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의 수간부후와 흉고직경 및 임령 관계

        강진택 ( Jin-taek Kang ),고치웅 ( Chi-ung Ko ),문가현 ( Ga-hyun Moon ),이승현 ( Seung-hyun Lee ),이선정 ( Sun-jeoung Lee ),임종수 ( Jong-su Y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9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대표적 활엽수인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5,005본을 벌채·수집하여 수간의 부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적으로 5개 대권역 27개 지역 소권역별로 분포면적 대비 표본수를 고르게 할당하여 신갈나무 2,504본, 굴참나무 2,501본을 공시목으로 선정하여 벌채 후, 그루터기의 부후조사를 상흔(상처흔적), 조직고사 및 탈색, 할렬, 동공의 4가지 형태로 조사하였다. 부후율은 신갈나무가 66.1%, 굴참나무가 31.5%로 신갈나무가 굴참나무에 비하여 두 배 이상 높았다(p < 0.001). 지역별 비교에서 신갈나무는 중부청(76.5%), 북부청(74.8%), 동부청(65.7%), 굴참나무는 북부(38.6%), 남부(37.8%), 동부청(32.9%) 권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두 수종 모두 5개 대권역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p < 0.001). 또한 수간부후는 두 수종 모두 직경의 증가에 따라서 역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 < 0.001, p < 0.05), 수령에 따른 수간부후도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신갈나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후형태는 직경과 수령이 증가할수록 신갈나무는 대부분 조직고사 및 탈색의 부후형태 단계, 굴참나무는 상흔단계를 보이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stem decay in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in Korea. To ensure even allocation, a total of 5,005 sample trees (2,504 Q. mongolica and 2,501 Q. variabilis) were cut and collected in five regions and 27 subregions. The trees were then examined for stump decay and assigned to four classes based on the degree of scar, tissue decay and decolorization, splitting, and tree hollow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decay rate of Q. mongolica was 66.1%, at least twice as high as that of Q. variabilis, which was rated at 35% (χ2= 631.15, p < 0.001). The comparison among regions indicated that the highest ratio of Q. mongolica occurs in the Central Regional Forest Service zone (76.5%), followed by the Northern zone (74.8%) and Eastern zone (65.7%). In contrast, the greatest proportion of Q. variabilis is found in the Northern Regional Forest Service zone (38.6%), followed by the Southern (32.9%) and Eastern (37.8%) zon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among the five zones (p < 0.05, p < 0.001). There was also a clear tendency for the proportions for the two species to increase with a rise in the DBH. With respect to age, howe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p < 0.01, p < 0.05) only in Q. mongolica, whose rat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age. Our results show that as the DBH and age increases, the conditions of tissue decay and decolorization are manifested in Q. mongolica, whereas scars are common in Q. variabilis.

