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분노, 감정표현불능증과 우울

        강상건,이상열,김형준,차만진,황혜헌 대한가정의학회 2002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3 No.7

        Background: Functional dyspepsia (FD) is a commonly encountered disturbance of gut function and has been shown to be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disturbance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Of particular importance to clinicians are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alexithymia, and depress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ger, alexithymia,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Methods: Thirty patients who visited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1 to June 2001, were diagnosed with functional dyspepsia by a gastroenterologist and compared with 37 healthy control group. Medical investigation of FD including gastrofiberscopy, esophageal manometry, and ambulatory 24-hours intraesophageal reflux test were negative. All subjects were evaluated for depression, anxiety, anger and anger expression, and alexithymia. The measures included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Spielberger State-Trait Anger Expression Scale (STAXI), and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 Results: The FD patients reported significantly more symptoms of depression, more difficulty describing feeling to others in TAS, less anger-in and anger-out expression in STAXI than the control subjects. Depressive symptoms in FD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ate anxiety, trait anxiety, alexithymia, state anger, trait anger, and anger-in expression. In multiple regression model, state anger and trait anxiety together accounted for 69.1% of the depression in FD. Conclusion: The FD patients reported more depressive symptoms, and the depressive symptoms were related to anxiety, anger and anger-in, and alexithymia. These finding lend support that FD is a syndrome in which biopsychosocial process and affect dysregulation may play a role in features of FD. (J Korean Acad Fam Med 2002;23:881-889) 연구배경: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위장관 기능이상의 흔한 장애로 우울 및 불안 같은 심리적 장애와 연관성이 있어 왔다. 이 중에서도 임상가에게 중요한 것은 분노, 감정표현불능증과 우울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분노, 감정표현불능증, 우울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6월까지 원광의대병원을 방문하여 소화기내과 전문의에 의해 기능성 소화불량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37명을 정상 성인 37명과 비교하였다.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는 위내시경, 식도운동검사, 위-식도 역류검사를 포함한 제반 검사에서 정상이었다. 모든 피험자는 우울, 불안, 분노 및 분노표현, 감정표현불능증이 평가되었는데 평가도구로는 Beck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Spielberger 상태-특성 불안 척도(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pielberger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pielberger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와 Toronto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oronto Alexithymia Scale)였다. 결과: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더 많은 우울 증상을 보였다. 또한 감정표현불능증 척도의 요인 2 (느낌을 잘 설명하지 못함)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분노에서는 유의하게 더 적은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을 보였다.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우울은 상태불안, 특성불안, 상태분노, 특성분노, 감정표현불능증, 분노-억제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다중회귀분석에서 상태분노와 특성불안이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우울에 대하여 69.1%의 설명 변량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는 우울이 더 높았고 이는 불안, 분노, 분노-억제, 감정표현불능증과 상관이 있었는데 이는 기능성 소화불량증이 생물정신사회적 과정과 정동 조절장애(affective dysregulation)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증후군임을 시사하고 있다. (가정의학회지 2002;23:881-889)

      • 濟州道産 Aspergilli에 관한 分類學的 硏究(第一報) : -土壤에서 分離된 Aspergilli에 대하여- -Aspergilli isolated from "Soil"-

        康順善,姜尙建 제주대학교 1987 논문집 Vol.25 No.-

        濟州道內의 60個 地域에서 蒐集된 土壤標本 300點으로부터 Asperillus屬에 속하는 菌株 30株를 分離하였다. 이들은 Raper와 Fennell(1965)의 分類法에 따라 同定한 結果 5個種群에 속하는 9種으로 확인하였다. 1. A. fumigatus群에 속하는 菌株는 모두 18株였는데, 각각 Asp. fumigatus (14株) 및 Asp. brevipes(4株)로 同定되었다. 2. A. niger群에 속하는 菌株는 모두 6株였는데, 이들은 각각 Asp awanori (4株), Asp. foetidusvar. pallidus(1株) 및 Asp. phoenicis (1株)로 同定되었다. 3. A versicolor群에 속하는 菌株는 모두 3株였는데, 이들은 각각 Asp. asperescens (1株) 및 Asp. sydowi(2株)로 同定되었다. 4. A. clavatus群에 속하는 菌株는 1株였는데, 種分類 結果 Asp. clavatus였다. 5. A. cremeus群에 속하는 菌株는 2株엿는데, 모두 Asp. chrysellus sp. now였다. 6. 韓國 未記錄種인 것은 Asp. brevipes(4株), Asp. awamori(4株), Asp. foetidus var. pallidus(1株), Asp. asperescens (1株), Asp. chrysellss sp. nov(2株), 로 4種群에 5種으로 확인되었다. For the taxonomical study of Aspergillus spp., 30 strains of Aspergilli were isolated from 300 soil samples which were collected from 60 local areas of Cheju-do.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key of "Raper and Fennell(1965)", 30 strains of Aspergillius spp. were identified as 9 species, in 5 species groups. 1. 18 strains of Asp. fumigatus group are identified as Asp. fumigatus (14 strains)adn Asp. brevipes (4 strains). 2. 6 strains of Asp. niger group are identified as Asp. awamori (4 strains) Asp. foetidus var. pallidus (1 strain) and Asp. phoneicis (1strain). 3. 3 strains of Asp. versicolor group are identified as Asp. asperescens (1 strain) and Asp. sydowi (2 strains). 4. 1 strain of Asp. clavartus group is identified as Asp. clavatus. 5. 2 strains of Asp. cremeus group are identified as the same species, Asp. chrysellus sp. nov. 6. among the above strains of Aspergillus spp., the 5 species in 4 species groups are unrecorded in Korea, as follows: Asp. brevipes (4 strains); Asp awamori (4 strains); Asp foetidus var. pallidus (1 strain), Asp. asperescens (1 strain); Asp. chrysellus sp. nov (2 strain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