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광대역 CDMA 방식을 이용한 무선 가입자 망(WLL)의 무선접속 기술

        강병권,송평중,양순성,김진경,이헌 에스케이텔레콤 (주) 1997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7 No.2

        무선가입자망(선로)이라 불리는 WLL(Wireless Local Loop)은 전화국에서 가입자 댁내까지를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연결시키는 선로이며, 단말이 고정되어 있어 이동성 기능이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이동통신 원리가 적용된다. 그 응용 분야도 매우 다양하여 음성, FAX, 인터넷, 패킷 데이터 서비스 등이 가능하고 선로를 포설하는 비용 및 시간이절약되므로 농어촌, 산간 벽지, 재해 대책 용도뿐 아니라 제2의 시내전화 사업으로도 경쟁력이 매우 크다. 본 고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무선가입자망을 위한 무선 접속 규격안으로 준비 중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본 규격안은 3.5 MHz부터 15MHz까지의 다양한 대역의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일반적인 음성 및 데이터 외에도 ISDN 데이터까지의 처리와 한 단말국에서 여러 트래픽 채널을 처리할 수 있도록 변조 시스템을 구성하였다는 것이 특징이다.

      • KCI등재

        버스트형 데이터 전송을 위한 DS/SS 전력선 통신시스템의 실현에 관한 연구

        강병권,이재경,신광영,황금찬 한국통신학회 1991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16 No.11

        본 논문에서는 강한 임펄스성 잡음 및 협대역의 간섭이 존재하는 전력선 채널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직접 시퀀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디지털 정합 필터를 이용하여 버스트형 패킷의 빠른 코드 동기를 수행하도록 하였고, 코드 동기를 이룬 후 샘플링 펄스에 의해 데이터를 결정함으로써 버스트형 패킷을 복구하였다. 전력선 통신 시스템의 성능 측정을 위하여 매우 강한 임펄스성 잡음이 존재하는 모의 채널에서 전치 부호 1비트, 데이터 63비트로 구성된 패킷을 전송하였다. 매우 열악한 채널 조건으로서 신호 레벨보다 약 30[dB] 정도 큰 임펄스성 잡음이 연속적으로 발행하는 경우에도 $10^3$- $10^4$의 비트 오율과 0.07 이하의 패킷 손실율을 유지 하였다. In this paper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technique is constructed to transmit burst format data over power line channel with impulsive noise and narrowband interferences. Fast code synchronization is acquired by digital matched filter and data decision is accomplished by sampling pulses. In order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but error rate and packet loss rate are measured over the simulation channel with various noise sources. When the packet composed of 1-bit preamble and 63-bit data is transmitted under very high burst impulsive noise, the bit error rate is about 10$^3$-10$^4$ and the packet loss rate is below 0.07.

      • 最大運動負荷時 最大酸素攝取量과 最大心搏數

        姜秉權,李源才,黃樹寬,朱永恩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8 慶北醫大誌 Vol.29 No.2

        19∼23세의 長距離選手를 대상으로 하여 treadmill 運動負荷 增加에 따른 酸素攝取量(VO_2)과 心博數의 변화 사이에 相關關係를 究明한 결과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肺機能인 FVC는 5.13ℓ이고, FEV_1.0는 4.83ℓ이며, 이로서 FEV_1.0%는 94.0%이다. 또한 MVV는 180.5ℓ/min이다. 이들 肺氣能은 推定値보다 높으며, 특히 FEV_1.0과 MVV는 유의하게 높았다. 心博數는 안정시 60.3회에서 운동부하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최대심박수는 186.0회에 달했다. VO_2는 안정시 0.31ℓ/min(5.15㎖/㎏·min)에서 운동부하증가에 따라 차차 증가하여, 최대산소섭취량(VO_2max)는 4.07ℓ/min(65.8㎖/kg·min)이었다. VO_2와 心博數의 상관계수는 0.9993으로 상관이 매우 높았으며, 추정식 y=0.5397x+29.009를 구하였다(y: VO_2, ㎖/㎏·min, x: 심박수). 최대산소섭취량의 백분율(%VO_2max)과 최대심박수의 백분율(%HR_max)의 추정식 y=1.4037x-40.271를 구하였다(y: %VO_2max, x: %HR_max).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보아 運動中 心博數變化로서 VO_2를 추정 할 수 있고, 최대심박수의 백분율(%HR_max)로서 최대산소섭취량의 백분율(%VO_2max)을 추정할 수 있는 점이 의의있는 결과로 주목되는 바이다. The subjects were long-distance runners of male college students aged between 19 and 23 year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O_2 and heart rate (HR) with a graded exercise test on a treadmill. The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showed FVC as 5.13ℓ and FEV_1.0 4.83ℓ with FEV_1.0% as 94.0%. MVV was 180.5ℓ/min. These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were higher than the predictive values, especially FEV_1.0 and MVV were significantly higher. Heart rate was 60.3 beats per min at the resting state, and increased gradually with a graded exercise test. The maximal heart rate (HR max) was 186.0 beats per min. VO_2 was 0.3ℓ/min (5.15 ㎖ ㎏^-1. min^-1) at the resting state and increased gradually with a graded exercise test. The maximal VO_2 (VO_2max) was 4.07ℓ/min (65.8㎖ ㎏^-1. min^-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VO_2 and heart rate showed a high relationship (r=0.9993). We obtained the predictive equation with VO_2 and heart rate as : y=0.5397x+29.009(y : VO_2, ㎖.㎏^-1 min^-1, x : heart rate) and we obtained the predictive equation for %VO_2 max and %HR max as : y=1.4037x-40.271(y : %VO_2 max, x : %HR max)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possible to predict VO_2 from the change of HR during the exercise, and also to predict %VO_2 max from %HR max.

