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 공공연구소와 외부기관과의 관계가 기술이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

        손호성(Hosung Son),정양헌(Yanghon Chung),윤상필(Sangpil Yoo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2

        정부는 대학 · 공공연구소와 중소 · 중견기업 간 협력 및 기술이전 활성화를 통해 산업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산업부는 2013년에 전문생산기술연구소를 활용한 중소 · 중견기업 기술혁신 지원방안을 마련하였으며, 미래부는 2014년에 정부 출연연구기관의 중소 · 중견기업 연구개발 전진기지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또한, 2015년에는 국가과학심의회를 통해 민간수탁 실적에 따라 정부출연금을 차등 지급하는 ‘한국형 프라운호퍼식’ 지원방식을 채택하였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정부 정책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독일과 달리 우리나라는 민간수탁 연구개발 환경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황으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기술이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트리플 헬릭스 모형에 기반하여 대학 · 공공연구기관과 정부, 산업계와의 관계가 기술이전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자원 확보 관점에서는 정부와의 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성과 확산 측면에서는 산업계와의 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공공연구소 한 곳을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대학 · 공공연구소의 기술이전 성과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Korean government is aiming to strengthen industrial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the promotion of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public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y and vitalization of technology transfer. In 2013 and 2014,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have announced policies to support SMEs by public research organizations. In addition, in 2015, the ‘Korean Fraunhofer support system’, which pay government subsidies according to the amounts of private R&D funds was adopted. However, there are some concern about the government`s policies. There is yet disclosed how these policies affect technology transfer because industrial R&D funding has not been activated in Korea unlike German.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effects of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ies, public research institutes and external organizations on performance of technology transfer based on the Triple Helix Model.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source security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industr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iffusion of the performance. In addition, a public research institute was selected and case analysis was conducte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of universities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 다 시점 영상 콘텐츠 특성에 따른 딥러닝 기반 깊이 추정 방법론

        손호성(Hosung Son),신민정(Minjung Shin),김준수(Joonsoo Kim),윤국진(Kug-jin Yun),정원식(Won-sik Cheong),이현우(Hyun-woo Lee),강석주(Suk-ju Kang)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2 No.6

        Recently, multi-view depth estimation methods using deep learning network for the 3D scene reconstruction have gained lots of attention. Multi-view video contents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camera composition, environment, and setting.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se characteristics and apply the proper depth estimation methods for high-quality 3D reconstruction tasks. The camera setting represents the physical distance which is called baseline, between each camera viewpoint. Our proposed methods focus on deciding the appropriate depth estimation methodolog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ulti-view video contents. Some limitations were found from the empirical results when the existing multi-view depth estim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a divergent or large baseline dataset. Therefore, we verified the necessity of obtaining the proper number of source views and the application of the source view selection algorithm suitable for each dataset’s capturing environment. In conclusion, when implementing a deep learning-based depth estimation network for 3D scene reco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finding adaptive depth estimation methods.

      • SCOPUSKCI등재

        Design of Broadband Quasi-Yagi Antenna Using a Folded Dipole Driver

        Son Xuat Ta,Byoungchul Kim,Hosung Choo,Ikmo Park 한국전자파학회JEES 2011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11 No.3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broadband quasi-Yagi antenna using a folded dipole driver. The antenna is designed on a low-permittivity substrate to reduce the surface wave effect, and hence the gain can be enhanced easily by adding directors. The folded dipole driver is connected to a 50-Ω microstripline via a simple broadband microstrip-to-coplanar stripline transition with a quarter radial stub. The key motivation for the use of a folded dipole is to increase the input impedance at the driver, allowing a smaller mismatch loss between the antenna driver and the coplanar stripline feed. The proposed antenna has a measured bandwidth of 4.67~6.26 ㎓ for the ?10 ㏈ reflection coefficient, and a flat gain of 4.86~5.15 ㏈ within the bandwidth.

