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라톤 『파이돈』의 교환 논변과 육체적 즐거움

        구교선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1 No.1

        Much ink has been spilled over the Phaedo in order to support that this dialogue propounds a view that the philosopher has to behaviourally avoid bodily pleasures as much as he can (“Behavioural Interpretation”). Surprisingly, however, none has been seriously analysed the Exchange Argument (69a-c), which is considered by several scholars to be evidence that this dialogue considers it enough for the philosopher merely to avoid bodily pleasures attitudinally (“Evaluative Interpretation”). Against this backdrop, to defend the former interpretation, I maintain in this paper that this argument only makes sense when we read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is interpretation. To be more specific, I maintain that the basic arrangement of a correct exchange is not between bodily passions, but between bodily passion and wisdom. More precisely, I argue that bodily passion is essentially being paid out in the process of a correct exchange. However, the philosopher is sometimes required to purposively engage in an activity that results in bodily pleasure for the sake of living a philosophical life. Thus, I contend that the philosopher is revealed to actively move away from bodily pleasures, to the greatest possible extent in the process of a correct exchange. My argument is supported by (a) Socrates’s use of ‘anti’ and (b) his comment on the effect that an exchange for virtue can be deemed correct only if the agent pays off either bodily passion or wisdom with a view to maximizing wisdom and then attaining genuine virtue, regardless of which of the two (bodily passion or wisdom) he chooses to give up. 플라톤의 『파이돈』에 따를 때 철학자는 육체적 즐거움을 가능한 최대한 ‘경험’하지 않도록 적극적 행동해야 한다고 많은 학자들은 해석 한다 (“행위 중심적 해석”). 하지만 이러한 해석의 지지자 중 누구도 육체적 즐거움을 포함한 육체의 작용들을 어떻게 다루는가를 기준으로 철학자와 비철학자를 구별 짓는 ‘교환 논변’(69a-c)이 본 해석을 지지하는가의 여부에 대해 선명한 입장을 내놓은 적이 없다. 반면 철학자는 육체적 즐거움을 ‘경험’하지 않기 위해 노력할 필요는 없고 이에 대해 가능한 최대한 올바른 ‘태도’, 즉 부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기만 하면 충분하다고 해석(“평가 중심적 해석”)하는 일군의 많은 학자들은 이 논변을 자신들의 해석을 뒷받침할 하나의 토대로 삼는다. 이런 상황에서 “행위 중심적 해석”을 옹호하기 위해 필자는 이 해석을 받아들일 때만 우리는 본 논변을 일관되고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덕을 위한 올바른 교환은 육체적 정념들 간의 교환이 아니라 현명함과 육체적 정념 사이의 교환이라는 점을 밝힐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해 필자는 올바른 교환은 본질적으로는 육체적 정념을 ‘희생해’ 현명함을 ‘얻는’ 교환이라는 점을 강조할 것이다. 하지만 철학자로서 살아가기 위해 철학자는 때때로 육체적 즐거움을 제공하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고, 이로 인해 대부분의 경우 현명함을 위해 육체적 정념을 희생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올바른 교환은 간혹 그 과정 중에 궁극적인 목표인 현명함과 참된 덕의 획득을 위하여 단기적으로 현명함을 희생하여 육체적 정념을 취하기도 한다는 점을 필자는 논증할 것이다. 즉 덕을 위한 올바른 교환의 과정에서 철학자는 ‘모든’ 육체적 즐거움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최대한’ 육체적 즐거움을 피하면서 현명함을 추구한다는 사실을 필자는 주장할 것이다. 필자의 이러한 주장은 (i) 소크라테스가 전치사 ‘pros’와 ‘anti’를 구별 지어 사용했다는 점과 (ii) 덕을 위한 교환의 전 과정이 현명함과 참된 덕의 획득이라는 목표 아래 이루어진다면 그 과정 중에서 이 목표에 대한 고려 하에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는 육체적 정념의 증가와는 상관없이 이 교환이 올바르다고 간주될 수 있다는 걸 드러냈다는 점에 의해 뒷받침 될 것이다.

