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共犯限制从属形式及其理论基础:

        ;军男(Zheng Junnan) 경희법학연구소 2013 경희법학 Vol.48 No.4

        The accomplice theory of criminal law has developed from the “Extreme Subordination Form” to the “Restrictive Subordination Form” in Germany and Japan. This is also closely associated with the illegality theory. When the “theory of subjective illegality” which has regarded a “capacity for responsibility” as an element of illegality or a logical starting point is replaced by the “theory of objective illegality”. It makes the accomplice theory of “restrictive subordination form” gain its basis of existence. Actually in China until now, the “theory of subjective illegality” is always the general theory. Meanwhile, its disadvantage and limitation of solving practical issue has been thoroughly exposed. Therefore, this article argues that China’s criminal law theory should acknowledge the concept of “criminal illegality” to distinguish itself from the concept of “criminal irregularity,” which regards the “capacity for responsibility” as one of the factors of illegality. Based upon the foregoing, we can obtain the fundamental basis to make a suggestion of the “restrictive subordination form”. 독일과 일본의 공범(共犯) 이론은 이미 오래 전에 ‘극단적 종속형식’부터 ‘제한적 종속형식’으로 발전되여 왔다. 이는 그의 불법이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객관적위법론’이 ‘책임능력’을 위법성의 요건 또는 논리의 출발점으로 간주한 ‘주관적 위법론’을 대체하게 되면서 ‘제한적 종속형식’의 공범이론이 기여한 기초가 마련된 셈이다. 중국의 위법론의 통설은 아직 ‘주관적 위법론’에 머물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이론에 의한 실제 문제의 해결에 한계가 있는 것은 두 말할 것도 없다. 이제 중국형법 이론도 ‘형사불법개념’을 받아들일 시기가 다가왔으며, ‘책임능력’을 ‘형사상 위법’ 개념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이를 토대로 ‘제한적 종속형식’을 주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中国刑法中危险驾驶罪的理性解读与立法展望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논총 Vol.31 No.3

        危险驾驶罪是中国刑法中的一种新型犯罪, 由于我国是违法与犯罪二元化的国家, 违法与犯罪之间存在着严格的界限。在这种模式之下, 对于我国刑法中的危险驾驶罪是行为犯还是结果犯?其实施效果如何?构成醉酒驾车是否需要情节严重?本罪是否还存在立法完善的空间?本文拟就上述问题提出自己的看法, 以求同仁们指正。

      • KCI등재

        《海国图志》与魏源的海洋认识

        ,寅(Zheng, Yin),金泰万(Kim, Tae-Man) 대한중국학회 2019 중국학 Vol.67 No.-

        19世纪中叶,在西方海洋文明向东方扩张的背景下,中国不得不屈服于其强大的海上军事力量。面对西方势力的入侵,作为经世学派代表人物的魏源面对时势编撰出《海国图志》一书,把目 光扩展到中国近海以外的世界。魏源认识到鸦片战争之后,海洋已不能像过去一样作为对外防御的 天然屏障。面对西方的海洋侵略,尤其是其在东南亚的殖民活动,魏源深刻的认识到若不“师夷长 技”,向海洋谋求发展,中国必将陷入比鸦片战争更可怕的境地,因此他进一步提出了构建海防, 发展海洋军事实力甚至是构建中国海军的想法,而这实际上已经涉及到了对中国海洋权益的关注和 保护。同时,魏源早年提倡并积极参与海运改革,建议漕运由商运代替官运,发展海商,其对海洋 的认识远远超越同时代的其他人。从防守到发展,从维护海权到海洋建设,魏源的海洋认识开始吸 引中国人把目光从陆地投向海洋,转变了过去中国人对海洋固有的认识。同时,他的海洋认识为之 后的“洋务派”所继承和发展,对推动中国的近代化改革具有重要的影响。 In the mid-19th century, under the background of the expansion of western marine civilization to the east, China had to submit to its powerful maritime military force. Faced with the invasion of Western forces, Wei Yuan, as a representative of the school of Confucianism, compiled the book Haiguo Tuzhi in the face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extended his vision to the world beyond the sea. Wei Yuan realized that after the Opium War, the ocean could not be used as a natural barrier for external defense as in the past. Faced with the western marine aggression, especially its colonial activities in Southeast Asia, Wei Yuan deeply realized that China would surely fall into a more terrible situation than the Opium War if it did not “master the skills of the barbarians” and pursue the development of the sea. Therefore, he further put forward the idea of building coastal defense, developing maritime military strength and even building the Chinese navy. At the same time, Wei Yuan advocated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it in his early years. In the reform of maritime transport, it is suggested that commercial transport should replace official transport in water transport to develop maritime merchants, whose understanding of the ocean is far beyond that of other people of the same era. From defense to development, from safeguarding maritime rights to ocean construction, Wei Yuan formed his own ocean consciousness, which was inherited and developed by the later “Advocates of the westernization movement”.

