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아침결식과 체질량지수 및 건강 관련 요인: 2018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 분석

        계승희(Kye, Se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아침결식 실태를 파악하고, 아침결식과 체질량지수 및 건강 관련 요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질병관리본부의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제14차(2018년) 자료를 이용한 2차자료 분석연구이다. 아침식사를 주 5일 이상 섭취하지 않은 경우 아침 결식군으로, 5일 미만 섭취하지 않은 경우 아침 섭취군으로 분류하였다.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아침 결식 여부의 차이는 복합표본 교차분석으로, 아침결식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 관련 요인과의 관련성은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인원의 33.54%가 아침을 결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침결식군의 경우 아침섭취군에 비하여 과체중과 비만에 속하는 인원의 비율이 더 높았다. 아버지 학력이 낮을수록, 주관적 가정경제수준이 낮을수록, 주거지역이 읍면지역보다 대도시나 중소도시인 경우, 체중상태가 비만이나 과체중인 경우 아침결식의 위험도가 높았다. 또한 현재 흡연이나 음주를 하는 경우, 신체활동을 주 5일 미만이나, 격렬한 신체활동을 주 3일 미만 하는 경우에서 아침결식의 위험도가 증가하였으며, 과일섭취가 1일 1회 미만, 탄산음료 섭취가 1일 1회 이상, 단맛음료수 섭취가 주 3회 이상인 경우, 그리고 학교에서 영양 및 식습관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 아침 결식의 위험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청소년들이 아침식사 섭취 등 올바른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의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영양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breakfast skipping in Korean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breakfast skipping, body mass index (BMI), and health-related factors from the data of 14th Youth Health Behavior Onkine Survey (2018)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The results showed that 33.54% of all subjects skipped breakfast and that the proportion of those who were overweight or obese was higher in the breakfast skippers than in the breakfast consumers. The risk of skipping breakfast was high among those whose father s education level was lower, subjective household economic status was lower, who lived in large or medium-small cities (‘eup’ and ‘myun’ areas) rather than rural areas, and who were obese or overweight. In addition, the risk of skipping breakfast was found to increase in those who smoked or drank, engaged in physical activity less than 5 days per week or did intense physical activity less than 3 days per week. The risk of skipping breakfast was found to increase in those whose intake of fruit was less than one per day, intake of carbonated beverages was more than one per day, intake of sugar-sweetened beverages was more than 3 times per week, and in those who had not received nutritional and dietary education in schools. Therefore, periodic and repeated nutritional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schools to establish good eating habits, such as eating breakfast,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Self-rated Health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Differences in Home Environmental Factors, Health Behavi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Dietary Habits

        황성희,계승희,Hwang, Seonghee,Kye, Seunghee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Community Health Educ 2018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Vol.19 No.1

        목적: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가정환경, 건강행태, 심리적 요인 및 식습관 요인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의 차이를 분석하고, 주요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분석자료로서 2015~2016년도 한국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자 수는 중학생 53,791명, 고등학생 50,959명, 총 104,750명이었다. 학생들의 건강수준은 주관적 건강상태를 기준으로 건강집단과 비건강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성별, 가정환경, 건강행태, 심리적 요인 및 식습관이 검토되었다. 이들 요인 간 건강집단과 비건강집단의 비율차이 검증을 위해 표본설계 정보를 반영한 Rao-scott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결론: 주관적 건강수준은 양친부모와 살지 않은 경우, 모의 교육수준이 낮을 때, 주관적 가정경제수준이 낮을수록 낮았다. 음주군, 고강도운동이나 근력운동을 실천하지 않는 군, 과체중이나 비만인군에서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았다. 또한 스트레스나 우울감 등 부정적인 감정이나 행복감을 느끼지 못할 때도 주관적 건강수준은 낮았다. 아침을 결식하거나 탄산음료, 고카페인음료, 패스트푸드 등의 비건강식품을 자주 섭취하는 군에서도 주관적 건강수준은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국 청소년들에게서 건강 불평등(health inequalities)은 가정환경, 건강행태, 심리적 요인, 식습관 등 여러 요인들로부터 제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을 충분히 반영하여 청소년들이 건강해 질 수 있는 다각적 접근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북한이탈청소년들의 남한 식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지은,엄미향,계승희,Lee, Jieun,Um, Mihyang,Kye, Seunghee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21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6 No.1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dietary life of North Korean defector adolescents born and raised in North Korea and their new South Korean dietary experiences after being settled in South Korea. The study included six North Korean defector adolescents enrolled in an alternativ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South Korea. This study's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two-by-two group interviews, followed by individual interviews and field observation. The study period was from September 14 to October 26, 2019. Before entering South Korea, they primarily ate food pickled with soybean and salt, a cooking method by which foods are preserved because refrigerators were unavailable. After settling in South Korea, they had difficulty adapting to South Korean foods because of the unfamiliar ingredients and recipes. On the other hand, they quickly adapted to some foods, such as chicken.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North Korean foods are generally light, whereas South Korean foods are sweet, salty, and spicy; hence, they do not taste delicious. The results suggest that attention be paid to menu improvement and the provision of nutritional education by schools and the government to prevent undernourishment or malnourishment because of unfamiliar ingredients and recipes.

