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남 창원시 초등학교 학교숲의 생태적 특성

        강미영,주정운,김소진,김태운,문현식,Kang, Mee-Young,Joo, Jeong-Woon,Kim, So-Jin,Kim, Tae-Woon,Moon, Hyun-Shik 한국환경과학회 2021 한국환경과학회지 Vol.30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school forests in order to utilize school forests as a plac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planting status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Changwon-city. School forests including meditation forest were the largest in Yongho elementary school (below e.s.) in meditation forest school and Dogye (e.s) in normal school. Jehwang (e.s.) and Sangnam (e.s.) showed the most abundant green area given for the management per member. The number of planting species and individuals in school forests differed greatly by elementary schools.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lanted species for establishment of meditation for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ncordance rate between the plants planted in the school forest and the plants mentioned in the textbook between meditation forest schools and normal schools. Index of ecological health averaged 3.2 for meditation forest schools and 2.4 for normal schools, which is the result of increase in green area and green rate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meditation forest.

      • KCI등재

        경상남도 거제시 초등학교 학교정원의 식재 현황

        강미영 ( Kang Mee-young ),문현식 ( Moon Hyun-shik ),주정운 ( Joo Jeong-woon ),김소진 ( Kim So-jin ),허무룡 ( Huh Moo-ryong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경남 거제시에 위치한 6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정원 내 식재 현황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학교정원을 환경교육의 장소로 활용하기 위해 향후 학교정원 조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명상숲 조성 학교와 일반 학교로 구분하여 학교정원 현황, 정원 내 식재 현황, 교목과 교화의 식재 현황, 정원 내 식물과 교과서 식물의 일치율, 정원의 생태적 건강성 등을 분석하였다. 학교정원 면적, 녹지비율, 1인당 녹지면적은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명상숲 조성학교가 일반 학교보다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녹지비율과 1인당 녹지면적도 명상숲 조성학교가 일반 학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정원에 식재된 식물상은 명상숲 조성 학교가 66∼70종으로 일반 학교의 32∼48종보다 학교정원 내 식물 종이 많았으며, 학교정원 내 식재된 식물의 개체 수도 명상숲 조성학교가 평군 597개체로 일반 학교의 331개체보다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로 울타리용과 경관용으로 식재되는 영산홍과 남천, 산철쭉, 덩굴장미 등은 개체 수가 많았으나 은행나무, 왕벚나무 등 교목성 수종의 개체 수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정원 내에 분포하는 식물과 교과서에 언급되는 식물의 일치율은 명상숲 조성학교 약 40%, 일반 학교 36%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초등학교라는 특성을 고려하면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라도 학교정원 내 수종과 교과서 언급식물의 일치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조사 대상 학교의 교목은 소나무와 느티나무, 향나무, 은행나무, 팽나무 등이었으며, 교화는 동백꽃과 개나리, 목련 등이 주로 지정되어 있었다. 녹지면적은 명상 숲 조성 학교가 일반 학교보다 조금 넓었으나,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는 명상 숲 조성 학교와 일반 학교 간에 큰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학교정원 내 식재된 식물 종의 종 다양도는 명상 숲 조성 여부에 따라 가장 차이가 크게 조사되었다. 녹지 연계성은 교외 환경의 영향을 절대적으로 받는데, 학교 주변에 녹지면적이 부족하면 학교정원이 도시림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확대 조성하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적 건강지수는 명상 숲조성 학교(3.17점)가 일반 학교(2.56점)보다 조금 더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reation of school gardens in order to utilize them as a plac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lanting status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eoje-city, Gyeongnam. The study classified distinctly the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and normal schools while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school gardens, planting statuses of school gardens, planting statuses of school trees and school flowers, the concordance of plants in school gardens and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the ecological health of school garden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among schools, school garden areas, green area ratios, and green areas per person of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are higher than in normal schools. Plants planted in school gardens consisted of 66-70 species in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and there were more plant species in these school gardens than the 32-48 species in normal schools. The amount of plantings of species such as Rhododendron indicum, R. yedoense for. poukhanense and Nandina domestica, which are planted for fences and landscapes, are hi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lants planted in school gardens and plants mention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bout 40% for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and 36% for normal schools. School trees were Pinus densiflora, Zelkova serrata, Juniperus chinensis var. chinensis, Ginkgo biloba and Celtis sinensis, and school flowers were Camellia japonica, Forsythia koreana and Magnolia kobus. The green areas of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was found to be a little wider than that of normal schools, but the green rate and green volume facto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and those without. Species diversity is the factor with the greates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tation forest. Connectivity to green belts is absolutely influenced by the suburban environment. If there are insufficient green areas around the school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hool gardens so that they can function as urban forests. The ecological health index of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is also slightly higher than normal schools.

