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 지역 흡연자들의 금연클리닉에 인식 및 기대정도

        민순 ( Soon Min ),김혜숙 ( Hye Sook Kim ),김경미 ( Kyoung Mi Kim ),하윤주 ( Yun Ju Ha ),김은아 ( Eun A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2

        본 연구는 G시에 거주하는 30대 이상 지역주민 중 흡연자를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금연클리닉에 대한 활용실태 및 인식과 기대정도를 조사하여 금연클리닉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방안을 파악하여 금연 실천율을 높이고 국민건강증진에 가여 하고자 연구되었다. 그라나 흡연자의 급연클리닉 인식과 기대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비교하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본 연구결과만을 중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대상지의 금연클리닉 이용관련특성을 빈도별로 파악한 결과, 금연클리닉을 다녀 볼 생각이 전혀 없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67.5%였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금연 필요성에 대해 인식이 이미 인지된 상태라고 간주함 때 이러한 결과는 금연 필요성의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금연클리닉에 대한 정보부족이 원인이라 생각하고 홍보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금연클리닉에 다니는 어떤 혜택을 응답한 경우가 71.7%였고, 금연클리닉을 주도적으로 국가가 예산을 들여 이 사업을 하는 줄 알고 있는지에 관한 질문에 모른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54.7%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금연클리닉의 정보를 제공하고 홍보할 수 있는 대중매체 등과 같은 구체적 방법들을 마련하여 금연 클리닉의 적극적인 홍보와 정보를 제공해야 할 젓으로 생각된다. 금연에 실패한 흡연자도 다시 등록시켜 금연실천 성과와 관련된 결과들로 도출되어야 하며, 재등록 횟수가 높을수록 금연 성공률이 낮다고 보고한 Song,Ju와 Kyung (2008)의 연구 결 과에서처럼 활용실태를 파악하여 신규등록자뿐만 아니라 재등록 자에 대한 관리방안도 같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이러 한 조사들이 선행됨으로 금연클리닉의 높은 성공률과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본다. 금연클리닉의 가장 적합한 장소로는 직장 근처 47.4%, 보건소 20.3%, 공공기관 15.5% 정도로 나타났는데, 이는 Ha (2008) 의 연구에서 군대 내 외부 보건소에 의한 이동 금연클리닉이 효율적인 군병원 금연정책 및 금연교육의 종류 중의 하나로 선정 한 결과와도 비슷한 결과이다. 사회에서 직장은 흡연 전파의 장소일 뿐 아니라 금연 확산의 요지이기도 하므로 직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금연교육도 중요한데, 국내외 연구 중 직장근로 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7-10% 정도(Hyun & Jung, 2002)로 저조한 편이다. Lee (2004)의 연구에서도 학교 내 금연상담실 설치하여 금연을 유도하기 위한 실천프로그램을 제시한 결과와 비슷한 결과로써 대상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과 근접 성을 고려하여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보건소 같은 한정된 장소 보다는 대상자 중심의 운영방식으로 대상자가 있는 곳(산업장, 대학교 등)으로 직접 방문하여 홍보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금연클리닉을 처음 접하게 해준 매체로는 방송이 36.8%, 친 구와 이웃이 20.1% 순으로 나타나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가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대중매체를 통해 금연클리닉에 대한 메시지를 전혀 접한 적이 없거나 모른다고 응답한 경우가 61.6% 정도로 높은 결과로 나타나 적극적인 홍보 방안이 간구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Cho와 Song (2006)은 금연동기 에 따른 금연성공률이 TV, 라디오, 인터넷 등 광고를 통해 금연클리닉 등록동기를 갖은 경우에 금연성공률이 가장 높았다는 결과를 고려할 때 다른 무엇 보다 대중 매체를 통한 홍보의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금연클리닉 인식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 중 먼저 연령에서는 다른 연령에 비해 60대가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Kim Kim, Park, Kim과 Koo (2007)는 큰로자 건강증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이 많을수록 건강증진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볼 때 나이가 들수록 자신의 건강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게 되는 경향과 함께 60대가 상대적으로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어 대중매체를 접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 판단하였다. 따라서 직장 생활을 주로 하는 30대,40대,50대의 인식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직장 출퇴근이 잦은 교통의 요 지에 현수막이나 대중교통 수단에 홍보 문구를 삽입하는 방안을 적용해 보는 방법도 효과적 일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직장 단위의 이동클리닉에서 직장 내 함께하는 금연문화 조성과 동시에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교육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자가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정도가 가장 높았다. Choi와 Lee (1994)의 연구에서 근로자의 가정과 연계한 가정통선문, 전화상담, 유인물 제공 등의 지지기반 구축 방법이 금연프로그램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볼 때, 이는 가족 은 각 구성원의 건강 상태에 강한 유대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족성원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정보전달이 다른 곳 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 졌으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가족성원의 인구 분포가 가장 많은 학교에서 보건소 금연클리닌에 대한교육 과 함께 유인물 등이 배포된다면 가족성원으로의 전달력과 그 효과도 더 할 수 있을 것이다. 