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석영본 <아학편(兒學編)>(1908)으로 살펴본 트랜스링구얼리즘(translingualism)과 교육적 의미

        강남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ng <A-HAK-PYEON(兒學編)>(rev. by Ji Seok-young(1908)) in a viewpoint of translangualism, which reveals various aspects of trans-linguistic informations such as Chinese, Japanese, English, typeface, fanqie(反切), phonetic transcription. As already known, original version of <A-HAK-PYEON(兒學編)>(by Jeong Yak-yong) is a model of an innovate switching of conventional early-child chinese character textbook. After 100 years later of the publishing original, revised version shows distinctive translingual feature. However, the Korean speakers, the contemporary synchronic users of Korean language, shows interesting cognitive response from a viewpoint of unilingualism. This phenomena conscientize the alternative discussion about exiting fram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ubject-curriculum. 강남욱, 2019, 지석영본 <아학편(아학편)>(1908)으로 살펴본 트랜스링구얼리즘(translingualism)과 교육적 의미, 183 : 457~491 이 연구는 아동용 한자 학습서인 정약용의 <兒學編>을 100여년 뒤 새롭게 구성하여 증보한 지석영본 <兒學編>(1908)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 텍스트에 드러나 있는 다양한 언어적 정보(중국어, 일본어, 영어, 서체, 반절 정보, 한글 발음 표기)가 주는 교차적 성격을 새롭게 해석하고, 이를 트랜스링구얼리즘이라는 관점에서 재검토해 보았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기존의 국어학적 의미, 문헌학적 의미, 교육학적 의미를 살펴본 다음, 트랜스링구얼리즘과 대립되는 개념으로서 단일언어통합주의에 해당하는 ‘유니링구얼리즘’이라는 상호대립적 개념을 정의해 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20세기 초반과 21세기 초반의 공시적 담론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지석영본 <兒學編(1908)>을 둘러싼 한국어 사용 언중들은 한글에 대한 우월감, 영어에 대한 위축감, 다양한 언어에 대한 인지 결여 등의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어문교육(국어교육)에 대한 새로운 설계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KCI등재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의문문 대조 연구

        강남욱,김기성 한국몽골학회 2020 몽골학 Vol.0 No.60

        This paper contrasted and analyzed common interrogative sentences in modern Mongolian and Korean, which are the Yes/No questions, Wh-questions, and Alternative question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modern Mongolian, 'interrogative sentences without interrogative words' which take the form of connecting interrogative adverbs such as 'yy', 'үү', 'юу' or 'юү' (variant forms of 'уу/үү' and 'юу/юү') to the end of declarative sentences represent Yes/No questions, while 'interrogative sentences with interrogative words' which take the form of connecting interrogative particles such as 'бэ' or 'вэ' (variant forms of 'бэ/вэ') represent Wh-questions. Interrogative sentences in modern Mongolian appear through interrogative words (асуух төлөөний үг), interrogative particles (асуух сул үг) and intonation (аялга), and out of these, interrogative words and interrogative particles are the most prevalent. Meanwhile,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s generally appear through interrogative words, interrogative word endings (sentence-closing ending) and intonation. While Mongolian and Korean are both SOV languages, whereas Mongolian expresses questions by connecting interrogative particles to the end of sentences (declarative sentences), Korean uses various interrogative sentence-closing endings in the place of interrogative particles. That is, interrogative sentence-closing endings are used instead of declarative sentence-closing endings for changes (conjugations) in the verb endings. In this aspect, the interrogative sentences in the two languages show fundamental differences. While the interrogative sentences in modern Mongolian have different interrogative particles at the end of the sentences based on whether there are interrogative words in the interrogative sentence, this is not the case in Korean. This is because the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are formed through the changes (conjugations) in the verb endings at the end of the sentence regardless of whether there are interrogative words. In addition, in the case of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s, interrogative sentences are realized through changes in the verb endings based on the level of honorifics. Therefore, Mongolian students who study Korean have difficulties in properly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levels of interrogative endings in verbs in the honorific system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In both modern Mongolian and Korean, it is possible to make a sentence (declarative sentence) into an interrogative sentence by rising the intonation in the situations where there are no interrogative words or interrogative particles (in the case of Mongolian), or there are no changes in the verb ending (in the case of Korean) that make an interrogative sentence. This can be considered as a similar point of the two languages. In addition, there are no ways to make an interrogative sentenc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redicate (change in word order). In both modern Mongolian and Korean,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the various possible meanings of sentences with ambiguity simply through sentence form or syntactic structure for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various semantic and pragmatic elements including the intonation and tone of the speaker, changes in word order, surrounding environment, situation of the conversation, preceding and following context and conversational context. There should b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s from both languages to select and use the appropriate response forms.