      • KCI등재
      • 국내 의약품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시각 및 활용도

        이인향 ( Iyn Hyang Lee ),계승희 ( Seunghee Kye ),이숙향 ( Sukhyang Lee )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2014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연구업적집 Vol.24 No.0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nsumers` demand of and perspective on drug information domestically availableand uncover hurdles that they faced while utilizing information. Methods: We conducted a survey of 101 consumers,face-to-face after obtaining informed consent. Chi-squared, or Fisher`s exact tests, and multivariate logistic modelswere us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characteristics. Results: As results, participantsshowed the highest demand for “Adverse effects >90%”; “Drug interactions/Dosage/Drug-food interactions/ Indication>80%”, and utilized package inserts (52%), doctors (41%) and pharmacists (36%) most often as informationsources. Generally, the most common difficulty consumers suffered with was that “it is hard to understand (51%)”. With public sources of drug information, sixty one percent of participants were “unaware of the provision of information”,resulting in strikingly low usage rates (5~11%). Subgroup analyses indicated that the older (≥ 50 years) and thedisadvantaged might have been placed in the blind spot of information mostly developed online (p<0.05).Conclusion:In conclusion, public sources of drug information that have been developed online might fail to meet consumers`demand. Greater efforts should be made to balance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ources between online andoffline, and to increase accessibility of the established information sourc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과 자살행동 및흡연·음주행동과의 관련성: 성향점수매칭을 이용한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 분석

        김정수(Jung-Soo Kim),계승희(Seunghee K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폭력피해 경험과 자살행동 및 흡연·음주행동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질병관리본부의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제12차(2016년)와 제13차(2017년) 원시자료를 통합하여 이용한 2차자료 분석연구이다. 원자료를 성향 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방법으로 폭력피해 경험 외의 주요 변수들 속성이 유사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묶어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 경험, 흡연 및음주행동에 대한 두 집단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대상자의 2.5%가 폭력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폭력피해를 경험한 청소년 군은 비경험군에 비해 자살생각과 자살시도를 할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 고, 흡연과 음주행동을 할 확률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폭력피 해를 예방하고 조기개입할 수 있도록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가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he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12 th and 13 th Korea Youth Risk Behaviors Web-based Survey in order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violent victimization with suicidal behaviors and health-risk behaviors among adolescents.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for selecting analytic samples and analyzing their suicidal ideation, suicide attempt, smoking behavior, and alcohol use. 2.5% of participants were violent victimized in the last 12 months, and it was confirmed that violent victimiz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er likelihood of suicidal ideation, suicide attempt, smoking behavior, and alcohol use. Based on the findings, collaborated practice of family, school, and community for preventing violent victimization of adolescents were proposed.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성격요인과 식습관 및 건강관련행태