      • KCI등재

        제주 및 남해안 편백의 수간곡선식 및 입목수간 재적표 개발

        강진택 ( Kang¸ Jin-taek ),고치웅 ( Ko¸ Chi-ung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제주도, 온대 남부지역의 주요 수종인 편백 입목의 재적을 Kozak model을 이용하여 수간곡선식 및 입목수간재적표를 개발하였다. 편백은 가치가 우수한 수종으로 현재 온대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제주도 및 남해안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재적표는 110본의 부족한 자료와 중·장령화 된 현실림을 반영하지 못하여 임분재적의 과소·과대치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흉고직경 30cm 이상의 대경목 자료가 부족하여 현실재적을 추정하는데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전국에 분포하는 편백을 경급별로 고르게 선정하고 총1,000본의 표본목을 벌채하여 수간고별 직경을 측정하였다. 이 중 810본을 이용하여 수간 형상을 파악할 수 있는 수간곡선식을 추정하였고 추정에 사용되지 않은 190본으로 추정식의 정확도를 검증하는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수간곡선식의 적합성은 적합도지수(FI), 편의(Bias), 잔차의 표준오차(SEE) 및 평균절대편차(MAD)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추정된 모델의 통계적 적합도지수는 99%로 나타났고 편차는 -0.023, 평균절대편차는 0.895로 높은 통계적 적합도를 보였다. 추정에 사용되지 않은 검정자료의 측정값과 수간곡선식을 이용한 추정값을 T-test로 검정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아(p>0.05) 810본으로 추정된 편백의 수간곡선식이 적합성이 높다고 판단되었다. 현행재적표와 신규재적표의 흉고직경6~80cm, 수고 5~35m 범위인 총1,178개를 대상으로 평균 재적을 비교한 결과 평균재적은 현행재적표가 평균 1.5343, 신규재적 표가 1.4842로 현행재적표의 평균 재적값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재적표의 재적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재적표간 경급별 재적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30cm 이상의 대경목 범위에서 현행재적표 재적이 과대값·과소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행 재적표를 조제하는데 사용된 표본목의 범위가 소·중경급 위주로 조사되어 추정의 한계가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목재를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생산·공급하여 산림경영시에 정확한 목재자원량을 평가하기 위해 신규재적표를 이용하여 국가 및 지자체의 산림통계 정확도 향상과 재적 산출시 손실 방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stem taper equation and to design stem volume tables based on the Kozak model of Hinoki cypresses (Chamaecyparis obtusa), a highly valuable species of Jeju Island and the temperate southern regions of South Korea. The existing volume tables do not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on 110 trees and are unable to reflect the latest state of the actual forest, resulting in under- or overestimation of forestry assets. In addition, a lack of large wood data for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of 30cm or larger is causing problems in calculating the actual volume. Thus, a total of 1,000 specimens (of even regional distribution) were cut to measure their diameter per height. Among them, 810 copies were used to estimate the stem taper equation that could be used to determine the shape of a stem, and the remaining 190 stands were used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equation. The equation’s suitability was then tested using the fitness index (FI), bias, standard error of estimate (SEE), and mean absolute deviation (MAD). The statistical goodness-of-fit index for the estimated model was at 99%, with a deviation of -0.023 and an average absolute deviation of 0.895, showing a high statistical suitability. Using the T-test, the test data measurement not included in the estimation and the estimation using the stem taper equation were verified. The test result displayed no particular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determining that the stem taper equations based on the 810 samples were highly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the average total of 1,178 items, whose diameters ranged from 6 to 80cm and measured heights between 5 and 35m, the average of the current records is at 1.5343 while the new data showed 1.4842 on the new records, indicating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records is larger. However, the volume of the two tabl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Comparing the volume differences by DBH class, the results presented that the current volume tables showed over- or underestimated values in the range of 30cm or more. It is assumed that this is due to the sample items used to design the current volume tables are limited to small and medium DBH classes, posing limitation in the assessment. Therefore, in order to evaluate the exact amount of wood resources in forest management that continuously and efficiently supply timber, both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employ the new volume tables that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ccuracy in forestry statistics and preventing losses in volume computation.

      • KCI등재

        지상라이다를 활용한 소나무 산불피해지의 임목 피해특성 분석

        강진택 ( Jin-taek Kang ),고치웅 ( Chi-ung Ko ),임종수 ( Jong-su Yim ),이선정 ( Sun-jeoung Lee ),문가현 ( Ga-hyun Moon ),이승현 ( Seung-hyun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0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6 No.6

