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樂書孤存』에서 茶山의 樂器論(III) -『樂學軌範』의 笙을 비교대상으로-

        권태욱 한국음악사학회 2012 한국음악사학보 Vol.49 No.-

        Tasan 茶山 (a pen name of scholar Chŏng Yag-yong 丁若鏞) eagerly wanted music system to recover as original, therefore, Aksŏ kojon 『樂書孤存』 was written. This research spotlighted on the 11th volume of Aksŏ kojon, assuring what is Tasan's opinion and whether it is resonable, based on Chinese literature. Especially, this research intends to increase objectivity about saeng 笙 (mouth organ) comparing with Akhak kwebŏm 『樂學軌範』 (Guide to the Study of Music). The followings are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of all, Akhak kwebŏm cited “Big saeng is 19 kwan 管 (pipe), small saeng is 13 kwan, and u 竽 is 36 hwang” from Yesŏ 『禮書』, however, the pictures of Akhak kwebŏm indicate that both saeng and u are 17 kwan, and hwa 和 is 13 kwan. Therefore, each 17 kwan u, 17 kwan and 13 kwan should be changed into each 36 kwan, taesaeng 大笙 (large mouth organ) or sosaeng 巢笙, and hwa or sasaeng 小笙(small mouth organ). Second of all, as Tasan emphasized that saeng is 13 kwan and u is 36 kwan, most of kwan was 13 kwan and especially the majority of u was 36 kwan according to several Chinese literatures. Thus, his opinion is appropriate. Also, Tasan's opinion was assured valid since 12 saeng which Tasan emphasized was minutely written in Wŏllak chiak.『苑洛志樂』. Lastly, as a result of checking saeng's pictures of music books of Sago chŏnsŏ 『四庫全書』, there were various kinds of saeng and most of them had pipelike reeds such as them of Akhak kwebŏm. Also, today's reed instruments are similar to saeng of Ŏje Yullyŏ chŏngŭi hup'yŏn 『御製律呂精義: 後篇』, and Pŏnbu 番部 instrument of Ŏje Yullyŏ chŏngŭi hup'yŏn is mostly similar to today's reed instruments. 다산 정약용은 음악제도에 대한 본래대로의 회복을 간절히 원했는데, 『악서고존』은 바로 이러한 차원에서 집필된 문헌이다. 본 연구는 『악서고존』 권11의 笙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는데, 『악서고존』에서 다산의 주장이 무엇인지, 그 주장에 대한 타당성이 있는지를 중국문헌을 근거로 밝혔다. 특히 『악학궤범』을 비교대상으로 하여 笙에 대한 객관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악학궤범』의 생도(笙圖)에서 생은 17관, 화는 13관, 우는 17관으로 각각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악학궤범』에서 인용한 『예서』의 설명은 큰생(大笙: 巢笙)은 19관, 작은생(小笙: 和)은 13관으로 소개하고 있고, 다만 『문헌통고』와 『대성악보』는 각각 17관으로 소개하고 있다. 따라서 『악학궤범』의 생은 『예서』의 내용과는 관계없이 주로 『문헌통고』와 『대성악보』를 참고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악학궤범』에서 우(竽)는 36황이라고 『예서』의 내용을 인용했으나, 정작 『악학궤범』의 그림에는 17관으로 도설(圖說)하고 있다. 이른바 『악학궤범』에 인용된 『예서』의 내용과 우의 그림이 서로 일치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17관의 우는 36관으로, 17관은 큰생(大笙) 또는 소생(巢笙)으로, 13관은 화(和)는 또는 작은생(小笙)으로 수정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된다. 셋째, 다산은 『악서고존』에서 생은 13관, 우는 36관임을 강조하고 있는데, 여러 문헌을 고찰해본 결과 13관이던 19관이던 모두 생류의 악기이기 때문에 13관이 옳다고 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악학궤범』에서 우를 17관으로 도설하고 있는데, 여러 문헌을 종합해볼 때 36관의 우가 절대적으로 많았다. 따라서 다산의 우는 ‘36관’이라는 주장은 매우 타당성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다산이 강조했던 12생, 즉 황종생부터 응종생까지 12율의 생은 『원락지악』 뿐만 아니라 『문헌통고』와 『악서』, 그리고 『어제율려정의후편』 등의 문헌에서도 보이므로 어느 정도 다산의 주장이 옳다고 보았다. 넷째, 『사고전서』 중 악류에 소개된 생도(笙圖)를 검토한 결과, 오늘날 많이 사용되고 있는 17관은 청대 이후부터 널리 사용된 악기로 간주되었으며, 특히 『어제율려정의후편』의 번부합주악기(番部合奏樂器)가 오늘날의 생황과 가장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정책사업목표의 대상집단 모호성 : 목표모호성 하위차원의 개념, 측정, 그리고 타당화