      • KCI등재

        고속 무선 통신을 위한 비선형 MMSE 검출기를 갖는 터보 처리 다중 입출력 시스템

        강병권,조동균,Kang, Byeong-Gwon,Cho, Dong-Kyun 한국전자파학회 2006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7 No.12

        본 논문에서는 터보 처리 MIMO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의 선형 MMSE 검출기를 기반으로 간단한 비선형 MMSE 검출기를 유도하고 가우시안 근사화와 비선형 MMSE 검출기를 갖는 새로운 터보 처리 MIMO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터보 부호를 사용하는 터보 처리 MIMO 시스템에서 기존의 시스템과 제안된 시스템의 프레임 오율 성능을 살펴보면 1 % FER을 기준으로는 송신과 수신안테나 수를 각각 N과 M이라 할 때, M=N=4인 경우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의 시스템보다 약 0.5 dB의 성능 향상을 갖고, M=N=8인 경우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의 시스템보다 약 0.4 dB의 성능 향상을 갖는다. 또한 평균 외부 반복 횟수를 살펴보면 제안된 시스템이 기존의 시스템보다 낮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제안된 시스템의 비선형 MMSE 검출기가 수신신호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부호화된 비트의 연 출력을 결정함으로써 심볼 값을 판정하는데 필요한 영역에서의 불확실한 부분을 줄였기 때문에 성능이 향상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 simple and nonlinear MMSE detector is derived from the conventional linear MMSE detector to improve the system performance in turbo processing MIMO system and a new turbo processing MIMO system with nonlinear MMSE detector and Gaussian approximation is proposed. In turbo coded turbo processing MIMO system, the proposed system of M=N=4 performs about 0.5 dB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system and the proposed system of M=N=8 performs about 0.4 dB better than conventional system at 1 % FER. In addition, the average number of outer iterations of proposed system shows 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system. This i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nonlinear MMSE detector of proposed system decides soft-outputs of coded bit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received signals, so that it can reduce the uncertainty region in estimating the coded bits.

      • KCI등재

        이미지 와핑을 이용한 실시간 그림자 생성 기법

        강병권,임인성 한국정보과학회 2002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9 No.6

        Shadows are important elements in producing a realistic image. Generation of exact shapes and positions of shadows is essential in rendering since it provides users with visual cues on the scene.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be able to create soft shadows resulted from area light sources since they increase the visual realism drastically. In spite of their importance, the existing shadow generation algorithms still have some problems in producing realistic shadows in real-time. While image-based rendering techniques can often be effectively applied to real-time shadow generation, such techniques usually demand so large memory space for storing preprocessed shadow maps. An effective compression method can help in reducing memory requirement, only at the additional decoding cos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image-based shadow generation method based on image warping. With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generate realistic shadows using only small sizes of pre-generated shadow maps, and is easy to extend to soft shadow generation. Our method will be efficiently used for generating realistic scenes in many real-time applications such as 3D games and virtual reality systems.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그림자는 장면의 사실성을 높이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전경을 렌더링 할 때 그림자의 모양이나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제 세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광원에 의한 부드러운 그림자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현존하는 대부분의 그림자 생성 기법들은 사실적인 그림자를 실시간으로 생성해 내기에 어려움이 많다. 기존에 제안된 영상 기반 렌더링 기법을 이용하면 실시간으로 그림자를 생성해 내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 그림자 지도의 크기가 지나치게 방대해지기 때문에, 텍스춰 메모리에 올리기에 무리가 따르게 되므로, 효율적인 압축기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그림자 지도의 크기와 압축의 부담으로 인해, 다양한 물체의 움직임을 표현하거나, 부드러운 그림자로의 확장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영상 기반 렌더링 기법을 적용한 방법에 이미지 와핑 기법을 응용하여 그림자 지도의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방법에서는 물체가 움직이는 범위와 상관없이 매우 적은 개수의 그림자 지도만으로 그림자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부드러운 그림자를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개발한 기법은 3차원 게임이나 가상 현실 등 관련 분야에서 사실적인 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해 내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