        지상라이다의 활용성 검증을 위하여 지상라이다를 이용하여 산불피해지의 임목 피해특성 조사 결과를 전문가에 의해 조사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조사구는 산록에서 산정으로 30 m×50 m(0.15 ha) 규모로 4 plots를 설정하였으며, 조사구내 피해임목의 흉고직경, 수고, 지하고, 지하고, 연소높이 및 수관길이를 조사하였다. 동시에 지상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조사구내 피해임목의 피해특성 정보를 조사하여 전문가 조사결과와 비교분석 하였다. 전문가 조사와 라이다 조사의 비교 결과, 흉고직경은 30.8 cm, 29.7 cm, 수고 15.8 m, 17.5 m, 지하고 8.4 m, 8.4 m, 연소높이 4.0 m, 3.5 m, 수관길이 7.4 cm, 9.1 cm로 나타났다. 두 조사 방법 간에는 수고와 수관길이를 제외한 나머지 조사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개체목의 안정성과 고사율에 영향을 미치는 H/D율과 CL/H율, BH/CL율을 분석한 결과, 전문가 조사 51.3%, 47.1%, 53.6%, 라이다 조사 58.8%, 52.0%, 38.7%로 나타났다. To verify the field-effectiveness of Terrestrial Laser Scanner (TLS), a terrestrial LiDAR was deployed to examine the damage properties of woods in forest fire area, then the data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surveyed by a forestry expert. Four sample plots (30 m × 50 m, 0.15 ha) were set from the foot to the top of the mountain, and DBH, height, clear length, burned height, and crown length were investigated. Next, TLS collected information on damag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sample plots. This information was then compared with that amassed by the expert. The expert and the TLS survey results showed 30.8 cm and 29.9 cm for DBH, 15.8 m and 17.5 m for tree height, 8.4 m and 8.4 m for clear length, 4.0 m, 3.5 m for burned height, and 7.4 cm and 9.1 cm for crown length. With the exceptions of height and clear length, no notable discrepancy was observed between two methods. H/D ratio, CL/H ratio, and BH/CL ratio, all of which contribute to stability and decay rate of the stand, from the two methods were also compared. The human survey rated each ratio (H/D, CL/H, BH/CL in order) 51.3%, 47.1%, and 53.6%, while the TLS presented the results of 58.8%, 52.0%, and 38.7%.

      • KCI등재
      • KCI등재

        Kozak 수간곡선 모델을 이용한 제주 삼나무의 수간재적 추정

        강진택 ( Jin Taek Kang ),문현식 ( Hyun Shik Moon ),손영모 ( Yeong Mo Son ),안기완 ( Ki Wan Ahn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3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입목 재적표는 전국에서 수집한 데이터로 제작한 전국 공용의 재적표이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 적용할 경우 재적을 과소 또는 과대 추정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적 수간곡선식을 이용하여 지역의 재적생장을 잘 반영하는 지역별 재적표를 개발하고자 제주지역의 삼나무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의 수집은 한라산을 중심으로 남쪽의 제주의 서귀포 한남과 북서쪽의 제주시 애월, 북동쪽의 구좌 지역에서 수간석해한 807본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삼나무의 수간곡선식 도출에 가장 적합한 Korzak 수간곡선 모델을 적용하여 적합도, 편의, 잔차의 표준 표차등의 통계량을 분석하여 각 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Kozak 모형을 이용하여 삼나무의 수간곡선형을 도출한 결과, 3지역의 수간곡선형은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나 한남지역이 애월과 구좌지역에 비하여 초살도가 낮고 수간직경이 굵은 형태로 두 지역의 수간곡선형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Kozak 모델에 의해 개발된 3지역의 수간재적표와 기존의 전국 단일 재적표와 비교분석을 위하여 T-test 결과, 3지역 모두에서 기존의 전국 단일 수간재적표보다 재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 제주의 3지역 간 재적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Duncan’s test 결과, 제주의 3지역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단순 재적 평균값 비교에서는 한남, 애월, 구좌지역 순으로 재적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제주지역의 삼나무는 전국 단일 재적표보다 유의적이 재적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내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지속가능하고 효율적인 산림경영을 위해서는 이러한 지역특성에 맞는 수종별 재적표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The current standard volume tables might under or over estimate the volumes of individual trees in a specific region. This is because the standard volume tables were made from data collected from the broad regions of South Kore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local stem volume tables of Cryptomeria japonica which reflected the growth pattern and properties of Jeju island. The study used stem taper equations, and the dat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tem analysis of 807 trees within the Hannam region(southern of Jeju), Aewol(northwest), Gujwa region(northeast) and Mt. Halla at the center. The Kozak model was applied to derive the most suitable taper equation for estimating the stem volume of those regions, and fitness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the Fitness Index, Bias and Standard Error of Bias. Stem taper equation and local stem volume tables for the Cryptomeria japonica. were made using the Kozak model. The stem taper pattern curve derived from the Kozak model showed similar results among the regions. However, the Hannam region had a lower taper and the stem diameter was much thicker, compared to the other two. Results from the developed stem volume tables of each region were compared to the standard stem volume tables obtained throughout the nation. The results of ANOVA showed that the local stem volume tables in the three regions of Aewol, Gujwa and Hannam, Jeju island were higher than standard volume table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Also according to the Duncan’s test( =0.05),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stem volume of three regions in Aewol, Gujwa and Hannam, Jeju island, but the volume size of tree shown in order of Hannam, Gujwa and Aewol regions in simple comparison with the means of volum

