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 본성과 교육: 마리땡과 정호(程顥)

        김광민 한국도덕교육학회 2022 道德敎育硏究 Vol.34 No.2

        The search for human nature begins with a fundamental question about human existence. Human nature, on the one hand, is innate, but on the other hand, it is only revealed through education. The fact that human nature is innate is confirmed by the force that is difficult to control over an object, and Freudian unconsciousness mentioned in Jacques Maritain and human nature of Kao Tzu can be taken as good examples. On the other hand, that human nature is confirmed through education is clearly shown in liberation of the preconscious in Jacques Maritain and purification of water as Ch’eng Hao's figurative explanation. Of course, the two different features of human nature must be understood as different aspects of one human nature. If human nature to pursue food and sex has a driving force, that driving force of the nature can be confirmed in the process of knowledge pursuit. Defining human nature in the context of education without denying the nature that is confirmed in pursuing food and sex means that humans try to get closer to Reality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In this understanding, it can be seen that human nature is restricted to a certain extent. But the restriction is not in a negative sense at the level of conventional wisdom, but unavoidable to enable a clear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인간 본성에 관한 탐색은 인간 존재에 관한 근원적인 물음에서 시작된다. 인간의 性은, 한편으로 타고난 것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교육을 통하여 비로소 드러나는 것이다. 性이 타고난다는 것은, 대상에 대한 억제하기 어려운 힘에서 확인되는 바, 마리땡의 체계에서 언급된 프로이트적 무의식과 고자(告子)가 말하는 식색(食色)의 性은 그것의 좋은 보기로 삼을 수 있다. 한편 性이 교육을 통하여 확인된다는 것은, 마리땡의 체계에 나타난 전의식(前意識)의 해방과 정호(程顥)의 설명으로 제시된 물의 정화 비유에서 선명하게 드러난다. 물론 인간 본성의 두 가지 상이한 특징은 한 가지 性의 상이한 측면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식색의 性이 추진력을 가진다면, 性의 추진력은 지식추구의 과정에서도 확인될 수 있다. 식색에서 확인되는 性의 추진력을 부정하지 않으면서 인간본성을 교육의 맥락에서 규정하는 것은, 인간은 지속적인 교육을 통하여 실재에 다가가는 존재라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해에서 인간의 性은 일정 부분 제한이 가해진 것으로 볼 수 있지만, 그 제한은 통념 수준의 부정적인 의미에서가 아니라, 인간 본성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불가피한 제한이다.

