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베트남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이중언어교육 지원 실제 탐색

        권경숙 ( Kwon Kyung-sook ),이승숙 ( Lee Seung-su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다문화가정의 어머니가 자녀의 이중언어교육을 위해 실질적으로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지원하는지를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영유아들의 이중언어교육 지원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중언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베트남 다문화가정의 어머니와 자녀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반복적인 탐색과 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도출하고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는 일상생활 속에서 자녀와 함께 두 가지 언어를 즐기고 가정에서 접하는 여러 가지 상황을 놀이화하거나 자녀가 흥미로워하는 사물이나 동물 이름 등을 두 가지 언어에 접목시켜 자녀가 자연스럽게 이중언어를 경험하도록 지원하였다. 둘째, 자녀의 이중언어교육을 위한 지원과정에서 베트남 다문화가정 어머니는 혼자서 두 가지 언어모델자가 되어야 한다는 부담감과 주변인들의 지나친 관심과 반대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한국어 중심으로 양육했던 자녀의 베트남어 교육 거부를 극복하여 이끌어가는 과정과 뒤늦게 시작한 자녀의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흥미를 지속시켜야 한다는 부담감이 어머니에게 어려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a multicultural family’s mother tries to support her children in bilingual education and to analyz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to find a practical venue to help multicultural children in Korea. For this purpose, a Vietnamese mother and her three children were chosen.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to collect data. Results were drawn by repeatedly reading and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Vietnam mother enjoyed using two languages in the family’s daily life. She introduced her children to have natural experiences by transforming various daily situations into games, and combined the children’s interest elements such as animals or objects’ names with two languages. Secondly,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bilingual children, multicultural mother felt pressured to be a role model for two different languages. She also faced excessive interest or scorn from people around her. Furthermore, overcoming that her children, who are being raised in a Korean environment refuse to learn mother’s language, and keeping their interest in bilingual education, were the hardest tasks for a multicultural family’s mother.

      • KCI등재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과 인식 탐색

        권경숙(Kyung-sook Kwon),황인애(In-ae Hwang),이승숙(Seung-suk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어떠하며, 교사 공동체 활동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을 실천하며 경험한 과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S대학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 24명을 대상으로 2022년 1학기에「유아교사 세계시민교육역량 강화 세미나」 교과를 개설하여 15주 동안 수업을 운영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교육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집단면담 및 전문가 특강과 현장학습 진행 후 개별 후기, 수강 후 수강생들이 기술한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세계시민교육 수업을 통한 유아교사의 경험은 ‘나로부터의 변화와 실천’을 시작하기, ‘함께, 같이’의 중요성 인식하기, 다양성과 역지사지의 의미를 되새기기로 구분되었다. 이와 함께 본 수업을 통해 가지게 된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은 상호책임과 성장을 위한 필수 교육, 유아기부터 이루어져야 할 기본 교육, 좋은 세상 만들기 교육으로 구분되었다. 결론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세계시민교육은 교사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세계시민교육역량을 높이고자 하는 동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교육대학원이나 고등 교육기관에서 현직 유아교사 예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세계시민교육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과목 편성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으며, 유아교사가 세계시민교육을 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교원 연수 및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사 학습 공동체 운영 등 다각적인 차원에서의 교사 지원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bout how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s changed throughou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 classes and to explore GCE experience in teacher community activities. Methods For this study, ‘A seminar to empower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d opened for 15 week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This seminar was targeting 24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studying 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is in the metropolitan area. All the data had been collected and analyzed by individual student reviews of a group interview, a field trip, a special lecture, and an open questionnaire made by previous students. Results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 class experience is divided into ‘Start to change from me first’, ‘Recognition of togetherness’, and ‘Reciting diversity and putting oneself in someone else’s shoes. The meaning of GCE has been defined in three sections through this study: essential training for growth and mutual responsibility; basic education, which needs to be taught since infancy; and education for making a better world. Conclusions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arge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the meaningful output of improving understanding of GCE and encouraging a global citizen mindset. Therefor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organize a lecture to reinforc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current and future children’s educators.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for a support plan from various perspectives so that children’s educators can keep practicing GCE in the education field, such as training teachers and running a teacher community for GCE.

