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입경분포가 있는 정상상태 유동층으로부터의 입자의 선별 유출

        김희영,윤풍,전종열,송영목 한국화학공학회 1988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26 No.4

        입자가 성장하는 연속 정상상태 유동층 반응기에서의 입자 유동을 상온에서 모사할 수 있는 반응부 유동층의 하부에 큰 제품입자를 선별 유출할 수 있는 분리관을 설치하여 입경분포를 갖는 반응부 유동층 입자들의 분리를 연구하였다. 이 분리관을 통해 정상상태 반응부 유동층내에서 큰 입자들을 선택적으로 계속 유출하기 위해 혼합입자의 최대 및 최소 입자에 대한 초기 유동속도의 범위내에서 분리관 내부의 유동상태를 유지시켰다. 이러한 분리관을 이용하여 반응부 유동층에서의 유동조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높은 입자 분리 효과를 거둘 수 있었는데, 이를 위해서는 반응부 유동층의 평균입경 및 분포의 특성과 분리관에서의 유동 특성에 대해 제한적인 조업범위가 존재함이 나타났다. 이러한 허용 조업범위하에서의 실험결과를 토대로 주어진 구조에 대해 반응부 유동총의 입경분포와 선별 유출된 입자들의 입경분포와의 관계식을 조업특성 변수들과 입경외 함수로 표시하여 실험 값들을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밝혔다. Continuous segregation of particles with size distribution was studied in a particle withdrawal boot attached to the bottom of a fluidized bed which was installed to simulate the particle dynamics in a particle growing reactor. In order to withdraw continuously and preferentially large particles in steady state from the main fluidized bed the boot was mildly fluidized between the incipient fluidization velocities of the largest and smallest size fractions. It was observed that a high degree of segregation can be achieved in the limited range of the fluidization condition at the boot as well as of the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mode at the main fluidized bed. In the acceptable operation range the segregation efficiency of large particles could fairly well be related to those operational parameters for a given boot geometry, and the empirical relationship proposed in this study were in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observations.

      • KCI등재

        군 간부의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군 생활 만족과의 관계에서 강점 활용의 매개효과

        김희영,김완일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10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military life satisfaction of military officers and to investigate the medicating effects of strengths use on their relation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s administered self-oriented perfectionism, strengths use, and military life satisfaction inventories to 269 military officers in the army in Gangwon Province and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trengths use and military life satisfaction among the military officers. It was also found that strengths use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their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military lif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imply a need to increase the level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trengths use to enhance the military life satisfaction of military officers. 본 연구는 군 간부의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군 생활 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군 생활 만족의 관계에서 강점 활용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지역의 육군 간부 269명을 대상으로 자기지향 완벽주의 척도, 군 생활 만족 척도 및 강점 활용 척도를 실시하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강점 활용 및 군 생활 만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군 생활 만족의 관계를 강점 활용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군 간부의 군 생활만족을 높이기 위해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강점 활용의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 KCI등재

        Confronting the Spectacle: Jenny Holzer's Critique of Consumer Society

        김희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3

        Jenny Holzer's electronic sign boards are montages that combines digitalized fragments of words and time. Her computerized montage is inserted into the flow of advertising that has colonized urban daily life. By appropriating the 'spectacle' of the advertising, Holzer attempts to disrupt its powerful mechanism of circulation within urban cityscape. Her work disrupts passive viewing by penetrating the flow of advertising with the digitalized fragments of her words that move rapidly in time. The montages of words that have an irrational relation to one another are intended to force the viewer to call into question his or her passive consumption of the messages and the media-induced desires. Holzer intends to recover the subjectivity of the consciousness of the audience, which she believes has been manipulated by the mass media. Her interest in art, which emphasizes impersonality, dematerialization, and public sites, relates to that of Situationists who had intended to change society by revitalizing the masses as an active participant in their reception of the spectacle by confronting it. Whereas the Situationists eventually abandoned art because they considered art unable to avoid being co-opted by mass media, Holzer replaces their distrust of art with her optimistic approach to art. She is not afraid of the fact that art is in constant danger of being assimilated into the 'spectacle.' In order to confront the system, she borrows the same institutional mechanism that advertising employs to induce the masses to desire to purchase. Although Holzer's electronic signs look conceptual and impersonal, they contain emotional and intimate messages. They create constant tension between the permanent and the ephemeral, object and void, presence and absence, the public and the private, the temporal and the visual. By facing the risk for becoming part of the spectacle, Holzer's signs can be seen as counter-spectacle that talks back to the advertising world of late consumer society.

