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栢巖(백암) 金륵(금륵)의 삶과 「임영록(臨瀛錄)」에 나타난 심상지리

        권경록 ( Kyong Rok Kwo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8 No.-

        이 글은 栢巖 金륵이 광해군대 초기 강릉부사로 좌천되어 있을 때 지은 시집 「임영록」을 중심으로 그의 삶과 심상지리를 밝힌 것이다. 광해군은 즉위 2년인 1610년에 사후 30년이 지난 생모 恭嬪金氏를 추숭하여 慈淑端仁恭聖 王后로 삼고, 그 묘소를 성릉(成陵)으로 부르게 했다. 이에 김륵은 「봉자전추숭후 청정진 하반사계」를 올려 공빈김씨의 별묘추숭이 예법에 어긋남을 논하고, 그것을 감쇄할 것을 주장했다. 김륵은 이 사건으로 인해 1610년 6월에 강릉부사로 좌천되고, 다음해 12월 파직되어 시골로 쫓겨났다. 「임영록」에는 번뇌와 초탈의 극단을 오가는 김륵의 심리가 극명하게 나타난 다. 「임영록」에 드러나는 김륵의 심상은 ① 선경의 동경 ② 불변의 충심 ③ 하소연 ④ 체념으로 범주화 할 수 있다. 이러한 심상은 ‘선계’, ‘매화’, ‘단심’과 ‘눈물’, ‘신선’과 ‘학’ 등의 단어로 대체, 상징되어 표상된다. 선명하게 드러나는 김륵의 심리 변화와 상징은 내·외면의 부조화와 강박적 은유가 반영된 결과이다. 내적 지향과 광해군대 혼란한 정국 사이의 괴리가 남긴 정신적 피로감과 상흔에서 비롯된 김륵의 극단적 심리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지수부’와 ‘차귀거래사’에서 찾을 수 있다. 김륵에게 있어서 ‘지수(止水)’로 상징되는 물은 곧 ‘청정’, ‘수신’, ‘불변’의 심상이었고, 군자의 길을 찾아가는 매개였다. 김륵의 귀거래사에는 영원히 이별하는 단념의 심리가 아닌, 서울에 대한 미련과 귀향에 대한 희망이 교차되어 나타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life and imaginative geography of Baekam Kim Reuk with his collection of poems 「Yimyeongrok」 he wrote when he was demoted to the Busa of Gangreung during the early days of Gwanghaegun``s reign. On the second year of his reign in 1610, Gwanghaegun decided to worship his birth mother Gongbin Kim, who had been dead for 30 years, granted her the title of Queen of Jasukdaningongseong, and gave an order to move her tomb to Seongreung. Kim Reuk submitted 「 Bongjajeonchusunghu Cheongjeongjinhabansagye」 discussing how his decision to worship Gongbin Kim and move her tomb would violated the decorum and insisting on the retraction of his decision. He was subsequently demoted to the Busa of Gangreung in June, 1610 and was dismissed from office and driven to the country in December the next year. His 「Yimyeongrok」 clearly shows his psychology shifting between the extreme ends of agony and transcendence. His mental images in the collection can be categorized into ① his yearning for a fairyland, ② his unchanged loyalty, ③ his complaints, and ④ his resignation. His mental images were replaced, symbolized, or represented in such words as ‘fairyland’, ‘plum blossom’, ‘single-heartedness’, ‘tears’,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and ‘the crane’. The clear manifestation of his psychological changes and symbols was the result of him reflecting the disharmony between his in and outside and his compulsive metaphors. ‘Jisubu’ and ‘Chaguigeoraesa’ offer some clues to understand his extreme psychological changes derived from his mental fatigue and wounds caused by the gap between his internal orientation and the confusion political situations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 For him, water represented by ‘Jisu’ was the imagery of ‘purity’, ‘moral training’, and ‘invariability’ and the medium of finding his way to the path of noble man. His Guigeoraesa displays an intersection between his lingering affection toward Seoul and his hope of returning to his hometown rather than his psychology of abandonment for eternal farewell.