        권태욱 한국행정연구원 2016 韓國行政硏究 Vol.25 No.4

        이 연구는 정책사업 목표모호성에 대한 이해를 진전시키기 위해 새로운 모호성 하위차원으로 대상집단 모호성을 제시하고 기존의 하위차원(우선순위 모호성, 평가적 모호성)과 함께 타당화하였다. 한국 중앙행정기관의 1,160개 정책사업을 표본으로 세 가지 모호성 차원의 측정지표에 대해 수렴 타당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통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타당도가 나타났다. 또한 새 하위차원과 기존의 두 하위차원을 상관분석으로 비교했을 때 대상집단 모호성이 우선순위 모호성 및 평가적 모호성과 구별되는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일무의 연행형태에 대한 새로운 접근

        권태욱 한국음악사학회 2008 한국음악사학보 Vol.40 No.-

        This study is to seek a new approach on the base of Tasan's view about how to emphasize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ilmu 佾舞 (ritual dance) which is related to Chinese culture in the 21st century when the cultural identity is seriously considered and our cultural difference from that of China is required. First, about the instruments which are used in Confucian shrine (Munmyo 文廟) and the sacrificial ritual for ancestral shrine of Royal family (Chongmyo cherye 宗廟祭禮), I prescribe the instrument that a pheasant's feather (ch'imi 雉尾) is on upright position as u 羽, and the instrument that pheasant's feather is on downward as wooden dragon's head, chŏk 翟. Second, I indicate that u should be used as the right instrument grabbed by right hand in the current Confucian ritual of shrine. Third, I point out the inconformity of the dancing type where a lance or a sword is carried in just one hand in current military dance of ilmu in the ancestral shrine. The reasons of inconformity are that they are not correspondent between Korean documentary records and Chinese ones, and that they are not in accordance with Orientalism which stresses the harmony between negative (ŭm 陰) and positive (yang 陽). Besides, this study is to seek a new approach to ilmu in terms of the origin of ilmu, the ancient formation theory of ilmu, and the new prospect of ilmu from the view of Tas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rigin of ilmu is a symbolic motion in the rituals to show the public morality of successful men in life. Second, ancient form of ilmu, as Tasan indicated, had some entertainment phrases including dramatic elements performed by sixty-four dancers who have unique clothes, characteristic meanings, and different dancing movements one another. Third, the study presents the invention of new Korean ilmu such as the story of King Taejo, Yi Sŏng-gye 李成桂 in Chosŏn on the presupposition that an emperor can not only create court dance and music, but a monarch can also create court dance and music in case that his majesty has much civil virtue. 본 연구는 문화의 독자성(獨自性)이 중시되고, 중국과의 문화적 차별성이 요구되는 21세기에, 중국문화와 관계있는 한국 일무(佾舞)문화의 독자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다산(茶山)의 견해를 중심으로 모색하였다. 첫째, 문묘(文廟) 및 종묘제례(宗廟祭禮)에서 사용되는 무구(舞具)와 관련된 내용으로 치미(雉尾)가 위로 올라간 형태의 무구를 우(羽)로, 꿩 깃털이 아래로 내려간 무구를 적(翟)으로 규정하였다. 둘째, 현행 문묘제례의 문무(文舞)에서 오른 손에 잡는 무구는 치미(雉尾)가 위로 솟은 우(羽)를 사용함이 옳다고 지적하였다. 셋째, 현행 종묘일무(宗廟佾舞)의 무무(武舞)에서 오른 손 한 손만 창(槍)이나 칼(刀)을 들고 춤추는 형태에 대하여 그 부조화를 지적하였다. 그 이유는 한국 및 중국 문헌과도 일치하지 않을 뿐더러, 음양(陰陽)의 조화를 강조하는 동양사상과도 어긋나기 때문이다. 일무형태의 새로운 방향모색을 위하여 일무의 기원, 고대 일무의 형태론, 그리고 새로운 일무형태의 전망을 다산의 견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제례의식에서 춤추는 일무의 기원은 성공한 사람이 공덕(功德)을 몸짓으로 표현한 상징적 동작이었다. 둘째, 고대 일무형태는 연극적 요소가 가미된 연희(演戱)와 같은 형태로, 곧 64명의 무용수(舞踊手)가 각각 고유한 의상(衣裳), 고유한 의미, 고유한 춤동작으로 행한다고 다산은 지적하였다. 셋째, 반드시 천자(天子)만이 악무(樂舞)를 창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공덕이 많으면 임금도 악무(음악과 무용)를 창제할 수 있다고 전제하고, 우리나라 태조 이성계의 예를 들어 새로운 한국적 일무창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茶山 著 『樂書孤存』 필사본의 비교 검토

