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lash 방식 FMCW 라이다의 Coherent Detection 을 위한 Array Balanced Photodetector 연구

        권순욱(Kwon Soonwook),최선작(Choi Sunjak),백지은(Baek Jieun),김태근(Kim Tae Geun),이준호(Lee Junho)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 논문에서는 Flash 방식 FMCW 라이다 구현에 적합한 3D 및 4D 센싱을 위하여 Balanced photodetection 수신기법을 통한 2×2 Array BPD 를 연구한다. FMCW 라이다는 송신부, 믹싱부, 수신부로 구성했으며 이를 통해 비트 주파수를 수신하여 거리 정보를 획득했다. 2×2 Array BPD 는 4 개의 포토다이오드를 통해 수신되는 비트 신호를 반전증폭기와 차동증폭기를 이용하여 위상 반전 및 뺄셈 연산이 가능하도록 설계 및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

      • KCI등재

        The Tip Level of the Conus Medullaris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Cadaver Studies in Korean Adults

        Soonwook Kwon(권순욱),Tae Sik Kim(김태식),Hyung Soo Kim(김형수),Im Joo Rhyu(유임주) 대한체질인류학회 2016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9 No.2

        척수는 중추신경계의 한 부분으로, 척수의 아래쪽 끝의 이름은 척수원뿔이다. 여러 연구자들이 척수원뿔의 끝 부분을 자기공명영상 연구를 통해 보고하였고, 다른 연구자들은 시신해부연구를 통해 보고하였다. 자기공명영상 연구의 결과가 시신연구 결과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자기공명영상과 시신해부연구를 동시에 진행하여 척수원뿔의 높이를 알아내었다. 자기공명영상은 T1 강조영상이고 정중시상면의 2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나이 42.3±16.0세, 범위 12~85세). 시신연구는 118구의 시신을 해부하였다 (평균나이 56.0±14.9세, 범위 16~94세). 척수원뿔의 평균 높이는 자기공명연구에서 L1 척추뼈의 중간 정도였다 (범위, T12의 아래 1/3에서 L2의 아래 1/3까지). 그리고 시신연구에서는 L2 척추뼈 몸통의 위 1/3 높이에 위치하였다. 척수원뿔의 말단 끝이 자기공명영상에서 시신연구보다 더 높은 위치로 나타났다 (p<0.05). The spinal cord is part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its caudal end is named as the conus medullaris. Many researchers have reported the tip level of the conus medullaris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ies; others by cadaver dissection. The tip level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ies seemed to be higher than that of cadaver studies. We evaluated the tip level the conus medullaris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cadaver dissection in Korean adult population. MR data were scanned with T1-weighted, mid-sagitt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248 living persons (mean age, 42.3±16.0 years; range, 12-85 years) and cadaver data were collected by dissections of 118 cadavers (mean age, 56.0±14.9 years; range, 16-94 years). The mean level of conus tip was found to be at the middle third of 1st lumbar vertebra (range, lower third T12 - lower third L2) from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and the upper third of 2nd lumbar vertebra (range, lower third T12 - lower third L3) from cadaver dissection study. The tip level of conus medullaris from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was higher than that from cadaver dissection study (p<0.05).

      • KCI등재

        Spinal Nerve Position and Morphometric Analysis with Silicon Molds in the Cadaveric Lumbar Intervertebral Foramen

        Soonwook Kwon(권순욱) 대한체질인류학회 201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1 No.4