      • KCI등재

        ‘性相近 習相遠’을 통해 본 禮樂思想

        선우미정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1 No.-

        Humans have both a moral and natural character. Mencius regarded only moral character as human nature, and Xun zi regarded only natural character as human nature. Realistically, humans have both moral character and natural character. Mencius however, mentioned the different side of human nature that only humans have moral character, not animals, and Xun zi saw the disputable nature in natural character such as people’s greed and selfishness which became known from experience. In human nature, there exists both moral and natural character, so it is natural to consider moral and natural character together as human nature. Confucius’s ‘Theory that human nature is similar to each other but habit makes the differences(性相近 習相遠)' is a theory including both moral and natural character as human nature. That nature is similar means that among people there are not big differences. This do not mean they are all the same. The words mean that people’s moral characters are the same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disposition due to the natural character. There also exist differences but without any large gaps because humans have the same moral character. For this reason, humans innately have a similar nature, but as they grow and become good or evil they develop many differences according to environment and education. We should therefore restore good nature through education. We should educate the intellectual part, moral part, and physical part all together, and one way to educate is by using the ‘Six Manners’. Among the themes, we should establish morality through ‘Propriety and Music’ because individual morality affects home, society, nation, world and the universe. This is the reason why the principles of the ‘Six Chinese Classics’ conclude in one way that ‘it is urgent to use propriety and music’. We should reconstruct the education of propriety and music in the modern period and educate children in their youth before they have acquired bad habits. 인간에게는 도덕적 본성과 자연적 본성이 있다. 孟子는 도덕적 본성을 인간만의 본성이라고 보았고 荀子는 자연적 본성만을 인간의 본성으로 보았다. 인간에게는 도덕적 본성과 자연적 본성이 다 있다. 다만 孟子는 인간과 동물과는 다른,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도덕적인 면을 보고 본성을 말한 것이고, 荀子는 경험적으로 드러난 인간의 욕심과 이기심으로 다투기 쉬운 자연적인 본성만을 본성으로 본 것이다. 인간의 본성에는 도덕적 본성과 자연적 본성이 다 있으므로 도덕적 본성과 자연적 본성을 함께 봐야 인간의 본성을 총체적으로 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孔子의 ‘性相近 習相遠’론은 인간의 도덕적 본성과 자연적 본성을 함께 보고 논한 것이다 . 性이 서로 가깝다고 한 것은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같은 것은 아니다. 인간의 도덕적 본성은 같으나 氣質에 따른 자연적 본성 때문에 차이가 있다. 차이가 있긴 하나 큰 차이가 없는 것은, 도덕적 본성이 같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태어날 때는 본성이 서로 비슷하나 자라면서 환경이나 교육에 의해서 본성이 善해지기도 하고 惡해지기도 하여 차이가 많이 나게 된다. 그러므로 교육을 통하여 본래 善한 본성을 회복시켜야 한다. 이 때 智⋅德⋅體를 함께 교육시켜야 하니 六藝가 그것이다. 그 중에서도 禮樂을 통하여 도덕성을 확립시켜야 한다. 개인 하나하나의 도덕성의 확립이 가정⋅사회⋅국가⋅세계⋅만물에까지 미치기 때문이다. “六經의 道가 한 가지로 귀결되니 禮樂을 쓰는 것이 급하다”라고 한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다. 그러므로 禮樂敎育을 오늘날에 맞게 재구성하여 習性이 쌓이기 전인 어릴 때부터 시켜야할 것이다.