      • KCI등재

        18세기 지식인의 공간인식과 심상지리

        권경록(Kwon kyong-ro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1 동양한문학연구 Vol.32 No.-

        이 글은 『여강록』을 중심으로 18세기 지식인 石北 申光洙의 공간인식과 심상지리를 밝힌 것이다. 신광수는 18세기 조선의 정치현실에서 좌절감을 맛본 南人 지식인이었다. 그는 당시 조선이 직면한 정치현실에서 절감한 좌절감과 당대의 문화지형 속에서 자신이 체험하고 목격한 여주 ‘여강’을 기존의 문학작품에서 보이는 것과는 또 다른 의미의 그만의 장소로 의미화 시킨다. 이는 여주 ‘여강’에 대한 재발견이며, 18세기 지식인의 의식적장소 만들기이다. 18세기 소외된 남인 지식인에게 산수자연은 현실의 삶에서 발생하는 정신적 갈등과 모순에서 벗어나 균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공간이었다. 18세기 지식인 신광수의 의식적 장소 만들기에 의해 만들어진‘여강’은 자신의 처지에서 오는 울분을 벗들과 교유하고 자연과 교감하면서 해소하는 소통의 場이었다. 신광수는 신분적 한계를 절감하면서 知友들과의 산수유람을 통해 시를 수창하며 내적 고뇌를 해소했다. 나아가 지속적으로 同人들과 교유를 이어가며 학문적으로 동질감을 유지해 나갔다. 따라서 그의 시에 표상된 여주 ‘여강’과 한강 물길은 정치적으로 소외된 현실적 좌절감을 해소하고 중앙으로의 접근을 의미하는 심상의 장소였다. 표면적으로 신광수에게 여주 ‘여강’은 유람과 체험의 대상인 산수자연이었지만, 심층적로는 堪輿說로 대표되는 그의 공간인식이 구현된 현실정치의 영역으로서의 장소였으며, 한강 물길은 그 통로였다.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spatial perception and mental geography of Seokbuk Shin Gwang-su, an 18th-century intellectual, based on his Yeogangrok. Shin was a Namin intellectual that experienced frustrations from the political reality of Joseon in the 18th century. With his frustrations with the political reality of Joseon in those days and his experiences and eyewitness accounts with "Yeogang" of Yeoju in the cultural geography of the times, he beautified it as a place of his own in different meaning from the old literary works. It was a re-discovery of "Yeogang" of Yeoju and an 18th-century intellectual's conscious place-making. To the Namin intellectuals who were alienated in the 18th century, nature including the mountains and waters was a place where they could shed off their mental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and pursue balance and harmony. "Yeogang," which was born out the conscious place-making of Shin Gwang-su, an 18th-century intellectual, was a "place of communication" where he could share his pent-up rage derived from his situations with his friends and exchange with nature. Experiencing his social status limitations fully, he promoted poetry by making an excursion to mountains and rivers with his close friends and resolved his internal agony. In addition, he maintained academic consensus with his fellow members, continuing to have social intercourse with them. Thus Yeogang of Yeoju and the waterway of Han River described in his poetry were mental places where he would resolve his realistic frustrations derived from his political alienation and attempt to approach the center. Yeogang of Yeoju was the nature containing mountains and waters he would explore for excursion and experience on the surface and the domain of realistic politics where his spatial perception, which was represented by Gamyeoseol, was embodied on a deeper level. The waterway of Han River was a gateway to it.

      • KCI등재

        松谷 李瑞雨의 「赤壁賦集字 各體四十首」에 나타난 流配의 재현과 그 의미

        권경록(Kwon, kyong ro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7 동양한문학연구 Vol.48 No.-