      • KCI등재

        ‘思慮’와 ‘知覺’에 관한 南塘 韓元震의 學說硏究

        정연수(,然守) 한국동양철학회 2011 동양철학 Vol.0 No.36

        본 논문에서는 ‘思慮’와 ‘知覺’에 관한 韓元震의 學說을 살펴보고, 근래 학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思慮未萌而知覺不昧’에 관한 철학적 문제를 고찰하였다. 韓元震은 思慮와 知覺에 관한 철학적 문제를 통해 心의 본질이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했다. 그가 말하고자 하는 未發時 ‘思慮未萌而知覺不昧’의 의미를 요약하자면, 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思慮가 未萌함과 동시에 알아차리고 깨달을 수 있는 心의 知覺은 어둡지 않고 명료하다는 것이다. 한원진은 思慮와 知覺의 개념을 구분하고 있다. 思慮는 已發時 반드시 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참되거나 거짓된 인위적 의식이다. 이러한 사려는 외부의 事物에 의하지 않더라도 내부의 認識으로 형상화된 사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未發時에는 마땅히 思慮가 未萌하지만 思慮가 未萌하다고 해서 반드시 心이 未發했다고 할 수 없다. 心이 情으로 發했으나 思慮가 未萌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비록 思慮가 未萌하여 不善함이 없더라도 情으로 인해 不中할 수 있다. 思慮가 已發時에 국한된 의식이라면, 知覺은 곧 心으로서 未發(靜)과 已發(動)을 兼한다. 未發時의 ‘知覺不昧’는 知覺의 體가 되며 心이 靜함에 있는 그대로의 본성을 명료하게 드러낼 수 있는 心의 기틀로서 ‘能知覺’, ‘靜中有物’, ‘純陰인 坤卦에서 陽이 없을 수 없다’는 것으로 비유된다. 知覺이 不昧하기 때문에 中을 主宰할 수 있으며 天下의 大本을 보존할 수 있다. 만일 지각이 불매한 상태라면 肉身의 반응을 지각하는 것은 미발의 中에 어떠한 방해도 되지 않는다. 오히려 未發時에 육신의 반응을 전혀 지각하지 못해야 한다면, 主一無適하고 常惺惺한 敬工夫는 아무런 知覺조차 없는 死物과도 같은 상태를 추구하는 것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다. 그밖에 한원진은 미발시 知覺不昧가 아무리 虛靈한 심의 本體라고 할지라도 지각은 心이며 氣이지 결코 理가 아니기 때문에 天命으로서의 性善과 동일시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한편, 已發時의 ‘知覺運用’은 知覺의 用으로서 心이 動함에 形氣에 의해 人心이 될 수도 있고 性命에 의해 道心이 될 수도 있는 心의 作用이다. 心이 動하여 知覺이 運用되기 때문에 四通八達하여 모든 일에 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未發과 已發에서의 지각문제는 지각의 有無로 판단해서는 안 되며, 體用關係에 있는 心의 動靜 문제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적어도 思慮未萌과 知覺不昧가 未發時 공존할 수 없는 대립적 명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며, 한원진을 위시한 湖學이 知覺不昧를 지각의 理라고 여김으로써 미발시 지각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다거나 미발공부를 소홀히 했다고 말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本论文察看韩元震关于‘思虑’和‘知觉’学说, 考察了近来学界引起争论的关于‘思虑未萌而知觉不昧’的哲学问题。 韩元震区分思虑和知觉之概念。 思虑是已发时必需由情而发生的真或仮的人为的意识。 未发时思虑应该未萌, 可是思虑未萌并非心也未发。 有时心由情而发, 思虑却有未萌时, 既是思虑未萌而不善, 也可由情而不中。 如果局限于思虑已发时的意识, 知觉即心兼未发(静)及已发(动)。 未发时的‘知觉不昧’成为知觉之体, 是心处于静时可以明确显示其本姓的心之基础。 因知觉不昧可以主宰中, 可以保存天下之 大本。 已发时的‘知觉运用’做为知觉之用, 心动时可以因形气而成为人心, 也可以 因性命成为道心的心之作用。 因心动而知觉运用, 可以四通八达应所有事情。 如此 未发和已发上的知觉问题, 不可以知觉有无判断, 应理解为处于体用关係的心之动静问题。 通过本论文起码可以知道思虑未萌和知觉不昧在未发时并非是不可两立的对立命题。 而且, 以韩元震为始的湖学也并非认为知觉不昧为知觉之理而未发时不承认知觉之存在或疏忽了未发工夫。 韩元震通过有关思虑和知觉的哲学问题要查明心之本质为何物。

