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 현황 분석: 일간지 보도내용을 중심으로

        고지현(JiHyun Ko),양세정(SeJeong Y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여성연구 Vol.10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에 대해 보도한 기사를 분석함으로써, 논의가 미흡한 성인지감수성 관련 문제들에 대한 사회적 담론의 출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뉴스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빅카인즈’와 언론사 홈페이지를 통해 2015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간 동안 국내 7개 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경향신문>, <국민일보>)에 보도된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 기사 158개를 추출하여 연도별 불매운동 발생 건 수, 불매운동 발생 원인, 성인지감수성 논란 원인 등의 분류를 통해 불매운동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대상 기간 동안 발생한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은 총 52건으로, 매해 보도된 사안의 개수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사안별 언론보도의 수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의 논란 원인별(성차별, 성폭력, 성별고정관념)로 분류한 결과, ‘성별고정관념’으로 인해 발생한 불매운동이 61.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성차별’, ‘성폭력’의 순이었다. 하지만 언론보도의 경우 ‘성폭력’ 관련 기사가 논란 당 평균 4건의 기사가 보도되며 다른 항목들보다 높게 나타나, ‘성폭력’ 문제에 기인한 불매운동이 보다 이슈화 되는 경향을 살펴볼 수 있다. 셋째, 불매운동의 방식은 대부분 시민단체의 개입 없이 소비자 ‘자발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온라인에서의 불매운동 실행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를 통해 소비자운동의 방향이 개별적으로 집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불매운동의 실행단계별 양태를 분석한 결과 ‘불매운동 실행’ 단계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불매운동 조직’ 단계가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여 관련 불매운동의 경우 주로 직접적인 조직화를 구축하지 않아도 집단적 불매운동 실행이 가능한 온라인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에 대한 기업의 대응 방식은 문제되는 콘텐츠의 폐기와 같은 ‘직접적 조치’를 취한 후속조치 비중이 가장 높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7개 일간지에서 공통적으로 다룬 기업에 대해 불매운동 전후의 매출변화를 살펴본 결과 이들 모두 불매운동 이후 최소 6개월 간 매출 하락세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boycott related to gender sensitivity in Korea, and to present the starting point of discourse on gender sensitivity related issues in the consumer market. For this purpose, 158 articles reported in seven domestic dailies(Chosun Daily, JoongAng Daily, DongA Daily, Hankyoreh, Hankook Daily, Kyunghyang Daily, Kukmin Daily) over the past six years from 2015 to 2020 have been selected and analyzed. The data was collected thorough “Big Kinds(news big data analysis system)” and each media’s website. According to the analysis, 52 boycotts related to gender sensitivity have occurred over the past six years. The number of boycotts occurring every year is not much different, but the number of media reports is gradually increasing. Second, the boycotts were classified by the cause of controversy over gender sensitivity(sexism, sexual violence, and misogyny), and the amount of media coverage was highest in case of sexual violence issues. Third, consumer-oriented boycotts without civic group intervention accounted for a high percentage. Fourth, the stage of running the boycott was the highest and organizing the boycott was the lowest. Fifth, among companies’ response methods, the follow-up that took action directly, such as scrapping problematic content, was the highest. Finally, in the case of the boycott, which was announced in all seven daily newspapers, all of the companies saw their sales decline for at least six months after the boycott.

      • KCI등재

        현대 에피스테메로서의 징후 패러다임과 복제기술 매체

        고지현(Ko Jihyu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7 사회와 철학 Vol.0 No.33