        이 글은 松谷 李瑞雨의 유배문학 「赤壁賦集字 各體四十首」에 나타난 유배와 유배지 표상 방식이 갖는 의의, 고난을 극복하는 코드로서의 유배 재현에 내포된 심리 여정이 함의하는 것을 밝히는 데에 논의의 초점을 두었다.「赤壁賦集字 各體四十首」는 17세기 조선의 정국동향과 이서우의 정치적 상황에 대한 대안적 반응이라는 맥락에서 이해했다. 17세기는 왕권을 중심으로 정치세력의 역학관계가 복잡하게 전개되던 시기였다. 이서우는 麟 坪大君의 아들 三福 등과 어울려 詩社를 열고 駱洞唱酬錄을 남겼다. 이 활동이 빌미가 되어 庚申換局으로 서인이 집권하자, 富寧, 靑巖 등지로 유배되었다. 이서우는 고난에서의 탈출 방법으로 소식의「赤壁賦」를 수용, 재현했다.「赤壁賦集字 各體四十首」 는 7언 율시 4수, 5언 율시 6수, 7언·5언 절구 각 10수, 5언 고시 10수 1344자로 이루어졌다. 구성은 7언·5언 율시 10수, 7언 절구 10수, 5언 절구 10수, 고시 10수로 의미 단락을 이루어 4단 구성을 보인 다. 표현과 내용 면에서「赤壁賦集字 各體四十首」는 소식’과 ‘적벽’, ‘이서우’ 와 ‘청암’의 대비 속에赤壁賦와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赤壁賦集字 各體 四十首」에서는 17세기 조선 정국에서 이서우가 처한 고난의 실체와 그것을 극복해 가는 한 인간의 욕망의 여정이 펼쳐진다. 이서우의 심리는 ① 현실인 식, ② 내면화, ③ 대체, ④ 승화 과정으로 이행되며, ‘소식’, ‘적벽’, ‘선유’, ‘신선’, ‘미인’, ‘날개’, ‘남쪽’ 등의 단어로 대체 상징된다. 이들은 ‘소식’과 ‘이 서우’, 黃州 ‘적벽’과 靑巖 ‘청벽’, ‘신선’과 ‘인간’, ‘남쪽’과 ‘동쪽’ 등의 대비 속에 선명하게 나타난다.「赤壁賦集字 各體四十首」에서 한양은 仙界로 설정되는 청암과 대립되는 기호체계로 구축된다. 이서우는 국토의 북쪽 끝 청암을 벗어나 한양으로 돌아가기를 갈망하며 한양을 찾아가는 길, 즉 매개적 공간에서 소식과 적벽을 매개로 선계를 상상한다. 이서우에게 한양은 자아의 이상이 존재하는 곳이 며, 한양과 선계를 갈망하는 까닭은 이상적 자아로 거듭나기 위한 것이다. 이서우의 심리 변화는 자기방어기제가 작동하는 과정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소식을 동경·회고하고 내면화함으로써 부정적 자기 현실을 지우고 눈앞의 정신적 고통을 대체시켜 삶의 긍정적 에너지로 변화시키려는 심리작용이다. 이서우의「赤壁賦集字 各體四十首」에 나타나는 공간 기호체계의 구축과 해체의 양상은 이러한 욕망을 일관적으로 암시하고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significance of the ways that Songgok Lee Seo-woo represented his exile and the place of his exile in his exile literature titled Jeokbyeokbujipja Gakchesasipsu and also the implications of his psychological journey connoted in his reproduction of exile as a code to overcome hardship. HisJeokbyeokbujipja Gakchesasipsu was understood in the contexts of trends in the political situations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and Lee s alternative responses to the political situations. In the 17th century, the dynamic relations of the political power developed in complicated ways around the royal authority. Lee got along and discussed current events with Sambok, a son of Inpyeongdaegun, and left N ak do n gc han g s u r o k . The Seoins raised Gyeongshinhwanguk, citing these activities as an excuse. Once they seized power, the ones on their opposite side were banished to Buryeong, Cheongam, and other places. Lee accepted and reproduced The Battle of the Red Cliff by Su Shi as a way of escaping his suffering. Lee s Jeokbyeokbujipja Gakchesasipsu consists of four Yulsis in 7 Eon, six Yulsis in 5 Eon, ten Jeolgus in 7 and 5 Eon, each, and ten Gosis in 5 Eon, totaling in 1,344 letters. Its organization is in four layers with the semantic paragraphs grouped in ten Yulsis in 7 and 5 Eon, ten Jeonggus in 7 Eon, ten Jeolgus in 5 Eon, and ten Gosis. In terms of expression and content, it shows similar patterns to The Battle of the Red Cliff in the contrast of Su Shi and Lee Seo-woo and Red Cliff and Blue Rock. Jeokbyeokbujipja Gakchesasipsu depicts the true nature of Lee s hardship in the political situations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and his journey of desire as a man to overcome the hardship. His psychology evolves in the process of ① recognizing the reality, ② internalizing it, ③ replacing it with something else, and④ sublimating it. His mental states are replaced and represented by Su Shi, Red Cliff, Seonyu,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beautiful women, wings and the south, which appear clear in the contrast of Su Shi and Lee Seo-woo, Red Cliff in Hwangju and Blue Wall in Cheongam,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and human being and south and east. In Jeokbyeokbujipja Gakchesasipsu, Hanyang is established in a sign system opposite to Cheongam set as a world of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s. Lee has such a yearning for returning back to Hanyang by escaping Cheongam at the northern tip of the country and imagines a world of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s on the way to Hanyang or a medium space via Su Shi and the Red Cliff. Hanyang is the place where his ideal of ego lies, and he longs for Hanyang and the world of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s to emerge as an ideal ego. His psychological changes can be understood in a process of activating his self-defense mechanism. That is, it is his psychological action to erase the negative reality by yearning for, recalling, and internalizing Su Shi, replace his spiritual pain before his eyes, and turn it into positive life energy. The patterns of constructing and dissolving the spatial sign system in his Jeokbyeokbujipja Gakchesasipsu imply such desire of his in a consistent manner.