      • KCI등재

        중국 법제ㆍ법치의 역사적 특수성

        정연부(,然富)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성균관법학 Vol.21 No.3

        每一个研究中国法的人所碰到的第一个问题一般都是对中国法系的疑问。中国法系的研究除了“社会主义法系”、“大陆法系”以外,还包括“中华法系”。 如果说“社会主义法系”、“大陆法系”所代表的是中国法的特征的话,那么“中华法系”主要突出的是中国法的历史观点,即从法制史的观点谈论中国法系。 对中国法的社会学角度的研究已经进行得相当活跃,但是从法学角度进行的中国法制、法治的研究尚有待于进一步推进。 因此超越当代统治制度、社会制度之一部分的法律的意味,是否能够连贯中国法制、法治的特殊性,形成一个法系的问题,有待于进一步研究。本论文以中国法制、法治为研究根据,以阐明中国法的历史特征为主要目的。这样我们不仅可以探究是否可以连贯中国法制、法治的特殊性,形成法系的问题,也可以阐明与中国法系相联系而谈论的“中华法系”的特征。 关于此项研究,最为重要的是时代的区分。时代区分要反映史学角度的时代区分,同时也要反映“法制、法制”为基准的时代区分。“法制、法治”为基准的时代区分,应该突显中国法制、法治的特殊性。 为此,本论文首先分析了作为先行研究成果的中国各个时代的法治、法制的内容。在各个时代的法制内容中总结了具有特点的要素。在分析的基础上,笔者根据研究目的,将时代区分与法制、法治的特征相联系起来。从法制、法治的历史特殊性的观点来看,中国传统法制可以称之为中华法系。中华法系是经过封建法的长期发展过程而形成的中国的传统法律制度,以唐律为典型。 唐律制定当时,传统法制已基本完备,其影响波及韩国、日本、东南亚。 作为中国传统法制的中华法系是以公法为中心展开的。近代中国通过成文化,逐渐实现了法与礼的对立和协调。虽然每个时期都有一定的差异,但总体来说法与礼具有刑法或宪法、行政法的性格。中国法以刑法、行政法为中心发展的原因在于,它产生于部族内部战争过程。 古希腊、古罗马,对强制力为后盾的公法没有太大的需要。法律主要是作为解决国家内部的贵族和平民之间的纠纷的手段。因此形成了所有权、继承权等保护个人权利的,以私法为中心的法律体系。与此相反,古代中国在征服邻邦、并使其归顺的过程中,为确保支配权而强调了刑法。中国传统法制是在春秋战国时期的战争和君主支配体系逐渐完善的过程中发展起来的。在秦汉时代以及之后的朝代中,为了将领土和人民归属于皇帝,国家推崇儒教的同时,确立了以强制力为后盾的刑法。这体现为传统法制的前提性特征。 中华法系的特征,除了“前提性”以外,还体现为“无诉讼观念、重刑轻民、行政与私法不分”等特征。而且,中华法系还有“先礼后法,而且受到较多思想的影响”的特点。这主要源于从汉代到清代持续下来的儒家思想为中心的封建体制下形成的法律文化。 儒家思想并不完全排斥法家思想。孔子强调德