        척추사이구멍은 인접한 두 척추뼈와 그 사이의 척추사이원반으로 구성된다. 이전의 척추사이구멍에 대한 연구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이 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실리콘 주형을 이용해서 척추사이구멍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시신18구를 해부하여 허리의 척추사이구멍을 해부하였다. 첫째로는 척수신경의 위치를 측정하였다. 둘째로는 척추사이구멍을 덮고있는 모든 조직을 제거하여 척추사이구멍 단면의 가장 좁은 부위를 측정하였다. 조직이 제거된 척추사이구멍은 실리콘주형으로 채워졌다. 실리콘주형이 굳어진 다음에는 구멍에서 분리되었다. 단면으로 잘린 실리콘주형을 종이 위에 도장처럼 찍고, 그것을 컴퓨터에 저장하였다. 척추사이구멍의 주형의 면적, 둘레, 높이, 폭이 컴퓨터에서 분석되었다. 허리의 다섯 개 척추사이구멍에서 면적과 둘레는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둘째에서 다섯째 허리뼈에 걸쳐서 높이는 낮아지는 경향, 폭은 넓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높이와 폭은 다섯째 구멍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높이는 다른 구멍들 중에서 가장 낮았고, 폭은 가장 넓었다. 척수신경은 첫째에서 넷째허리뼈에서는 척추사이원반 근처를 지나갔고, 다섯째허리뼈에서는 척추사이원반 아래쪽으로 지나갔다. 이번 연구는 척추사이구멍의 3차원적 입체 구조를 실리콘주형으로 확인하였다. 기존의 평면적 연구에서 관찰되지 않았던 다른 성질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허리척추뼈에서 척추사이구멍의 면적과 둘레는 일정하였으나 높이와 폭은 전체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The intervertebral foramen is formed by two adjacent vertebrae and an intervertebral disc. Previous studies examining the foramen have been performed using various methods. The author obtained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rtebral foramen based on silicon mold. The author used 18 cadavers and dissected the lumbar intervertebral foramen. First, positional levels of the spinal nerve in the intervertebral foramen were measured. Second, after being removed all tissues covering the intervertebral, bony foramen was filled with melted silicon to mold the cross section. Subsequently, the solidified silicon mold was removed and stamped on a paper. The paper was scanned and analyzed area, perimeter, height and width of the intervertebral foramen on a computer. Area (average, 9.43 ㎟) and perimeter (average, 48.02 ㎜)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t pattern for any lumbar vertebral levels. However, the height and width significantly differed at the fifth lumbar vertebra, which had the shortest height (the fifth, 13.00 ㎜; average, 15.78 ㎜) and longest width (the fifth, 8.61 ㎜; average, 7.87 ㎜), although there were similar patterns in case of area and perimeter of the first to fourth lumbar vertebra. Height had a decrease tendency while width had an increase tendency both from the second to fifth lumbar vertebra. Spinal nerves went through near the intervertebral disc level from the first to fourth lumbar vertebra, although they passed below the disc at the fifth level. This study provides a different view of methodology for the 3-dimensional aspect for the intervertebral foramen. Results of this study may indicate that height and width of the intervertebral foramen changed along all lumbar vertebral levels; nevertheless, area and perimeter of the intervertebral foramen remained constant.

      • KCI등재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기반 플랜트 배관공사관리 프로세스 체계 구축

        문대윤,권순욱,Moon, Daeyoon,Kwon, Soonwoo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2

        플랜트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발주자의 공기단축을 위한 품질, 기술에 대한 요구가 커져가고 있다. 다른 건설 프로젝트에 비하여 플랜트 프로젝트는 방대한 규모와 복잡한 공정으로 인하여 프로젝트 참여자간의 의사소통, 작업의 중복, 오류, 누락, 재시공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참여자간 현장에서 부재, 장비, 공사에 관한 정보공유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배관공사관리를 위한 모바일 기반의 NFC, AR기술을 활용하여 프로세스 개선 및 시스템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세스 및 시스템은 현장에서 실시간적인 정보공유 및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 구축을 통하여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인 공사관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As plant market grows up, client demands to increase quality, technology and to reduce construction period. Due to the vast scale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complexity of process, plant project can have some problems of communication among the project participants, the duplication of work, errors and rework. As a result those cause more costs, delay the construction schedule and reduce productivity and quality. Therefore, real-time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real-time sharing of information such as material, equipment and construction are required in plant project site.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process and develop system using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with mobile device for plant construction site. Administrators and operators are able to work efficiently using proposed process and system which create an environment designed to share and deliver information such as material, construction information.

