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성영상정보 기반 코너 포인트 객체 추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앱 개발

        강상구,이기원,Kang, Sang-Goo,Lee, Ki-Won 대한원격탐사학회 201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7 No.1

        최근 국내외적으로 인터넷 웹에서 스마트폰 앱으로 정보통신기술 사용자 요구와 개발 환경이 변화되고 있어 공간정보 분야에서도 이에 따른 기술적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수준은 스마트폰 지도서비스와 위치 확인 서비스가 주가 되고 있어 공간정보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폰 앱의 개발은 전세계 기술 개발 동향을 고려하더라도 시험 개발의 초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영상정보를 활용하여 코너 포인트 객체 (Corner Point Feature) 추출 및 DB 연동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앱을 개발하였다. 이때 코너 포인트 객체 추출은 Harris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사용자 환경으로 구분한 기본적인 시스템 환경의 모든 처리 모듈은 오픈소스 기반으로 설계 및 구현하였다. 추출되는 코너 포인트는 사용자 요구사항에 따라 화면 확대, 축소에 따라 상세화(Level of Details) 과정을 거쳐 화면에 최적화하도록 설계하였다. 한편 공간영상정보와 통일한 대상 지역의 수치지도가 있는 경우에는 앱 상에서수치지도 레이어를 중첩 표현할 수 있는 추가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출되는 자동 POI(Point of Interests) 설정이나 포인트 객체 기반 국토변화 탐지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world-widely apparent that trend movement from internet web to smartphone app by users demand and developers environment. So it needs kinds of appropriate technological responses from geo-spatial domain regarding this trend. However, most cases in the smartphone app are the map service and location recognition service, and uses of geo-spatial contents are somewhat on the limited level or on the prototype developing stage. In this study, app for extraction of corner point features using geo-spatial imagery and their linkage to database system are developed. Corner extraction is based on Harris algorithm, and all processing modules in database server, application server, and client interface composing app are designed and implemented based on open source. Extracted corner points are applied LOD(Level of Details) process to optimize on display panel. Additional useful function is provided that geo-spatial imagery can be superimposed with the digital map in the same area. It is expected that this app can be utilized to automatic establishment of POI (Point of Interests) or point-based land change detection purposes.

      • KCI등재

        위성영상정보 분석을 위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앱 개발

        강상구,이기원,Kang, Sang-Goo,Lee, Ki-Won 대한원격탐사학회 2010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6 No.5

        본 연구에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상에서 위성영상정보 분석처리 기능과 공간정보 브라우징 기능을 지원하는 오픈 소스를 활용한 앱 개발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앱에서 제공하는 분석 기능으로 OTB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하는 필터링, 분할, 분류 등과 같은 5 가지 알고리즘을 시험적으로 구현하였다. 한편 처리된 결과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 관리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처리한 결과를 필요할 때마다 재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는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위성영상을 분석하고 가공할 수 있고, 내부적으로는 데이터베이스와 영상 분석 기능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등과의 연계처리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였다. 한편 스마트폰 단말기 환경에 맞추어 처리 대상이 되는 영상정보에 대하여 사용자 요청과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반응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간 지연을 방지하는 처리 방법을 구현하였다. 현재까지 위성영상정보를 다루는 대부분의 스마트폰 앱이 주로 가시화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반면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앱은 영상분석 기능을 제공하므로 기존의 앱과 차별화된다. 향후 보다 실무적이고 효과적인 분석 알고리즘을 처리하는 앱이 개발되고 일반인 뿐 만아니라 전문가가 이를 사용하게 되면 원격탐사자료가 잠재적 가능성이 있는 모바일 콘텐츠 자원이 아닌 실질적인 콘텐츠 생산 자원으로 인식될 수 있다. 본 연구가 향후 위성영상정보 분석 가능을 제공하는 앱 개발을 위한 독창적인 시도와 기술적 발전을 촉진하는 시발점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ndroid smartphone app providing analysis capabilities of remote sensing images, by using mobile browsing open sources of gvSIG, open source remote sensing software of OTB and open source DBMS of PostgreSQL. In this app, five kinds of remote sensing algorithms for filtering, segmentation, or classification are implemented, and the processed results are also stored and managed in image database to retrieve. Smartphone users can easily use their functions through graphical user interfaces of app which are internally linked to application server for image analysis processing and external DBMS. As well, a practical tiling method for smartphone environments is implemented to reduce delay time between user's requests and its processing server responses. Till now, most apps for remotely sensed image data sets are mainly concerned to image visualization, distinguished from this approach providing analysis capabilities. As the smartphone apps with remote sensing analysis functions for general users and experts are widely utilizing, remote sensing images are regarded as information resources being capable of producing actual mobile contents, not potential resourc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trigger off the technological progresses and other unique attempts to develop the variety of smartphone apps for remote sensing images.