        이 연구는 흔적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현상에 대한 발터 벤야민의 관심과 철학적 성찰을 현대 에피스테메 발전의 국면 속에서 파악하며, 그 재구성을 위해 카를로 진즈부르크가 인문학의 고고학적 연구에서 이른바 ‘징후 패러다임’이라 부른 에피스테메 모델에 주목하고 있다. 흔적에 대한 벤야민의 관심은 단순한 지적 호기심이나 사유 모티브로만 머문 것이 아니라, 비록 완성은 보지 못했을지언정 명백하게 이론 형성을 목표로 삼았다는 점에서 고찰의 가치를 지닌다. 벤야민의 시각에서 특징적인 것은 사진과 영화라는 새로운 복제기술을 인간의 지각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한 매체로 규정하면서 그 시대적 등장을 에피스테메 변혁의 결정적인 계기로 파악한다는 사실이다. 진즈부르크의 징후 패러다임은 홈즈의 정황증거, 모렐리의 그림 디테일, 프로이트의 증후군으로 나누어 고찰될 수 있다. 벤야민은 자신의 사진론에서 잔더의 외관과 아제의 범행현장 확보 그리고 블로스펠트의 사진 확대술 속에서 포착된 시각적 무의식의 미시세계를 다루고 있는데, 이는 각각 에피스테메 모델상 모렐리의 감정법, 정황증거, 정신분석학 방법에 조응하는 것이다. 하지만 진즈부르크는 3가지 유형의 징후 패러다임을 모델 하나에 통일적으로 수렴시키고 있는 반면, 잔더와 아제 또 블로스펠트에 대한 벤야민의 성찰은 그의 철학적 인식론이 디테일이라는 사유 모티브에서 시발점을 갖는다는 점에서는 공통되지만, 이들의 역사적 궤적들은 사회사적 문화사적 과학사적 갈등과 분화를 내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Walter Benjamin"s interest in and philosophical reflection on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phenomena of the trace from the standpoint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episteme and focused on the episteme model which Carlo Ginzburg called ‘symptom paradigm’ in archaeological studies on humanities for its reconstruction. Benjamin"s interest in the trace did not arise merely from intellectual curiosity or motive of reason, but would be worthy of consideration as it aimed to form the theory explicitly, although he had not seen its perfection. Benjamin’s view point w a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he identified the new replication technology called photography and film as medium that caused fundamental change in human perception and that he recognized the emergence of the era as decisive moment for episteme transformation. Ginzburg’s symptom paradigm can be considered based on Holmes’ circumstantial evidence, Morelli’s painting details, and Freud’s symptom. Benjamin deals with Sander’s physiognomy, Atgét’s crime scene obtainment, and microscopic world of visual unconsciousness captured in Blossfeldt’s photographic enlargement in his own photography theory. E ach corresponds to episteme model, Morelli’s emotional technique, circumstantial evidence, and psychoanalytical method. Ginzburg integrated the 3 types of symptom paradigm s into unit model while Benjamin’s reflection on Sander, Atgét, and Blossfeldt showed the commonness that his philosophical epistemology originated from details, the motive of reason, and their historical trajectories im plied social historic, cultural historic, and scientific historic conflicts and differentiation.

      • KCI등재

        보육시설 이용 어머니의 격리불안 측정 도구 개발 및 평가

        차효성(Cha, Hyo Sung),고지현(Ko, Jihyun),이경주(Lee, Kyoung Ju),최애리(Choi, Aelee),이건정(Lee, Gunj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어머니의 격리불안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도구의 개발은 예비문항 구성,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을 거쳐 칙종문항을 추출하였다. 예비문항은 문헌고찰과 인터뷰를 통해 구성하였고 내용타당도는 5명의 전문가에게 검정을 받았다. 확정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편의추출 방법으로 204명의 보육시설이용 어머니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구성타당도를 검정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6개 요인으로 수렴되었으며, 최종적으로 도출된 도구는 보육시설 이용 어머니의 죄책감(5문항), 보육시설 안전(5문항), 보육교사 신뢰(5문항), 보육시설 이용 아이의 불안(4문항), 보육시설 이용 아이와의 상호작용 불안(4문항), 보육시설 관리(3문항)의 총 26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본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a는 .93이다. 결론적으로 본 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정된 보육시설 이용 어머니의 격리불안 측정에 적합한 측정도구로 볼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separation anxiety of mothers who use child care facilities. The scale was developed as follows: initial items generated,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performed, and final items extracted. The initial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five experts. Using a final questionnair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04 mothers who used child care facilities with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construct validity was evaluated by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confirmatory and exploratory faιtor analyses showed that the separation anxiety consisted of 6 factors: the mother's guilty feelings (5-items), safety of child care facilities (5-items), trust of teachers (5-items), child's anxiety (4-items), interaction with the child (4-items), and management of child care facilities (3-items). The separation anxiety scale for mothers using child care facilities consisted of 26 items. The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scale was examined. The Cronbach's a coefficient was 0.93. These results show that this scale i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separation anxiety level of mothers who use child care facilities.

