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의 정신질환

        방승규 숙명여자대학교 학생위원회 1983 淑大學報 Vol.23 No.-

        청소년과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에 대해서 사회의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의 한 유명대학의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다면적 인성검사에서 18%가 심경증(노이로제)적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발표다. 한 대학생의 심한 정신분열증 상태에서 담당 학과장의 살해사건 또는 신문지상에 자주 발표되는 청소년들의 범죄행위는 사회의 관심을 끌기 충분하다. 대학이 사회로부터 완전히 고립된 상태에서 진리탐구와 인적도약만을 위한 밀페된 집단이 될 수도 없고, 사회가 원하고 기대하는 기술만을 습득하는 집단이 되어서도 안 될 것이다. 여기에 대학 자체의 어려움이 있다. 또 한편으로 사회가 산업화·전문화됨으로써 직업적 또는 경제적인 독립을 위한 준비기간이 깊어지며, 개인의 능력에 따라서 평가를 하게 됨으로써 경쟁적으로 된다. 또한 대학생은 신체적으로는 성인이며 고등학교 생활과 같은 조직적이고 규율에 의한 생활로부터 많은 자유가 허용되나, 정서적 경제적으로 완전히 독립된 사회인으로서 취급은 받지 못하고 사회의 필요에 따라서 학생으로, 때로는 사회인으로 대접을 받기도 한다. 또 대학생 자신들은 스스로를 사회인으로 또는 학생으로 생각한다. 즉 대학생활은 과도기적인 상태에 있다.

      • KCI등재

        韓國人 自殺企圖의 潛在性評價

        韓相燁,金榮煥,房勝規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71 신경정신의학 Vol.10 No.1

        The authors have studied the scores of predictibility to attempt suicide between the attembted suicides and the control groups. 88 of suicide attempted case had admitted to "suicide prevention center", Catholic Medical Center, Seoul Korea. otherwise, control group was selected number of 100 college students from two medical college and other woman's college since 1st, April, 1969 to 30th, Sept., 1969. It revealed following results: 1) Both of the attempted suicide cases and control group cases ranged age of 16 year old upto 35 year old. 2) There are no significant value of predictiting scores in sex difference among the both groups. 3) The mean score of suicidal prediction was remarkably elevated, 74 among attempted suicidal cases compared with 34 of control groups. 4) It picked 59 critiacl point of suicidal predicting scale up from the range which is overlap between the both two group's distributing score. 5) There are 14% of significant suicidal risk even among the control group. It is so valuable to prevent and to search out the suicidal attempt. 6) This modified suicide predicting scale is very useful todelicate to suicidal prevention.

      • KCI등재

        알코올 의존증 환자와 정상인의 제2 알데히드탈수소 효소 유전자형 빈도

        방승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1

        본 연구는 알코올 대사과정에서 중요한 제2알데히드산화효소(aldehyde dehydrogenase)의 유전자형 (AL-DH2)이 알코올 의존증의 발병이나 임상 변인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알코올 의존증 환자와 대조군에서 ALDH2 유전자형을 제한효소법에 의하여 형별하고 비교하였으며 환자군에서 ALDH2 유전자형 빈도에 따른 임상 양상의 차이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알코올 의존증 환자군은 대조군보다 ALDH2*1/1의 빈도가 높고 ALDH2*1/2와 ALDH2*2/2의 빈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2) 알코올 의존증 환자에서 ALDH2의 유전자형 빈도는 가족력 양성군 가족력 음성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Cloninger의 유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없었다. 3) 음주시작 연령은 ALDH2*1/1형 환자와 ALDH2*1/2형인 환자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ALDH2*1/1형환자가 ALDH2*1/2형 환자보다 일찍 발병되었으며 ALDH2*1/1형 환자 가 ALDH2*1/2형 환자보다 잠복기가 짧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써 변이형 알데히드 산화효소 유전자형 (ALDH2*1/2, ALDH2*2/2)은 알코올 의존증의 발병을 방지하며 발병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ALDH2 유전자형과 임상적 유형 사이에는 유의한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Object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ALDH2 genetic types with the risk and clinical variables of alcohol dependence. Methods : ALDH2 genotypes were typed with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method in 43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and in 27 normal controls. The frequencies of ALDH2 genetic types were compared between patients and controls. Among the patients, the frequencies of ALDH2 genotypes were compared in terms of clinical variables. Results : 1) Frequencies of the subjects with ALDH2*1/1 were higher and those with ALDH2*1/2 and ALDH2*2/2 were lower in patients than in controls. 2) The frequencies of the patients with ALDH2*1/1 and those with ALDH2*1/2 were related neither to family history of alcohol dependence nor to Clininger's types. 3) There was no difference for the age of first drink between the patients with ALDH2*1/1 and those with ALDH2*1/2. The onset age of alcohol dependence was earlier in the patients with ALDH2*1/1 than in those with ALDH2*1/2. The time span from first drink to onset tended to be shorter in the patients with ALDH2*1/1 than in those with ALDH2*1/2.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ALDH2 genotypes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risk and onset of alcohol dependence.