거주 지역에서는 남구와 서구에서 금연클리닉 인식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나머지 지역인동구, 북구와 광산구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주택이 분산된 타 구역과는 달리 지역 특성상 남구가 아파트 밀집지역이 많아 정보공유가 더 쉽게 일어난 것으로 사료되며, 각 구별로 활동 중인 보건소 금연클리닉 에 대한 홍보사업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의 결과와 비교하여, 금연클리닉 인식정도와 금연 성과에서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지 추후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다. 직업과 관련한 금연클리닉의 인식 정도는 서비스직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전문직 사무직 순이었는데, 이는 서비스직 같이 근무 장소가 자유로운 직업군에서는 금연클리닉에 대한 홍보 및 정보를 더 많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기 때문일 것이라 사료되고, 전문직 및 공무원, 사무직 같이 근 무 장소가 한정되고 유동성이 없는 작업일수록 금연클리닉에 대한 정보전달이 늦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직업과 직종에 따라 차별화된 홍보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가 운동과 등산과 걷기를 즐겨하는 군의 금연클리닉 인식 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은 수영, 골프 순이었는데, 이는 Hwang (2008)이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운동실천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증진 실천의지가 높아진다는 것과 비교할 때 몸을 많이 사용하며 운동 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운동 유형별로는 등산과 걷기는 장시간 동행자들과 함께하거나 쉼터에서 무리 지어 운동하면서 서로 정보전달에 더 효과적이었으리라 사료된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금연클리닉 기대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로 볼 때 먼저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Kim 등(2007)의 연구결과에서 미혼보다 기혼 의 경우 건강증진 활동 실천율이 높은 것과 비교해 볼 수 있었고, 일반적으로 가족 내에서 흡연자의 위치가 가장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가장의 건강이 가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책임감, 이미 알려진 간접흡연 피해와 함께 가족성원들의 지지로 인하여 금연클리닉에 대한 기대가 상승한 것으로 사료된다. 종교는 천주교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은 불교, 기독교, 종교가 없는 경우 순이었는데, 이는 종교의 유무에 따라 금연클리닉에 대한 기대와 관심 정도로 보이며,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적극적으로 금연을 실천해야 하는 의무를 가짐으로 기대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2005년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종교를 가진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이 넘는 53%에 달한다고 보고되었는데 어떤 종교이든 종교적 특성상 그 종교 안에서 신앙을 함께 하는 사람들끼리 신앙적 공동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공동제의 금연을 지지하는 분위기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각 종교단체 단위별로 금연클리닉에 대한 활용방안을 적극 홍보하여 인식정도를 높이는 것도 고려해야 할 방안으로 여겨진다. 여가 운동은 골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다음으로 등산, 수영, 걷기, 운동을 하지 않는 군 순이었는데, 이는Hwang (2008)의 여가 운동을 즐기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당연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 것이라 한 결과와 유사한 결과로 고급 스포츠를 함으로 좀 더 얻어지는 것이 클 것이라는 기대와 관심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expectancy, cognition, and work condition among smokers with respect to the smoking cessation clinic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over 503 smokers aged 30 yr and in five districts of G city. The researcher and assistants personally visited homes and workplaces of the participants between November 20 and November 30, 2008 for the survey. Results: The subjects learned to smoke from their friends and started smoking when they were 15 out of curiosity. They smoked more than one cigarette every day. With respect to cognition, 67.5% of the subjects had no intention to utilize smoking cessation clinics, and 71.7% were unaware of their benefits. Those with a high level of cognition regarding smoking cessation clinics were generally in their 60s, married, residents in the Southern and Western Districts, service or technical workers, and hikers. The expectancy for the clinic was high among those who were married, Catholics, and golfer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smoking cessation may be achieved by increase-ing the level of cognition and expectancy among smokers. In this regard, providing information and implementing positive publicity campaigns targeting families, places of worship, and workplaces may be beneficial.

