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在韓後三國時代以前金石文'諸子學'初探 - 以後三國鼎立時期前金石文‘諸子學’印記爲中心

        강성조 한국중국학회 2017 中國學報 Vol.82 No.-

        This paper is a first step inquiry into the Early Chinese Philosophers in pr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more detailed inquiry themes are trace marks appeared at the Inscriptions on Metal and Stone in the post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and its value etc. Early Chinese philosophers equivalent to trace marks appeared at the Inscriptions on Metal and Stone began to appeared at the age of 700(that age was equivalent to King Hyo-So in the Kingdom of Shin-Ra , at same time Tang, Sheng-Li 3 in Ancient China), continued to at the time of 890(equivalent to Queen Jin-Sheng of Shin-Ra, at same time Tang, Shao-Zong 2 in Ancient China). However those Inscriptions on Metal and Stone restricted to two kinds of literary style: tombstone(碑) and Descriptions(記), among those quoted the letter of Early Chinese Philosophers appeared at the classical canons: 『Analects of Confucius』(lun Yu 論語),『Discourses of Mencius』(Meng Zi 孟子),『Lao Zi』(老子), 『Lie Zi』(列子), 『The book of master Guan』(管子), 『Zhuang Zi』(莊子), 『Xun Zi』(荀子), 『Yin Wen Zi』(尹文子), 『Han Fei Zi』(韓非子), 『Lushichunqiu』(呂氏春秋) , 『Hui Nan Zi』(淮南子) etc. On the stand point, Compared to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Go-Ryoe(高麗) and Cho-Son(朝鮮) dynasty, We can fond out contrast point obviously, even considerably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m. that is related with consequences of value of Early Chinese Philosophers. Taken an examples of those values are five kinds of point as followed: relatively scope of Early Chinese Philosophers are most broad than any others, most highly quoted frequencies, worth seeing of development situation in the Early Chinese Philosophers, writer and one's social status on trace marks appeared at the Inscriptions on Metal and Stone in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using a letter of Early Chinese Philosophers described Buddhist monk or Buddhist image and temple bell. like above, the Early Chinese Philosophers in trace marks appeared at the Inscriptions on Metal and Stone in the pre-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has a fixed value, so enough to make a hard foundation on the Early Chinese Philosophers. and also can make an opportunity and basis for engage upon the related study. Therefore hereafter we can make a further development chances by way of new evaluation. 본문은 제목을 “한국 후 삼국시대 이전의 ‘제자학’에 관한 초보적 탐구”라 정하고 후 삼국시대 이전 금석문 ‘제자학’의 개황, 후 삼국시대 이전 금석문에 보이는 ‘제자학’ 문자의 흔적, 후 삼국시대 이전 금석문에 보이는 ‘제자학’ 흔적의 가치의의 등 문제를 탐구 토론한다. 해당 금석문에 보이는 ‘제자학’ 문자가 관련된 시기는 일찍이 700년(신라 효소왕 9년 즉 당나라 측천무후 성력 3년에 해당)에 시작되어 줄곧 이어져 890년(신라 진성여왕 4년 즉 당나라 소종 대순 2년)에 이르기까지이다. 그런데 해당 금석문은 단지 ‘비’, ‘기’ 2종류 문체에 한정되며 그 가운데 관련 ‘제자학’ 문자를 인술 원용한 것으로 『논어』, 『맹자』, 『노자』, 『열자』, 『장자』, 『관자』, 『순자』, 『한비자』, 『윤문자』, 『여씨춘추』, 『회남자』 등 서적이 있다. 이러한 상황은 바로 후 삼국, 고려, 조선시대와 서로 비교하면 그 대비되는 점이 분명하고 차이가 상당하다. 이는 곧 관련 금석문 ‘제자학’의 가치의의 문제로 귀결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제자학’ 의 관련 범위가 가장 넓음, ‘제자학’의 원용빈도가 가장 높음, ‘제자학’의 발전 상황이 가장 볼만함, 금석문 ‘제자학’ 문자의 작가 및 그 신분, ‘제자학’ 문자를 인용하여 스님을 묘사하고 서술하거나 불상과 범종을 기술함 등 5가지 점이다. 이처럼 한국 후삼국시대 이전의 금석문 ‘제자학’은 일정한 가치의의를 지녀 이를 바탕으로 한국 ‘제자학’의 기초를 충분히 다질 수 있고, 이로 관련 연구에 종사할 수 있는 토대와 기회를 만들어낼 수 있는 까닭에 앞으로 새로운 평가를 거친 발전의 전기를 맞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再論敎學“漢文講讀”敎科所面臨的疑義問題 — 以≪論語⋅學而≫篇“行有餘力,則以學文”二句辨義爲中心