      • KCI등재

        환경인권과 환경자연권리 - 생태주의 관점에서 본 환경인권 발전의 이론적 고찰 -

        조희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외법논집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and the environment to not only human rights to environment, that is, environmental human rights, but also rights of nature to environment, that is, environmental rights of nature from an eco-centric perspective, and examine the rationale. Theor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and humans are roughly divided into instrumental value theory and intrinsic value theory. From the former point of view, since nature should be protected to be served for human beings, environmental human rights refers to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mainly for human beings. On the other hand, from the latter point of view, not only a healthy environment for humans but also a healthy environment for nature is needed because nature and humans have their own intrinsic value in the global ecosystem. Since the 1972 Human Environment Declarat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led by the UN, has been advocating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to be ‘coexistence in harmony with nature’. The interpretation of this harmonious coexistence has a big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strumental value and the intrinsic value theory. The former means harmonious coexistence for human interest, and the latter means harmonious coexistence for the global ecosystem by recognizing the rights of nature. To date, there is no binding international convention that recognizes rights of nature, but the United Nations has been recognizing indirectly rights of nature through international documents with a declaratory nature, such as the 1982 UN World Charter for Nature, 1987 WCED Our Common Future Report, and 2000 The Earth Charter. Meanwhile, as a healthy environment is recognized as an essential human right, environmental human rights lawsuits are continuing in line with the regional human rights court. Except for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ECtHR), the Inter-American Court of Human Rights, African Courts of Human Rights, and Arab Human Rights Courts recognize the jurisdiction of environmental human rights. In addition, the Inter-American Court of Human Rights in the Lhaka Honhat case in 2020 applied healthy environmental human right for the first time, considering the right as an autonomous right and interpreted it from an ecocentric perspective. In other words, the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was viewed as an autonomous right enjoyed not only by humans but also by nature. Just as human rights theory has a theoretical background on natural rights, rights of nature theory has a background on natural right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environmental human rights is to ensure that the minimum standards of morality in which human dignity and the dignity of nature are harmoniously maintained. As human beings are stewards of the good life of nature, when self-limiting stewardship code is clearly define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earth’s ecosystem will be possible. 동 논문의 연구목적은 인권과 환경의 관계를 환경에 대한 인권 즉, 환경인권뿐만 아니라 생태중심적 관점에서 환경에 대한 자연권리 즉, 환경자연권리로 확대하고 그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환경과 인간의 관계를 보는 이론은 도구적 가치설과 내재적 가치설로 대별된다. 전자의 입장에서는 자연은 인간을 위한 목적으로 보호되어야 하기 때문에 환경인권은 인간을 위한 환경보호를 말한다. 반면, 후자의 입장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지구생태계에서 각각의 고유가치가 있기 때문에 인간을 위한 건강한 환경뿐만 아니라 자연을 위한 건강한 환경도 필요하다. 그래서 환경인권과 함께 환경자연권리도 인정받을 수 있다. 1972년 인간환경선언 이래 UN을 중심으로 국제사회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자연과의 조화로운 공존(coexistence in harmony with nature)’를 표방하고 있다. 이러한 조화로운 공존의 해석은 도구적 가치설과 내재적 가치설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전자의 경우 인간을 위한 조화로운 공존을 의미하고, 후자의 경우 지구생태계를 위한 조화로운 공존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자연권리를 인정한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UN은 1982년 UN World Charter for Nature, 1987년 WCED Our Common Future Report, 2000년 Earth Charter 등 비록 선언적 성격이지만 자연권리의 인정을 촉구하는 국제문서를 지속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한편, 건강한 환경(healthy environment)이 필수인권으로 인식되면서 지역인권법원에 환경관련 인권소송이 줄을 잇고 있다. 유럽 인권법원을 제외한 미주인권법원, 아프리카인권법원, 아랍인권법원들은 환경인권의 대물관할을 인정하고 있다. 미주인권법원은 2020년 Lhaka Honhat사건에서 처음으로 건강한 환경인권을 적용하면서 건강한 환경권을 독립적 권리(autonomous right)로 간주하여 생태중심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했다. 즉, 건강한 환경권은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도 향유하는 권리로 본 것이다. 인권이론이 천부인권에 이론적배경을 둔 것과 마찬가지로 자연권리이론도 천부자연권리에 배경을 두고 있다. 결국 인간-자연의 관계를 종속-비종속의 관계에서 동등-공존의 관계로 발전시키려면 환경법을 생태주의적으로 개편하는 생태환경법이나 소위 자연권리법으로 전환해야 한다. 생태주의 관점에서 환경인권은 환경자연권리를 인정하여 인간의 존엄성과 자연의 존엄성이 조화롭게 유지되는 도덕적 최소기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인간은 자연의 좋은 삶을 책임지는 청지기로써 자기제한적 도덕률을 명확하게 할 때 지구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해질 것이다.

      • KCI등재

        고자의 성무선악설과 맹자의 성선설

        정용환 ( Yong Hwan Chung ) 東洋哲學硏究會 2007 東洋哲學硏究 Vol.51 No.-

        이 글의 목적은 맹자와 고자의 논쟁과정에서 드러나는 본성과 본능에 대한 고자와 맹자의 입장을 밝힌 다음에, 맹자가 성선설에 근간하여 이상과 현실을 어떻게 통합하려고 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고자는 ``본성=본능``이라는 구도에 따라 본성 역시 생리학적으로 타고난 본능 중의 하나일 뿐이라고 하면서 본성을 가치중립적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고자의 성무선악설은 도덕적 가치를 ``본성=본능``의 구도 밖에서 찾음으로써 인내의외(仁內義外)설을 내놓기에 이른다. 맹자는 인내의내(仁內義內)설의 입장에 서서, 고자의 성무선악설과 인내의외설이 타고난 도덕적 가치를 소홀히 한다고 비판한다. 맹자는 자신의 성선설을 정당화하기 위해 본성과 본능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개념적으로 정립하고, 타고난 선의지에 대한 마음의 자율적 사려 기능을 소개하고, 타고난 선의지에 대한 세 가지 증명(상식에의 호소, 역사적 사례 증명, 반사실적 간접 증명)방식을 제시한다. 맹자의 성선설은 이념적으로는 본성을 우월한 도덕적 가치로서 단지(單指)하면서도, 현실적으로는 본말론이나 선후론에 따라 본성으로서의 대체(大體)를 근간으로 하여 본능으로서의 소체(小體)를 포괄하는 통합적 태도를 취한다. This essay is a study to analyze Mencian theory of goodness of human nature clearly by understanding the dispute between Mencius and Gaozi. Gaozi considers human nature as value-neutral desire on the ground that human nature is just a kind of instinct. He seeks to find moral values from the outside of human nature by depending on his theory of neither good nor evil of human nature. Mencius criticize Gaozi`s value-neutral theory of human nature because he thinks that it neglects inborn moral values. To justify the theory of goodness of human nature, Mencius clarify the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between human nature and instinct, introduces the function of consideration of human mind to preserve one`s good will of human nature, and presents three kinds of proofs(common sense, historical model, and counter-factual proof). Mencius accepts both human nature and instincts as necessary conditions for life, but differentiate human nature as the highest value from other inborn desires.

