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이랄 미분의 응용과 한계

        김경환(Kyoung-Whan Kim) 한국자기학회 2021 韓國磁氣學會誌 Vol.31 No.6

        Chiral derivative is a useful tool to understand spin-orbit coupling effects in magnetic systems. In this review, we overview the derivation of the chiral derivative and discuss its applications for various situations such as Dzyaloshinskii-Moriya interaction, magnetic textures, and current-induced magnetization dynamics. Its generalizations for arbitrary linear spin-orbit coupling and magnon-driven magnetization dynamics are also discussed. Lastly, we review the limitations of the chiral derivative and present examples where the chiral derivative does not work properly.

      • KCI등재

        궤도 각위치 소개: 수학적 기술과 물리적 의미

        김경환(Kyoung-Whan Kim) 한국자기학회 2023 韓國磁氣學會誌 Vol.33 No.6

        Distinction of spin angular momentum phenomen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orbitronics. Recent theoretical developments highlight a novel degree of freedom known as orbital angular position, capable of exhibiting phenomena not achievable solely through the spin degree of freedom. In this review article, we provide a mathematical demonstration of why such a degree of freedom should exist and summarize its consequences in both equilibrium and non-equilibrium condensed matter systems. Our work aims to assist futur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in understanding orbital angular momentum.

      • 수근부 주상골의 연골모세포종 (증례 보고)

        정경칠,김기용,최장석,서승석,김경환,Chung, Kyung-Chil,Kim, Key-Yong,Choi, Jang-Suk,Seo, Seung-Suk,Kim, Kyoung-Wha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2

        연골모세포종은 장골의 골단에 호발하는 상대적으로 드문 양성 종양이다. 양성 연골 모세포종은 양성 골종양의 약 1% 정도를 차지한다. 특히 수근부의 연골모세포종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소파술 및 혈관부착 골이식술로 치료한 수근부 주상골에 생긴 연골모세포종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Chondroblastoma is relatively rare benign neoplasm with predilection for the epiphysis of long bones. Benign chondroblastomas of bone compromise approximately 1% of benign bone tumors in several reported series. Chondroblastoma in the carpus is extremely rare in english literature. We report the case of a chonroblastoma in the carpal scaphoid.

      • KCI등재

        전방십자인대 파열에 있어 대퇴과간 절흔 폭과 후방 경골 경사각의 임상적 의의

        서승석 ( Seung Suk Seo ),김창완 ( Chang Wan Kim ),김경환 ( Kyung Whan Kim ),민영경 ( Young Kyoung Min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3

        목적: 대퇴과간 절흔 폭과 후방 경골 경사각이 전방십자인대 파열 및 파열 위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2월부터 2009년 7월 사이에 본원에서 전방십자인대 파열로 치료받은 환자 105예 (105명) 및 대조군으로 전방십자인대 비파열군 91예(91명)에 대하여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대퇴 과간 절흔 폭과 후방 경골 경사각을 측정하였다. 또한 전방십자 인대의 파열 위치에 따라서 대퇴골 부착부위, 중간부위, 경골부착부위 파열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에서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퇴과간 절흔 폭의 평균은 전방십자인대 파열군 15.51±4.30 mm (95% confidence interval: 15.48∼15.53), 비파열군 24.49±3.86 mm (24.47∼24.52)이었으며, 후방 경골 경사각은 파열군 평균 7.68±3.78o (7.65∼7.70), 비파열군 6.12±3.85o (6.10∼6.13)이며, 대퇴과간 절흔 폭과 전방십자인대 파열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었다(교차비=0.661 [0.602∼0.720], p<0.01). 후방 경골 경사각과는 연관성이 없었다(교차비=1.073 [1.062∼1.134], p=0.197). 파열 위치에 따른 분산분석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관찰 할 수는 없었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파열에 있어서 대퇴과간 절흔 폭의 감소는 의미있는 위험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oral intercondylar notch width (ICW), the posterior tibial slope angle (PTS), rupture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and the ruptured site.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05 cases of ruptured ACL (105 patients), and 91 cases of intact ACL (91 patients). The ICW and PTS were measured from the plain knee radiographs. The ratio of the ICW and the femoral intercondylar notch height (ICH) was also measured. As for the site of ACL rupture, the patients with a ruptured ACL were divided into 3 groups (group 1: femoral attach site, 2: mid-substance, 3: tibial attach site),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ICW and the PTS of each group were analyzed. Results: The mean ICW of the ACL ruptured group was 15.51±4.30 mm (95% confidence interval: 15.48∼ 15.53), that of the ACL intact group was 24.49±3.86 mm (24.47∼24.52), and the mean PTS of the ruptured ACL group was 7.68±3.78o (7.65∼7.70) and that of the intact ACL group was 6.12±3.85o (6.10∼6.13). A narrow ICW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ACL rupture (odds ratio=0.661 [0.602∼0.720], p<0.01). But we did not ge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for the increase PTS (odds ratio=1.073 [1.062∼1.134], p=0.197). According to the ruptured site, the analysis of variance of the ICW and PT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 A narrow ICW i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ACL rupture.