      • KCI등재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지형학적 청각 사건관련전위 P300의 생물학적 표시자로서 임상적 의의

        전양환,한상익,방승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3

        연구목적: 저자들은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지형학적 청각 사건관련전위 P300의 소견이 생물학적 표시자로서 의의가 있는 지를 알아 보고, 이를 임상적으로 상태표시자 또는 성향표시자로서 사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 법: 대상은 정신분열증 환자군 30명(남자=12명, 여자=18명 ; 나이 30.2±9.9세)과 정상 대조군 30명(남자=12명, 여자=18명 ; 나이 33.5±7.6세)으로 연구하였다. 정신분열증 환자군은 입원후 1주 이내에 첫 검사를 한 초기군과 4주 후 추적검사를 한 추적기군으로 나누었다. 지형학적 청각 사건관련전위 P300과 N100은 표준화된 방법인 "oddball paradigm"으로 검사하였으며, 각 검사 시점에 양성 및 음성 증상 평가척도(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를 사용하여 양성증상, 음성증상, 일반정신병리, 그리고 전체증상 등으로 나누어 임상증상을 평가하였고, 환자군의 초기와 추적기의 변화는 P300과 PANSS의 원점수를 Z 변환으로 표준화하여 사용하였다. 결 과: P300 잠복기는 대조군 315.8±24.2msec, 초기군 403.8±42.3msec, 추적기군 364.7±43.2msec로서,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N100잠복기, 나이, CCP(correct counted percent) 등을 공변인으로 공분산분석후에도 이러한 차이는 여전히 유의하였다(p<0.01). P300 전위값은 대조군 8.8±2.7μV, 초기군 4.4±1.9μV, 추적기군 4.4±2.5μV로서, 대조군과 초기군, 대조군과 추적기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1), 초기군과 추적기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N100 전위값, 나이, CCP 등을 공변인으로 공분산분석후에도 이러한 차이는 여전히 유의하였다(p<0.01). 정신분열증의 양성증상, 음성증상, 일반정신병리, 전체증상 등은 초기군에 비해 추적기군에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1). 임상증상이 호전되면서 P300 잠복기는 감소하였으나, P300 전위값은 변화가 있었다. 결 론: P300은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정상인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었으며, 이러한 소견은 외부자극에 의한 영향을 배제한 뒤에도 나타났다.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임상증상이 호전됨에 따라 P300 잠복기는 감소하였으나, P300 전위값은 변화가 없었으며, 이는 P300 잠복기가 정신분열증의 상태표시자이고 P300 전위값은 정신분열증의 성향표시자임을 시사하는 소견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vailability of topographic auditory event related potential P300 as a biological marker in patents with schizophrenia.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normal controls(N=30) and patients(N=30) with schizophrenia by DSM-IV. Topographic auditory event related potential P300 and N100 were measured by "oddball paradigm", which was known as a standard method. Schizophrenics were evaluated twice, initial and follow-up, by 4 week interval. P300 latency and N100 latency were determined by Global Field Power. At this time point the maximum amplitude and its location, according to X-Y coordinates, were determined in brain topography. Clinical symptoms were evaluated by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P300 latencies of normal controls, initial group of schizophrenics, and follow-up group of schizophrenics were 315.8±24.2msec, 403.8±42.3msec, and 364.7±43.2msec, respectively. P300 amplitudes of normal controls, initial group of schizophrenics, and follow-up group of schizophrenics were 8.8±2.7μV, 4.4±I.9μV, and 4.4±2.5μV, respectively. They had significantly different P300 latencies one another by measuring ANCOVA, of which covariables were N100 latency, age, and CCP(correct counted percent)(p〈0.01). X-Y coordinates was not significant. In P300, there were some different characters between normal controls and schizophrenics even though excluding N100, which was supposed to be exogeneous component by external stimuli. When clinical symptoms were improved, P300 latency was decreased. However, P300 amplitude was not chang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P300 woald be available clinically as biological marker, P300 latency be a state marker, and P300 amplitude be a trait marker in schizophrenia.