      • KCI등재

        플라톤 <국가>편의 드라마적 도입부에 대한 한 가지 해석: 당대 민주정의 모순에 대한 처방전을 얻기 위한 예비적 고찰

        구교선 한국서양고전학회 2021 西洋古典學硏究 Vol.60 No.1

        This paper claims that the dramatic introduction of Plato’s Republic requests its reader to remind of a contradiction of Athenian democracy, i.e. its basic principle is often violated to earn a profit. While focusing on the first letter of this dialogue, ‘katebēn’, many scholars have suggested reading this dialogue as a story of the philosopher attempting to tackle the issues of the visible. Yet, I maintain that the two premises of this suggestion, (i) the dramatic character Socrates is an example of the philosopher this dialogue describes and (ii) Piraeus, where he went down, is an illustration of the cave in ‘the allegory of the cave’, are not justifiable. In this vein, I argue that the very first dramatic introductory part of this work unveils a self-contradiction of Athenian democracy by stressing that Socrates went down to a specific place, i.e. Piraeus, with a specific intention, i.e. to join the festival of Bendis. I proceed further and claim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olemarchus discloses this self-contradiction as well. Finally, by emphasizing that Cephalus’ house, where the main debate of this dialogue takes place, is a camp of the supporters of Athenian democracy and that there is a clear connection between Athenian democracy and the tyranny this dialogue regards as the worst political system, Finally, I maintain that, while reading the Republic, we have to try to find detailed analyses of the root of the self-contradiction mentioned above, which is hidden in the political and ethical arguments of this dialogue. 본고는 먼저 <국가>편의 드라마적 도입부가 독자가 당대 아테네 민주정의 모순, 곧 당장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민주정의 근본 원리조차 지켜지지 않는 모순을 드러낸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우선 필자는 본 작품의 첫 단어가 ‘katebēn’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본 대화편을 현실 세계에 개입하는 철학자의 분투기로 읽을 것을 제안하는 주류 해석을 비판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 필자는 이러한 제안이 지닌 두 가지 전제, 즉 등장인물 소크라테스가 본 대화편이 규정하는 철학자의 한 예시이며, 그가 내려온 장소인 피레우스가 초월계와 대비되는 현실계라는 해석은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다음으로 필자는 소크라테스가 피레우스라는 구체적인 장소에 벤디스 여신 축제의 관람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갖고 내려갔다는 점에 주목할 때 우리는 그의 내려감이 상기한 당대 민주정의 모순을 떠올리게 한다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 필자는 이러한 요청이 바로 이어지는 드라마적 내용, 즉 폴레마르코스가 자기 시동을 시켜 집으로 돌아가고 있는 소크라테스 일행을 붙들고서는 그들로 하여금 그곳에 더 머물도록 강요하고 있다는 사실도 소크라테스가 내려온 곳은 상술한 모순을 드러내는 당대 민주정의 한복판이라는 걸 드러낸다고 주장한다. 본고의 도입부에 대한 전술한 분석을 기초로 필자는 본 작품의 주된 대화가 펼쳐질 장소인 케팔로스의 집이 당대 민주정 지지자들의 집합소라는 점 그리고 상술한 아테네 민주정의 모순과 본 대화편에 의해 최악의 정체로 평가받는 참주정의 연관성에 주목할 때 우리는 아테네 민주정의 모순을 낳은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처방전을 찾으려 노력하며 본 대화편을 읽어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154kV 전력용 변압기의 부하소음 및 냉각팬 소음 분석

        구교선,우정욱,곽주식,깅경탁,권동진 대한전기학회 2010 전기학회논문지 P Vol.59 No.3

        Recently, the audible sound level of power transformer has been reduced due to development of new material and enhancement of manufacturing technology. There is lack of research on the audible sound of winding and cooling fan because the research on reduction of audible sound is concentrated on the core sound. Therefore this paper describes 3 kinds(core, winding and cooling fan) of transformer sound source. Also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load sound and cooling fan sound on the total transformer sounds. As the results, total sound level of 79dBA class transformer rises 0.2∼0.3dB due to effect of load sound and rises 2.1∼3.5dB due to effect of cooling fan sound. Also, total sound level of 55dBA class transformer rises 2.3∼2.9dB due to effect of load sound and rises 1.9∼3.5dB due to effect of cooling fan sound.