      • 예술인 재능기부 담론 전환이 필요하다

        강상구(Kang Sang-goo) 한국대중음악학회 2016 대중음악 Vol.- No.18

        2008년 국제적 금융 위기 이후 늘어나기 시작한 재능기부 문화는 2010년 ‘재능을 나눕시다’ 캠페인을 거치면서 큰 폭으로 확산되었다. 예술계의 재능 기부는 다른 분야보다 더 큰 사회적 영향력을 가졌는데, 대중 연예인이나 유명인들의 재능기부가 특히 더 많은 관심을 끌었다. 동시에 극소수에 해당하는 유명 예술인들의 재능기부가 언론과 미디어를 통해 소개되면서, 대다수의 저소득 예술가들 역시 재능기부 대열에 이끌려갔다. 그리고 재능기부는 담론을 형성하고 사회 곳곳으로 퍼져 갔다. 재정적 여건이 풍족하지 못한 민간 사회 단체부터 국민의 세금을 운용하는 지자체까지 재능기부를 활성화하자는 메시 지가 도달하지 않는 곳이 없게 된 것이다.예술인들에게 재능은 생계 수단임과 동시에 삶의 방식이다. 하지만 사회는 예술가에게 재능을 많이 가졌으니 조금 내어놓으라고 이야기하는 모양새다. 이로부터 ‘타율적 재능기부’가 시작된다. 문제는 타율적 재능기부가 예술인과 수혜 단체 모두를 행복하게 해주지 못하고, 서로 관계를 왜곡하게 만들 수있다는 데 있다. 실제로 본 연구 결과 많은 예술인은 타율적 재능기부에 강요 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로 인해 재능기부에 대한 필요성, 만족도, 향후 참여 의향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인의 재능기부에 관한 담론 전환이 필요하다. 생계 수단으로의 예술, 노동으로의 예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고, 예술가의 창작적 의욕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재능기부 담론이 형성되길 기대한다. 기존 연구가 수혜자 중심의 재능기부 활성화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라면본 연구는 예술인 관점에서 재능기부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Since its visible growth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the culture of talent donation has become a common phenomenon in Korea, particularly with the Sharing Talents Campaign of 2010. Talent donation in the art world has greater social impact than in other fields. Talent donation, especially by popular entertainers and celebrities, attracted more attention. With the press and media publishing stories about talent donation of very few famous artists, the vast majority of low-income artists were also caught up in the talent donation wave. Talent donation soon garnered social discourse and became pervasive throughout society. Virtually every organization—from poorly-financed civil organizations to local government agencies spending taxpayers’ money—got the message that talent donation became a social norm. To artists, talents are both a means of livelihood and a way of life. But society seems to be demanding that artists give a little bit of the many talents they have. This is the beginning of ‘heteronomous talent donation’. The resulting problem is that heteronomous talent donation satisfies neither the artist nor the beneficiary organization. It can even distort their relationship. In fact, the study results show that many artists feel forced to take part in heteronomous talent donation. It is also found to influence the necessity of talent donation, satisfaction, intention for future participation, etc. A transition is needed in the discourse on artists’ talent donation. It is hoped that the discourse on talent donation shifts to enhance social awareness of art as means of livelihood and labor while maintaining creative volition of artist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the promotion of talent donation from the beneficiaries’ point of view,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its attempt in analyzing problems of talent donation and exploring viable alternatives from the artists’ perspective.