      • KCI등재

        법규명령ㆍ재량준칙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정연부(,然富)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성균관법학 Vol.21 No.2

        在韩国关于法规命令和行政规则的性质仍然存在争议。特别是,和法规命令、行政规则相关联的,被讨论的裁量准则的性质,在法规性方面存在着多样的见解。关于韩国大法院的态度也被指出问题。 与法规命令形式的行政规则相联系,判例是按部令和总统令区分着判断的。部令形式的裁量准则的情况是重视实质,否定法规性。最近韩国大法院的态度是,部令里规定有的制裁处分的情况仍然否定法规性,但是还要尊重制裁处分的基准。然而,总统令里规定有的制裁准则的情况是重视形式的,同时也认同法规性。 在韩国,关于法规命令,行政规则和裁量准则的多样的讨论反映出该领域的问题复杂。则,行政立法的类型和效力复杂,多样,理解困难,所以需要大量的研究。中国行政立法的情况也和韩国相同。 中国把行政立法看做为抽象的行政行为。中国的抽象行政行为的类型当中还有规范性文件。一部分的见解是把中国的行政立法与规范性文件区分开,规范性文件不属于行政立法。然而,为了行政权的法执行,规范性文件也具有定立一般的、抽象的规范的性质。在中国行政立法领域的另外一个问题是授权立法。中国的授权立法与在大陆法系或英美法系国家出现的类型存在很多差异。 与上面的部分相同,本研究是以韩国和中国的行政立法领域的主要主题为对象进行的。研究这些,以阐明两个国家的行政法中出现的相似点与不同点。 中国的授权立法具有法规命令的性质。因此,授权立法不只是行政权,也成为了具有对国民拘束力的裁判规范。然而,授权立法在授权方法和界限上具有特殊性。中国在授权立法上的委任和韩国的委任命令不一样。中国的授权立法不是通过立法机关的法律形势实现的。授权立法必须通过立法机关的全国人大及其常务委员会的授权决定才能被认定。根据授权,在委任立法的界限上,中国的授权立法与韩国的委任立法也不同。中国的授权立法可以规定法律事项,也可能规定和既存的法律、行政法规、地方性法规不同的内容。 中国的规范性文件根据相关规定具有法规性。然而,规范性文件不是中央行政机关行政立法类型的行政法规或者行政规章的类型,而是从形式上独立的类型。关于裁量准则,站在独立类型学说的立场上看,可以认同中国这样的规范性文件与裁量准则的类似面。另外,上面研究的规范性文件的必要性与机能具有很强的裁量准则的性质。然而,即便根据独立类型学说,与裁量准则间接地具有规范性相反,中国的规范性文件具有直接的裁判规范性,在这一点上也存在差异。