        권태욱 한국음악사학회 2010 한국음악사학보 Vol.45 No.-

        This study was done to clarify the best and complete script through the comparison and examination of Aksŏ Kojon 『楽書孤存』 and find out the origin of printed Sin Chosŏnsa version 新朝鮮社本. In addition, it found bibliographic feature, and examined two contents of three kinds of the manuscript. At first, external errors in transcribed course―in other words, it evaluated the degree of completion while pointing out external errors of six parts. At second, while correcting typos and missing words in four kinds of Aksŏ Kojon, it aimed to confirm the best and complete script, and also to find the origin of Sin Chosŏnsa version. Most of all, it found the errors in three kinds of Aksŏ Kojon manuscript, dividing them into six examples. As a result after comparison and examination, Changsŏgak version 蔵書閣本 is not deemed the complete script, but an early-formed script. Kyujanggak version 奎章閣本 seems to have more errors than Berkeley's, however, it was designated as the best script since it consist of graceful writing, and having no modification and no dots called kwanju 冠註. Moreover, after researching the typos and missing words in four kinds of Aksŏ Kojon, the least typos and missing words are included in Berkeley version, and the most are contained in Sin Chosŏnsa version. Additionally, the manuscript which is the origin script of Sin Chosŏnsa version isn't at least Kyujanggak version, eventually, the origin of Sin Chosŏnsa version is compressed into Changsŏgak version or Berkeley version. To summarize, Changsŏgak version, Berkeley version, and Kyujangak version is listed in well-completed degree. Moreover, Kyujanggak version can be confirmed as the best Aksŏ Kojon, or the complete script. Finall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origin of Sin Chosŏnsa version is Berkeley version. 본 연구는 다산 저작 『악서고존』 필사본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해 『악서고존』의 선본(善本)과 『여유당전서』 정고본(定稿本) 확정의 객관적 자료를 제시하고, 활자본인 신조선사본의 저본을 찾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위해 필사본 3종에 대한 서지적 특징을 조명함과 동시에 크게 두 가지 내용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첫째, 필사 과정에 나타난 외형적 오류, 즉 여섯 분야의 외적 오류를 지적하여 필사본으로서의 완성도를 평가하였고, 둘째, 『악서고존』 4종의 오․탈자와 관련된 오류를 지적하여 『악서고 존』 선본과 정고본 확정에 객관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첫째, 『악서고존』 필사본 3종의 형태적 오류, 즉 필사 과정에서의 오류를 여섯 사례로 나누어 조명하였다. 비교 검토한 결과, 장서각본은 필체나 편집 체제 등으로 보아 최종 완성본이라기 보다는 초기 형태의 사본으로 보았다. 규장각본은 버클리본 보다는 필사과정에서의 오류는 다소 많지만, 전체적으로 정교한 편집형태는 물론이고 단아한 필체에다 수정 흔적과 관주(貫珠)가 전혀 없기 때문에 『악서고존』 필사본 중 가장 선본으로 규정지었다. 둘째, 『악서고존』 4종에 대한 오․탈자를 조사한 결과 『악서고존』 4종 가운데 오․탈자가 가장 적게 나타난 판본은 버클리본이며, 오․탈자가 많은 판본은 신조선사본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신조선사본이 저본으로 삼은 필사본은 최소한 규장각본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며, 결국 신조선사본의 저본은 장서각본이나 버클리본 이상 2종으로 압축되지만 버클리본을 신조선사본의 저본으로 보았다. 요컨대, 『악서고존』 필사본 3종에서 선행본은 장서각본, 버클리본, 규장각본 순으로 추측되며, 완성도면에서 가장 앞선 규장각본을 『악서고존』 선본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가 『여유당전서』 정고본 확정에 객관적 자료가 되기를 기대하였다.

