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천유지유량 증대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 분석

        고광용 ( Gwang-yong Ko ),김석규 ( Seok-gyu Kim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5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6 No.1

        전국에서 수질이 가장 나쁜 곳 중 하나인 영산강 수계 상류의 하천유지유량 증대에 따른 수질개선 정도를 예측하기 위해 QUALKO 모델을 이용하였다. 2012년 자료를 적용하여 보정한 결과, 실측과 모의의 결정계수(R2)가 BOD는 0.99, T-P는 0.98로 나타나 QUALKO 모델은 해당 유역에 적용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영산강 사업으로 인해 변화된 하천의 기준유량, 수리계수 등을 반영하여 저수기 기준으로 하천유지유량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수질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시나리오는 댐 및 저수지 증고에 따른 여유유량을 하천유지용수로 1.19 CMS 확보하는 방안, 환경용수 전용댐 건설에 하천유지용수 0.96 CMS를 확보하는 방안, 섬진강 수계 여유물량을 도수하여 1.16 CMS를 하천용수로 이용하는 방안, 황룡취수장 취수중단에 따른 장성댐의 여유물량 0.29 CMS를 활용하는 방안 등이다. 각 시나리오를 종합하여 모의한 결과, BOD는 수질오염총량관리 목표수질 지점(영본A·B·C, 황룡A, 지석A)에서 10.7% ~ 50.4%의 개선효과를 보였으며, T-P는 13.4% ~ 63.2%의 개선 효과를 나타나 하천유지유량이 하천에 미치는 저수기 수질에 매우 영향이 크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seek for solution to improve water quality on Yeongsan River upper watershed, which is one of the most polluted areas on korea. The study composed of diverse scenario of instream flow increase. And analysed in improving water quality using water quality model. Water quality model is QUALKO model. The following water quality indicators have been simulated BOD and T-P. Model conditions were set using new standard flow and hydraulic coefficients, while observed data from 2012 were used to calibrate and that from 2012 to validate the model respectively. Scenarios were analyzed, as follows : 1) application method of 1.19 CMS remaining flow by heightening upstream dam 2) application method of 0.96 CMS flow by private dam of environmental water 3) application method of 1.16 CMS remaining flow by Juam lake in Seomjin River watershed 4) application method of 0.29 CMS remaining flow by Whangyong River watershed 5) the whole of method. Scenarios were analyzed, as follows would decrease by 10.7 ~ 50.4% in BOD and 13.4% ~ 63.2% in T-P respectively when all the scenarios were applied together. Consequently, water qualities of the unit watersheds have been improved in total scenarios.

      • KCI등재

        자율주행차 및 C-ITS 지원을 위한 디지털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정보연계장치 및 전이 알고리즘 개선 연구

        고세진,최은진,고광용,한음,윤일수,Ko, Sejin,Choi, Eunjin,Gho, Gwang-Yong,Han, Eum,Yun, Ilsoo 한국ITS학회 2021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0 No.2

        The signal intersection is the most challenging space for autonomous vehicles. To promote the safe driving of autonomous vehicles on urban roads with traffic signals, autonomous vehicles need to receive traffic signal information from infrastructure through V2I communication. Thus, a protocol for providing traffic signal information was added to the standard traffic signal controller specification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echnical limitations when applying this to digital traffic signal controllers because the protocols are defined mainly for analog traffic signal controller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developing a signal information linkage module to provide traffic signal information from a digital traffic signal controller to an autonomous vehicle and an algorithm improvement method that can provide accurate traffic signal information at the time of traffic signal transition. 신호교차로는 차량들의 회전 등으로 인한 상충이 빈번히 발생하고 차량의 주행이 교통신호에 의해 통제되기 때문에 자율주행차에게 가장 도전적인 공간이다. 교통신호가 존재하는 도시부 도로에서 안전한 주행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자율주행차가 V2I 통신을 통하여 교통신호정보를 인프라로부터 제공받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경찰청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서에는 교통신호정보 제공을 위한 규약이 추가되었다. 하지만, 기존 규약이 아날로그 교통신호제어기 위주로 정의되어 있어 현재 개발되고 있는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에 적용하는 것에는 기술적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로부터 자율주행차에게 교통신호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정보연계모듈 개발 방안과 교통신호 전이 시의 정확한 교통신호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하천공간정보를 활용한 수달 서식처의 수리 · 생태학적 환경 분석

