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olyethylene glycol처리과정 중 목재 치수안정성의 경시적 평가

        권구중,김남훈 한국가구학회 2002 한국가구학회지 Vol.13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asonable condition for better dimensional stability in woods by polyethylene glycol(PEG) treatment. Eight species grown in Kangwon-do were used for this study. Three species of softwoods(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Larix kaempferi) and two species of hardwoods(Prunus sargentii, Populus tomentiglandulosa) treated with 30% aqueous solution of PEG 1000 showed good dimensional stability under the treatment for 1 day.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Betula davurica,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woods increased with increasing treatment time.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PEG penetration and dimensional stability were affected by characteristics of wood species such as density and structure.

      • KCI등재

        PEG(Polyethylene glycol)처리에 의한 국내산 주요 소경재의 치수 안정화에 관한 연구

        권구중,김남훈 한국목재공학회 2002 목재공학 Vol.30 No.1

        PEG처리에 의한 국내산 주요 소경재 다섯 수종(소나무,.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의 치수안정성을 조사하고, 목재내의 PEG분포를 X선회절법에 의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공시수종 모두 PEG 30%의 수용액에서 좋은 치수안정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PEG농도 증가에 따라 PEG처리 목재의 중량증가율과 벌킹효과가 증가하였는데 침엽수재가 활엽수재에 비해 그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X선회절 결과, 잣나무는 만재와 조재 모두 2θ= 19°와 2θ= 23° 부근에서 PEG 결정유래의 피크가 출현하였으나, 신갈나무는 공권부와 공권외부에서 목재 셀룰로오스결정 이외의 PEG결정 유래의 피크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X선회절 결과는 잣나무재내에 신갈나무재보다 더 많은 양의 PEG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치수안정성이 큰 이유를 설명해 주는 증거의 하나로 생각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ree softwoods (Pinus densiflora S. et Z., Pinus koraiensis S. et Z., Larix kaempferi C_ARR.) and two hardwoods(Quercus mongolica F., Quercus variabilis B_L.) treated with polyethylene glycol(PEG). Existence of PEG in wood was examined by an X-ray diffraction method. Shrinkage of the sample wood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PEG.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five species had improved highly in thirty percent solutions of PEG with molecular weight 1000∼4000, and the dimension of PEG-treated softwoods was more stable than that of PEG-treated hardwoods. Weight gain and bulking effect of the woods treated with PEG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PEG. X-ray diffractograms of Pinus koraiensis wood treated with PEG showed two peaks derived from PEG crystal at 2θ= 19°and 2θ= 23°. However, the diffractograms of Quercus mongolica wood did not present any peaks caused by PEG crystal. From the result of X-ray diffrac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content of PEG in Pinus koraiensis wood was higher than that in Quercus mongolica wood.

      • KCI등재

        Polyethylene glycol (PEG) 처리에 의한 국내산 소경재의 치수안정화에 관한 연구 Ⅱ : 환경재와 산공재의 비교 Comparison of Ring-Porous Wood and Diffuse-Porous Wood

        권구중,권성민,김남훈 한국목재공학회 2003 목재공학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소경재의 보다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PEG처리한 활엽수재의 환공재 4수종(신갈나무, 굴참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과 산공재 4수종(산벚나무, 물박달나무, 층층나무, 은사시나무)에 대한 치수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수축률은 공시수종 모두 PEG처리에 의해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고, 산공재가 환공재보다 낮았다. 중량증가율은 PEG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고, 산공재가 환공재보다 다소 높은 증가율을 보여주었다. 벌킹효과는 PEG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분자량이 클수록 감소하였고, 산공재가 환공재보다 벌킹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산공재가 환공재보다 높은 치수안정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PEG처리재의 치수안정효과는 목재의 구조(도관의 분포상태 및 타이로시스 존재유무)와 밀도에 크게 영향받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wood treated with PEG for better utilization of domestic small-diameter logs. Four species of ring-porous wood(Quercus mongolica F_(ISCH), Quercus variabilis B-(LUME), Fraxinus rbynchopbhlla H_(ANCE), Paulownia coreana U_(YEKI),) and fore species of diffuse-porous wood(Prunus sargentii R-(EHDER), Betjal davurica P_(ALL), Populus tomentiglandulosa T. L_(EE), cornus controversa H_(EMSLEY))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The shrinkage of wood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PEG. The shrinkage of diffuse- porous woods was lower than that of ring-porous woods. The weight gain increased in proportional to the PEG concentration. Diffuse-porous woods showed a little higher weight gain than ring-porous woods. Bulking effect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PEG concentration, but was in inverse proportional to the molecular weight of PEG. Diffuse-porous woods showed higher bulking effect than ring-porous woods. Consequently, diffuse-porous woods showed better dimensional stability than ring porous woods. It was considered that dimensional stability was affected by characteristics of wood such as vessel and tylosis, and density.