      • KCI등재

        경상남도 통영시 장사도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강미영 ( Mee Young Kang ),문현식 ( Hyun Shik Moon ),강진택 ( Jin Taek Kang ),안기완 ( Ki Wan Ahn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1

        활엽수림을 비롯한 도서지역의 식물보호는 물론 우리나라 식물자원에 대한 합리적인 보호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3년 4월부터 10월까지 장사도 내의 관속식물을 조사하였다. 전체 식물상은 101과 217속 264종 1아종 32변종 7품종 등 305분류군으로 요약되었다. 조사된 식물들 중에서 가장 넓은 분포역을 차지하는 수종은 동백나무였으며, 그 외 후박나무, 구실잣밤나무도 분포역이 넓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양치식물은 1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양치식물계수는 1.15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냄새냉이, 자리공 등을 포함하여 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율은 각각 1.64%와 1.56%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식재수종인 미선나무를 비롯하여 줄댕강나무, 할미밀망 등 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멸종위기종인 미선나무, 위기종인 눈향나무, 담팔수, 줄댕강나무, 취약종인 모감주나무 등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식재수종인 황근과 미선나무를 포함한 68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등급별 분류군 수를 살펴보면 5등급 2분류군, 4등급 4분류군, 3등급 28분류군, 2등급 2분류군, 1등급 32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장사도는 다른 곳과 비교하여 자연환경 보전이 필요한 지역이고 관광객 등의 영향으로 생태계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효율적이고 구체적인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Jangsa Island, Tongyeong-si, Gyeongsangnam-do.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305 taxa and included 101 families, 217 genus, 264 species, 1 subspecies, 32 varieties, and 7 forma. Ca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an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were distributed over a wide area in Jangsa Island. The Pte-Q(Pteridophyta Index) was 1.15 with 16 taxa.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7 taxa including Abeliophyllum distichum, Abelia tyaihyoni, Clematis trichotoma, and so on.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were 8 taxa including Abeliophyllum distichum,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and Koelreuteria paniculata, while the naturalized plants were 5 taxa including Coronopus didymus and the Phytolacca esculenta. The naturalized index(NI) and urbanization index(UI) were respectively 1.64% and 1.56%.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s found in this area were 68 taxa including Hibiscus hamabo and Abeliophyllum distichum, and so forth: 2 taxa of grade Ⅴ, 4 taxa of grade Ⅳ, 28 taxa of grade Ⅲ, 2 taxa of grade Ⅱ, and 32 taxa of grade Ⅰ. In conclusion, establishing a specific way to minimize human disturbance and building an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ecosystem change in Jangsa Island are required.