      • KCI등재

        Bacillus subtilis NRLSI IV로 제조한 청국장의 접종포자농도 및 발효온도에 따른 품질 특성

        김경미,김행란,유선미,김진숙,최정숙,Kim, Kyung-Mi,Kim, Haeng-Ran,Yoo, Seon-Mi,Kim, Jin-Sook,Choe, Jeong-Sook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6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2 No.3

        B. subtilis NRLSI IV 균주를 이용하여 포자농도와 발효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생균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포자농도별$(10^2,\;10^4,\;10^6,\;10^8\;CFU/mL)$로 제조한 청국장에서, 생균수, 환원당 및 아미노태질소는 $10^6\;CFU/mL$ 농도에서 가장 높은 반면, 기능성 물질로 밝혀진 점질물의 상대점도와 경도는 $10^2\;CFU/mL$ 농도에서 가장 높았다. 청국장의 이취 물질인 암모니아태 질소는 포자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였다. 청국장의 관능검사 결과 $10^2\;CFU/mL$ 농도에서 외관, 색상, 청국장 맛 및 점질물의 점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이취는 가장 낮았다. 따라서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이 낮고 상대점도 및 관능검사 결과가 우수한 조건의 청국장을 제조하기 위한 포자농도로 $10^2\;CFU/mL$가 적정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적정 포자농도인 $10^2\;CFU/mL$를 접종하여 발효온도별$(30,\;35,\;40,\;45^{\circ}C)$로 제조한 청국장의 특성을 살펴보면, $40^{\circ}C$에서 발효시킨 청국장의 생균수가 가장 많았고 $45^{\circ}C$에서 가장 적었다. 환원당 함량의 경우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약간 증가하였으나 $30-40^{\circ}C$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발효온도가 $30^{\circ}C$일 때 가장 높았고 $45^{\circ}C$는 $30^{\circ}C$에 비해 약 2.5배 낮은 함량을 보였고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청국장의 관능검사 결과, 외관은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균 형성 정도, 점질물의 점도 및 청국장 맛에서는 $40^{\circ}C$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이취는 가장 낮았다. 청국장의 이화학적 특성, 상대점도 및 관능검사 결과에 의하여, 포자농도 $10^2\;CFU/mL$를 접종하여 청국장을 제조할 경우 $40^{\circ}C$에서 발효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hanges in inoculum levels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of chunggugjang prepared with Bacillus subtilis(B. subtilis) NRLSI IV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In chunggugjang prepared at different inoculum levels, viable cell count, reducing sugar and amino type nitrogen were maximized at $10^6\;CFU/mL$, whereas relative viscosity of viscous substance and hardness peaked at $10^2\;CFU/mL$. In sensory evaluation, chunggugjang made with $10^2\;CFU/mL$ showed higher values of appearance, color, taste and viscosity and a lower value of off-flavor than that made at other inoculum levels. Based on the results of ammonia type nitrogen, relative viscosity and sensory evaluation, the optimum inoculum level for chunggugjang prepared by B. subtilis NRLSI IV was $10^2\;CFU/mL$. In the second step, the effect of different fermentation temperatures on the quality changes of chunggugjang incubated with $10^2\;CFU/mL$ of B. subtilis NRLSI IV were investigated. The viable cell count was maximized at $40^{\circ}C$, but minimized at $45^{\circ}C$. Reducing suga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30^{\circ}C$ to $40^{\circ}C$ but was increased at $45^{\circ}C$. Increasing fermentation temperature decreased the content of amino type and ammonia type nitrogen. Chunggugjang prepared at $40^{\circ}C$ showed high sensory evaluation result in microorganism growth, appearance, taste and viscosity and particularly had low off-favor.