      • 수력학적 조건이 다른 환경에서 막여과 생물반응기용 정족수 감지 억제 기술의 효율 변화

        이호성 ( Hosung Lee ),이상현 ( Sang Hyun Lee ),민소진 ( Sojin Min ),채도원 ( Dowon Chae ),손광표 ( Kwang Pyo Son ),강승모 ( Seungmo Kang ),박병규 ( Pyung-kyu Park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지난 10여 년간, 미생물의 세포 간 의사소통인 정족수 감지(Quorum sensing, QS)를 저해함으로써 막여과 생물반응기(Membrane bioractor, MBR)의 생물막오염(Biofouling)을 저감하는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정족수 감지를 저해하는 정족수 감지 억제(Quorum quenching, QQ)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거나 이러한 미생물들을 이용한 QQ 담체의 개발에 치중되어 있다. 그러나, 수투과량(Water flux)이나 역세척(Backwashing)과 같은 수력학적 운전 조건이 QQ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수투과량과 역세척이 QS와 QQ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MBR에서 QS으로 야기되는 생물막오염에 대해 더 자세히 이해하며 나아가 더 효율적인 생물막오염 저감 전략을 세우는 것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험방법은 연구실 규모의 MBR과 회분식 스터드 셀(Stirred cell)을 각기 다른 수투과량 조건에서 역세척의 적용 여부를 다르게 하여 운전하였다. QQ-MBR 운전에는 QQ 미생물인 Rhodococcus sp. BH4를 구형 담체에 고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또한 아무것도 고정되어 있지 않은 담체를 사용한 대조군 MBR을 동시에 운전하여 수투과량과 역세척에 따른 QQ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리막 표면에서 일어나는 QS을 더 자세히 분석하기 위해 초록 형광 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 GFP)로 표지된 Pseudomonas aeruginosa PAO1을 사용하여 스터드 셀 실험하였다. 생물막오염의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막간차압(Trans-membrane pressure, TMP)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생물막의 QS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세포외 중합물질(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 EPS)을 추출하여 분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을 통해 각기 다른 조건으로 운전한 스터드 셀에서 생성된 생물막들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다공성을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높은 수투과량보다는 낮은 수투과량 조건에서 QQ의 효율이 더 높았다. 낮은 수투과량 조건에서 역세척을 적용하였을 때 EPS 감소가 나타났으며 특히 QQ-MBR에서 더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낮은 수투과량 조건에서 QQ와 역세척은 생물막오염저감에 직접적인 상승작용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높은 수투과량 조건에서 역세척을 적용하였을 때 EPS가 오히려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역세척의 적용에 따른 운전시간 증가가 미생물들이 QS 활동을 개시할 시간적 유예를 준 것으로 분석하였다.