      • KCI등재

        위성영상정보 분석을 위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앱 개발

        강상구 ( Sang Goo Kang ),이기원 ( Ki Won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0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6 No.5

        본 연구에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상에서 위성영상정보 분석처리 기능과 공간정보 브라우징 기능을 지원하는 오픈 소스를 활용한 앱 개발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앱에서 제공하는 분석 기능으로 OTB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하는 필터링, 분할, 분류 등과 같은 5 가지 알고리즘을 시험적으로 구현하였다. 한편 처리된 결과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 관리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처리한 결과를 필요할 때마다 재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는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위성영상을 분석하고 가공할 수 있고, 내부적으로는 데이터베이스와 영상 분석 기능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등과의 연계처리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였다. 한편 스마트폰 단말기 환경에 맞추어 처리 대상이 되는 영상정보에 대하여 사용자 요청과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반응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간 지연을 방지하는 처리 방법을 구현하였다. 현재까지 위성영상정보를 다루는 대부분의 스마트폰 앱이 주로 가시화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반면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앱은 영상분석 기능을 제공하므로 기존의 앱과 차별화된다. 향후 보다 실무적이고 효과적인 분석 알고리즘을 처리하는 앱이 개발되고 일반인 뿐만아니라 전문가가 이를 사용하게 되면 원격탐사자료가 잠재적 가능성이 있는 모바일 콘텐츠 자원이 아닌 실질적인 콘텐츠 생산 자원으로 인식될 수 있다. 본 연구가 향후 위성영상정보 분석 기능을 제공하는 앱 개발을 위한 독창적인 시도와 기술적 발전을 촉진하는 시발점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ndroid smartphone app providing analysis capabilities of remote sensing images, by using mobile browsing open sources of gvSIG, open source remote sensing software of OTB and open source DBMS of PostgreSQL. In this app, five kinds of remote sensing algorithms for filtering, segmentation, or classification are implemented, and the processed results are also stored and managed in image database to retrieve. Smartphone users can easily use their functions through graphical user interfaces of app which are internally linked to application server for image analysis processing and external DBMS. As well, a practical tiling method for smartphone environments is implemented to reduce delay time between user`s requests and its processing server responses. Till now, most apps for remotely sensed image data sets are mainly concerned to image visualization, distinguished from this approach providing analysis capabilities. As the smartphone apps with remote sensing analysis functions for general users and experts are widely utilizing, remote sensing images are regarded as information resources being capable of producing actual mobile contents, not potential resourc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trigger off the technological progresses and other unique attempts to develop the variety of smartphone apps for remote sensing images.

      • KCI등재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위한 위성영상 병렬 정보처리 성능 예비실험

        강상구 ( Sang Goo Kang ),이기원 ( Ki Won Lee ),김용승 ( Yong Seung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8 No.4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경제성, 확장성, 보안성, 공유성, 접근성 등에서 특장점이 있기 때문에 단순한 사무용 시스템에서 전문적 과학정보처리까지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공간정보 분야, 특히 원격탐사 분야에서는 연구나 기술 개발 단계가 아직 초기 수준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구축한 스마트폰 위성영상 정보처리 시스템을 아마존 웹 서비스와 연계된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이동하고 연산 성능 향상을 위해 병렬처리 프로그래밍 기법을 적용하였다. 앞으로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서비스에 대한 산업적 수요와 관련 기술개발 사례가 증가할 것이므로 이 연구에서는 주로 영상처리 기능에 대한 성능 측정 실험을 우선적으로 수행하였다.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운영이나 서비스 방식이 다양한 데, 이번 연구에서 적용된 실험 조건에서는 클라우드 서버가 단일 서버 방식에 비하여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모바일 클라우드를 위성영상정보처리와 연계하기 위한 예비 연구이다. Cloud computing services are known that they have many advantages from the point of view in economic saving, scalability, security, sharing and accessibility. So their applications are extending from simple office systems to the expert system for scientific computing. However, research or computing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geo-spatial fields including remote sensing applications are the beginning stage. In this work, the previously implemented smartphone app for image processing was first migrated to mobile cloud computing linked to Amazon web services. As well, parallel programming was applied for improving operation performance. Industrial needs and technology development cases in terms of mobile cloud computing services are being increased. Thus, a performance testing on a satellite image processing module was carried out a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Types of implementation or services for mobile cloud varies. As the result of this testing study in a given condition, the performance of cloud computing serv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ingle server without cloud service. This work is a preliminary case study for the further linkage approach for mobile cloud and satellite image processing.