      • KCI등재

        高句丽壁画墓的研究历程, 反思与展望

        ;春颖Zheng Chunying) 한국고대학회 2017 先史와 古代 Vol.- No.53

        Koguryo was established in the second year of Jianzhao during Emperor Yuan of Han Dynasty’s reign, and continued its existence for 705 years until it was destroyed in the first year of Zongzhang during Emperor Gaozong of the Tang Dynasty’s reign. Koguryo reached the Liao River to the west at its apex, and expanded to the present Jilin City to the north. Also, the kingdom’s territory reached the present Yanbian region to the east, and expanded to the Han River basin of the Korean Peninsula to the south. Currently, 123 tombs with mural paintings have been found with a strong ethnic characteristic and local ethos in this large territory. In academic circle, these tombs are commonly referred to as Koguryo Mural Tomb. Koguryo Mural Tomb is an important subject for research in the archaeological field of Koguryo, and its related studies support in-depth research on the Koguryo’s history and culture. Further, it is a significant evidence to thoroughly examine the changes of East Asian societies, ethnic groups, and various regimes from the first to seventh centuries. Since the first record about them in the middle of the 19 th century, the tomb murals of Koguryo have always been the center of the attention for scholars from China and other countries, and consequently vast research achievements have been accumulated. Still, regrettably there is no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review about these achievements. Thus, starting with the discovery, investigation, and excavation process of the mural tombs of Koguryo mural paintings, this paper divides the process of the research into the four periods as in the following,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phased differences in number, level, research area, content and method of research papers on Koguryo Mural Tombs in China, Japan,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se periods will be namely Germinal Period(19 th century to 1940s in the 20 th century), Exploration Period(1950’s to 1970s in the 20 th century), Development Period(1980s to 1990 in the 20 th century) and Prosperity Period(after the 21 st century). Next, focusing on the representative scholars, representative articles, comprehensive research, individual research, iconic research, and specific subject research, it collectively reviews the previous research achievements. Based on this attempt, this paper investigate the problems presently occurring in the related studies in three aspects: studies on the mural tombs from the perspective of archeology and history, multi-disciplinary and multi-visual approach to Koguryo mural paintings, and studies on Koguryo Mural Tombs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 and Eurasia. Additionally, it presents measures for these issue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 development. Main arguments: 1. Field archeology is a detailed record of the process and contents of Koguryo Mural Tombs, as well as a prerequisite for smooth progress of the related research. The issue of period and chronology of Koguryo Mural Tombs is the core ofKoguryo archeological research, and also a basis for supporting the value of Koguryo s mural painting. While the criterion to classify the major or second factor for chronology is different for each scholar, including objects for comparison, analysis perspective, and access points. Consequently,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conclusions inferred from each scholar. It is necessary to exclude artificial confounders and rationally and objectively approach it in accordance with a scientific archeological method. Particularly, as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standards to judge whether subjective or objective factors, a deep consideration about this matter in academic circle is required. 高句麗는 漢元帝 建昭2年에 건국되어 唐高宗 總章元年에 멸망되기까지 705년간 존속하였다. 고구려는 전성기에 서쪽으로 遼河에 이르렀고, 북쪽으로 지금의 吉林市에 미쳤으며, 동쪽으로 지금의 延邊 지역에 이르렀고, 남쪽으로 조선반도의 漢江유역에 미쳤다. 현재, 이 같이 넓은 영토 내에서 민족 특색과 지역 풍격이 짙은 벽화고분 123기가 발견되었다. 