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잠재성 개시제에 의한 에폭시 / 폴리우레탄 블렌드의 경화거동 및 파괴인성

        박수진 ( Park Su Jin ),석수자 ( Seog Su Ja ),강준길 ( Kang Jun Gil ),권수한 ( Kwon Su Han ) 한국고무학회 2004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ol.39 No.1

        본 연구는 열잠재성 개시제인 N-benzylpyrazinium hexafluoroantimonate (BPH)로 개시되어진 이관능성 에폭시인 diglycidylether of bisphenol A (DGEBA)와 변성 polyurethane (PU) 블렌드의 PU의 함량에 따른 경화거동과 파괴인성을 연구하였다. 블렌드의 경화거동은 시차주사열량계(DSC)와 near -IR을 통해 관찰하였고, 파괴인성은 임계응력 세기인자(K_(IC))와 임계 변형에너지 방출속도 (G_(IC)를 측정하였다. (K_(IC)는 전환율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는 PU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DGEBA의 하이드록실기 사이의 수소 결합이 증가함에 따라 블렌드이 가교밀도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판단되어 진다. In this work, the diglycidylether of bisphenol A (DGEBA) and modified polyurethane (PU) blends were initiated by N-benzylpyrazinium hexafluoroantimonate (BPH). The cure and fracture toughness of neat DGEBA with the addition of PU were investigated. The cure properties of DGEBA/PU blend system were examined by DSC and near-IR measurements. The fracture touhtnes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critical stress intensity factor (K_(K)) and the critical strain energy release rate (G_(K)).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aximum values of cure activation energy (E_(a)) and conversion (a) were found at 10 phr of PU. Also the K_(K) showed a similar behavior with the results of conversion. These results were probably due to increase of crosslinking density in the blends resulted from increase of the hydrogen bonding between the hydroxyl groups of DGEBA and isocyanate groups of PU.

      • KCI등재

        뇌 동맥류 진단에 있어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과 다중검출기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의 유용성 비교

        강현수,서선열,한동균,권수,심수정,조삼주,Khang, Hyun-Soo,Seo, Sun-Youl,Han, Dong-Kyoon,Kwon, Soo-Il,Shim, Su-Jung,Cho, Sam-Ju 한국의학물리학회 2011 의학물리 Vol.22 No.4

        본 연구는 뇌동맥류로 진단받은 환자 중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DSA)과 다중검출기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MDCT Angiography)의 영상을 비교하여 MDCT 혈관조영술에 대한 뇌동맥류의 선별검사로써 그 유영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병원에서 DSA을 시행한 후 뇌동맥류로 진단 받은 환자 중 MDCT 혈관조영술을 함께 시행한 19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DSA과 MDCT 혈관조영 장치의 영상에서 뇌동맥류의 유무를 분석하였고, 동맥류의 길이를 경부의 크기로 나누어 1보다 크면 경부가 좁은 협경 동맥류, 1보다 작으면 경부가 넓은 광경 동맥류로 분류하여 협경, 혹은 광경 동맥류인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DSA과 비교한 MDCT 혈관조영술의 뇌동맥류에 대한 민감도는 97.4%로 분석되었고, 협경 혹은 광경 동맥류의 일치도는 90.2%, MDCT 혈관조영술에서 뇌동맥류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가 2.5%로 경부의 평균 크기는 2.4 mm였다. 이를 통해 뇌동맥류 선별검사를 위하여 비침습적인 MDCT 혈관조영술은 침습적인 DSA에 비하여 높은 민감도를 보여 매우 유용한 검사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image between DSA and MDCT Angiography and to examine whether MDCT Angiography could be useful as a screening test for the diagnosis of cerebral aneurysm in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erebral aneurysm on DSA. Of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erebral aneurysm DSA at University Hospital, 194 patients who concomitantly underwent MDCT Angiography were enrolled in the current retrospective study. The methods for analyzing cerebral aneurysm were to analyze the presence of cerebral aneurysm on DSA and MDCT Angiography. In cases in which it exceeded 1, the corresponding cases were classified as narrow-neck aneurysms. In otherwise cases, they were classified as wide-neck aneurysms. Thus, a comparative analysis could be performed to ascertain if cases were narrow-neck or wide-neck aneurysms. As compared with DSA, the sensitivity of MDCT Angiography for cerebral aneurysm was measured to be 97.4%. The degree of consistency between narrow-neck and wide-neck aneurysms was 90.2% and the proportion of undetectable an at MDCT Angiography was 2.54%. mean size was 2.4 mm. It is expected that a non-invasive diagnostic modality for a screening test for cerebral aneurysm, MDCT Angiography might be a very useful regimen as compared with an invasive one, DSA.