      • KCI등재

        위성영상정보 기반 코너 포인트 객체 추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앱 개발

        강상구 ( Sang Goo Kang ),이기원 ( Ki Won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7 No.1

        최근 국내외적으로 인터넷 웹에서 스마트폰 앱으로 정보통신기술 사용자 요구와 개발 환경이 변화되고 있어 공간정보 분야에서도 이에 따른 기술적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수준은 스마트폰지도서비스와 위치 확인 서비스가 주가 되고 있어 공간정보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폰 앱의 개발은 전 세계 기술 개발 동향을 고려하더라도 시험 개발의 초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영상정보를 활용하여 코너 포인트 객체 (Corner Point Feature) 추출 및 DB 연동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앱을 개발하였다. 이때 코너 포인트 객체 추출은 Harris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사용자 환경으로 구분한 기본적인 시스템 환경의 모든 처리 모듈은 오픈소스 기반으로 설계 및 구현하였다. 추출되는 코너 포인트는 사용자 요구사항에 따라 화면 확대, 축소에 따라 상세화(Level of Details)과정을 거쳐 화면에 최적화하도록 설계하였다. 한편 공간영상정보와 동일한 대상 지역의 수치지도가 있는 경우에는 앱 상에서 수치지도 레이어를 중첩 표현할 수 있는 추가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출되는 자동 POI (Point of Interests) 설정이나 포인트 객체 기반 국토변화 탐지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world-widely apparent that trend movement from internet web to smartphone app by users demand and developers environment. So it needs kinds of appropriate technological responses from geo-spatial domain regarding this trend. However, most cases in the smartphone app are the map service and location recognition service, and uses of geo-spatial contents are somewhat on the limited level or on the prototype developing stage. In this study, app for extraction of corner point features using geo-spatial imagery and their linkage to database system are developed. Corner extraction is based on Harris algorithm, and all processing modules in database server, application server, and client interface composing app are designed and implemented based on open source. Extracted corner points are applied LOD(Level of Details) process to optimize on display panel. Additional useful function is provided that geo-spatial imagery can be superimposed with the digital map in the same area. It is expected that this app can be utilized to automatic establishment of POI (Point of Interests) or point-based land change detection purposes.

      • KCI등재

        주요 교역국의 환경규제에 대한 국내 전기ㆍ전자산업의 대응방안

        강상구(Sang Goo Kang),이용근(Yong Keun Lee)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3 전자무역연구 Vol.11 No.3

        국제환경규제가 강화되면 수출지향적인 우리나라는 수출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규제범위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공급망 내의 모든 산업이 영향을 받는다. 반면에 적극적인 환경규제의 선제대응은 기술혁신을 통해 새로운 환경산업을 창출함으로써 기업 및 국가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은 전기ㆍ전자산업을 중심으로 주요 교역국 환경규제 현황과 환경규제의 특성을 고찰하고, 국제환경규제에 대한 기업과 정부차원의 국내 대응방안을 모색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국제환경규제에 사전적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국가와 기업의 지속가능발전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Strengthening the environment regulations will reduce the export of Korea that has an export-oriented industrial structure. As the environment regulations expand their range, they will affect all companies within the supply chain. However if Korea takes the preemptive response to aggressive environmental regulations, it will increas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by creating new environmental industries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s. This paper considers the current situ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ey trading nations' environmental regulations in electric & electronic industry. And it searches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key trading nations' environmental regula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government and companies,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 and Korean companies by providing proactive countermeasures to International environment regulations.

      • KCI등재

        베이지안 영상융합을 적용한 모바일 클라우드 성능실험

        강상구 ( Sang Goo Kang ),이기원 ( Ki Won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4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0 No.4

        현재 정보통신기술 분야의 핵심 용어라고 할 수 있는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등이 다양한 플랫폼 및 서비스에 따라 상호 연결되면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과 연계된 클라우드는 모바일의 장점과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적용에 따른 장점을 모두 유지하고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아직 다른 나라에서도 공간영상정보의 처리나 분석 등과 같은 모바일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는 거의 없으며 실무적인 적용을 위한 실험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정보의 베이지안 영상융합 기법을 적용한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 성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 가지 플랫폼을 대상으로 하였는바, Amazon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과 오픈소스 기반의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인 OpenStack을 기반으로 한 자체적인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였다. 모바일 클라우드 성능 비교에 대한 기준이 아직 설정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므로 가능한 간단하고 유사한 실험 조건을 적용한 실험 결과로 두 가지 클라우드 환경에서 처리 결과가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픈소스 기반의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을 공간정보 서비스 분야에서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recent days, trend technologies for cloud, bigdata, or mobile, as the important marketable keywords or paradigm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re widely used and interrelated each other in the various types of platforms and web-based services. Especially, the combination of cloud and mobile is recognized as one of a profitable business models, holding benefits of their own. Despite these challenging aspects, there are a few application cases of this model dealing with geo-based data sets or imageries. Among many considering points for geo-based cloud application on mobile, this study focused on a performance test of mobile cloud of Bayesian image fusion algorithm with satellite images. Two kinds of cloud platform of Amazon and OpenStack were built for performance test by CPU time stamp. In fact, the scheme for performance test of mobile cloud is not established yet, so experiment conditions applied in this study are to check time stamp. As the result, it is revealed that performance in two platforms is almost same level. It is implied that open source mobile cloud services based on OpenStack are enough to apply further applications dealing with geo-based data sets.