      • KCI등재

        섹스로봇과 상징-결과 논변

        구교선 철학연구회 2022 哲學硏究 Vol.- No.138

        본고의 목표는 섹스로봇 도입의 윤리적 문제점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섹스로봇 도입에 반대하는 기존 논의들의 뼈대를 이루는 상징-결과 논변을 재검토하고 이를 옹호한다. 필자는 상징-결과 논변의 개요를 소개하는 것으로 이 작업을 시작한다. 본 논변은 (a) 섹스로봇은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성적 규범을 상징적으로 재현하며, (b) 이 점은 섹스로봇의 사용이 부정적인 결과를 낳을 것임을 가리키기에, (c) 섹스로봇에 대해 어떠한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는 결론으로 정리된다(II장). 이어서 필자는 (b)에 대한 기존 공격들, 곧 섹스로봇의 부정적 상징성은 우연적이며 이러한 부정적 상징성은 변형 가능하다는 주장들을 논박한다(III장). 다음으로 필자는 (c)에 대한 기존 비판들, 즉 (a)로부터 (b)가 도출된다는 점이 정당화되지 않았으며 섹스로봇 사용에 반대하는 논자들이 이 로봇의 유익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는 주장들을 재반박한다.

      • KCI등재

        플라톤 『파이돈』 편과 철학을 하는 즐거움의 순수함

        구교선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0 감성연구 Vol.0 No.21

        In Plato’s Republic and Philebus which spill much ink on pleasure, we can find explicit comments on pure pleasure, namely, the kind of pleasure which is free from pain; whereas, there is no serious comment on this kind of pleasure in the Phaedo which also spends several pages discussing the issues related to pleasure. Yet, this study maintains that this dialogue alludes to the point that, at least, the pleasure of doing philosophy is pure. First, I claim that the dramatic introduction of this dialogue invites its readers to consider the issue of pure pleasure while reading the heart of this work. Next, I argue that the Cyclical Argument, which insists that whatever has an opposite comes to be only from its opposite, implies not that pleasure comes to be only from pain but that there is pure kind of pleasure. Finally, I go through some passages which seem to imply that doing philosophy through questioning and answering could be painful; I then maintain that the philosopher, who makes every effort to get closest to the truth with a hope to entirely achieve it in Hades, is not in pain while joining a process of questioning and answering. 즐거움에 대한 풍성한 논의를 담고 있는 플라톤의 두 대화편인 『국가』와 『필레보스』에서 우리는 고통과 혼합된 즐거움과 대비되는 순수한 즐거움을 다루고 그 대표적인 예로 가지계를 탐구하는 즐거움을 언급하는 다양한 논의를 접할 수 있다. 반면 철학함과 즐거움이 주요한 화두로 다루어지는 『파이돈』에서 우리는 순수한 즐거움에 대한 어떠한 진지한 철학적 언급도 발견할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본고는 본 대화편에 따를 때도 철학을 하는 즐거움은 고통이 선행하지도 않고, 고통이 뒤따르지도 않으며, 고통이 공존하지도 않는 순수한 즐거움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먼저 필자는 본 대화편의 드라마적 도입부는 독자들로 하여금 철학을 하는 즐거움의 순수함이라는 화두에 유념하면서 대화편의 본론을 읽어갈 것을 요청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다음으로 필자는 반대되는 어떤 것이 있는 것들은 그것들에 반대되는 것으로부터 생겨나는 것이 필연적이라 말하는 ‘순환 논변’은 모든 즐거움에는 이에 선행하는 고통 및 이에 뒤따르는 고통이 존재한다는 주장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고통이 선행하지도 않으며 뒤따르지도 않는 종류의 즐거움이 존재할 가능성을 승인해준다고 역설했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서로의 논변을 제출하는 문답의 과정을 통한 철학함이 고통을 수반한다는 점을 암시하는 듯 보이는 대화편의 몇몇 장면들을 분석하고, 저승에서 진리를 온전히 획득할 것을 기대하며 이승에서도 최대한 진리에 가까이 다가가고자 노력하는 철학자에게는 진리 탐구를 위한 문답의 과정이 결코 고통을 주는 일일 수 없다는 점을 특별히 ‘논변혐오’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논의를 분석하는 방식을 통해 주장했다.