      • 유방의 원발성 편평상피암종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 1예 보고 -

        김경미,이안희,이교영,서은주,심상인,문한림,Kim, Kyoung-Mee,Lee, An-Hi,Lee, Kyo-Young,Seo, Eun-Joo,Shim, Sang-In,Moon, Han-Lym 대한세포병리학회 1996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7 No.1

        A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breast was evaluated by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in a 60 year-old female. Squamous cell carcinoma is a rarely encountered lesion in the breast and nine cases of cytologic findings of mammary squamous cell carcinoma have been reported in the world literature. Our case appears to be one of these rare pure squamous cell tumors. The cytologic diagnosi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well defined characteristics of the malignant squamous cells, similar to those found in other locations. Thorough examination of the patient did not reveal squamous cell carcinoma elsewhere.

      • KCI등재

        Biological Nitrogen Removal System의 세균 군집 분석

        김경미,이상일,이동훈,Kim, Kyung-Mi,Lee, Sang-Ill,Lee, Dong-Hun 한국미생물학회 2006 미생물학회지 Vol.42 No.1

        생물학적 질소 제거(Biological nitrogen removal; BNR) 시스템의 효율적인 처리 공정을 이재하기 위하여 질산화 반응조 내 세균 군집 구조를 16S rRNA 유전자의 PCR 및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ELP)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BNR 시스템은 국내에서 비교적 많이 적용되고 있는 부상여재를 이용한 고도처리 시스템, Nutrient Removal Laboratory 시스템, 반추기법을 이용한 영양염류 처리 Sequencing Batch Reactor (SBR)시스템이었고, 실험 결과 모든 시료에서 암모니아 산화 세균과 $\beta-proteobacteria$에 해당되는 말단 단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암모니아 산화세균 군집에서 유래된 말단 단편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SBR공정에서는 Nitrosomonas와 Nitrosolobus에 속하는 군집 이 우점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른 두 공정들에서는 $\beta-proteobacteria$에 속하는 미배양 균주와 Cardococcus australiensis와 염기서열 유사도가 높은 군집이 우점하였다. 또한, 암모니아산화 세균군집을 분석한 결과, SBR 공정이 암모니아 산화세균의 농화 배양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각 BNR 시스템에 동일한 폐수가 유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세균 군집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To understand the efficient process of biological nitrogen removal (BNR) system, the structure of bacterial communities in nitrification reactors was analyzed using PCR and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 morphism (I-RFLP) methods. In this study, we used an advanced treatment system with plotting media, Nutrient Removal Laboratory system, or the rumination type sequencing batch reactor (SBR) system. The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s of ammonia-oxidizing bacteria (AOB) and other $\beta-proteobacteria$ were observed in all of three BNR systems. The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s showed that Nitrosomonas and Nitrosolobus were major populations of AOB in SBR system, whereas uncultured $\beta-proteobacteria$ and Cardococcus australiensis were the predominant groups in other two BNR systems. Also the SBR system may be more efficient to enrich AOB.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fferent structure of bacterial community may be developed depending on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although the same influent is used.

