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고속도로 차로유도선 적정 연장길이 산정 연구

        박제진,김덕녕 한국ITS학회 2017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6 No.5

        국내 육상교통망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고속도로는 7×9 형태로 양적, 질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점차 복잡해지는 고속도로 기하구조에 대응하고자 차로유도선을 설치하여 운전자들의 보다 원활한 차로 변경을 유도하고 있으나 해당 시설의 설치기준이 부재하고, 그 효과 검증 또한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로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주행안전성 측면에서 차로유도선의 효과를 재조명하고, 적정 연장 설치기준을 수립하는데 주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피험자의 선호도를 조사하고, 가상의 주행환경에서 운전자의 차로 변경 행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피험자가 차로변경 시 느끼는 편안함 정도를 계량화하기 위해 뇌파분석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결과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차로유도선 설치기준 수립 시 기반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Expressway network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on land transportation system, have been developing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ith 7×9 structure. To cope with complex geometric condition, guidance lane marking has been installed to induce safer lane-changing maneuver.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on guidance lane marking and its effectiveness is also verified with limited scope. The major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its effectiveness in terms of driving safety aspect using virtual driving simulator and to suggest standard on the proper length. To carry this out, preference data from subjects was collected and lane-changing pattern within virtual driving environment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in order to quantify the level of comfort, Electroencephalogram data was collected and validated using statistical test.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establish standard on guidance lane marking.

      • KCI등재

        가상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선유도시설 효과평가 연구

        박제진,김덕녕,박용진,송원철 한국도로학회 2017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9 No.5

        PURPOSES: Traffic safety facilities are used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before they occur by providing drivers with information on traffic situations and the geometric design of roads. However, some facilities not defined in guidelines do not meet installation criteria, yet are being installed and used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in traffic flow and prevent traffic accidents in a specific expressway zone. In this study, we have evaluated the effect of delineation system which are not defined in the guideline criteria. METHODS : Different virtual scenarios were created for roads using expressway median barrier chevron signs, with a driving simulator used to evaluate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al effect of such signs. Ten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left- and right-curved roads at curve radius intervals of 500 m, from 500 m to 2,500 m. RESULTS: For sections with a curve radius of more than 1,500 m, drivers had a clear tendency toward stable driving regardless of delineation system. When a chevron sign is installed on a protection fence in the road curving left, an expanded installation is recommended up to the section with a curve radius of 1,000 m.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RHB (Relative High Beta spectrum), driving concentration also improved up to a curve radius of 1,000 m. CONCLUSIONS: The experiment result indicates the extent of biasing within a lane and the manipulation amount of steering handle, were analyzed and found to be affected by curve radius and road alignment regardless of delineation system.

      • KCI등재

        설계일관성을 고려한 도로 곡선반경 산정에 관한 연구

        박제진,이상하,박광원,하태준,Park, Je-Jin,Lee, Sang-Ha,Park, Kwang-Won,Ha, Tae-Jun 한국도로학회 2008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0 No.2

        차량의 주행속도는 설계일관성을 평가하는 주요한 척도로 활용되며 그 중 곡선반경은 여러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한 주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합선형에서 설계속도별 적정 평면곡선반경 범위기준을 정립하고 운전자의 인지 행태를 나타낼 수 있는 인지반경을 정립하여 입체선형에서 적합한 평면곡선반경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저속차량의 방해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입체선형을 고려한 도로의 임의지점에서 횡방향 미끄럼 마찰계수와 주행방향 미끄럼 마찰계수를 동시에 고려하여 설계속도와 종단경사별 평면곡선반경을 제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곡선부 인지반경을 통하여 평면 곡선부와 편평한 종단경사가 조합된 경우, 평면 곡선부와 종단곡선부가 조합된 경우를 비교한 후, 곡선부 인지반경을 산정하여 설계속도별 적정 평면곡선반경과 인지반경 비율을 제시하였다. Achieving consistent geometric design is an important goal in highway design to ensure obtaining safe, economical and smooth traffic operation. Most evaluation of consistency is based on 'speed change' in speed profile. According to literature, the speed depends on geometric elements, speed on tangent section prior to a curve, and background around roads. Especially, the radius is the most main element mentioned in various literature. Therefore, this paper shows two ways of calculating horizontal radius on real road, that is, three-dimensional road. First of all, the radius of horizontal curve is calculated based on physical method. The calculated radius contains not only superelevation but also longitudinal grade while the current minimum radius is calculated by considering superelevation and side friction according to the point-mass equation. Secondly, the problem of composed curves with distorted appearance by overlaying sag or crest vertical alignment has been known. To quantify the extent of distortion effects, the method of calculation of real seen so called 'Perspective Radius' is developed. The paper presents the perspective radius and recommended perspective radius.