      • KCI등재

        웹 기반 SAR 자료처리 시스템 구성모듈 시험구현

        강상구 ( Sang Goo Kang ),이기원 ( Ki Won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8 No.1

        국내외를 막론하고 현재 대부분의 위성영상 정보처리는 클라이언트 기반 소프트웨어나 관련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정보기술 분야에서는 이미 웹 기반 활용 시스템이 보편화되고 더 나아가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급격히 발전하고 있다. 위성영상정보 분야에서도 이러한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공간자료에서 도출되는 콘텐츠 서비스와 이를 위한 대용량 정보의 공유 및 배포가 웹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격탐사 분야에서도 웹 기반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를 보다 확장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SAR 자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을 반영하여 웹 기반으로 이러한 자료와 관련 정보를 처리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적으로는 웹 환경에서 SAR 자료를 다루는 기존 사례를 조사하였다. 조사한 결과를 분석한 뒤 웹 기반 SAR 자료 처리 과정 중에서 다양한 활용 분야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In SAR 정보처리에 주안점을 두고 이를 위한 세부 기술이나 모듈을 구현하였다. 웹 기반 SAR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설계 과정에서는 확장성을 고려하여 HTML5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실제 위성영상정보의 웹 기반 정보 처리 가능성을 제시하고, 향후 웹 기반 위성영상정보 처리 분석 시스템의 기초 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Nowadays, most remote sensing image processing systems are on client-based ones. But in the view of information technology, a web-based system is predominant, being closely related to cloud computing and services. The web-based system in remote sensing is somewhat limited in the area of data sharing or dissemination, bu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is study is to implement a web-based system and its component modules for SAR data processing, First, the previous cases dealt with both web computing and SAR information are investigated. In SAR information processing and concerned modules for a web-based system among SAR research domains are the main points in this work. It is expected that this approach contributes to the first attempt to link web computing technology such as HTML5 and satellite image processing.

      • SCOPUSKCI등재

        크기가 큰 측방발육형종양의 치료 전략: 분할점막절제술 혹은 점막하박리술

        강상구 ( Sang Goo Kang ),이석호 ( Suck Ho Lee ),정승규 ( Seung Kyu Chung ),신재민 ( Jae Min Shin ),전성란 ( Seong Ran Jeon ),이태희 ( Tae Hee Lee ),김현건 ( Hyun Gun Kim ),김진오 ( Jin Oh Kim ) 대한장연구학회 2011 Intestinal Research Vol.9 No.3

        Background/Aims: The therapeutic strategy between endoscopic piecemeal mucosal resection (EPMR) an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for large laterally spreading tumors (LSTs) has not been clearly defin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between EPMR and ESD in patients with large LST. Methods: From July 2006 to September 2010, 106 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ic resection for large (>20 mm) LSTs were included in our retrospective analysis. Results: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and tumor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except for location (EPMR-right colon, ESD-rectum). The en bloc resection rate and complete resection 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SD group than those in the EPMR group (EPMR vs. ESD, 53.5% vs. 88.6, P<0.01, 45.1% vs. 71.4%, P=0.01, respectively). However, total procedure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EPMR group (21.3 min vs. 44.4 min, P<0.01). Furthermore, the rates of complication including perforation and bleeding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EPMR group than those in the ESD group (perforation, 1.4% vs. 11.4%, P=0.02; bleeding, 4.2% vs. 17.1%, P=0.03, respectively). During 19.9 months of follow-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erms of recurrence (1.5% vs. 3.2%). Non-granular, pseudo-depressed type (LST-PD)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presence of adenocarcinoma and deeper submucosal invasion than other types of LSTs. Conclusions: The therapeutic strategy for choosing between EPMR and ESD for large LST lesions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macroscopic findings of their subtype. En bloc resection with ESD should be applied to LST-PDs due to their higher rate of submucosal invasion. (Intest Res 2011;9:211-21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