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체육과(體育科) 교수법(敎授法) 정립(定立)을 위(爲)한 연구(硏究) : 명령식(命令式)과 과제식(課題式) 효과(効果) 비교(比較)
金胄安(Ju-an Kim),金麗生(Yeo-saeng Kim),崔炯允(Hyung-yoon Choi)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76 교육연구 Vol.3 No.-
In order to study the efficiency of the command and task methods in physical training, random sampl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e CNU undergraduates and divided as follows: 1. tennis class including 100 freshman coeds. 2. basketball class including 100 students from sophomore class. 3. volleyball class including 50 students from sophomore and junior class. 4. track and field sports including 48 students from freshman class. Each class was divided into two parts: one for command method and the other for task method. In order to check their capacity for each event, the basic capacity had to be checked: 1) the capacity for fore-hand stroke and back-hand stroke in tennis, 2) free throw and running shoot in basketball, 3) spike and serve receive in volleyball, 4) one- hundred-meter dash and long jump in track and field sports. After the physical training by the methods two hours a week for ten weeks, the improvement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ennis, the effect of command method in teaching fore-hand stroke is the same as that of task method. 2. Task method is more efficient than command method in training back-hand stroke. 3. In basketball, task method is more efficient than command method in training free throw. 4. In training running shoot in basketball, the efficiency of the two methods are the same. 5. In training spike in volleyball, the efficiency of the two methods are the same. 6. In volleyball, the task method is more efficient than command method in training serve receive. 7. The command is more efficient than the method in training one-hundred-meter dash in track and field sports. 8. In training long jump, the efficiency of the command method is the some as that of the task method.
조직풍토와 교사의 전문성발달단계가 조직헌신성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주안(Kim Ju An) 한국경영교육학회 2014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6
본 연구는 조직풍토, 교사의 전문성 발달단계 및 교사의 조직 헌신성과 조직 효과성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이에 따른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 모형을 작성하고 연구가설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하였다.외생변수의 단순 평균값을 비교해보면, 조직풍토는 종합 평균이 3.26이며 동기부여, 업무추진성, 친밀감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냉담은 평균이하로 나타났다. 전문성 발달 단계는 3.49이며 능력구축단계, 열중성장단계, 입문수용단계 순이었고 안일안 주단계가 2.85로 평균이하로 나타났다. 내생변수에서는 조직 헌신도 3.67, 조직효과성 3.78 모두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조직풍토와 조직헌신성 간에는 비교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교사의 전문성 발달단계와 조직헌신성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조직헌성과 조직효과성은 다른 선행연구와 같이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향후 새롭고 다양한 변수측정도구의 개발과 새로운 변수를 추가하여 상호관계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out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organizational cultures, teachers' developmental step, teacher's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Using data extracted from 235 teachers in kindergartens, the survey was developing and the output is analyzed statistically. ANOV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used to prove the actual empirical proof.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Hypothesis 1 and Hypothesis 2 are rejected because each p-value is 0.487 and 0.145 at the significance level α =0.05. Therefor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according to teachers' careers.Hypothesis 3 is accepted with path coefficient 0.459, t value 3.752. The organizational cultures affects on teacher's commitment to organization positively.Hypothesis 4 is rejected with p-value 0.934.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outcome of hypothesis 1. The influence of teachers' developmental step on teacher's commitment to organization is not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α =0.05.Hypothesis 5 is accepted with path coefficient 1.837, t value 4.456. Teacher's commitment to organization has an positive influence on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신용카드 이용만족과 재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품질요인에 관한 연구
김주안(Ju-An KIM),진찬용(Chan-Yong JiIN),김수정(Sue-Jung KIM)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10 기업과 혁신연구 Vol.3 No.2
본 연구에서는 포인트 몰을 이용하는 사람과 이를 이용하지 않는 일반고객을 대상으로 신용카드 포인트 이용 요인에 대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즉 부가서비스, 소비성향, 할인혜택 및 불편사항 요인이 소비자의 인식과 만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매개변수로 하여 소비자들은 포인트를 재이용하게 되는 지에 대한 분석을 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였다 먼저 연구가설 중 연구가설1-4의 신용카드 포인트제도의 사용요인이 소비자인식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가서비스 제도, 소비자의 소비성향이 적극적일 수록, 신용카드사용 시 할인혜택을 많이 이용할수록, 포인트 사용을 하면서 불편사항이 적을수록 소비자 인식과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 5의 신용카드 포인트 제도의 전반적인 서비스에 대하여 소비자가 만족할수록 소비자는 본인이 이용한 포인트를 다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 6의 포인트 몰이용 고객과 일반 고객과의 신용카드 포인트제도의 대한 소비자 인식은 부가서비스 제도, 소비성향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으며, 할인혜택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용카드의 불편사항요인의 평균은 포인트 이용 고객과 일반고객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tests the hypotheses established on the factors in using credit card points through customers in point mall and general customer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used to find out how independent factors give influence on consumers'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n point system.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survey it is found that the higher consumers'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n point system is, consumers will reuse point system of credit card. It is proved that the more additional service system and consumption behaviors are aggressive, the more the card discount benefits is used, the less complains in using credit card is, the higher the degree of consumers'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is shown. Discount benefits in consumers recogni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0.05. Thus companies must make point reusing program by checking and reflecting the level of consumers' satisfaction on point system through offering consumers' right to know by providing information on additional benefits of credit card as well as making PR on point system.