      • KCI등재

        횡방향 가속도 모영을 이용한 곡선부 도로의 변이구간 평가에 관한 연구

        박제진,김용길,고영선,하태준,Park, Je-Jin,Kim, Yong-Gil,Ko, Yeong-Sun,Ha, Tae-Jun 한국도로학회 2008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0 No.2

        현행의 도로설계기준에서는 특정 설계속도에 따라 최소기준을 정하여 이를 토대로 설계된 도로가 해당 기준을 만족하면 주행상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에 따라 도로설계 및 교통운영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조사해보면, 다수의 차량이 설계자의 의도와 다른 속도로 주행하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는 도로 이용자의 안전성 문제와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직선부에서 곡선부, 혹은 곡선부에서 직선부로 주행하는 곡선부 변이구간은 이러한 속도의 변동이 가장 심한 구간 중의 하나로 이에 대한 주행 안전성 검토가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곡선부 도로 변이구간에서의 주행속도와 주행반경을 고려한 지점별 횡방향 가속도와 횡방향 가속도 변화율을 산정하고, 둘째, 이를 고려한 곡선부 도로 변이구간의 설계안전성을 평가하여 편경사, 곡선반경 등의 선형 설계요소를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현재 고려되어지고 있는 구심가속도는 실제 운전자가 부담해야 하는 구심가속도에 훨씬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며, 설계속도에 따라 구심가속도가 $25.56{\sim}77.78%$ 증가되어 주행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직선-단곡선으로 이어지는 곡선부 변이구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According to the present highway design criteria, there are minimum standards which re ade from special design speeds. If some highways are satisfied the standards, it regards he highway as safety. In reality, however, most drivers drive a car at different speed compared with design speed. It is very dangerous for drivers especially at transition sections between curve and horizontal curve sections. Hence, this study calculated the rate of changing and horizontal acceleration at each section. Moreover, this study evaluated thesafety of design at curve transition sections and then calculated lateral acceleration and curve radii. This study found the minimum standards which are using as basic safety standards are not appropriate for measuring driver's safety.

      • KCI등재

        충격량을 고려한 중앙분리대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박제진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2

        Although a rate of car accident death is on the decrease, internal rate of median encroachment accident is still high. In order to reduce the median encroachment accident, government use median barriers but there are no exact criteria of them. Particularly, current impulse measurement method has adopted the uniformly operating speed and encroachment angle. At reality, however, there are various conditions depends on driver’s characters. In that reason, this study calculates reasonable impulse quantity through encroachment angle and operating speed. It will be necessary to prevent overuse treasury and car accidents. 최근의 교통사고 발생현황에 비추어 볼 때 전체 사망자는 감소하고 있는 반면, 중앙선 침범에 의한 사망자는 여전히 전체 사고의 높은 구성비를 나타내어 교통사고 피해 현황(사망, 부상)에 있어서 중앙선 침범이 안전운전 불이행에 이어 두 번째로 주요한 교통사고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사고를 줄이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중앙분리대에 방호울타리를 사용하고 있으나, 해당 시설물에 대한 명확한 설계기준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중앙분리대 설계기준에 있어서 현행의 충격량 산정의 방법은 일률적인 속도와 침범각도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주행행태를 고려하지 못한 채로 제시되고 있으며, 충격량 산정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보다는 개발된 방호울타리의 성능시험 평가를 통해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주행특성을 고려하여 주행속도를 적용하고 도로의 기하구조에 따른 침범각을 산정하여 보다 현실적이며 합리적인 충격량을 산정한다. 합리적인 충격량의 산정은 중앙분리대의 과대설계로 인한 국고의 낭비와 과소설치로 인한 안전문제를 해결하는데 일조할 것이다.

      • KCI등재

        구간과속단속시스템이 교통류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제진,이윤미,박재범,강정규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a high speed driving, it is a large scale traffic accident as the most dangerous fact on the highway. So traffic accidents related to high speed driving, a number of automated speed enforcement system has been established up to now. At present automated speed enforcement system in Korea control overspeed vehicle only in the specific spot. Because the drivers generally recognize the previous stated fact. therefore, we need speed control by new syst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automated traffic enforcement system based on the travel time speed. In conclusion, we obtain the desired results about automated traffic enforcement system based on the travel time speed. it is important that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has decreased and try to secure the safety of traffic. 고속도로 교통사고 발생의 주요 원인인 과속을 줄이기 위하여 경찰청에서는 많은 예산을 들여 과속단속카메라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지점식 과속단속카메라의 경우 GPS 탑재장치에 의해 위치가 노출되어 과속단속 실적이 떨어지며, 과속단속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차로나 구간에서 캥거루 주행 등 회피거동에 의해 과속억제 효과 또한 감소하고 있다. 운전자의 회피거동으로 인하여 긴 내리막 구간, 터널, 교량 등에서 과속예방효과나 교통사고 감소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중요 시설이나 위험구간에서 차량들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교통사고 예방효과를 높이기 위한 대안으로 구간과속단속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속도로에 최초로 도입된 구간과속단속시스템의 효과평가를 위하여 시스템 적용 전․후 교통류특성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분석하였고, 그 결과, 시스템 설치 후 속도저감 효과 및 해당 구간의 교통류 안정적 흐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구간과속단속 운영구간에 있어서 교통안전성 제고와 교통사고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