      • KCI등재

        울산광역시 대왕암 도시숲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태운 ( Kim Tae-woon ),문현식 ( Moon Hyun-shik ),김충열 ( Kim Chung-yeol ),강미영 ( Kang Mee-young ),임효인 ( Im Hyo-in ),조민기 ( Cho Min-gi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대왕암 도시숲의 식생구조와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여 대왕암 도시숲의 생물종다양성을 보존하고, 향후 관리방안 확립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항목은 토양특성, 중요치, 종다양도, 연륜생장량과 절간생장량, 치수발생량 등이었다. 토양특성은 토양 pH 6.70~7.19의 약알카리성을 나타내어 토양산도 관리는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유기물(0.47~0.56%)과 전질소(0.47~0.56%)도 유효범위 내에 있거나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효인산 함량(10.08~22.82 ppm)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양용적밀도는 0.47~0.52g/cm3로 나타나 토양의 입단구조발달이 활발한 것으로 판단된다. 중요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상층에서는 곰솔, 중층에서는 왕벚나무, 하층에서는 주름조개풀과 억새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대왕암 도시숲은 전체적으로 층위별 출현종수도 적고 중층의 발달이 빈약하여 불안정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종다양도 지수는 상층에서 0.153~0.289, 중층 0.316~0.327, 하층 1.270~1.291로 분석되었으며, 상층과 중층의 균재도와 우점도는 각각 0.321~0.452, 0.548~0.679로 나타났다. 최대종다양도에 대한 종다양도의 값이 근접할수록 안정적인 구조인데, 본 조사지의 상층과 중층에서 종다양도와 최대종다양도 지수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대왕암 도시숲의 상층과 중층의 식생이 불안정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곰솔 성목의 평균연륜생장량은 혼효림 2.20 mm/yr, 곰솔 성목림 1.80mm/yr, 해안가 곰솔림 1.60 mm/yr의 생장량을 보였으며, 평균연륜생장량에 대한 조사지별변이계수는 혼효림 37%, 곰솔 성목림 56%, 해안가 곰솔림 65%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의 평균연륜생장량은 혼효림 1.60 mm/yr, 곰솔 성목림 1.56 mm/yr, 해안가 곰솔림 1.27 mm/yr로 모든 조사지에서 생장감소가 나타났고, 평균연륜생장량 대비 각각 27%, 13%, 21%의 생장감소율을 보였다. 곰솔 성목의 형상비는 혼효림 41.5, 곰솔 성목림 47.0, 해안가 곰솔림 46.6으로 대왕암 도시숲의 곰솔은 수목의 건전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곰솔 식재목의 절간생장량은 35.3~50.4cm의 범위에 있었으며, 천연갱신된 곰솔은 27cm의 절간생장량을 보였다. 치수발생량은 해안가에 위치한 곰솔림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lan by analyzing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aewangam urban forest. This study analyzed soil properties, importance value, species diversity, annual ringwidth increment, internodal growth and seedlinggenesis of P. thunbergii. The soil pH was 6.70~7.19 and the contents of OM, TN, available P were 6.76~8.85%, 0.47~0.56% and 10.08~22.82ppm, while the soil bulk density was 0.47~0.52g/cm3. According to the importance value analysis, P. thunbergii for upper layer, Prunus yedoensis for middle layer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 and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for lower layer were respectively high. The species diversity of Shannon ranged from 0.153 to 0.289 for upper later, 0.316 to 0.327 for middle layer and 1.270 to 1.291 for lower layer. The evenness and dominance for upper and middle at all sites ranged from 0.321 to 0.452 and 0.548 to 0.679. The average annual ringwidth increment of mature P. thunbergii was 2.20 mm/yr for mixed forest, 1.80 mm/yr for mature forest of P. thunbergii, and 1.60 mm/yr for P. thunbergii forest in seashore, and coefficient of variation(CV) was 37% for mixed forest, 56% for mature forest of P. thunbergii, and 65% for P. thunbergii forest in seashore. The average shape ratio of mature P. thunbergii was 41.5 for mixed forest, 47.0 mature forest of P. thunbergii and 46.6 for P. thunbergii forest in seashore. This indicates that P. thunbergii in Daewangam urban forest has high health. Internodal growth of planted and natural regenerated P. thunbergii ranged from 27 to 50.4cm, and the P. thunbergii forest in seashore showed the highest seedlings.

      • KCI등재

        합천군 오도산자연휴양림의 관속식물상

        김태운 ( Tae Woon Kim ),서장미 ( Jang Mi Seo ),박유진 ( Yu Jin Park ),문현식 ( Hyun Shik Moon ),강미영 ( Mee Young Ka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8 환경영향평가 Vol.27 No.2