      • KCI등재

        산림 경영주체별 사유림 경영 지원제도의 이용실태 -독림가, 임업후계자, 일반산주를 대상으로 -

        강진택 ( Jin Taek Kang ),전준헌 ( Jun Heon Jeon ),이성연 ( Seong Youn Lee ),전주현 ( Ju Hyeon Jeon ) 한국임학회 201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5 No.4

        본 연구는 산주들을 대상으로 사유림 지원제도 이용 실태를 조사하여 지원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수행하였다. 사유림 경영 지원제도의 인지도에 대해서는 독림가 57.8%, 임업후계자 47.6%인 반면 일반산주는 불과 17.6% 만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경험도 인지도와 마찬가지로 독림가 79.2%, 임업후계자 58.6%인 반면 일반산주는 28.6%로 현저하게 낮은 비율을 보였다. 지원을 신청하기 못한 이유로는 `지원제도를 모름`에 대한 응답이 독림가, 임업후계자, 일반산주 각각 36.1%, 43.0%, 78.6%로 나타난 인지도분석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반면 사유림 경영 지원에 대한 효과정도는 독림가와 임업후계자보다 일반산주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만족도 역시 독림가 28.5%, 임업후계자 36.8%, 일반산주 41.5%로 나타나 오히려 다소 지원횟수가 적은 일반산주에게서 경영전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산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반산주의 적극적인 산림경영을 유도하기 위해서 사유림 지원제도의 인지도 개선이 필요하며, 지자체와 산림조합의 적극적인 홍보대책과 지원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tribute to propose the improvement by looking into the use of private forest support system and then analyzing the status of support system and problems among forest owners.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recognition of private forest support system was 57.8% in sincere forest managers and 47.6% in forest successors, but only 17.6% in forest owner. The application experience was 79.2% in sincere forest managers, and 58.6% in forest successors, but 28.6% in forest owner which was significantly low as was shown in the recognition. Response on `not knowing the support system` as the reason they were not able to ask for support was 36.1%, 43.0%, 78.6% in sincere forest managers, forest successors, and forest owner respectively in that order, which were the same results with the recognition. In the contrast, the effects of support for private forest management were higher in forest owner than sincere forest managers and forest successors, and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was also 28.5% in sincere forest managers and 36.8% in forest successors and 41.5% in forest owner. It turned out that forest owner who had somewhat low numbers of application had rather high satisfaction on overall management. Therefore, in order to attract active forest management from forest owner who take up most of forest owners in South Korea, the recognition on private forest support system is needed to improve and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Forestry Association should come up with active plans for public relations and support.

      • KCI등재
      • KCI등재

        수간곡선 모델을 이용한 소나무의 지방별 수간재적표 개발

        강진택 ( Jin Taek Kang ),손영모 ( Yeong Mo Son ),김소원 ( So Won Kim ),이선정 ( Sun Jeoung Lee ),박현 ( Hyun Park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4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6 No.4

        Current volume tables might underestimate or overestimate the volumes of individual trees in a specific region because the tables were made using the data from broad regions within South Korea. Therefore,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local stem volume tables reflecting the local growth pattern and properties using stem taper equations in the regions of Hongcheon and Yeongju. We developed the local stem volume table for Pinus densiflora, which is the widely planted species in South Korea. To derive the most suitable taper equation for estimating the stem volume of region, three models of Max & Burkhart, Kozak and Parresol et al. were applied and their fitnes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the Fitness Index, Bias, and Standard Error of Bia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models, and the Fitness Index of the Kozak model was highest compared to the other models. Therefore, the Kozak model was chosen for generating stem taper equation and stem volume tables for P. densiflora. The result from the developed stem volume tables of each region was compared to the current stem volume tables with driven by the data of tree growth obtained throughout the n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0.000<α=0.05) in two regions, Hongcheon and Yeongju, and also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0.000<α=0.05) between the two reg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