      • KCI등재

        플라톤 『고르기아스』편과 전투 혹은 축제 : “소크라테스적 대화”에 대한 세 가지 이해

        구교선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98 No.-

        플라톤 『고르기아스』편 전체를 아우르는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상황이고, 더 나아가 본 작품 전체의 통일성을 구하는 일 역시 여전히 문제꺼리로 남아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필 자는 “소크라테스적 대화”, 곧 소크라테스가 자신의 대화 상대자들과 벌이는 첨예한 문답 의 과정을 이해할 서로 다른 세 가지 길을 제시하고 이 길들 가운데 하나를 옹호하는 것이 본 대화편 전체를 관통하는 주요 관심사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 부연하자면, 본 대화편에 대한 필자의 분석에 따를 때 “소크라테스적 대화”를 승자가 모든 유익을 독식하는 일종의 전투 과정이나 소크라테스가 일방적으로 상대방에게 시혜를 베풀기 위해 분투로서의 전투 로 이해하는 두 길이 본 작품을 통해 소개된다. 하지만 소크라테스가 대화를 통해 지향하 는 바는 대화 상대자 모두가 이 대화를 통해 유덕해지는 것이고, 대화 참여자 모두가 유익 을 누린다는 바로 이 점에서 본 대화편이 제시하는 이상적인 “소크라테스적 대화”는 일종 의 축제에 비유될 수 있다고 필자는 주장한다. There have been merely a few surveys of Plato’s Gorgias as a whole and there is no clear unifying theme of this dialogue.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proposes that it is one of the consistent interests of this work to suggest three ways of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Socratic dialectic and then to advocate one of them. More specifically, this essay contends that the dialogue shows both that one may regard Socratic dialectic as a kind of zero-sum game and that one may consider it as a kind of healing process. Yet, this essay maintains, an ideal Socratic dialectic is a process in which all participants of it become more virtuous.

      • KCI등재

        철학자는 왜 배움과 관련된 즐거움에 대해 열성적이어야 하는가? -플라톤 파이돈의 경우

        구교선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연구 Vol.0 No.61

        본고는『파이돈』의 소크라테스가 철학자는 배움에 관련된 즐거움에 열성적이라는 말로 자신의 논의를 마무리 짓는(114d-e) 이유를 탐구한다. 이 작업을 위해 본고는 우선 몇몇 학자들의 견해와는달리 철학자가 이러한 종류의 즐거움에 대해 열성적이라는 소크라테스의 언급을 우리는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만하고, 또 왜 그가 이러한 언급을 하고 있는가를 하나의 문제꺼리로 삼아 탐구해야만 한다는 점을확인한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먼저 본고는 못질 논변(83b-d)을 탐구하고 이를 통해 철학자도 육체적 즐거움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삶을 살 수 없고 그래서 그는 감각계가 참된 실재라는 잘못된 믿음을 갖게 되고 결국 철학적 삶을 살지 못할 뿐더러 사후에는 하데스에도 이르지 못할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이 위험으로부터자신을 구제하고 철학적 삶을 이어가기 위해서 철학자는 가지계야말로 참된 실재라는 믿음을 지켜 내야하는데, 유사성 논변(78b-84b)에 대한분석을 통해 본고는 가지계에 대한 탐구로부터 얻어지는 즐거움은 이러한 믿음을 유지하는 데에 기여한다는 점을 드러낸다. 이어서 상기 논변(72e-77a)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본고는 이러한 즐거움이 곧 배움에 관련된 즐거움을 가리킨다는 점을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철학적 삶을 살아내기 위해 철학자는 가지계가 참된 실재라는 믿음을 지키는 데 기여하는 배움에 관련된 즐거움에 열성적일 수밖에 없다고 본고는 결론 맺는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y the philosopher Plato’s Phaedo is eager for the pleasure of learning. First, by analysing Riveting Argument(83b-d), I argue that the philosopher risks losing his correct belief about the true reality which forms the foundation of his characteristic life. This is because, as a body-soul composite, he cannot help experiencing some bodily pleasures which delude him, by suggesting that what is perceptible is real. Then, by examining Affinity Argument(78b-84b), I claim that, unlike bodily pleasures, the kind of pleasure taken in the intelligible helps him to retain his correct belief about the true reality. In view of this, by visiting into Recollection Argument(72e-77a), I contend that the pleasure of learning is the same as this kind of pleasure. Accordingly, I conclude that the philosopher has a sufficient reason to be keen on the pleasure of learning since enjoying this pleasure helps him to retain this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