AHP기법 및 FGI를 통한 분임토의의 활성화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주안(Kim Ju An)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6
분임토의 교육은 공무원교육원 등 각급 교육기관에서 대부분 실시하고 있다. 특히 공무원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대부분 분임토의 교육시간이 배정되어 있어 공무원들이 분임토의 교육을 받을 기회는 많다. 그러나 아직까지 분임토의가 교육훈련중 하나로 형식적으로 실시되고 있고 실제 업무추진과정에 잘 활용하지 못하는 등 분임토의의 개념과 기능에 걸맞게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인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감안하고 연구의 집중화를 통한 심도 있는 분석을 위하여 전라북도 공무원교육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분임토의 운영과정 중 특히 교육생들의 분임토의의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분임토의의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였다.이를 위해 공무원교육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분임토의의 운영전반에 관한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이론적 접근을 위하여 분임토의와 관련된 각종 문헌과 선행 연구논문, 그리고 각종 행정자료 등을 참고하였으며, 연구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공무원교육원에 입교한 교육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통계 패키지인 SPSS 15.0을 통해 빈도분석 및 상관분석 등 통계분석을 하였다.또한 분임토의 관련 전문가들인 교육원 담당 교수요원들로 구성된 전문가그룹면담조사(FGI; Focus Group Interview)와 AHP기법을 통하여 분임토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동안 공무원 교육원에서 실시해오고 있는 분임토의가 보고서 작성과 평가대상이라는 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실제로는 공무원들의 핵심역량 강화와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내용 있는 질적인 체계화와 내실화가 이루어져야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설문조사와 AHP기법 및 FGI기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분임토의의 결정요인인 분임토의 참여정도, 사전강의, 토의시간 및 주제, 참여인원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통해 실질적인 분임토의 활성화 방안을 강구해야할 것이다.또한 공무원 교육원에서 분임토의 학습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육생, 교수단, 전담 강의교수, 교육원 등이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체계적이고 계획성 있는 시스템이 구성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thod to revitalize the small group discussion by researching its situations and analysing its problems in chonbuk governmental officials education institute.From previous studies about the small group discussion, the concept, objective and procedure of it are presented.Using data extracted from 100 trainees, the survey was developing and the output is analyzed statistically. AHP, anlaytic hierachy process, technique and FGI, focus group inerview, method are used to prove the actual empirical proof.The degree of participation, preliminary lecture, discussion time, subjects of discussion and numbers of group personnel are chosen as critical factors in questionnaire survey, AHP and FGI.The network system composed of trainees, facilitators and lecturers is needed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of training trainees in chonbuk governmental officials education institue.
고등학교 『국사』·『한국근·현대사』·『한국사』의 노동운동 서술 분석-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김주안 ( Kim Ju-an ) 단국사학회 2019 史學志 Vol.58 No.-
본 연구는 현재 역사학과 역사교육학에서 소외된 노동운동사를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분석하여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연구자는 7차 교육과정과 현행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노동운동에 대한 서술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각 교육과정에 따라 발행된 『국사』, 『한국근·현대사』, 『한국사』에 서술된 노동운동에 대한 서술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노동운동 시기는 노동운동사 중 현재와 가장 가깝고 급진적 변화가 있었던 1980년대 이후 노동운동이다. 마지막으로, 위 내용을 기반으로 역사교과서가 다룬 1980년대 이후 노동운동에 대한 서술 상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는 노동운동의 교육적 가치를 살리는 내용구성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노동운동 및 관련 내용이 교육과정 내에 보다 구체적이고 적극적으로 수록되어야 한다. 둘째, 교과서는 나열식 서술이 아닌, 시기별로 주요 흐름이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충분한 배경을 서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문 외 보조 자료를 활용할 경우 본문과 연계되거나 본문을 보완해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노동운동이 민주주의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함을 확인하고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노동운동을 학습함으로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함양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how labor movement history, which is neglected in current historical science and history education, is handled in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s to examine problems, and suggested improvement plans to overcome such problems. First, the 7th curriculum and the current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examined for an analysis on the description of labor movement. Next, the narratives on labor movement described in 『National History』, 『Korean Modern History』, and 『Korean History』, which were published according to each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period of labor movement dealt with in this study is after 1980s when rapid changes were made but is still the closest to the present. Lastly, based on above results, the narrative problems on labor movement after the 1980s that history textbooks dealt with were pointed out, and improvement plans were suggested. Based on abov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lans that revives the educational value of labor movement. First, contents related to labor movement should be contained more aggressively and more in depth within the curriculum. Second, textbooks should describe sufficient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key factors of historical factors chronologically, rather than reciting narratives. Through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of democratic education by the labor movement was confirmed and the utilization plan was examined. Lastly,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develop their qualities and attitudes as democratic citizens by learning the labor m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