      • KCI등재

        인성론에서 성선의 의미

        정세근 ( Jeong¸ Se-geun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8

        이 글은 동양적 인성론의 근간을 『중용』의 첫 구절이 천명한 사람의 본성은 하늘로부터 품수 받았다는 성선의 가치에서 찾으면서, 유대기독교적 사고를 바탕으로 성악의 전통을 따르는 서양사유의 한계를 지적한다. 나아가 동양에는 맹자 이전에 노자와 같은 성선의 물줄기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서양에서는 거의 유일하게 루소가 성선을 주장하였고 그의 사상은 노자와 비슷함을 보여주면서 루소가 현대교육철학의 기원이 되는 까닭을 설명한다. 성선을 따르면 학교를 짓고, 성악을 따르면 감옥을 짓는다. 따라서 현대교육의 수혜자인 우리는 노자, 맹자, 그리고 루소에 크게 빚진다. 인성 함양을 위한 성선의 교육론에서는, 첫째, 억지로 만들지 말고 먼저 내버려두자는 무위의 교육, 둘째, 남의 아픔을 나의 아픔으로 느낄 수 있는 공감의 교육, 셋째, 이기심이 아닌 자기애로서의 자중자애의 교육이 중요하다. 폭력적으로 강요하는 한 무위의 교육은 무너지며, 반응은 해도 교감하지 않는 한 공감의 교육은 사라지고, 내 몸이 소중한 줄 모르는 한 자중자애의 교육은 있을 수 없다. 우리의 문화적 자산 가운데 하나가 인성에 대한 강조다. 인성을 회복하자는 주장의 근저에는 인간성에 대한 무한한 신뢰가 자리하고 있다. 우리의 문화가 내세우는 본성의 함양으로부터 비로소 인류애로 나갈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그리고 그 인성의 내용이란 ‘사람을 믿어보자’는 데 있다. ‘내버려 둬도 잘 될 거야’라는 자세로 인간을 대접해 보자는 것이다. 감옥보다는 학교를, 감시보다는 권유를, 처벌보다는 관용을, 보복보다는 용서를 꾀하는 정신이 바로 우리가 믿은 성선의 전통이다. 이를 위해 우리가 갖춰야 할 덕목은 ‘당장의 동정심’이다. 그것이 다름 아닌 인성에 대한 감수성이다. 우리는 인성을 고정불변의 실체로 보려하지 말고 실제적 맥락 속에서 인성의 의미와 가치를 찾아내야 한다. 머리에서 가슴까지가 가장 먼 길이라는 것처럼 소통과 교감능력의 배양을 위해 지성 교육보다 감성 교육이 절실한 것이다. 맹자 이후 동양의 도덕은 감성 교육에 치중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소 대신 양을 쓰는 왕을 칭찬하는 맹자의 예와 같이 하다못해 애완견을 사랑하는 마음으로부터라도 만물에 대한 동정심으로 나갈 수 있는 근원을 탐색해야 한다. 인성의 시대적 의미는 두 가지 방향성을 분명히 할 때 또렷이 드러난다. 먼저 성선의 이념을 내세워야 한다. 인성이란, 휴머니티란, 사람다움이란 사람끼리의 공감에서 비롯하는 것이다. 공감할 수 없는 성악의 길은 인성 회복의 적이다. 다음으로 평등의 이념이 앞서야 한다. 도덕의 영역에서 중요한 것은 자유보다는 평등이다. 내가 자유롭고 싶은 것처럼 남도 자유롭게 해주어야 한다는 것이 바로 평등이다. 인성을 말하면서 자유만을 거론하고 평등을 홀시한다면 인간성이 오히려 동물성에 가까운 본능으로 전락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성선과 평등에 바탕한 인성이 우리의 희망이고 미래다. This paper shows that Eastern mainstream theory of human nature is based on the view of human nature as fundamentally good (xingshan: nature is good!) e.g. The Golden Mean, while Western mainstream theory of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bad e.g. Judeo-Christianism. Before Mencius’ assertion of xingshan, there was a mainstream of xingshan like Laozi. In Western civilization few philosophers believe in the view of human nature as fundamentally good except Rousseau. Rousseau, who established modern pedagogy, is very familiar with Laozi, who maintained teaching without teaching. If you believe human nature is good, then you would build a school. On the other hand if you believe human nature is bad, then you would build a prison. We, the educated with social clemency, are obliged to Laozi, Mencius, and Rousseau. The pedagogy of xingshan for cultivating human nature requires 3 principles. Firstly, it is inactive education which gives students freedom without compulsion. Secondly it is sympathetic education which let students feel other people’s pain as their own. Thirdly it is self-esteem education which is not selfish but self-loving. The inactive education refuses any kind of violence. The sympathetic education demands emotional understanding for others. The self-esteem education requires one to love one’s body. Koreans inherit a great legacy of emphasis on humanity, human nature, or the integrity of human beings. There is an infinite trust in human beings. The restoring of humanity means that we could, would, and should believe in human nature. Then we treat a man or woman with an attitude of ‘let it be.’ We prefer school to prison, persuasion to surveillance, tolerance to punishment, forgiveness to revenge. Those are our traditional points of view on human nature as fundamentally good. The immediate sympathy is the first virtue for human integrity