      • Silicon PIN Diode을 이용한 X, r선 검출기에 관한 연구

        경광현,박기정,이인수,정진백,한상용,이해룡,권수 식품의약품안전청 1997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1 No.-

        본 연구에서는 유방촬영용 X선 장치를 이용하여 밀리암페어초는 8mAs로 고정하고 관전압(kV)를 22kV에서 28kV까지 1kV씩 변화 시키면서 silicom PIN diode를 이용한 방사선검출기의?작과 이의 특성들을 실험한 결과, 관전압변화에 따른 silicon PIN diode의 출력 차이는 BR type과 BQ type의 출력 V/mAs는 1.19~1.42배의 범위에서 증가하고 이었으며, 각각에 대한 기울기는 0.0937,0.092로 직성성은 매우 야오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일 관전압에서 X선 조사부에 따른 silicom PIN diode들의 출력은 모델과는 관계없이 diode의 좌측(left side)과 우측(right side)부분에서는 일치하였으나, 하측(lower side)에서의 출력이 상측(upper side)qhek 1.06~1.16배 큰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한편 동일 관전압에서 2개의 silicon PIN diode의 배치 방향에 따른 출력도 모델과는 관계없이 종축으로 또는 횡축으로 정렬 시키던 간에 동일한 것으로 각각 나타났고, 관전압변화에 따른 출력차이도 배치방향과 관계없이 거의비슥한 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표준γ선에 대한 silicom PIN diode의 성능측정 결과 BR type과 BQ type 모두 CS-137의 0.66MeV의 enerhy peak의 경우 8.3%,Co-60의 경우 1.17MeV와 1.33MeV에 대하여 각각 6.7%와 5.1%의 에너지분해능을 얻었다.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develop a small compact radiation detector with high quantum efficiency for X or γ ray. So, we measured and evaluated outputs of silicon PIN diodes. To perform this experiment, X-ray tube is positioned approximately 22 inch and expesure conditions are adjusted from 22 tV to 28 kV at intervals of 1 kV and B mAs with mammographic X-ray equipment.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With regard to outputs of silieon PIN diodes by the change of X-ray tube voltage, it revealed the linearity on eutputs of BR and BQ type was good, respectively. And it appeared that the outputs for upper & lower portion of silicon PTN diode at the same X-ray tube voltage was nearly same without regard to type of the diodes. But the outputs for left portion of the diodes was higher than right portien of it. We also found that the outputs for array directions of a couple of the diodes was nearly same from the horizontal or longitudinal array directions independent of their types. When tested with a standard Cs-137 γ-ray sources, the energy resolution of the silicon PIN diodes detector was 8.3% (0.66 MeV),6.7% (1.17 MeV) aud 5.1% (1.33 MeV) for Co-60.

      • X선관전압축정기 개발에 관한 연구 : 신호처리장치를 중심으로 On the Signal Process Unit

        경광현,박기정,이인수,정진백,한상용,이해룡,권수,문창호 식품의약품안전청 1998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2 No.-

        유방촬영용보선장치의 성능란리 목적의 일환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비젓속형 관전압흑정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1995년부터 계속 수행하여 온 연구결과를 토대로하여 이 측정기를 금년데 개발하였다. 이 측정기의_측정할수 있는 관전압떰위는 22~60 tV, 사용하기 위한 전원은 4개의 alkaline battery(1.5 Vx4개 ), 측정치에 대한 표시치는 4 digital LCD로 하였으며 , 필터의 선택 (Al 또.는 Mo)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측정기에 대한 기술적 차양을 핌가하기 위하여 x선칸초점~측isr기간거리는 so cm로 고정하고,관전압은 234~34 tV의 범위에서 2 tV씩 변화시켰으며, 밀리암페어초는 24 mAs(80 mA, 0.3 sec)의 X선조사조건을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X선조사조건애서 』선관초점~검출기간』리(15 cm~so cm)의 변화에 따른 관전압 측정치가 15㎝이상의 게리에서는 오차를 될 수가 업었으며, X선 중심에 파른 측정j'1의 러치변화(중심부터 상하좌우 6㎝까지)에 따른 관전압측정치의 변화는 5 tin 미만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X선관의 양극~음극측에 따른 측정기의 방향변화(중심에서 상하좌우)에 있어서도관전압측정치의 변화가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이 측정기의 재현성은 ±0.060%이었으며,불확도는 ± 0.53 %로서 A사의 digi1 kvmer :± 0.5 tV, B사의 digiI kV meter:±(1.0kv+2 %) 및 C사의 digitalkvmeter :츠 1.5 tV와 비교할 태 매우양호한것으로나타났다. The digital kV meter and the penetrameter are commonly used non-invasive methods in determining X-ray tube voltage of mammographic X-ray equipments. This study is to develop nonivasive electronic instrument(so called, "KFDA digital kV meter") for measuring X-ray tube voltages from mammographic X-ray equipments. We measured the distance dependence for focal spot to detector distances, position dependence and for a misalignment to X-ray central beam in X-ray KFDA digi. tal kV meter and evaluated uncertainty and reproducibility to kV value measured with developed digi? tal kV meter. To perform this experiment, the KFDA digital kV meter is positioned at 50 cm from focal spot and X-ray exposure techniques are adjusted from 24 kV to 34 kV at intervals of 2 kV and 24 mA: with mammographic X-ray equipment calibra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uncer? tain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KFDA digital kV meter was ± 0.53 % and ± 0.06 % A nd it revealed the distance dependence and position dependece were negligible for forcal spot to detector distances of cm or greater and for a misalignment of 5 cm or less at a distance of 50 cm,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