      • 「樂書孤存」에서 茶山의 樂器論(II) -塤을 중심으로-

        권태욱 남북문화예술학회 2012 남북문화예술연구 Vol.0 No.10

        본 연구는 「악서고존」에서 다산이 비판하는 훈(塤)에 대한 핵심 관점이 무엇이며, 또한 다산이 주장하는 내용이 과연 옳은 지를 중국의 여러 문헌을 중심으로 조명하였다. 첫째, 다산이 제기하는 훈의 관점은 중국 고대 문헌의 제도와 현재 훈의 제도가 다르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즉 「악학궤범」처럼 한 종류의 훈만 소개하고 있는데 비해, 다산은 12율을 갖춘 12매의 훈이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산의 주장이 과연 타당성한 지를 가리기 위해 중국의 많은 문헌을 근거로 삼았고, 그 결과 다산이 지적한 바대로 중국 문헌에는 한 종류의 훈만이 아니라, 최소한 두 종류 이상의 훈을 소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다산이 강조하는 12율(律)의 12훈에 대해서는 「어제율려정의후편」에서도 12훈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훈의 종류와 관련하여 다산의 주장이 100% 옳다는 사실을 객관적 입장에서 증명하였다. 둘째, 다산은 「악서고존」에서 훈의 종류와 관련하여 비판을 위한 비판에 머물지 않고, 당시 잘못 전승되고 있는 형태적 모순을 바로 잡기 위해 직접 12율을 갖춘 12매의 훈 제도를 표본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자는 다산이 제시한 12율의 12훈 표본과 「어제율려정의후편」에 나타난 12매의 훈에 대한 자세한 수치를 환산하여 소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12훈 환산 자료들은 올바른 훈 제작에 중요한 단서가 됨은 물론이고, 앞으로 전개될 국악기 계승과 발전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丁若鏞의 『樂書孤存』에서 4청성(淸聲)론에 대한 검토

        권태욱,박정련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6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49

        This paper is for examining the essence of Sa-cheongseong(淸聲) and the errors of Sa-cheongseong about 12Yul(律), centering around <discussing that Sa-cheongseong(淸聲) arises> from discussion part, and <defending that 4Cheong(淸) is Cheong(淸) of 5Cheong(五 淸), not Cheongseong(淸聲) of 12Yul> from defense part in articles about Sa-cheongseong from Jeong, yak-yong’s 『Akseogojon』(樂書孤存). First, that Sa-cheongseongs are sounds among 5 sounds is the basic premise by Jeong, yak-yong. The reason is, a sound would be very low if it is lower than Gung(宮) and a sound would be very high if it is higher than Woo(羽). So he claimed that a saint made Cheongseong(淸聲) at Gung(宮)ㆍSang(商)ㆍGak(角)ㆍChi(徵). That is, the 9 sound system is finally made up of ‘Gung(宮)ㆍCheonggung(淸宮)ㆍSang(商)ㆍCheongsang(淸商)ㆍGak(角)ㆍCheonggak(淸角)ㆍChi(徵)ㆍCheongchi(淸徵)ㆍWoo(羽)’. Also Sa-cheongseong is same with ‘4Sang’(四上)ㆍ‘4So’(四少)ㆍ‘4Yun’(四閏)ㆍ‘4Byeon’(四變), and so is the system. Second, Jeong, yak-yong told <4Cheong is Cheong(淸) of 5Cheong, not Cheongseong of 12Yul>. This is the problem raised between 12Yul and Sa-cheongseong, which is not well recognized now in Korean Music Academia. Jeong, yak-yong criticized Chuyeon(鄒衍) and Yeobulwi(呂不韋)'s Seongungjibeop(旋宮之法), since he thought that they deliberately added 4Yul(律) to Yichik(夷則)․Namyeo(南呂)․Muyeok(無射)․Uengjong(應鐘) to make 5 sounds system so that it can play a role as Seongung(旋宮). Moreover, he thought that the newly-made 4Yul(律), Cheonghwngjong[潢], Cheongdaeryeo[汏], Cheongtaeju[汰], Cheonghyeopjong[浹], were named samely with Sa-cheongseong(四淸聲) of O-seong(五聲) by theorists so that there becomes an error for the article of Sa-cheongseong. In addition, he claimed that there is no reason to add 4 stairs to 6Yul(律) since it has several grades. and he thought if there were Cheongseong(淸聲) in 12Yul, all the 12Yul had to have Cheongseong. Thus, he raised a question about the reason they made only Sa-cheongseongs. And he also doubted who to follow because the articles of Sa-cheongseong about 12Yul are all different depending on theorists. Furthermore, this paper discusses whether Pyeonjong(編鐘) which has 16 bells is an original shape or not, focusing on ‘Sa(肆)’ of Gajong(歌鍾) 2Sa(肆) which Jung Dynasty person gave to Qin Dynasty marquis. In this part, the point is that we can not know what shape ‘Sa’(肆) has exactly, because there is no accurate standard letters such as ‘Sa’(肆) or ‘Do’(堵) which are from the difference of translation from Jeonghyeon(鄭玄) and Duye(杜預). Thus, I can't be sure if the 16 bells is 1Je(劑), which Jeonghyeon(鄭玄) translated with 『Jurye』(周禮) on the basis of Han(漢) Dynasty music system. Also, there is no sentence like that in scriptures. Therefore, Dasan(茶山) suggested a sentence, ‘Music instrument makes 12Yul as its custom, and 12Seong(十二聲) as its standard’ from 『Jurye』(周禮) 「Jeondongjik」 (典同職). And he doubted if we should believe and iconize Jeonghyeon’s annotation without considering any sentences in scriptures which could be significant grounds. Finally, he expressed the legitimacy of Pyeonjong(編鐘) which is made of 12 b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