      • KCI등재

        ‘太白五賢’의 삶을 통해 본 奉化地域의 文學地理

        권경록(Kwon Kyong-rok)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8 No.-

        이 글은 17세기 ‘태백오현’의 삶과 문학을 통해 문학지리학의 관점에서 봉화지역의 사회적 상징성을 밝힌 것이다. 병자호란의 치욕을 인정할 수 없던 17세기 조선의 지성, ‘태백오현’은 도연명과 백이?숙제의 정신으로 봉화 태백산에 은둔했다. 그들은 은둔의 공간에서 고독한 삶을 살아가며 많은 문학작품을 남겼다. 태백산과 그 삶을 표상하는 ‘태백오현’의 문학은 크게 두 가지 양상을 보인다. 하나는 수려한 자연경관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태백오현의 모습이 투영된 삶의 묘사이고, 다른 하나는 치욕의 현실과 곤궁한 삶에서 오는 내적 고뇌의 드러냄이다. 17세기 봉화 태백산에서 보이는 ‘태백오현’의 행적과 문학은 그들의 공간인식과 시대성을 구현하고 있다. 즉 한양과 격리된 영남의 궁벽한 공간이 ‘중앙’이라는 정치?문화 중심지의 기억과 17세기적 아픔을 공유하는 새로운 주체 ‘태백오현’에 의해 새로운 공간으로 재구성, 재해석되며, 그들의 삶은 17세기적 맥락을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17세기적 동력에 의해 생산된 주체의 감각과 시선이 ‘17세기 태백산’이라는 공간을 새롭게 의미화하고, ‘특별한 장소’로 만들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는 ‘태백산’이 17세기 세계가 작동하는 원리의 집결지이고, 동시에 당시 조선 지성의 방향성이 구현된 하나의 현장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태백산은 치욕의 상처를 안고 벼슬을 버리고 산수에 묻혔던 17세기 조선 지성들에게 자기위안의 공간이었으며, 자기방어기제가 작동하는 장소였다. This paper has described social symbolism of the ‘Bonghwa Area’ as seen from point of view of literary geography on the basis of the life and literature of the ‘Five Sages of Taebaek’ in the 17th century. The ‘Five Sages of Taebaek’, as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couldn"t take for granted the disgrace of the Manchu War of 1636, and secluded themselves from society so that they could live in Mt. Taebaek in Bonghwa following the spirit of Do Yeon Myeong and the Baegie-Sukjeh brothers. They left a number of writings that had been made during their lonely lives in the secluded space. The writings of the ‘Five Sages of Taebaek’ that symbolize Mt. Taebaek and their life in there, are showing two prominent aspects. One is the expression about the place of beautiful natural scenery as well as about the life where images of the ‘Five Sages of Taebaek’, who lived there, were reflected. The other one is the revelation of their inner conflict that originated not only from the reality of disgrace but also from their impoverished life. The traces and literature of the ‘Five Sages of Taebaek’, as shown by Mt. Taebaek of the 17th century, are revealing their space awareness and sense of the times. In other words, the indigent space of Yeongnam as isolated from Hanyang is reconstructed and reinterpreted by means of the memory of being a political and cultural ‘Center’ and also by means of the new principal agents of the ‘Five Sages of Taebaek’ who were sharing the 17th century-like pains, thus their lives are revealing the 17th century-like context. This means to be the fact that the senses and eyes of the principal agents that were produced by the 17th century-like power are re-signifying the space of ‘17th century Mt. Taebaek’ and making it to be a ‘Special Place’. Also, this means that Mt. Taebaek was a gathering place for the principles that would operate the 17th century world and at the same time it is meant to be an actual site where the directivity of intellectuals was realized for those in the Joseon Dynasty in those days. Mt. Taebaek in Bonghwa was a space for self-consolation as well as a place where self-defense mechanism was operating for the 17th century Joseon"s intellectuals who lived deep in the mountains and streams quitting any government positions while having a broken heart of disgrace.