      • KCI등재

        ‘諺文’과 ‘正音’의 文獻 記錄 樣相으로 본 새 문자 創製 意義에 대한 再解釋

        강남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4 No.4

        According to historical fact, there are two ways of designating(naming) the new letters of Korean of King Sejong era: Eonmun(諺文) and Jeongeum(正音). In the historical record of Sejong Sillok(Annals of King Sejong) Eonmun 28 Letters were written, contrasting to Jeongeum 28 Letters of Jeong In-ji's preface. This article aimed to prove Eonmun and Jeongeum are another ways of expressions revealing their naming philosophy, together with these two terms were originally proper noun. The early period that Sejong commenced to make new letters, Sejong and his special vassals intended to give stress on Eonmun morality as a direct and convenient means of writing Korean language for public in general, subsequently summing up to the name Hunmin(訓民). After an appeal of Choe Man-ri in 1444, however, the other naming philosophy of Jeongeum morality came to the fore as the late-participants scholars of intending to design new letters as a means of correcting the variable sounds of Chinese letters. Therefore, the two terms can be interpreted as a sensitive political mechanics of Sejong and old-nobility’s power containment. 세종 당대 만들어진 새로운 문자에 대해 ‘언문’, ‘정음’ 또는 ‘훈민정음’으로 지칭하는 문헌 기록이 있는데 특히 실록에는 ‘언문 28자’라고 되어 있고 정인지 서문에는 ‘정음 28자’라고 되어 있어 대비가 된다. 창제 초창기에는 ‘언문’이라는 공식적인 용어를 가지고 새 문자를 지칭하였으나, 『訓民正音』을 완성하고 「解例」를 붙인 학자들은 ‘정음’이라 칭하고자 했다. 이 두 용어는 모두 새롭게 만들어진 우리의 문자를 정식으로 가리키는 지칭어로서 보아야 할 것이다. 훈민정음은 ‘훈민’, 즉 보통 사람들의 말을 적는 글로서 ‘언문’이라는 기능과 ‘정음’, 즉 변이음과 속음이 많은 한자음을 바로잡는 표준화 작업의 두 역할을 함께 지칭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새 문자를 둘러싼 정치외교, 사상과 철학, 학자 집단 간 역학 사이에 접점으로 찾은 미묘한 균형 관계를 일컫는 명칭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어 교재 평가론의 통시적 고찰

        강남욱,김호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2 국어교육연구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argument and to investigate the diachronic flow of KFL/KSL material evaluation in KFL/KSL research. For this, historical review was gone over issues regarding general tendency of foreign language materials research, subsequently case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as foreign or second language carried out. In the early part, researches of KFL material evaluation were discussed as a part of ‘material typology discourse’ for analyzing and to taking implications from existing materials to make better and new versions. However, on the occasion of rising ‘material selection discourse’ around year 2005, another approaches of KFL material evaluation began for seeking reasonable and proper criteria of pre-published materials. In case of Korean, the conditions of learning and teaching is distinguishable from other foreign languages for its political(of governmental policy) features, therefore it requires more in-depth discussion such as material approval, certification, recommendation.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어교육에서의 교재 평가론의 위상과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자 통시적인 연구사를 중심으로 논의의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전망과 과제를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외국어 교재 이론에서의 교재 평가론의 지위와 사적(史的) 전개 과정을 짚어보고, 이어 한국어 교재에 관련된 논의를 전개하였다. 한국어 교재 평가론의 본격적인 논의가 형성되기 전의 교재 평가 관련 논의는 발간 및 개정 교재의 사례나 서문 등 정보 기록을 살펴보는 방법을 취하였고, 한국어 교재론에 대한 담론이 형성되기 시작한 약 1990년대 후반부터는 연구 논문들을 중심으로 그 흐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초기의 한국어 교재 평가와 관련된 논의가 교재 유형론의 관점에서 교재를 분석하여 궁극적으로는 교재를 개발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진 반면, 2005년을 넘어서면서 교재의 제작보다는 기존의 교재를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으로서의 선정 기준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는 다른 외국어와는 달리 정책적 측면이 고려되어 있고 따라서 교재의 선정을 넘어 인증 또는 추천 등의 제도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더욱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으며 적용 가능성이 높은 평가 기준 마련을 위해 앞으로도 깊이 있는 논의가 더욱 요구된다.