      • 한국뷰티산업학회지 수록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김경미,전미정,김진숙(Kyung-Mi Kim,Mi-Jeong Jeun,Jin-Sook Kim) 한국뷰티산업학회 2016 뷰티산업연구 Vol.10 No.2

        외모꾸밈은 삶의 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학술적으로 체계화되고 산업화되고 있다. 따라서 학술적 태도와 산업과의 융합의식에 대한 연구자들의 학술문헌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하여 한국뷰티산업학회지에 수록된 논문의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www.riss.kr)에 2006년부터 2016년까지 발표되고 한국뷰티산업학회의 학술지에 수록된 103건의 논문에 대한 지적연구의 속성 및 미용분야의 연구방향에 대해서 탐색하였다. 그 과정은 빈도수가 높은 단어들의 의미와 개념을 정리하여 대표단어로 선정하고 분류표를 구축하였다. 한국뷰티산업학회지에 게재된 학술논문은 미용학 전 분야를 포괄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는 미용기초분야의 미용경영이고, 마케팅과 미용종사자의 이직 의도에 대한 연구가 다수였다. 특히 뷰티산업진흥조례제정과 지방자치단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미용경영인의 고객 보호 의무에 관한 연구, 브랜드 문화 컨텐츠화, 문화향유공간 활용에 대한 연구 등의 논문은 타 학회에서 볼 수 없는 연구로 보인다. 이외에도 미용분야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경영, 헤어, 피부, 메이크업의 출현단어별 빈도수는 비슷한 출현을 보이고 있다. 한국뷰티산업학회의 설립목적인 학문적 발전과 관련분야와의 연계를 통한 뷰티산업의 학문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뷰티산업의 통합적 연구와 미용과 화장품 네일 등이 연계한 연구논문이 더욱 필요하다. 그리고 타 분야의 학술지와 뷰티산업이 연계하는 방법도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ppearance decoration, occupies a very important part in the quality of life, it has been scientifically organized and industrializ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nvestigate the scientific literature of the researchers of the fusion awareness of the academic attitude and industry. So, looked at the flow of the study about the paper published in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Industry Journal. For this reason, analysis on 103 papers which is property of intellectual research and directions explore of the beauty industry in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www. Riss. Kr) were published from 2006 to 2016 and listed in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Industry Journal. The process was selected to represent words and concepts, outlining the significance of high-frequency words and build a classification scheme. The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Industry Journal are encompasses all areas of the field being studied beauty and the most active among them is beauty management in beauty based areas, and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beauty workers was a large number. In particular, establishment of beauty industry promotion regulations, exploratory study of local governments, research on the customer protection obligation of beauty management, brand culture content, and research concerning cultural enjoyment space utilization is not studied in the other society. In addition, management, hair, skin, make-up can be called basic areas of beauty which is showing a similar appearance of occurrence frequency of each word. In order to ensure the identity of beauty industry, the association is necessary with the integrated research of beauty industry and beauty, cosmetics and nail.And the journals and other sectors of the beauty industry seems to be a way to try association.

      • KCI등재후보

        IMO 최근 의제 동향 및 한국의 IMO 활동현황

        김경미,조익순,Kim, Kyoung-Mi,Cho, Ik-Soon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5 No.2

        국제해사기구(IMO)에서 검토되는 의제들은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으면, 내용도 목적기반선박건조기준(GBS), 선체보호도료의 성능기준개발(PSPC), 선박장거리위치추적제도(LRIT) 등 세부적인 사항까지도 국제적인 표준화를 도모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IMO 각 위원회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 및 활동현황을 조사 분석해 본 결과, A그룹 이사국 지위에 맞는 역할 수행이 아직 미흡하고 정부의 IMO 대응능력을 지속적으로 뒷받침 할 연구지원 인프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은 국가차원에서 국제해사동향에 정책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절실히 인지하여야 하며, 국제해사정책을 주도할 수 있는 국내외 인프라 완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MO is treating various and numerous agenda with time, and the contents of agenda have been tending to achiev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for details of technology, for example GBS(Goal based new ship construction standards), PSPC(Performance Standards of Protective Coating), LRIT(Long-Range Identification and Tracking of Ships), etc. This paper presents the latest agenda trend of IMO committees and analyzes the ROK's activities in response to IMO committees. In the result of analysis, ROK lacks in performance ability as a A-category council member as well as infrastructure to support the government activities in IMO continuously. Therefore, ROK should be conscious of policy approaches to international maritime tendency and needs to complete the internal/external infrastructure which leads the international maritime policy.