      • KCI등재

        바이오매스 순환단지조성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방안 연구

        권구중,이수영,황재현,Kwon, Goo-Jung,Lee, Su-Young,Hwang, Jae-Hyu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4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2 No.4

        This research estimates the necessity of a better governance plan on the purpose of fulfillment energy recovery by building resource recycling system for biomass resources and waste resources that derive from agricultural and mountain village areas. The utilization of new renewable energy technology which uses waste and biomass sources diverse as variety of resources, collecting method, operator etc. and is structurally complicated the formation of policy is also very difficult. There is failure because of the problems which occurs from the policy led by government. Biomass Town Development Project should be made through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integrated support system and should be formed a consultative group in order to process the project mutually with these two department including the experts from the related areas. This consultative group, while government organizations carry out the hub function of strategic knowledge management, should carry out the control tower function to be able to be net working transfer the information with the cooperation of private and government so vitalize the communication area among the related actors. And to be able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local people the consistent and various educations should be given so a smooth business promotion progress will be desired through the change of perception and coactive participation of people.

      • < 전시-P-62 > MeOH 추출시간별 목타르 특성 비교

        권구중,양지욱,양봉숙,황교정,김대영,김진규 한국목재공학회 2018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1

        목재를 탄화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목타르는 가치가 낮은 연료로 사용되거나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목타르에는 귀중하고 유용한 화학물질인 페놀을 비롯한 많은 화합물들이 혼합되어 있다. 본 연구는 전통식 탄화로에서 제탄과정에서 생성된 목타르를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시간에 따른 목타르성분 특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전통식 탄화로에서 생성된 목타르를 MeOH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남은 잔사물 수율은 처리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다가, 24시간 처리시 수율이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C/MS에 의한 목타르의 성분분석은 phenols, hydrocarbon, esters, ketone, acid 등과 같은 화합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MeOH에 용해되지 않은 목타르 성분은 phenol 화합물들이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hydrocarbon 성분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외 대부분 ester화 화합물, 및 Silane, Cycloheptasiloxane 등과 같은 화합물들이 검출되었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들에 대한 시간에 따른 뚜렷한 경향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eOH에 용해된 목타르에는 ester화 화합물들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추출시간에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그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화합물들은 phenols 및 Silane, Cycloheptasiloxane 등과 같은 화합물들로, 추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ketone 화합물 및 hydrocarbon은 추출시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ALDI-TOF를 이용한 평균분자량 분석에서 MeOH 추출시간에 따른 분자량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시간에 따른 추출되지 않은 목타르와 추출된 목타르를 FT-IR을 이용한 분석에서 메탄올 추출시간에 따른 관능기의 뚜렷한 특징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목타르와 목초액로 처리한 낙엽송재의 Weathering 특성

        권구중,권성민,장재혁,전근우,김남훈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2011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27 No.1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eservation characteristics and weathering of larch wood treated with wood tar and wood vinegar, neglected under the circumstance of outdoor exposure, buried under ground, and deposited under water. Earlywood cell wall observed by optical microscope has been collapsed due to the fungi deterioration. This phenomenon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case of woods treated with wood tar and buried under ground. Relative crystallinity of woods treated with wood tar, exposed outdoors, and untreated wood buried under groud was highest at 63% while wood tar treated wood buried under ground was lowest at 4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