      • KCI등재

        『斜川詩帖』에 나타난 문인들의 문학공간과 그 형상화

        권경록(Kwon Gyeong rok) 동악어문학회 2007 동악어문학 Vol.49 No.-

        이 글은 『斜川詩帖』의 소개와 함께 시첩에 수록된 詩文을 통해 17세기 문인들의 文學空間과 그 形象化에 대하여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시첩은 光海朝 연간 한강상류 楊平 龍門山 부근 斜川의 승경을 읊은 문인들의 시문을 모은 시첩이다. 『사천시첩』에는 「斜川八景圖」와 함께 1618년부터 1646년에 걸친 당대의 대표적 문인 34명의 시문이 수록되어 있다. 시첩에 書畵가 들어가는 것은 17세기 詩書畵帖 제작방식의 특징적인 형식이다. 시문을 쓴 대부분의 문인들은 李好閔과 친분관계가 있는 문인들로서 李安訥의 東岳詩壇과 劉希慶의 沈流臺詩社 들을 통해 이호민과 문화적으로 교유한 인물들이다. 『斜川詩帖』은 17세기 문인들의 의식에 내재된 문학공간에 대한 인식과 그 문학적 형상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이는 八景詩와 陶淵明의 시를 차운한 시들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첩은 17세기 당시 문화와 문인들의 교유관계를 가늠할 수 있고, 문학공간과 그 형상에 대한 조선후기 문인들의 의식의 흐름의 일면을 문학사적 관점에서 조명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이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Sacheonsicheob』 and to explore the literature space of literary man in 17th century and its shaping through the literary works covered in this poetry book. This book is the collection of literary mans who recited beautiful scene of Sacheon around Mt. Youngmun, Yangpyeong upstream Hanriver during Gwanghae dynasty. 『Sacheonsicheob』 covered poetry of 34 famous literati of the times from 1618 to 1646 together with 「Sacheonpalgyeongdo」. Pictures in the poetry book is the characteristic form of production type of poetry book. Most literary men are acquainted with Lee Ho Min and culturally exchanged relationship through Chimryudashisa of Yu Hee Kyeong and Dokaksidan of Lee An Nul. 『Sacheonsicheob』 shows the inherent awareness of literati in 17th century on literature space and its shaping. It can be found in the poetry borrowing the rime of Palkyeongsi and Doyeonmyeong. In this regard, this poetry book is an important material in that it can enable us to guess the exchange relationship of literati and culture of the 17th century and to explore the aspect of awareness of literati on the literature space and its shaping in late Chosun from the viewpoint of literature history.

      • KCI등재

        李海朝의 「峴山三十詠」에 나타난 지리인식과 襄陽地域의 사회적 상징성

        권경록(Kwon kyong-ro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2 동양한문학연구 Vol.34 No.-

        이 글은 17세기 襄陽地域에서 창작된 李海朝의 「峴山三十詠」을 예로 하여 지역문학 연구의 방법을 모색해본 것이다. 여기서 특히 주목한 것은 李海朝의 지리인식과 양양지역의 사회적 상징성이다. 사회적 공간의 생성과 변화는 지리적 공간 위에서 이루지기 때문에 문학작품 속에 재현되는 공간표상이 사회적 공간으로서 지니는 의미를 밝히기 위해서는 지리적 공간과 문학적 공간표상의 관계를 이해하는 방법론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글은 ‘襄陽’ ‘峴山’과 관련된 문학적 공간표상이 사회적으로 생산된 하나의 공간이라는 전제 위에서 문학지리학의 방법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李海朝는 1709년 50세에 襄陽府使가 되어 설악산과 금강산을 유람 했는데, 「峴山三十詠」은 이때 지은 시이다. 이 시는 세속에 따르지 않고 스스로 풍격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李海朝는 『輿地勝覽』을 참조하고 양양지역 노인들을 탐문하여 서른 곳의 승경을 선정하고, 풍부한 典故와 양양지역 민간설화를 활용하여 聯想을 통한 시․공간 범위를 확대해가는 방식으로 ‘양양’ ‘현산’을 하나의 의미망으로 연결하여 사회적 상징성을 지닌 새로운 공간으로 재발견했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methods of researching local literature through “The Thirty Poems of Hyeonsan” by Lee Haejo from ‘Yangyang Area’ in the 17th century. I especially paid attention on the fact that Lee Haejo's geographic awareness and the social symbolism of the ‘Yangyang Area’. Since the formation and change of a social space is achieved on a geographic space, a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ographic space and the literary space symbol is required in order to define the meaning that the space symbol as reproduced in literary works bears as a social space. Therefore, in this writing, discussions have been made in a literary geographic method on the premise that the literary space symbol as related to ‘Yangyang Hyeonsan' is one of the socially produced spaces. At the time when Lee Haejo became the governor of Yangyang in 1709 at the age of 50, he made sightseeing trips to Mt. Sorak and Mt. Geumgang, and ‘the Thirty Poems of Hyeonsan' is a series of poems that he composed during his trip period. These poems were appraised to have created the character of their own without being swayed by the mundane world. Lee Haejo selected 30 places of beautiful scenery by referring to “Yeojiseungnam(The Geography Book)" as well as by interviewing a number of the elderly in the Yangyang area. Also, he rediscovered them as the new space with social symbolism by interconnecting ‘Yangyang Hyeonsan' as a semantic network in such a way that leads to the expansion of the range of time and space through association, which was done by utilizing abundant past works and folktales that were made available in the ‘Yangyang area’.