학계에서는 이들 무덤을 일반적으로 고구려 벽화고분이라고 통칭하고 있다. 고구려 벽화고분은 고구려 고고학 분야의 중요한 연구대상으로서, 그 관련 연구는 고구려 역사와 문화에 대해 심도 있게 연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나아가 1~7世紀 동아시아 사회, 족속, 여러 정권의 변화에 대해 전면적으로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단서이다. 19세기 중기에 처음 관련 기록을 남긴 이래, 고구려 벽화고분은 항상 중외 학자들의 관심의 초점이 돼왔으며, 방대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다. 다만 아쉽게도 중국 학계에서는 그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면적인 정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고구려 벽화고분의 발견, 조사 및 발굴 과정에서 시작하여, 중국, 일본, 한국, 조선 및 구미학계의 고구려벽화고분 연구 논문의 편수, 수준, 연구 영역, 내용 및 방법 등의 단 계별 차이점에 착안해 고구려 벽화고분 연구 과정을 다음과 같은 네시기로 구분하였다. 萌芽期(19世紀末~20世紀40年代), 探索期(20世紀50~70年代), 發展期(20世紀80~90年代) 및 繁榮期(21世紀以來)그리고 대표학자, 대표논저, 종합연구 및 개별연구, 도상연구, 특정 주제 연구 등 측면에 초점을 맞춰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종합해 보았다. 또 이를 토대로 고고학과 역사학의 시각에서의 벽화고분 연구, 다학문, 다영역, 다시각적 고구려 벽화고분 도상 연구, 동아시아-유라시아 시각에서의 고구려 벽화고분연구 등 세 측면에서 현재 관련 연구 중에 나타나고 있는 문제를 짚어 보고 그 대책 및 향후 발전에 대한 약간의 전망을 제시해 보았다. 주요견해 1. 필드고고학은 고구려 벽화고분 발굴 경위 및 내용에 관한 자세한 기록임과 동시에 관련 연구가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는 전제 조건이기도 하다. 고구려 벽화고분 분기와 편년 문제는 고구려 고고학 연구의 핵심이며, 고구려 벽화 도상의 가치를 뒷받침하는 지지기반이기도 하다. 학자들 마다 편년의 주요 혹은 차등 요소를 구분함에 있어, 그 판단 기준이 서로 다르며, 또 비교 대상 및 분석 시각, 접근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자 도출해낸 결론에 커다란 견해 차이가 존재한다. 인위적인 교란 요인을 배제하고, 과학적인 고고학 방법에 따라 이성적 및 객관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특히나 주관, 객관적 요소 판단 기준의 마련이 시급하며, 이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 고구려 벽화고분 역시 세상 만물과 마찬가지로 끊임없는 변화를 겪었다. 따라서 그 발전 단계와 시기를 구분하는 것은 그에 대해 더욱 심도 있게 이해하고, 그 변화를 파악 및 해석하기 위함이다. 단계와 시기 구분은 일종의 외형적 형식이며, 결국 그 본질은 그 역사적 성격 변화 배후에 감춰져 있는 역사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어떠한 효과적인 경로를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을 수면위로 드러낼 것인가 하는 고민이 중요한데, 이 점에 있어서는 고고학과 역사학이 추구하는 바 또한 다르지 않다. 3. 고구려 고분벽화는 高句麗文化藝術史, 社會生活史, 宗教思想史, 天文 과학기술史 내지는 政治經濟史 연구에 중요한 근거 자료를 제공해준다. 벽화 도상을 통해 고구려 역사와 문화를 연구함에 있어, “도상을 근거로 한 역사 입증” 과정과 절차에 유념하여야 할 것이다. 벽화에 묘사되어 있는 도상에 대한 식별 및 그에 대한 묘사를 관련 연구의 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 벽화 도상의 용도 및 사회적 속성은 관련 연구의 升華이며, 도상 존재의 의미를 해석하고, 그것이 고구려 사회 내지는 동아시아 사회에서 차지하는 위치 및 역할과 영향 등에 관한 내용은 연구의 목표이다. 관련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첫 단계에만 머물러서는 안되며, 한편으로 또 지나치게 비약적으로 해석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특정 연구 영역에만 깊게 파고드는 방법은 과도한 해석의 온상이다. 그러므로 다학문적인 접근이야말로 사실 본래의 진면목을 밝힐 수 있는 효과적인 경로라고 할 수 있다.

      • 文化財活用祝祭의 效果에 관한 比較 研究

        金炯佑(Kim, Hyung-Woo),,,,(Jeong, Gang-Hoan),胡婷,(Hu, Ting) 청운대학교 관광산업연구소 2012 관광산업연구 Vol.6 No.1

        Cultural heritage festival responds to the popular desire to experience culture and to the extended time of leisure life, and it is a beneficial utilization method which combines educational value and advantage of the event. It is possible to be divided into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utilizing festival, but current festivals come into both aspects. Furthermore, these festivals are used as a tool to promote the regional inherent cultural heritage to find the identity of the region, but studies and empirical analysis for the effects of cultural heritage festivals are not enough.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regional cultural heritage festivals can develop inherent cultural assets of the region and has social-economic effect well as positive influence on the image of the region. Moreover, it will also discuss countermeasures against problems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festival as well as possible plans to increase efficienc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survey from the government officials whose region had similar precedents i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and influence over the region and the recognition changes after holding the festivals. Finally, results of empirical investigation are analyzed and some suggestions are proposed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festiv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