      • KCI등재

        인공지능 예술의 분석을 통한 확장현실에서 사용자의 상호작용 최적화 연구

        김희영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72

        본 논문은 인공지능을 사용하여 제작된 작품을 분석하여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인공지능 최적화 방법을 확장현실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연구한다. 인공지능의 최적화 방법을 확장현실에적용하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확장현실 콘텐츠를 생산 및 제작하고, 확장현실 상에서 개인 및 그룹간의 다면적 상호작용을 통해 발전할 수 있다. 연구방법으로 II장에서는 확장현실의 최적화와 관련되어 언급할 만한 대표적인 인공지능 예술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III장에서는 인공지능 예술과 확장현실의 최적화를 세 가지의 방법으로 고찰한다. 첫째, 작가와 인공지능 프로그램 간의 최적화를 분석하고, 사용자와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상호작용 최적화를 연구한다. 둘째, 인공지능 예술에서 이미지와 GAN의 최적화를 분석하여이 신경망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의 최적화를 연구한다. 셋째, 인공지능 예술에서 뉴럴 글리치 조작 기술의 최적화와 작가 맞춤형 알고리즘를 분석하여 사용자와 조작 기술의 최적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인공지능 예술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확장현실에 대한 최적화 방안을 세 가지로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가와 인공지능 프로그램 사이의 최적화는 사용자와 확장현실 관련 프로그램의 긴밀한 상호작용으로 최적화를 만든다. 둘째, 이미지와 가상공간의 최적화는 이미지와 GAN을 사용하여 초상화 작품을생성한다. 작가의 작품 선정 방식과 유사하게 확장현실에서는 사용자가 필요한 이미지와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최적화된다. 셋째, 뉴럴글리치와 작가의 맞춤형 알고리즘과 같은 조작 기술과 만들어진 현실의 최적화는 GAN과 같은 프로그램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작하거나 변형시킬 수있는 사용자 상호작용으로 최적화를 이룬다. 연구의의는 개발자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으로 인식의 변화를 제고하고, 확장현실 기술과 예술 문화 융합 연구의 기반을 다지는 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ptimization metho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 works that makes users feel artistic, the method by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works have artistic value is applied to the optimization of user interaction with Extended Reality. We will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by reflecting the user’s various Extended Reality experiences in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Extended Reality. As a research method, Chapter 2 analyzes the represent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rt works worth mentioning in relation to the optimization of Extended Reality, and Chapter 3 considers the optim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 and Extended Reality in three ways. First, the optimiz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is analyzed, and the interaction optimiz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is studied. Second, by analyzing the optimization of images and GAN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rt, we study the optimization of images that can be generated by users using this neural network. Thirdly, in artificial intelligence art, we will study the optimization of Neural Glitch manipulation technology and the optimization of user and manipulation technology by analyzing the algorithm customized to the artist.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artificial intelligence art, three optimization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are considered as follows. First, the optimization between the artist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is made through clos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program related to Extended Reality. Second, optimization of image and virtual space uses image and GAN to generate portrait work. Similar to the way artists select works, in Extended Reality, the user creates the necessary images and information and optimizes them through the user’s selection. Third, manipulation techniques such as neural glitches and author’s custom algorithms and optimization of the created reality are optimized with user interaction that can manipulate or transform programs such as GAN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hange in awareness from developercentered to user-centered, and to solidify the foundation for research on the convergence of Extended Reality technology and art and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