      • KCI등재

        南野 朴孫慶의 삶과 문학을 통해 본 ‘金塘谷’의 사회적 상징성

        권경록(Kwon Kyong rok)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2 No.-

        이 글은 ‘영남삼로(嶺南三老)’로 일컬어지던 남야(南野) 박손경(朴孫慶)의 시문을 통해 그의 삶과 문학 그리고 그 현장의 문화지리적 의미를 밝힌 것이다. 박손경은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백불암(百佛庵) 최흥원(崔興遠)과 함께 18세기 ‘영남삼로’로 추앙되었다. 그는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십승지로 일컬어지던 예천(醴泉) ‘금당곡(金塘谷)’에서 실천하는 처사(處士)로 일생을 마친 인물이다. 이 글은 문학 속에 재현되는 공간표상이 사회적 공간으로서 지니는 의미를 밝히기 위해 지리적 공간과 문학적 공간표상의 관계를 이해하는 문학지리학의 방법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이 글은 ‘금당곡’에 관련된 박손경의 문학적 공간표상이 사회적으로 생산된 하나의 공간이라는 전제 위에서 서술되었다. 그 결과 박손경의 문학에 재현된 ‘금당곡’은 ‘일상의 공간’, ‘교유·교화의 공간’, ‘천형(踐形)의 실천 공간’이었다. 박손경은 ‘사람다움을 실현하는 것’, 곧 ‘천형’을 사람의 직분으로 이해했고, ‘금당곡’은 그 직분을 다하는 삶의 공간이었다. 시대의 참된 인간으로서의 삶을 실천해 가는 철저한 ‘진인(眞人)’의 심상공간이었다. 박손경이 ‘금당곡’에서 처사로 ‘천형’을 실천하고, 문학을 생산해 낸 것은 십승지 ‘금당곡’이라는 사회·지리적 결과와 질서 속에서의 장소 점유와 문화의 생산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life and literature of Namya Park Son-gyeong, who was one of ‘Three Old Men of Yeongnam’, and examine the cultural and geographic meanings of his place through his poetry and prose. He was revered as one of ‘Three Old Men of Yeongnam’ in the 18th century along with Daesan Lee Sang-jeong and Baekburam Choi Heung-won. He did not hold a government position and was devoted to practice at ‘Geumdanggok’ of Yecheon, which was called Shipseungji, until he passed away as a classical scholar that lived in a remote village without holding office. The present study developed its discussions in the method of literary geography, which promotes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s between geographical space and literary representation, to shed light onto the meanings of spatial representations reproduced in his literature as social spaces. The study was based on the premise that Park's literary spatial representations related to ‘Geumdanggok’ were socially created spaces. The findings show that ‘Geumdanggok’ reproduced in his literature represented ‘space for life’, ‘space for social intercourse and reformation’, and ‘space for the practice of Cheonhyeong’. He understood ‘Cheonhyeong’ or ‘practice of being human’ as the duty of man and found a life space for the fulfillment of the duty in ‘Geumdanggok’, which was a space of mental imagery of a ‘true man’ that practiced life as a true human being of the times. His practice of ‘Cheonhyeong’ as a classical scholar that lived in a remote village without holding office and his literary creation at ‘Geumdanggok’ were the results of place occupation and cultural production in the social and geographic outcome and order of ‘Geumdanggok’, one of Shipseungj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