유량 모니터링 사업” 결과를 이용, 최근 3년간 자료(2013~2015년)를 활용하여 기상왜곡을 보완하였고, 유달부하량(유량×수질)을 기준으로 선정하여 계절과 유황 영향을 반영한 BOD 및 T-P 부하량이 ‘좋은물’ 기준 초과 하천 우선관리 대상하천 선정(유기물 오염도가 높은 단장천 등 55개 하천)과 T-P 부하량이 ‘좋은 물’ 기준 초과 하천 우선관리 대상하천 선정(녹조 원인물질의 오염도가 높은 동천 등 96개 하천)하였다. 본 연구성과는 수질관리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대상유역의 오염원을 진단하고 수질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유역통합관리 측면에서 물 관련 계획수립 시 기초자료 활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고령 중권역의 표층 퇴적물 입도 조성 및 유기물질 분포 특성 변화
김신 ( Shin Kim ),안정민 ( Jungmin Ahn ),김형근 ( Hyounggeun Kim ),권헌각 ( Heongak Kwon ),김경훈 ( Gyeonghoon Kim ),신동석 ( Dongseok Shin ),양득석 ( Deukseok Yang ) 한국환경과학회 2018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7 No.6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grain size and organic matter of surface sediments from the Nakdong-Goryeong Mid-watershed, surface sedi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ix sited at four different times between May 2013 and May 2014. The were analyzed for grain size, water content, ignition loss, chemical oxygen demand, total organic carbon and total nitrogen. The surface sediments were mainly composed of medium sand (mean 44.7%) and coarse sand (mean 32.8%) and became coarser in May 2014. Fine sediments at the site NG-2 were poorly sorted and positively skewed, and occur in a tributary environment that is relatively low-energy compared with the other sites. The water content at the studied sites (15.3 ~ 34.9%) averaged 20.25%, and ignition loss (0.4 ~ 5.8%) and total nitrogen (274 ~ 2493 mg/kg) averaged 1.33% and, 696 mg/kg, respectively. These values indicated that the sediments were not seriously contaminated when compared with the sediment pollution evaluation standard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The chemical oxygen demand (mean 0.17%) was at the non-polluted level compared with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ediment quality standards. The total organic carbon (mean 0.18%) at all sites except site NG-2 (lowest effect level) was the no effect level of the Ontario sediment quality guidelines. The COD/IL (0.02 ~ 0.20) and C/N (0.73 ~ 6.76) were less than 1 and 10, respectively. Organic matter in the study area produced naturally from aquatic organisms. Result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fine sediments (very fine sand and silt)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organic matters (ignition loss, chemical oxygen demand, total organic carbon and total nitrogen). In addition, the highest organic matters content in the study area occurred at the site with the finest sediments (NG-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