      • KCI등재

        순수수단으로서 기술과 매체: 발터 벤야민의 폭력비판과 정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고지현 ( Ko¸ Ji-hyun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1

        발터 벤야민의 폭력비판론은 마르쿠제의 68혁명론, 데리다의 현혹적인 독법, 아감벤의 일방적인 전유방식, 포스트모던의 정치신학적 변형 등으로 오늘날까지도 논란과 공방의 중심에 서있다. 이에 이 글은 전유자의 주관적 관심과 의도에 따라 2차적으로 가공되는 기존의 수용방식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벤야민 텍스트 자체의 분석과 고찰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폭력비판론에 담겨있는 순수수단 개념에 논의를 집중하고, 이 개념에 함축된 매체철학적 의미와 더불어 정치철학적 의미를 조명해보고자 한다. 또한 폭력비판론이 벤야민 초기 철학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후기 사유발전에서 지속적으로 관여한 계기와 의미를 가늠해볼 것이다. 순수수단 개념은 무엇보다도 데리다의 해체론적 독법에서 간과되어온 주요 범주이기에, 그 간과된 측면을 데리다의 해석과 벤야민 텍스트의 내재적 분석을 바탕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을 밟을 것이다. 끝으로 폭력비판론의 텍스트 발생사를 배경으로 벤야민의 폭력비판론이 초기 정치 프로그램이라는 큰 틀 안에서 재조명될 필요성을 밝힐 것이며, 그 시각에서 후기 사상으로 연결될 사유단초의 흐름을 재구성해볼 것이다. 순수수단 개념은 법지배수단의 대안으로서 매체철학적 구상, 그 안에 함축된 포괄적인 정치적 의미, 무엇보다 비폭력적 수단의 순수성을 기반으로 한 정치철학적 전망을 담고 있다. 벤야민이 열거한 일련의 순수수단 사례들은 이른바 철학이론의 전통(특히 근대철학의 변증법)에서 매개이자 중재(Vermittlung)라는 사유방식으로 이어져온 메타매체론적 함축성을 띠고 있다. 매체란 타자성 때문에 존재한다. 이것과 저것을 연결하고 매개하기 위해 사이의 시공간에 들어서는 것이 메타매체의 요건이다. 요컨대 벤야민이 사회적 이해관계의 대립을 폭력 없이 중재할 방안을 물을 때, 법관계란 목적과 수단의 착종으로 인해 사회적 대립의 매개라는 과제에서 구조적으로 좌초하는 사회적 매체(≒수단, Medium)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매체론적 사유는 근·현대 기술의 순수성에 대한 정치적 전망도 또한 가능하게 한다. Walter Benjamin's Critique of Violence is at the center of controversies and rows even today due to Marcuse's Theory of 68 Revolution, Derrida's dazzling reading method, Agamben's unilateral method of appropriation, post-modern political theological change, and others. Thus, this study presents the analysis and examination of Benjamin's texts themselves by shifting from the existing acceptance mode which is secondarily processed according to subjective interest and intention of appropriator. For that, this study intends to place the focus of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Pure Means', which is included in the Theory on the Critique of Violence, and to shed light on the implications of this concept in terms of media philosophy and political philosophy. In addition, this study will examine the status of Theory of Critique of Violence in Benjamin's early philosophy and look into the motives and significance which led the Theory of Critique of Violence to be constantly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reasoning in the latter period. As the concept of 'Pure Means' falls under a major category that has been overlooked, inter alia, in Derrida's deconstructionistic reading method, the process will be undertaken for critically reviewing the overlooked aspects based on Derrida's interpretation and immanent analysis of Benjamin's texts. Finally, this study will highlight the need for revisiting Benjamin's Theory of Critique of Violence within the large framework called 'early political program'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history of generations of the texts of the Theory of Critique of Violence. Furthermore, it will reconstruct the flow of the reasoning clues leading to the ideology of the latter period from such a perspective. The concept of 'Pure Means' incorporates the political philosophical outlook based on the media philosophical conception, its comprehensive political implications, and particularly, the purity of 'non-violent means' as the alternative to the 'means for the rule of law'. A series of examples of 'pure means', listed by Benjamin, have the meta media implications that have been passed down in the form of the reasoning mode called the 'intermediation' and 'intercession' (Vermittelung) in the tradition of the theories of philosophy (particularly, the dialectic in modern philosophy). Media exists due to the alterity. Meta media enters the temporal and spatial dimension to connect and mediate these things and those things. For example, when Benjamin asks about the measures to mediate the clash of social interests without violence, the relationship of laws would be the social media (≒ means, medium) that fails structurally in the task for the 'media of social confrontation' due to the entangling of the 'end' and the 'means'. Such reasoning based on media theory also brings the political perspectives towards the purity of modern and contemporary technolo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