      • 수력학적 조건이 다른 환경에서 막여과 생물반응기용 정족수 감지 억제 기술의 효율 변화

        이호성 ( Hosung Lee ),이상현 ( Sang Hyun Lee ),민소진 ( Sojin Min ),채도원 ( Dowon Chae ),손광표 ( Kwang Pyo Son ),강승모 ( Seungmo Kang ),박병규 ( Pyung-kyu Park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지난 10여 년간, 미생물의 세포 간 의사소통인 정족수 감지(Quorum sensing, QS)를 저해함으로써 막여과 생물반응기(Membrane bioractor, MBR)의 생물막오염(Biofouling)을 저감하는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정족수 감지를 저해하는 정족수 감지 억제(Quorum quenching, QQ)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거나 이러한 미생물들을 이용한 QQ 담체의 개발에 치중되어 있다. 그러나, 수투과량(Water flux)이나 역세척(Backwashing)과 같은 수력학적 운전 조건이 QQ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수투과량과 역세척이 QS와 QQ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MBR에서 QS으로 야기되는 생물막오염에 대해 더 자세히 이해하며 나아가 더 효율적인 생물막오염 저감 전략을 세우는 것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험방법은 연구실 규모의 MBR과 회분식 스터드 셀(Stirred cell)을 각기 다른 수투과량 조건에서 역세척의 적용 여부를 다르게 하여 운전하였다. QQ-MBR 운전에는 QQ 미생물인 Rhodococcus sp. BH4를 구형 담체에 고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또한 아무것도 고정되어 있지 않은 담체를 사용한 대조군 MBR을 동시에 운전하여 수투과량과 역세척에 따른 QQ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리막 표면에서 일어나는 QS을 더 자세히 분석하기 위해 초록 형광 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 GFP)로 표지된 Pseudomonas aeruginosa PAO1을 사용하여 스터드 셀 실험하였다. 생물막오염의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막간차압(Trans-membrane pressure, TMP)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생물막의 QS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세포외 중합물질(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 EPS)을 추출하여 분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을 통해 각기 다른 조건으로 운전한 스터드 셀에서 생성된 생물막들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다공성을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높은 수투과량보다는 낮은 수투과량 조건에서 QQ의 효율이 더 높았다. 낮은 수투과량 조건에서 역세척을 적용하였을 때 EPS 감소가 나타났으며 특히 QQ-MBR에서 더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낮은 수투과량 조건에서 QQ와 역세척은 생물막오염저감에 직접적인 상승작용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높은 수투과량 조건에서 역세척을 적용하였을 때 EPS가 오히려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역세척의 적용에 따른 운전시간 증가가 미생물들이 QS 활동을 개시할 시간적 유예를 준 것으로 분석하였다.

      • 수력학적 조건이 다른 환경에서 막여과 생물반응기용 정족수 감지 억제 기술의 효율 변화

        이호성 ( Hosung Lee ),이상현 ( Sang Hyun Lee ),민소진 ( Sojin Min ),채도원 ( Dowon Chae ),손광표 ( Kwang Pyo Son ),강승모 ( Seungmo Kang ),박병규 ( Pyung-kyu Park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지난 10여 년간, 미생물의 세포 간 의사소통인 정족수 감지(Quorum sensing, QS)를 저해함으로써 막여과 생물반응기(Membrane bioractor, MBR)의 생물막오염(Biofouling)을 저감하는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정족수 감지를 저해하는 정족수 감지 억제(Quorum quenching, QQ)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거나 이러한 미생물들을 이용한 QQ 담체의 개발에 치중되어 있다. 그러나, 수투과량(Water flux)이나 역세척(Backwashing)과 같은 수력학적 운전 조건이 QQ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수투과량과 역세척이 QS와 QQ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MBR에서 QS으로 야기되는 생물막오염에 대해 더 자세히 이해하며 나아가 더 효율적인 생물막오염 저감 전략을 세우는 것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험방법은 연구실 규모의 MBR과 회분식 스터드 셀(Stirred cell)을 각기 다른 수투과량 조건에서 역세척의 적용 여부를 다르게 하여 운전하였다. QQ-MBR 운전에는 QQ 미생물인 Rhodococcus sp. BH4를 구형 담체에 고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또한 아무것도 고정되어 있지 않은 담체를 사용한 대조군 MBR을 동시에 운전하여 수투과량과 역세척에 따른 QQ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리막 표면에서 일어나는 QS을 더 자세히 분석하기 위해 초록 형광 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 GFP)로 표지된 Pseudomonas aeruginosa PAO1을 사용하여 스터드 셀 실험하였다. 생물막오염의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막간차압(Trans-membrane pressure, TMP)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생물막의 QS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세포외 중합물질(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 EPS)을 추출하여 분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을 통해 각기 다른 조건으로 운전한 스터드 셀에서 생성된 생물막들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다공성을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높은 수투과량보다는 낮은 수투과량 조건에서 QQ의 효율이 더 높았다. 낮은 수투과량 조건에서 역세척을 적용하였을 때 EPS 감소가 나타났으며 특히 QQ-MBR에서 더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낮은 수투과량 조건에서 QQ와 역세척은 생물막오염저감에 직접적인 상승작용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높은 수투과량 조건에서 역세척을 적용하였을 때 EPS가 오히려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역세척의 적용에 따른 운전시간 증가가 미생물들이 QS 활동을 개시할 시간적 유예를 준 것으로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