      • KCI등재

        수면무호흡증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

        이희상,이성훈,조현상,남궁기,한승진,방승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1

        본 연구에서는 수면무호흡증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1995년 1월1일부터 1995년 10월 31일까지 코골기와 수면무호흡 증상으로 인해 연정 뇌기능 수면 연구소에 수면다원검사가 의뢰된 1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에서 원발성 고혈압을 제외한 심혈관계 질환이 있거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 그리고 자료가 불충분하거나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되지 않은 24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116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대상 환자들로부터 얻은 자료를 수면변수와 호흡변수로 나누어 혈압과의 관계를 Pearson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평균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변수는 수면무호흡의 총시간 및 총횟수, 총수면시간중 평균 혈중산소포화도, 무호흡지수, 중추성 수면무호흡의 총시간 및 횟수,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총시간등 이었다. 2) 다중회귀분석 결과 평균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변인은 수면무호흡의 총시간이었으며 이것이 평균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에 미치는 영향의 도는 각각 7.9%와 6.2%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수면무호흡증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호흡의 유형에 관계없이 수면무호흡의 총시간만이 혈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추성 수면무호흡의 경우 평균 혈중 산소포화도의 감소, 각성에 따른 교감신경계 활성도의 증가이외에도 다른 기전에 의해 혈압 상승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eep apnea syndromes on th systemic blood pressure. Methods : The subjects were 140 patients who were consulted to Yon-jung brain function and sleep research center for polysomnography due to snoring and sleep apnea from Jan. 1st 1995 to Oct. 31st 1995. Twenty-four out of 140 were excluded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s other than systemic hypertension, antihypertensive medication, inadequate data or diagnosis other than sleep apnea syndrome. The remaining 116 were accepted as proper subjects.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look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and respiratory variables to systemic blood pressure.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to mea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the total time and total number of sleep apnea, degree of oxygen saturation of total sleep time, apnea index, total time and total number of central apnea, and the total time of obstructive apnea. 2)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ly the total time of sleep apnea significantly affected mea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the degrees of affection were 7.9% and 6.2% respectively. Conclusion : these findings showed that sleep apnea syndrome had lower influence over systemic blood pressure than expected and regardless of the type, only the total time of sleep apnea influenced systemic blood pressure. In the case of central apnea, mechanisms other than hypoxemia and the increase of sympathetic activity during arousal may make it possible to increase systemic blood pressure.

      • KCI등재
      • KCI등재

        삼환계 항우울제(Dothiepin)가 우울증 환자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 : 수면 다원 검사에 의한 연구 A Polysomnographic Study

        홍승철,한진희,이성필,방승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4

        우울증환자군에서 삼환계 항우울제인 dothiepin 투여 후의 수면이 변화양성을 알아보며, 치료 후의 호전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수면변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면상태는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여 평가하였고, 우울증상의 심각도와 임상양상의 정도는 Hamilton 우울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은 최소 14일 이상 약물을 투여 받지 않은 우울증 환자 16명(남자 7명, 여자 9명, 연령분포 23∼64세)으로 구성되었다. 수면다원검사는 약물을 투여하기 전과 약물투여 후 1주와 3주에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항우울제 투여 1주와 3주 후 수면 연속성은 기준수면에 비하여 총수면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수면잠재기는 단축되었으며, 수면도중 각성시간은 감소하였고, 수면효율은 증가되었다. 2) 항우울제 투여 1주와 3주 후 수면구조에서는 기준수면에 비하여 2단계 수면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항우울제 투여 1주와 3주 후 급속안구운동 수면은 기준수면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급속안구운동 수면잠재기는 증가하였다. 4) 항우울제 투여 1주 후와 3주 후의 수면을 비교시 수면잠재기가 3주에 유의하게 감소된 외에는 수면 변인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우울증상의 평가를 위하여 약물투여 1주 후와 3주 후에 시행한 Hamilton 우울척도 점수는 약물투여 전에 비하여 줄어들어 우울증상이 호전됨을 나타내었다. 6) 항우울제 투여 3주 후 치료반응이 좋았던 군의 수면특징은 기준수면에서 수면도중 각성시간이 증가된 경향을 나타내었고, 약물투여 1주 후의 수면에서는 4단계 수면의 양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우울증환자에서 삼환계 항우울제인 dothiepin 투여 후의 수면변화는 치료초기에 나타났다. 기준수면에서 각성기간의 증가와 1주 후의 수면에서 4단계 수면의 감소는 약물치료에 좋은 반응과 관련된 수면변인으로 생각되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1) sleep changes after antidepressant (dothiepin) treatment, and 2) sleep variables which seem to be associated with clinical response in the depressed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16 patients who fullfilled the criteria for major depression by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4th edition). Their sleep was recorded using polysomnography at the baseline and after one week and three weeks of dothiepin treatment. All subjects were further interviewed using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RSD) to rate the severity of their depression. High response to the drug was defined as a reduction of more than 50% of the HRSD score.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epressed patients after dothiepin treatment showed more total sleep time(p=0.019), shorter sleep latency(p=0.05), less awake time(p=0.033), more sleep efficiency(p=0.018), more stage 2 sleep(p=0.002), less REM time(p=0.000), and longer REM sleep latency(p=0.004) than before treatment. 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leep variables between those who received 1 week and 3 weeks of dothiepin treatment except for the shortening of sleep latency after 3 weeks(p<0.05). 3) Depressive symptom scores on HRSD were reduced after 1 week and 3 weeks of dothiepin treatment as compared with the baseline. 4) High responders showed a tendency of increased wake time(p=0.054), while their stage 4 sleep decreased after 1 week of dothiepin treatment as compared with the low responders(p=0.0136).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leep of the depressed patients after dothiepin treatment tends to be normalized and sleep changes seem to appear early in the treatment phase. In addition, clinical response might be associated with greater wake time at the baseline and lesser stage 4 sleep after 1 week of dothiepin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