      • KCI등재

        북한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 비교 연구

        강남욱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2 국어교육연구 Vol.3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representative North Korean KFL(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extbooks for beginners. To achieve this, not only research of the present state in North Korean KFL education was carried out throughout leading study, but also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selected two textbooks were operated. In the first pla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ason why the two universities ― Kim Il-sung University and Kim Hyŏng-jik Pedagogical University ― became official and representative institution of North Korean KFL training program. Subsequently, this study tried to compare Kim Il-sung University’s textbook with Kim Hyŏng-jik pedagogical University’s, and find out some significant facts such as while the one suggested structured and grammatical syllabus the other adopted situational-topic syllabus based on pattern drills. 본 연구에서는 현재 북한의 주요 2개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조선어교육을 위해 제작된 초급 수준의 교재를 상호 비교하여 각 교재의 특성을 분석하고 교재론적으로 유효한 시사점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외국인의 대표 조선어 연수 기관으로서 김일성종합대학교와 김형직사범대학교가 거론이 되는 이유에 대해 그 배경을 설명하고, 이 두 기관에서 발행한 조선어 회화 교재의 출판 현황에 대해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어 본격적으로 두 기관의 초급 회화 교재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두 교재의 발행 목적은 근본적으로 같지만 교육을 위한 접근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교수요목에 있어서는 명징한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일성종합대학교의 회화 교재는 초급 단계에서 외국어 학습자를 고려하여 문법 항목과 단어를 통제하는 방식을 기획하고 있는 반면 김형직사범대학교의 회화 교재는 실제성이 높은 문장 중심의 대화문을 통해 상당한 양의 목표어 노출을 제공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었다. 향후 더 세밀하고 다양한 기준으로 두 교재를 면밀히 살펴보는 한편 이외 교재에 대한 분석과 참여 학습자의 제보를 종합하여 북한의 조선어교재의 면면을 구체적으로 재구성해 나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KSL 학습자를 위한 학습 개념어의 어종 분포 양상과 밑말 제시 방법에 대한 연구 -초등 3-4학년군 국어과, 사회과를 중심으로-

        강남욱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3 한국어문화교육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 3-4학년군 국어․사회 교과의 학습 개념 어를 표집하고 어종별 분포 양상을 분석한 다음 한국어가 제1언어가 아닌 학습자들을 위해 고빈도의 친숙하고 쉬운 밑말 어휘로 환원하여 제시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초등 3-4학년군 국어 과․사회과의 2012 고시, 2017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개념 어 휘 484개를 목록화하여 그 분포를 분석하고, ‘고빈도의 초급 어휘’와 ‘의미투명도와 조어력이 높은 한자형태소’를 기준으로 하여 이를 쉽게 풀어 설명할 수 있는 유형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초등 3-4학년군의 학 습 개념어는 한자어계가 87.72%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 며, 이를 풀이하는 밑말은 고유어계 풀이만이 아니라 풀이가 필요 없 는 한자어계 고빈도 어휘를 포함한 풀이 방법이 제안되어야 할 필요 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 3-4학년군 비원어민 학습자를 위한 학습 개념어의 밑말의 수효와 특성을 보아 언어 간 일대일 번역을 배제하는 방식으로서 직접 풀이법, 다른 단어 제시법, 한자형태소 추론 법 등의 제시법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collected learning concept words from the subjects of Korean language and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grades 3 and 4, analyzed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examined how those words can be explained with high-frequency root words familiar with and easy to learners unfamiliar with Korean(KSL Learners). For this purpose, we cataloged 484 learning concept words in the 2012 established and 2017 revise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grades 3 and 4, and analyzed the distribution patterns. Based on 'high-frequency basic vocabularies' and 'morphemes of Sino-Korean characters with high semantic transparency and power of word formation,' we showed types and methods contributing to the facile explanation of the words. Sino-Korean characters accounted for an overwhelming proportion (87.72%) of the total learning concept words in elementary grades 3 and 4. We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suggest a phased explanation method of root words explaining those concept words, including explanations of native/indigenous Korean-language vocabularies, and Sino-Korean characters which are frequently used and unnecessary for explanations. Considering the numb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root words of learning concept words for non-Korean native speaking learners in elementary grades 3 and 4, we excluded one-to-one translation between languages, but suggested methods of directly explaining words, presenting alternative words, and inferring morphemes of Sino-Korean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