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Arthrobacter simplex의 Steroid △^1-dehydrogenase의 유도와 유도성 스테로이드의 성질

        배무,오영주,민태경,이미경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1991 생명과학연구논문집 Vol.2 No.-

        Arthrobacter simplex IAM 1660의 스테로이드 Δ^1-dehydrogenase에 대한 각종 steroid의 유도조건과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시험한 스테로이드 중 hydrocortisone이 가장 큰 효과를 나타냈고 progesterone, prednisolone, prednisone, androstendione의 순으로 유도효과를 보였고, 스테롤에 의해서는 유도효과가 낮았다. 유도 스테로이드의 특성으로는 스테로이드 모핵 C-3위가 수산기인 것보다 캐톤기이며 C-4위에 이중결합이 존재하고 스테로이드 D고리의 측쇄가 짧은 것이 유도효과가 높았다. 유도물질의 첨가시기는 대수증식기 초기가 최적이었으며 농도는 hydrocortisone의 경우 0.1%가 좋았으며 효소의 유도시간은 15시간이 최저이었다. 효소유도시 배양온도는 30℃가 가장 좋았고 초기 배양액의 pH는 6.5에서 8.0까지 큰 차이가 없었지만 pH6.5일 때 비교적 높은효과를 나타내었다. Hydrocortisone에 의해 유도된 균체효소의 Δ^1-dehydrogenase 수소반응의 기질특이성을 검토한 결과 progesterone, testosterone,cholestenone이 Δ^1-탈수소 반응산물로 전환되었다. Since steroid Δ^1-dehydrogenase synthesis has been known to be inducible, the mechanism of the enzyme induction of Arthrobacter simplex IAM 1660 was investigated. Among various steroids tested for inducers, hydrocortisone was the most effective inducer when hydrocortisone was used as a substrate for steroid Δ^1-dehydrogenase. Steroid Δ^1-dehydrogenase sysnthesis was effectively induced by progesterone, prednisolone and androstenedione, while the enzyme was less induced by cholesterol and not by phytosterol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resence of 3-keto group and short side chain of sterodids are the favorable factors for the induction of the Δ^1-dehydrogenase synthesis. The enzyme was induced at the highest level when hydrocortisone was added at early log phase to the concentration of 0.01% of the culture and the culture was grown for 15 hours.

      • Transfer of Frames during Simultaneous Interpreting

        ( Mi Gyong Lee ) 한국통역번역학회 2007 FORUM Vol.5 No.2

        L`nterpretation simultanee est consideree comme un processus difficile o? l`interprete doit jongler plusieurs t?ches en meme temps. Pour cette raison, toute augmentation de la capacite de traitement de l`interprete peut declencher des deficits dans la communication. Le desaccord de cadre entre la langue source et la langue cible pose des difficultes pour l`interprete puisque l`interprete doit mettre plus d`efforts de traitement supplementaires pour combler le fosse. Pour realiser la communication, l`interprete doit strategiquement convertir des cadres de la langue source a ceux de la langue cible pour des taches differentes. Dans ces recherches, il est montre que l`interprete non seulement reconnait le desaccord de cadre et ajuste ses productions pour l`audience de la langue cible mais aussi la conversion est faite dans une fa?on d`economiser le temps et des efforts strategiquement.

      • KCI등재

        Explicitation in Interpreting

        이미경(Lee Mi gyong)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06 통번역교육연구 Vol.4 No.1

        본 논문은 명시화가 통번역의 과정에서 언어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반드시 동반하는 보편적인 현상이라는 점에 이의를 제기한다. 동시통역에서 명시화는 여러 가지 형태로 표출이 되며 이는 의미전달의 과정에서 통역사가 받는 다양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즉, 언제 어떤 정보를 명시화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바는 통역사가 가장 효율적으로 의미전달을 하기 위해 채택하는 전략적인 행동이라고 하는 것을 본 논문에서 실제 통역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는 바이다. 실제 국제회의에서 이루어진 연설문과 동시통역을 분석하여 명시화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검토한결과, 동시통역에서 명시화는 연사가 출발언어텍스트를 통해 이루려는 목적(Skopos)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기는 하나 이외에도 동시통역의 과정에서 수반되는 제약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통역사는 명시화를 항상 제공하기보다는 효율적인 표현의 전략으로서 사용하고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순차통역 교육에서 자기평가의 효용성에 대한 소고:

        이미경(Lee, Mi-Gyong)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17 통번역교육연구 Vol.15 No.3

        This paper discusses the potential of self-evaluation as assessment method as well as a pedagogical tool in consecutive interpreting at an undergraduate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program. Unlike T&I programs at graduate level, undergraduate programs have some limitations in teaching mainly due to the large class size and gap in students aptitude not to mention their purpose and goal in taking the consecutive interpreting class. Students are given only very few chances to perform interpreting during the semester and one-to-one interactive corrective feedback or assessment is just as infrequent. This study proposes self-evaluation as a method to reflect on own interpreting performances and seek for alternative expressions and decision-making in meaning delivery, ultimately contributing to students capacity building. In addition, self-evaluation can make students more receptive to the instructors comments and adopt any suggestions from teachers. An analysis of students self-evaluation report filled out by 15 students on their performances of Korean-English and English-Korean consecutive interpretation revealed self-evaluation can be an efficient tool in improving fidelity but not in delivery or language, while had positive influence on time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skills and strategies.

      • KCI등재

        번역투 배제를 위한 교육 수단으로서 시역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이미경(Lee Mi gyong)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07 통번역교육연구 Vol.5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sight interpretation exercise can be a useful pedagogical tool for teaching translation. One of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students learning translation, as expressed by the students themselves, stems from the fact that they are unable to totally separate themselves from the ST, and thus some traces of ST can still be found in the TT translation. The traces of ST include words or phrases or sentence structures that appear as word-to-word transliterations of SL in TL, which often sound unnatural and hinder understanding of the ST message. By incorporating sight interpretation exercises as a part of the translation process, students will be able to successfully shut linguistic interference of SL during the conversion process and produce a TT that is natural and coherent to TL readers. This article shows that sight interpretation exercise is especially a helpful tool in the translation of words whose counterparts are not readily available. In addition, sight interpretation proved to be beneficial in cutting down the time for editing while enhancing the readability of the translation.

      • KCI등재

        GC Olfactometry를 이용한 새우의 휘발성성분 특성평가

        이미정(Mi-Jeong Lee),이신조(Shin-Jo Lee),조지은(Ji-Eun Cho),정은주(Eun-Joo Jung),김명찬(Myung-Chan Kim),김경환(Gyong-Hwan Kim),이양봉(Yang-Bo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6

        새우를 육과 껍질 부분을 분리하지 않은 것과 폐기되고 있는 껍질부분만을 모아 SDE 장치를 이용해서 휘발성 성분을 조사해 본 결과, 각각 26개와 46개의 성분이 분리된 것을 알수 있었다. 휘발성 성분의 양에서도 껍질 부분을 처리한 시료에서 훨씬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시료를 마쇄하는 전처리 공정을 거치면서 추출율을 살펴보면 SSW의 경우에는 눈에 띄게 휘발성 성분의 양이 늘어난 것을 알 수가 있었다. GCMSD로 분리ㆍ동정한 결과, pyrazines이 9종, acids 5종, aldehydes 3종, alcohol 4종, pyridines 2종로 나타났다. SSW를 AEDA법으로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GCO를 통해 sniffing test를 실시한 결과, 낮은 온도에서는 진한 새우 냄새가 지배적이었고, 온도가 올라갈수록 고소한 냄새, 향기로운 냄새 등이 나다가 고온에서는 불쾌한 기름 냄새가 났다. GC-FID에서는 검출되지 않는 영역에서도 고소한 향이나 부드러운 향성분이 log₃ FD 3이상의 높은 향 인지도를 나타내었다. Volatile compounds from shrimp whole body (SWB) and shrimp shell waste (SSW)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by the combination of SDE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solvent extraction), GC (gas chromatography, HP-5890 plus)and MSD (mass selective detecter) or olfactometry. The peak numbers isolated from SWB and SSW were 20 and 46, respectively. The amounts of the volatile compounds isolated from SSW were higher than those of SWB. SWB produced more low-boiling compounds below 70℃ and SSW did more high boiling compounds over 100℃. The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from SSW were 9 pyrazines, 5 acids, 4 aldehydes, and 4 alcohols. These volatile compounds were evaluated by aroma extraction dilution analysis and gas chromatography olfactometry (GCO). Some compounds which were not detected by GC-FID and GC-MSD were found to be a strong shrimp flavor of log3 FD 3 value by GCO. Strong shrimp odors were detected in low temperature while nutty aromatic odors and unpleasant oily smells were found in high temperature.