        본 연구는 경상남도 합천군 오도산자연휴양림의 식물상 분석을 통해 생태적 정보제공뿐만 아니라 자연휴양림의 효율적인 보호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6년 9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수행되었다. 전체 식물상은 86과 192속 255종 3아종 32변종 6품종 등 총 296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종/속 비율은 1.5로 나타났다. 특산식물은 세뿔투구꽃, 진범, 은꿩의다리, 흰괭이눈, 참갈퀴덩굴 등 총 10분류군이 나타났고, 희귀식물은 세뿔투구꽃, 주목, 히어리, 사철란 등 총 6분류군이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0분류군으로 IV등급이 5분류군, III등급이 6분류군, II등급이 7분류군, I등급이 11분류군이 나타났다.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총 42분류군이 나타났고,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식재종인 구상나무, 세뿔투구꽃을 포함하여 총 4분류군이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유럽점나도나물, 가죽나무, 망초 등 총 11분류군이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efficient protection management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in addition to providing ecological information by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in Ohdo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and conducted from September 2016 to June 2017. This study showed that the area had a total 295 taxa including 86 families, 192 genuses, 255 species, 3 subspecies, 32 variants 6 forms and the ratio of genus/family was 1.5. Korea endemic plants were 10 taxa including Aconitum austrokoreense and A. pseudolaev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6 taxa including Aconitum austrokoreense and Goodyera schlechtendaliana.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s plants found in this survey area were 30 taxa comprising 5 taxa of grade IV, 6 taxa of grade III, 7 taxa of gradeII and 11 taxa of gradeI. Based on the list approved for delivering overseas of plants, 42 taxa were recorded in the surveyed area.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4 taxa such as Abies koreana, Acotinum austrokoreense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1 taxa including Cerastium glomeratum, Oenothera biennis and so forth.

      • KCI등재

        이용객 모니터링을 통한 울산 대왕암 도시숲의 관리방안

        김충열 ( Kim Chung-yeol ),문현식 ( Moon Hyun-shik ),김태운 ( Kim Tae-woon ),조민기 ( Cho Min-gi ),강미영 ( Kang Mee-young ),안기완 ( Ahn Ki-wan ),임효인 ( Im Hyo-in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대왕암 도시숲을 대상으로 이용객 모니터링을 통해 효율적인 도시숲 관리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위해 대왕암 도시숲을 방문한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용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이용특성으로 남녀의 비율이 크게 차이나지 않고, 30~40대가 주요 이용 방문객이며, 주부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 지역 거주자가 주요 이용 방문객이나 타 지역 거주자도 상당비율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2~3회 방문비율이 가장 높았고, 주로 가족과 친척 단위로 1시간~2시간 정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객 만족도 분석에 있어 `주요 기능`, `숲 상태`, `경관/조화` 분류에서는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산책로 상태`, `시설물 상태` 분류에서는 보통이상 수준의 만족도를 나타내며, 재방문객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전반적으로 대왕암 도시숲에 대한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산책로 상태`, `시설물 상태`의 보통 이상의 만족도는 앞으로 만족도 향상을 위한 향후 개선방안과 관리전략 수립이 필요하여 여러 측면을 고려한 중·장기적인 계획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울산 지역 거주자와 타 지역 거주자에 따른 만족도가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방문빈도와 방문목적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용객들은 대왕암 도시숲이 타 수종으로의 전환 보다는 현재 곰솔림으로 유지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 곰솔 후계림 조성,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등을 통해 곰솔림을 보다 적극적으로 유지시키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대왕암 도시숲 이용객의 주된 방문목적이 운동과 산책 보다 휴식의 비율이 높은 점으로 볼 때, 대왕암 도시숲은 도시환경 속에서 휴식처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이용객 모니터링은 대왕암 도시숲의 통합적 관리에 있어 보다 확고한 목표와 방향을 설정할 수 있게 하고 체계적인 관리의 기반을 마련함으로서, 고품질의 자연서비스 제공과 더불어 도시생태계 회복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도시환경 속 휴식을 목적으로 하는 도시숲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용 방문객 중심의 맞춤형 도시숲은 앞으로 도시숲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며 대왕암 도시숲은 이러한 맞춤형 도시숲의 대표적인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etter management plan of Daewnagam urban forest based on visitor monitoring. On-site surveys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carried out in August 2016, and in total 220 data were analyzed. Visitors were inclusive of all age groups and most of them lived nearby the Daewangam urban forest. Behavior patterns showed that the users visited this area by car 2 or 3 times a month. Visitors used the Daewangam urban forest mainly for their relaxatio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Daewangam forest as a city urban forest in terms of the forest condition, landscape and harmony. However, visitors were not satisfied with some specific items, such as the walkway and facilities condition.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specific items such as the satisfaction on main function, forest, landscape/harmony, walkway and facility condition between residential areas. Also, the purpose of visit between residential areas differed. The result showed higher rate in relaxation for Ulsan residential area, whereas for other areas, tourism was the main purpose of visit.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visitor management system that could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wo groups as well as its conser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