        김나현(Nahyeon Kim),김진희(Jinhee Kim),계승희(Seunghee Kye)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 5요인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 신경증)에 따른 식습관, 건강관련행태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도 성남지역 대학생 남녀 337명을 대상으로 NEO성격검사 (NEO-II test)를 실시하고 식습관 및 건강관련행태를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은 전체 337명중 남자 133명, 여자 204명이었으며, 연령은 남자의 경우 평균 21세, 여자의 경우 평균 20세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성격요인별 점수를 분석한 결과 남자의 경우 여자에 비해서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 점수가 더 높았고, 여자는 신경증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자의 경우 외향성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 인스턴트·패스트푸드 섭취는 0.20(95% CI, 0.06–0.66), 채소반찬은 3.02 (95% CI, 1.05–8.64)이었으며, 친화성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서 과일 섭취는 0.29 (95% CI, 0.10–0.84)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경우 신경증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 고콜레스테롤 음식 섭취는 3.03 (95% CI, 1.06–8.67)로 분석되었다. 여자의 경우 개방성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 탄 생선·고기 섭취는 4.99 (95% CI, 1.57–15.81), 동물성 지방의 섭취는 0.30 (95% CI, 0.13–0.68)이었으며, 음식 섭취시 영양적 균형 고려는 3.16 (95% CI, 1.24–8.01)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성실성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서 탄 생선·고기 섭취는 0.35 (95% CI, 0.13–0.89)이었으며, 음식섭취시 영양적 균형성을 고려하는 정도는 2.72 (95% CI, 1.01–7.33)으로 분석되었다. 조사대상자의 건강관련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각 성격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자의 경우 개방성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 신체활동은 3.04 (95% CI, 1.36–6.79)이었으며, 신경증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 흡연은 4.82 (95% CI, 1.90–12.22), 충분한 수면 정도는 0.33(95% CI, 0.13–0.85)으로 분석되었다. 여자의 경우 외향성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서 흡연은 4.00 (95% CI, 1.25–12.83)이었으며, 친화성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 신체활동은 3.04 (95% CI, 1.04–8.8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성별로 성격요인에 따라 식습관, 건강관련행태의 차이를 보였으며, 일부 성격요인별 식습관의 분석결과에서는 외국의 연구결과와 상이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개인 성격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영양상담이 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국내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결과의 축적이 요구되는 바이다.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depending on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extra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Methods: The NEO-II test was administered to 337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ngnam City, Gyeonggi Province, and their dietary habit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were surveyed. Results: The male participants showed higher scores for extra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compared to that of their female counterparts, while the female participants showed higher scores for neuroticism. As for the results of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the case of men, higher scores for extraversion were related to a lower intake of instant/fast foods and a higher intake of vegetables; higher agreeableness scores were related to a lower intake of fruit; and higher neuroticism scores were related to a heavy intake of high-cholesterol foods. It was found that higher openness scores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intake of burnt fish/meat and a lower intake of animal fat, while higher agreeableness scores were related to a lower intake of burnt fish/meat in women. Also, those subjects with higher openness and agreeableness scores were found to better consider the nutritional balance when having a meal. In the case of the male participants, higher openness scores were related to increased physical activity, while higher neuroticism scores were related to increased smoking and a lack of sleep. As for the women, those with higher extraversion scores smoked more, while those who recorded higher agreeableness scores were involved in more physical activities. Conclusion: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dietary habit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between men and women depending on personality factors, and the analysis results of some dietary habits according to personality factors were inconsistent with those of the overseas studies. Therefore, to provide customized nutritional counseling when considering each individual’s personality factors, more research results from domestic samples should be collected and accumulated.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가 경험한 유아의 까다로운 식습관 인식 및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박신영(Park, Shin Young),엄미향(UM, Mihyang),계승희(Kye, Se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는 교사가 까다로운 식습관을 갖고 있는 영아를 대상으로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 교사 자신의 반성적인 성찰을 통한 지도 방안들을 적용 실천하는 과정에서 영아와 교사 그리고 부모가 함께 변화할 것을 기대하며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서울시 S구 소재 A국공립 어린이집의 만 2세반 영아 중 까다로운 식습관을 가진 영아 4명을 선별하여 2020년 7월부터 12월까지 약 6개월 동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의 하루일과, 간식과 점심시간을 동영상 촬영 후 전사하였으며, 식습관 지도의 모습 및 영아들의 식습관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들과 지도의 어려움에 관한 참여관찰, 동료교사와의 심층면담, 학부모 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까다로운 식습관 인식은 음식에 대한 지속적인 거부, 새로운 음식에 대해 강한 부정, 제한된 음식 섭취, 음식을 거부하는 다양한 행동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까다로운 식습관 지도의 어려움은 교사의 여러 역할 수행에 대한 부담감, 유아의 가정 연계지도 및 유아의 개별적 맞춤지도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식습관 지도 전략 및 반성적 고찰을 통해 영아, 교사 및 부모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영아의 식습관 지도는 교사 자신에 대한 반성적인 태도와 가정 연계가 이루어지도록 식습관 지도에 대한 인식과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infants, teachers, and parents during the process of providing eating behavior guidance in light of the teachers’ self-reflection of the experience of trying to inculcate proper eating behavior in infants who are picky eaters.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July and December 2020 at “A” public childcare center in “S”-gu of Seoul, where four 2-year-old toddlers displaying picky eating behaviors were selected and observed. We filmed and transcribed the daily routines and snack and lunch tim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data on the following: participatory observations of eating behavior guidance, various situations and difficulties that arise when dealing with infants’ eating behaviors and providing guidance, in-depth interviews with co-teachers, and interviews with parents. The picky eating behaviors of infants can be classified as continuous rejection of food, strong refusal to eat new food, limited consumption of food, and a variety of actions rejecting food. Furthermore, the difficulties in providing guidance for picky eating behaviors included teachers feeling burdened by having to perform various roles, lack of continued guidance at the infant’s home, and need for individualized guidance for each infant. Lastly, positive changes took place among the infants, teachers, and parents through strategies for teachers on providing guidance on eating behavior and reflective reviews. Recognizing picky eating behaviors and directing the provision of guidance are necessary measures; moreover, the teachers should be self-reflective, and the guidance should be practiced at home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