      • KCI등재

        Implication of Frame in Interpreting Process

        이미경(Lee Mi gyong)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06 통번역교육연구 Vol.4 No.2

        프레임 개념은 처음 Bateson의 ‘해석적 프레임’에서 시작된 것으로 의사소통을 함에 있어서 어떤 말이나 행위를 받아들이는 사람이 그 말이나 행위의 의도된 의미로 해석해 낼 수 있도록 전제되는 ‘해석의 틀’을 의미한다. 이러한 프레임이 의사소통의 당사자간에 공유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정확한 의미의 전달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뿐 아니라 때로는 잘못된 의미의 전달에 따른 의사소통의 문제까지도 야기될 수 있다. 프레임 개념이 특히 동시통역과 같은 언어간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유는 언어마다 단어, 표현이 갖는 프레임의 사회적으로 정의되는 바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의사소통의 중개자로서 통역사는 따라서 SL의 프레임을 통해 전달되어지는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에 상응하는 의미로 TL 청중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그 프레임을 전환하는 중개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국제회의에서 이루어진 연설문과 그 동시통역에서 나타나는 프레임을 분석해보고 동시통역과 같이 시간적 제약이 있는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통역사는 의사소통의 당사자간 프레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떠한 중개를 하고 있으며 시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어떠한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Training Expression in SI

        이미경(Lee Mi gyong)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04 통번역교육연구 Vol.2 No.2

        구어를 매개로 하는 의사소통의 경우, 일반적으로 언어의 형태는 사라지고 그 의미만이 남으며 통역사는 의미에 기초하여 통역을 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렇듯 단어에서 의미를 뽑아내는 과정을 의미도출(deverbalization)의 과정이라고 정의하며 동시통역의 과정에서 의미도출의 메커니즘은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간주한다. 출발어와 도착어간의 언어 구조적 차이, 문화적 배경의 차이를 고려한다면 동시통역의 결과물인 통역사의 재표현(re-expression)은 출발어로부터 형태적으로 상이한 역동적 등가(dynamic equivalence)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시간적인 제약이 많기 때문에 의미도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단어 대 단어의 치환(transcoding)을 할 경우 통역을 가능하게 하는 메커니즘을 활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시통역의 결과물인 도착어 표현이 출발어의 언어적인 형태로부터 어떻게 달라졌는지 분석을 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동시통역 교육 과정에서 표현교육에 시사할 수 있는 바를 검토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전문통역사와 예비통역사의 통역내용을 분석한 결과, 통역사의 발화에 출발어의 언어적 형태가 상당히 많이 잔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미도출의 과정을 거친 후 출발어의 형태가 남지 않을 것이라는 기존의 이론과 차이가 있다. 원인은 통역사는 가능한 빨리 이해한 의미를 처리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의미 단위를 짧게 끊어 출발어의 순서대로 표현하려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형태적 유사성이 남게 된다. 통역사는 전체의미를 완전히 이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통역을 하기 때문에 출발어 언어적 형태가 잔존하나 연사의 메시지를 완전히 의미도출한 다음에는 자신의 전체 발화내용을 응집성 있게 연결시켜줄 수 있는 접속어, 의미의 연결고리를 추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