        김석규 ( Seok-gyu Kim ),고광용 ( Gwang-yong Ko ),김철 ( Chul Kim ),하돈우 ( Don-woo Ha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5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6 No.2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수달은 Eurasian Otter(Lutra lutra)로 국제적으로 IUCN Red List 보호 등급Ⅰ로 고시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는 문화재청에 의해 천연기념물 제330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수달의 서식처는 내륙의 강, 하천, 호수, 댐, 계곡 등과 해안 및 도서지역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고 있으나 여러 가지 개발사업이 진행되어 생태계가 교란되고 오염원 등 오염물질에 의한 하천 오염으로 물고기 등 수달의 먹이 자원이 부족하게 되어 서식지 및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수달 서식이 확인된 섬진강 지류인 서시천에 대해 수달의 서식지와 수리·생태적 특성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대상 하천을 하천의 연결성, 하천구조물 및 제방 등의 특성에 따라 9구간을 나누고 각 구간에 대한 수리·생태적 특성과 수달의 배설물 및 배설지의 흔적 등을 조사하여 수달의 배설물 및 흔적과 수리·생태적 관계를 통해 수달의 서식지 이용 형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수달의 서식지는 수리·생태적 조건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수달의 서식지 복원과 개체수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tter population of Korea is undergoing a widespread decline because of many development work such as construction of dams, roads, and river improvement project and the lack of prey caused by river contamination. The analysis of otter habitat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in order to provide knowledge of habitats with favourable conditions. Seoshi river were selected as the study area. The river is divided by 9 sections. The evaluation items in three groups, i.e. hydraulic and hydrological group, water quality group, and ecological group, were selected and grade of each item was give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Then evaluation was performed in 9 section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occurrence of otter spraints in each section. The otter habitat was known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index of hydraulic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vers in this study. The selected evaluation items are considered to be very appropriatel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knowledge to construct the artificial otter habitats.

      • KCI등재

        수질오염총량관리계획 수립 시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예측 평가에 관한 연구

        김석규 ( Seok-gyu Kim ),하돈우 ( Gwang-yong Ko ),고광용 ( Don-woo Ha ),송창수 ( Chang-soo Song ),이용규 ( Young-gyu Lee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6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7 No.5

        영산강 상류에 해당되는 수질오염총량관리 영본A 단위유역을 대상으로 수질오염총량관리계획 수립 시 예측한 오염원과 오염부하량에 대해 이행평가를 통해 확인된 실제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을 비교하여 오차 및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예측의 오차 및 정확도에 대한 평가를 편이, 평균절대오차, 분산감소, 정확도, 임계성공지수 등 다양한 통계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오염원 예측에서는 토지계가 예측치와 실측치가 가장 오차가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축산계, 산업계, 생활계 등에서는 오차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축산계 중 가금은 다른 오염원에 비해 오차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불어, 오염총량관리 1단계보다는 2단계가 오염원 예측의 정확도 및 숙련도를 나타내었다. 최근에 들어와서는 예측치와 실측치의 오차가 매우 작았으며 숙련도 등에서도 과거보다 많은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otal maximum daily load of Yeongsan river that correspond to Yeongbon A the target projected that the watershed pollution source a margin of error of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bias, mean absolute error, reduction of variance, accuracy, critical success index. As a result, pollution source were shown to be accurate predictions are the best land area. And population areas, livestock farm areas, industrial areas error was found to be greater. Pollution source the predictive accuracy and skill represented second period rather than first period. These are the second period based on first period pollution source decision a result, we`ve done predictions.

      • KCI등재

        오염부하지속곡선(LDC)을 이용한 요천A 목표수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하돈우 ( Don-woo Ha ),김석규 ( Seok-gyu Kim ),송창수 ( Chang-soo Song ),고광용 ( Gwang-yong Ko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6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7 No.2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으로 목표수질 지점에 대해 8일 간격으로 유량 및 수질을 측정하여 목표수질 달성여부를 확인하고 수질모델링 등 기초자료로 이용하고 있다. 이렇게 측정된 자료의 추가 활용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수계 요천A에 대해 목표수질 달성여부를 부하지속곡선을 활용하여 평가하고 초과구간 및 초과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된 결과에 따라 오염물질별 수질변화의 요인을 강우, 수온, 유량 등으로 분석하고 변화 요인이 수질에 기인한 관계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BOD는 겨울철 수온저하와 유량감소요인에는 관련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와는 관련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P는 겨울철 수온저하와 유량감소요인에는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와 관련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요천A 단위유역이 점오염원 보다는 비점오염원에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Monitoring data of discharge and water quality is used as very important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total maximum daily load. Flow duration curve and load duration curve can be developed by linking the daily flow data of stream monitoring network to 8 day interval flow data of the unit watershed. This paper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nitoring data of discharge and water quality in Yochon A unit watershed.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using water quality and discharge monitoring data in the Yochon A unit watershed at Seomjin river, BOD is related to temperature decline, discharge decrease and rainfall not relevant. T-P is not relevant water temperature decline, discharge decrease and rainfall related. The same result is judged for their big impact on nonpoint source than point sou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