      • KCI등재

        호안나대지 식생복원을 위한 Bacillus subtilis 분리균주의 식물생장 촉진능

        김경미,송홍규,Kim, Kyung-Mi,Song, Hong-Gyu 한국미생물학회 2010 미생물학회지 Vol.46 No.1

        근권토양에서 분리한 세균 Bacillus subtilis RFO41은 인산 가용화능이 높고 auxin 등의 식물호르몬을 생산한다. 이 균주를 이용하여 가시도꼬마리(Xanthium italicum Moore)의 생장 촉진 실험을 화천군 파로호의 호안나대지에서 수행하였다. 19주 경과 후 자라난 가시도꼬마리를 채취하여 줄기와 뿌리 길이를 측정하고 식물을 건조시켜 중량을 측정하였다. 균주를 처리한 접종군이 미접종 대조군보다 가시도꼬마리의 건조중량이 67.7%나 높았으며 또한 가시도꼬마리의 줄기 길이도 균주를 처리한 접종군이 미접종 대조군보다 21.1% 길었는데 모두 통계적 유의성을 가졌다. 접종균주의 동태를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방법으로 조사하였는데 나대지 토양에서 접종균주가 유지되고 있으며 토양의 고유 세균군집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척박한 호안나대지 토양에서 B. subtilis RFO41의 인산가용화능과 식물호르몬의 생성능 등의 식물생장촉진 효과가 가시도꼬마리의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식물 생장 촉진효과는 친환경적 미생물비료, 특히 민감한 호안나대지 등의 미생물학적 식생복원방법으로서의 가치를 뒷받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Rhizobacterial strain isolated from barren soil, Bacillus subtilis RFO41 exhibits a high level of phosphate solubilizing activity and produces some phytohormones. Its promoting effect on the growth of Xanthium italicum Moore, a wild plant growing at lakeside barren land and thus a good candidate plant for revegetation of barren lakeside was evaluated in the in situ test for 19 weeks at Lake Paro, Kangwon-do. Strain RFO41 could enhance the dry weight of X. italicum by 67.7%. It also increased the shoot length of X. italicum plant by 21.1% compared to that of uninoculated control. Both growth enhancements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the inoculation did not show any effect on the root growth, which might be due to the breakage of tiny root.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showed that the inoculated bacteria were maintained in the soils, and the indigenous bacterial community did not exhibit any significant change. This plant growth promoting capability may be utilized as an environment-friendly and low cost revegetation method, especially for the sensitive areas such as barren lakeside lands.

      • KCI등재

        청각자극의 세기에 따른 노인의 인지 반응시간 분석

        김경미,장문영,홍은경,Kim, Kyeong-Mi,Chang, Moon-Young,Hong, Eun-Kyoung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7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5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the cognitive reaction time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auditory stimuli in older people and to differentiate the cognitive reaction time between older people and adults. Method: 49 subjects consisted of 32 older people and 17 adults. Cognitive reaction time was assessed with Simple Auditory Reaction of Foundation I in PSS CogReHab.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by using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to the intensity of auditory stimuli.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older people regardless of sexual distinction in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in adults.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lder people who got a job or not in 90 dB of auditory stimuli. 4. The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to the intensity of auditory stimuli in older people was slower than ad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between older people and adults in 70 dB of auditory stimuli. 5. The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to the intensity of auditory stimuli in older people did not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lastic abilit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slowing of the cognitive reaction time in auditory stimuli to aging in older people. Therefore, applying silver industry and development of equipment for older people may maintain independent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