        강성조 중국어문연구회 2019 中國語文論叢 Vol.0 No.95

        This paper is try to inquiry into those below some questions: From starting inquiry into the recent study trend of academic societies, interpretation of meaning about two phrases in the Chapter 6 of Confucian Analects, that is he has any surplus energy and then he may pursue his learning to letters, put in order so to speak, ‘a letter’ appeared in whole volume of Confucian Analects, annotation on the ‘a letter’ in the Chapter 6 of Confucian Analects through successive generation of China, discrimination of meaning a letter in phrase, “He has any surplus energy and then he may pursue his learning to compose a Poem” etc. According to the annotation about phrases in the Confucian Analects, “He has any surplus energy and then he may pursue his learning to compose a Poem”, through successive generation of Chinese scholars, here the meaning of letter(Character)in above sentence could be classified into 7 kinds as generally documentary records, LiuYi, liberal arts, literacy style, culture, Character, a man of letters etc. Those are related with academic learning, However here are inconsistent between something to do and any surplus energy after coincide the Learning, Practice. So we have to run follow the intensively comparative study about ‘Letter’ which appeared at 7 kinds of meaning in all of Confucian Analects and then look for common elements combinate each others by way of step by step trace its meaning. Finally it could be get a real meaning of that ‘Letter’ That common element is compatible with LiYue commonly intrinsic substance, and the other, ‘Letter’ is extrinsic substance. Therefore, relation between LiYue and Letter is to be seen as Wholeness and Part, Substance and Means. After then set up a whole requirement conditions, it could be a man of virtue and arrived at the purpose of that meaning in effect for LiJi(Book of Rites). compared to words, stage of Letter quote poems or present the will of both sides using a poem, and also this is a kind of linguistic stage. In case that present the will through singing a poem could be used as an unrestricted to ‘Letter’, that process would not be completed at a time. So Confucius say in a word “one has any surplus energy and then he may pursue his learning to ‘Letter’”. After Teaching and Learning the basic curriculum, just like a LiuYe, Practicing it by interact the LiYue, then would say “if one has any surplus energy then he may pursue his learning to poem letter, so we can confirm that people in Song dynasty would say it’s a ‘Liberal arts’”. Any study could not free from critique without evidence produced by author not only in natural science but also in humanities. So at least in interpretation of Classics concerned with Confucius, it should be considered the inner meaning in context of that phrases, and how those usages appeared in the other context. and then we can find those meanings continued. So at the same time when we pursue the meaning of ‘Letter’ and also LiYue, it could be attained and applied those patterns as a real meaning of that ‘Letter’, That common element is compatible with LiYue commonly intrinsic substance, and the other, ‘Letter’ is extrinsic substance. Therefore, we can acknowledge the meanings between ‘LiYue’ and ‘Letter’ is to be seen those inner meanings: as Wholeness and Part, Substance and Means.

      • KCI등재

        반악 「도망시」 3수의 사상에 대한 고찰

        강성조(姜聲調) 한국도교문화학회 2007 道敎文化硏究 Vol.26 No.-

        반악의 「도망시」 3수는 그의 처 양씨가 원강 8(298)년 하남의 친정에서 병사한 후 빈의, 복상을 거쳐 이듬해인 원강 9(299)년 초겨울 장례, 탈복 등 모든 상례과정이 일단락될 즈음 조정으로부터 날아온 조정복귀 명령을 접하고 이를 수락한다. 그리고 다시 영강 원(300)년 초봄 조정에 출사하기까지 시인은 살아생전 감정이 돈독하고 각별히 은애하던 아내를 떠나보내고 어찌할 바를 모르고 우수에 젖은 비애를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모든 심정을 본 시편 가운데 아낌없이 토로한다. 특히 이 시편들 가운데 함축된 사상내용은 시인이 처했던 위진시대의 주도적 사상들과 관련을 거쳐 발전한 까닭에 그 사이의 밀접한 관계, 연계상황을 어렵지 않게 추측할 수 있다. 시인은 당시의 문란하고 허위로 점철된 예교주의 경향을 매우 혐오하여 스스로는 인정에 부합하는 전통예절을 따라 일하고 사람됨에 힘쓰는 동시에 예교에 나타난 형식적 부분으로부터 인정에 들어맞는 해결극복의 노력을 진행한다. 그럼에도 그 노력은 도리어 현실적 명분과의 충돌이라는 일종의 모순을 불러오고 결국 시은은 현실을 직시하는 방향으로 급선회하여 비록 일종의 문제해결 방법을 강구하나 여전히 인정을 떨쳐버리지 못한 때문에 헛되이 맘만 쓴 결과를 낳는다. 더욱이 반씨는 반복하여 죽은 아내를 떠올리며 그 그늘이 드리운 집착을 끊지 못할 뿐 아니라 도리어 이성적 판단을 지배받아 방향을 잃고 삶과 죽음을 구분 못하는 상태에 빠진다. 그러나 시인은 오래지 않아 이성적 판단능력을 회복하고 도가의 숙명론을 빌어 사후 세계를 인식하며 일종의 개인적 감정을 떨쳐내야 한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 이처럼 시인의 외면적 문제는 비록 해결된 것처럼 보이지만 내면적 문제는 여전히 그 해결을 보지 못한다. 그래서 시인은 장주의 초월통달 사상정신을 힘써 배워 “인정”위주의 한계를 넘어 나아가 우주 대자연의 “지정”을 추구하는 노력을 시도하지만 아쉽게도 개인적인 희망사항에 그치게 된다. 결론적으로 반악의 「도망시」 3수는 일종의 사상내용상 한계를 지니지만 그 한계를 훨씬 뛰어넘는 가치와 의의를 지니는데 예를 들면 시대사상의 반영, 감정과 사상의 충돌극복에 대한 노력, “인정”을 중시하지만 끊임없이 도가 “지정”의 경지를 추구하는 점들이 바로 그것이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