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교수설계에 대한 인식 : 수업지도안 분석을 중심으로

        권혁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 간 교수설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 행되었다. 대면과 비대면 수업지도안을 연구 참여자인 C교육대학교 4학년 재학 중인 예비초등교사 84명에게 분석토 록 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면과 비대면 수업지도안 간 분석내용의 빈도 차이가 가장 많은 영역은 ‘학습안내 제시’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이스퀘어 검증 결과 대면과 비대면 수업지도안 간 영역 별 빈도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안내 제시’ 영역 내 교수요소 별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면과 비대면 간 분 석의 빈도 차이가 두드러지게 큰 교수요소는 ‘매체 및 테크놀로지 활용’과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요소인 것으로 밝혀 졌다. 대면과 비대면 수업지도안 간 ‘학습안내 제시’ 영역 내의 교수요소별 빈도 차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 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초등교사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의 교수설계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주는 것으로 향후 예비교사의 교사전문성 제고를 위해 특히 비대면 수업의 교수설계에 대한 인식에 초 점을 맞춘 교사양성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의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instructional design between face-to-face and online instruction. Lesson plans for face-to-face and online instruction were analyzed by 84 participants who were seniors at C university of education. Results of content analysis indicate that ‘Providing Learning Guidance’ domain is the biggest domain in terms of the frequency gap between face-to-face and online instruction. Frequency differences by domains between face-to-face and online instru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s a result of Chi-square test. Frequency differences by instructional elements in the ‘Providing Learning Guidance’ domain between face-to-face and online instruc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e differenc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instructional design between face-to-face and online instruction, which implies the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n instructional design of online instruct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후보

        웹 기반 수업의 효과성 증진 방안

        권혁일 한국산업교육학회 2000 산업교육연구 Vol.7 No.-

        웹 기반 수업의 교육적 활용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의 학습효과 향상을 위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웹 기반 수업의 효과는 웹이라는 매체의 속성에 의해 결정되기 보다는 수업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의해 결정된다. 수업의 설계는 인식론과 학습이론적 관점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는 것은 최적의 웹 기반 수업 설계를 위해 필요하다. 웹 기반 수업은 객관주의적 인식론과 구성주의적 인식론에 기초한 학습이론을 모두 실현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있지만 어느 이론에 근거해서 설계해야 한다는 웹 기반 수업의 절대적 설계 원칙을 규명하기 보다는 수업이 추구하는 목표나 학습자의 특성 등 수업이 발생되는 상황에 따른 적절한 학습이론의 선택과 설계가 필요하다. 웹 기반 수업의 중요한 상황 변인 중하나인 학습자 특성이 웹 기반 수업 설계에 고려될 필요가 있다. 적응적 웹 시스템은 개별 학습자의 학습요구를 수용하고 이에 적응하도록 고안된 웹 시스템이다. 현재 대부분의 웹 기반 수업이 학습자에 적응적이지 못하고 있는 한계점을 고려해 볼 때, 적응적 웹 시스템은 현재의 웹 기반 수업의 대안으로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교수효능감 분석

        권혁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2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교수효능감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예비초등교사 166명과 현직초등교사 118명을 대상으로 교수효능감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설문 반응을 분석한 결과 현직초등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예비초등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타나났다. 성별에 따른 교수효능감의 차이가 나타난 요인은 예비교사의 경우 ‘매체개발 및 활용’, ‘설명 및 질문’, ‘동기유발’ 이었으며 현직교사의 경우 ‘매체개발 및 활용’요인에만 차이가 나타났다. 교직경력이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현직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교수효능감 구성 요인 별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습과 피드백’, ‘매체개발 및 활용’, 그리고 ‘설명 및 발문’ 구성 요인은 교직경력에 따라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동기 유발’과 ‘자기주도적 학습의 촉진’ 구성 요인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고려할때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이나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초등학교 현장 수업과 보다 연계되도록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efficacy.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study, teaching efficacy survey was administered to 16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118in-service teachers. Analysis of the survey showed that teaching efficacy of in-service teach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e-service teachers. Analysis of difference in teaching efficacy between male and female elementary teachers indicated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gender differences in ‘media development and utilization’, ‘explanation and questioning’, and ‘motivation’ factors. On the other hand, inservice teachers have gender difference only in ‘media development and utilization’. Results of an ANOVA which was conducted to analyze impac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career on teaching efficacy showed that teaching efficacy of ‘practice and feedback’, ‘media development and utilization’, and ‘explanation and questioning’ factors improved as teaching career increased. In ‘motivation’ and ‘facilit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factors, on the other hand, teaching career had no impact on teaching efficacy.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for institutions of elementary teacher development to implement school- focused practical curriculum and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직류시스템 해석을 위한 상태추정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권혁일,김홍주,김주용,조윤성,Kwon, Hyuk-Il,Kim, Hong-Joo,Kim, Juyong,Cho, Yoon-Sung 한국전기전자학회 2018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2 No.3

        전력계통에서 해석 하는 방법종류로 정적해석과 동적해석 그리고 온라인 해석과 오프라인 해석으로 나뉜다. 기존의 계통 해석하는 방법으로는 오프라인 정적해석을 이용하며 PSS/E에서도 정적해석을 주로 사용한다. 하지만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실제 계통에서는 실시간으로 값이 변한다. 정확한 해석을 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해석이 가능한 온라인 해석과 동적해석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EMS(Energy Management System)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EMS시스템 중에서도 실시간으로 취득 점으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와 해석 할 수 있는 정적 온라인 해석인 상태추정을 다룰 것이다. 오늘날 DC부하, DC배전망, 신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DC계통이 확산되고 있다. 이처럼 DC계통에 많은 관심과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DC계통에 접목시킬 수 있는 상태추정에 대한 해석과 사례연구를 통한 사용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Analysis methods in the power system are static analysis, dynamic analysis and online analysis, offline analysis. The static analysis is used for the existing power system analysis method and the static analysis is mainly used for PSS / E. However, in the real system where the value changes in real time which we are using, dynamic analysis is required which can be analyzed in real time for accurate analysis. Therefore, attention is focused on EMS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importance is increasing. Among the various EMS systems, we will cover state estimation, which is a static on-line analysis that can receive and interpret data from the acquisition point in real time. DC systems are spread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DC load, DC distribution, renewable energy. As such, much attention and attention are focused on the DC system.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the feasibility through the case study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state estim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DC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