      • 한국국민의 주택가격 동향에 대한 기대심리 분석

        오만숙(Man-Suk OH),오현숙(Hyun-Sook OH),권경숙(Kyung-Sook KWON)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09 아태경상저널 Vol.1 No.1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한 금융위기로 각국 증권시장은 폭락했고 그 영향은 실물경제에까지 미치기 시작했다. 한국 경제 또한 원ㆍ달러 환율은 1500원대까지 급등했고 정부는 시장의 동요를 막고자 외환 보유고까지 풀어 대응했지만 주가는 반 토막 났고 부동산 거래는 끊겼다. 강남불패 신화가 무너지면서 국민들의 자산 가치는 급락했다. 2007년 말부터 서울 강남권과 버블 세븐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떨어지기 시작해 2008년 하반기 들어서는 전 지역으로 하락세가 확산됐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실물경기에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소비심리가 얼어붙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2008년 전국의 아파트값은 2000년 이후 첫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했다. 이렇듯 주택가격은 실물경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이는 한국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주택금융과 관련된 변수들의 통계적 분석은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한 향후 주택가격 동향의 파악과 정부의 부동산대책 수립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의 일환으로 본 논문에서는 2008년 국민은행 부동산 LAB에서 실시한 주택금융수요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한다. 여러 가지 변수 중 특히 2009년 주택가격 동향에 대한 기대심리, 즉, 조사시점을 기준으로 1년 후의 주택 시장에 대한 예측을 중심으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한다. 1년 후 주택가격 동향에 대한 기대심리는 주택가격이 오를 것인지, 내릴 것인지, 그대로 있을 것인지 3개의 범주를 갖는 범주형 변수로 관측되었으므로 이에 적합한 다범주 로짓 모형을 사용하여 국민들의 주택가격에 대한 기대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설명변수들을 찾고 유의한 설명변수들과 기대심리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The financial crisis in 2008, caused by risky sub-prime mortgages in the United States, has brought a plunge in stock markets around the world, and Korea could not escape from its strong impact. The exchange rate of Korean won to U.S. dollar jumped to 1500 won per dollar. Korean government's attempt to soothe the volatility and prevent the unrest in markets failed despite its desperate measure of releasing the foreign exchange reserve. Stock prices dropped to a half the original value and the property market fell into hibernation. Since late 2007, property prices in Gang- Nam and the regions in Korea as known as Bubble Seven have started to decline. This downturn became nation-wide pace in late 2008. It is becaus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had a negative impact on consumer purchase behavior. For this reason, prices of apartments in Korea recorded minus volatility for the first time since 2000. Especially in Korea, housing price has a great impact on real economy. Thus,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housing price would be useful for Korean government to get information about market expectations for future housing prices and to establish government policy for real estate markets. As a part of analyzing varaibles related to housing price in Korea, we analyze data from '2008 Demand Survey for Housing Finance' conducted by KB Bank (former Kookmin Bank) of Korea.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expectancy towards the trend of 2009 housing price which is observed in three categories; a) it will fall b) it will be the same c) it will rise, within one year. We find variables which significant affect the expectancy variable and study the impact of these variables using multi-category logistic regression model.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승숙(Lee, Seung-Suk),권경숙(Kwon, Kyung-Soo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를 주제로 한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분석․고찰함으로써 현재까지의 선행연구들의 경향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7년 10월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 ‘다문화가정 영유아 및 아동의 이중언어 사용, 경험 또는 이중언어 교육을 주제로 한 논문 총 89편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의 연도별,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2년부터 최근까지 이중언어 관련 논문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2012년「다문화 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이 발표되고 이중언어 교육 강화를 추진과제로 설정하면서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이와 관련한 연구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둘째, 연구주제는 이중언어 관련 이론 및 정책 방안 모색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실태 조사, 인식 및 태도 등의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은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부모대상 연구가 많았으며, 특히 결혼이민자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연구유형을 분석한 결과 질적 연구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연구가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질적 분석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bilingua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looked at 89 published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thesis papers from 2006 to October 2017. The analyzed research topics included infant and child bilingual language usage, experience and bilingual education. These conclusions then became the foundation to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regarding bilingua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the result of the annual research distribution analysis showed a sharp increasing trend in bilingual research from 2012 to present. In 2012, the government started a policy to strengthen bilingual education. As a result, interest and research in bilingual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creased from 2012. Secondly, the analysis of research themes showed that bilingual related theories and research to create new government policies had the highest percentage. Following this, the two most popular themes were the current situ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ilingualism and development. Third, the analysis of research subjects showed that children and infants were the most popular research subjects. After children and infants, adults were the most popular research subjects. If we separate adults into mothers and fathers, father based papers were especially insufficient as there were only 3. Fourth, analysis of research types showed that qualitative research,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as the most popular. Following this, quantitative method was the most popular and within quantitative papers, difference analysis was the most popul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