      • KCI등재

        Wolter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적 치료 결과 및 술중 오구 쇄골 인대 봉합술의 임상적 유의성

        최장석 ( Jang Suk Choi ),김기용 ( Ki Young Kim ),정경칠 ( Kyong Chil Chung ),곽희철 ( Heui Chul Gwak ),하동준 ( Dong Jun Ha ),김경환 ( Kyoung Whan Kim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1

        목적: Wolter plate를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완전 탈구의 술후추시 관찰을 통하여 술식의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 오구 쇄골 인대를 봉합한 환자군과 봉합하지 않은 환자군 사이의 임상결과를 비교해오구 쇄골 인대 봉합술의 필요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5년 9월까지 두 의료기관에서 Rockwood 분류 III형 이상의 견봉쇄골 관절 탈구로 Wolter plate를 이용하여 수술한 환자 중 6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이루어진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는 술후 6개월째 Constant-Murley의 평가 지표로 관절 기능을 점수화하고 금속판 제거 후 부하 방사선 사진에서 견봉 쇄골 관절의 정복 상태 및 오구 쇄골 간격을 관찰하였으며 환자를 오구 쇄골 인대를 봉합한 10명과 봉합하지 않은 13명으로 재구분하여 상기 임상결과를 비교하였다. 합병증이 나타난 환자에 대해서는 합병증의 종류를 분석하였다. 결과: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Wolter plate를 이용한 내고정 시행후 6개월째 합병증이 발생한 3예를 제외한 20예의 경우에서 Constant-Murley 평가상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으며 오구 쇄골인대의 봉합군과 비봉합군의 점수는 환자군별로 우수 7예/6예, 양호 2예/5예, 보통 및 불량 1예/2예였으며 술후 6개월째 추시 방사선 사진상 원위 쇄골의 전위는 봉합군에서 술전 평균 194%에서 술후 9%로, 비봉합군에서는 술전 188%에서 28%로 감소하였다. 오구 쇄골 인대 봉합군과 비봉합군의 Constant-Murley score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으며 (p=0.072) 추시 부하방사선 사진상 쇄골 원위부의 전위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p=0.067). 결론: Wolter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고정술 후 단기 추시에서 비교적 만족스러운 임상 결과를 경험하였으며 오구 쇄골 인대를 봉합한 군과 봉합하지 않은 군 사이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차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 of the Wolter plate fixation for th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and the necessity of coracoclavicular ligament repair with the op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three patients operated between January 2003 to September 2005 with over 6 months of follow-up period were studied. The Constant-Murley scoring system was administered on 6 months postoperatively and stress films were taken for the surveillance of acromioclavicular joint and coracoclavicular distance after plate removal. All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in that coracoclavicular ligament was repaired (10 cases) or not (13 cases) and the clinical indices described above were compared. Results: With the Wolter plate fixation for th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s, 20 cases of Constant-Murley scores were more than `good` except complicated 3 cases. The scores of the repaired group were 7 cases of excellent, 2 cases of good and 1 case of moderate to poor, and that of not-repaired group were 6 cases, 5 cases and 2 cases respectively. With mean coracoclavicular interspace on x-ray at postoperative 6 months, repaired group showed residual 9% of displacement from initial 194% but not-repaired group showed 28% from initial 188%. Ther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scores between two group (p=0.072) and neither was residual coracoclavicular interspace displacement (p=0.067). Conclusion: Short term follow-up of Wolter plate fixation for th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showed acceptable clinical result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f repaired coracoclavicular ligaments and not repair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