      • KCI등재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역설계 적용을 위한 최적 3차원 레이저 스캐닝 정보 획득 방안에 관한 연구 - 실내 리모델링을 대상으로 -

        이상설,권순욱,Lee, Sangseol,Kwon, Soonwoo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3

        최근 국내 건축경기 불황에 대한 방안으로 리모델링 시장이 신규 유망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리모델링 공사를 추진하는데 있어, 도면의 부재나 도면 정보의 부족 등으로 시공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설계 기술을 이용한 도면화 기술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현장에서는 역설계 기술의 정확도와 도면화 시간에 대한 정보부족으로 역설계 기술의 사용을 주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역설계 과정 중 3차원 형상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포인트 데이터 정밀도에 따른 측정시간과 오차를 분석하여 최적의 포인트 데이터 획득 정밀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Recently, remodeling construction project has been prevalently conducted in major city areas in Korea. However, remodeling construction project has a difficulty in conducting a construction because of non-existing drawing or lack of drawing inform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modeling techniques by using reverse engineering have been widely studied in other industries such as aerospace and automobile industry. But reverse engineering techniques have not been used in remodeling construction projects because those technology haven't supplied less accuracy during required time for surveying. So, this study suggests optimal method of acquiring accurate 3D laser scanner information for reverse engineering at interior remodeling project.

      • KCI등재

        국내 협업 설계 환경에서의 IFC기반 정보 교환 프레임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신중환,권순욱,이규협,최상덕,김진만,Shin, Joonghwan,Kwon, Soonwook,Lee, Kyuhyup,Choi, Sangduck,Kim, Jinma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5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6 No.1

        As recent multilateral collaboration design system has been advanced, BIM based data exchange is a key factor for successful next generation building project. Even 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trying to set up a data compatibility system for collaboration, There are still a lot of problem in data exchange between design and engineering phas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sis causes of problem for information exchange and suggest a IFC based Information exchange framework for improving BIM based design collaboration environment. In order to find out problems that hinder establishment of advanced open BIM information exchange, proper analysis about transition of process from current and to-be BIM based design collaboration process is important, at first. From analysis of main obstacles to information exchange, this research suggests solution plan using open API and IFC based BIM collaboration supporting system. The suggested open API solution named Integrity feedback system perform a role making up for weak point derived from IFC based data exchange. And main system suggestion about framework for IFC based information exchange reflect technological system support, requirement of function for collaboration including API/BCF plug-in. 최근 설계 협업 시스템의 점차 발전됨과 함께, BIM 기반의 정보교환이 차세대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에 주요 요소로써 작용하고 있다. BIM 협업 중 발생하는 데이터 호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다양한 BIM 저작도구로부터 생산되는 BIM 데이터의 교환은 디자인과 엔지니어링 분석 단계에서 발생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현업 설계 프로세스 내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정보 교환에 대한 문제점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BIM 기반의 설계 협업 환경의 개선을 위한 BIM 정보 교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Open-BIM 기반의 정보 교환 환경의 정착을 저해하는 요소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현재와 앞으로 수행될 BIM 기반 설계 협업 프로세스 환경변화에 대한 분석이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협업 설계 프로세스 내 원활한 정보 교환의 저해 요인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Open-API와 IFC기반의 BIM 협업 지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BIM 무결성 피드백 시스템이라 명명된 API 솔루션은 IFC 기반의 데이터 교환에서 발생하는 상호 불일치성을 판별하고 report를 작성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연구는 IFC기반의 정보 교환 프레임워크 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앞서 언급한 API를 탑재하고 있으며 BCF 플러그 인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통해 BIM 설계 협업 단계 내에서 정보 교환의 유연성을 도모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