      • KCI등재

        지명 전설에 나타난 ‘인간-자연’의 관계와 공간 구성의 의미 : 임석재전집 전라북도 편을 중심으로

        강지연(Kang, Ji Yeon) 한국구비문학회 2021 口碑文學硏究 Vol.- No.61

        지명 전설은 자연물의 생김새와 지리적 특성, 마을과 산천의 이름이 생겨난 유래 등 증거물의 내력을 밝혀 주는 이야기이다. 지명 전설로 전해오는 증거물이 놓인 자연 공간은 자연이 놓인 공간 그 자체로 존재하기보다 전승 집단의 인지적 해석 과정을 통해 의미를 갖는다. 본고는 임석재 전집에 수록된 전라북도 지역의 지명 전설을 중심으로 수용자의 정신 공간을 인간-자연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았다. 전설의 서사 세계와 현실 세계를 매개하는 전설의 증거물이 수용자의 인식에 새로운 공간을 구성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지명 전설의 공간 구성을 새롭게 읽어보려는 시도라 하겠다. 그리하여 지명 전설 속 인간과 자연의 모습은 경험 세계의 논리에 비추어 ‘인간: 비인간’, ‘자연: 비자연’ 이라는 두 가지 양상으로 구분 짓고, 이에 따라 네 개의 정신 공간 유형을 살펴보았다. 먼저 ‘인간-자연’의 유형 전설은 경험 세계에 존재 가능한 인간과 자연이 연대의 공간을 이룬다. 여기서의 자연은 새 집터가 생겨난 배경이 되거나, 마을의 풍습을 마련하는 등 인간을 변화시키는 자연에 해당한다. 두 번째 ‘비인간-비자연’의 유형은 자연의 외형에 변화를 가하는 이야기로 인간은 초인적인 힘을 지닌 자로써 자연 앞에서 군림한다. 그러한 증거물이 놓인 공간은 전설의 기이성과 함께 신성 공간을 형성한다. 세 번째로 ‘인간-비자연’의 유형은 자연의 신이함으로 인간 문제를 해결해 주는 이야기로써 치유 공간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비인간-자연’의 유형은 인간의 탐욕과 이기심, 폭력에 의해 자연의 성질이 변화된 이야기이다. 이러한 증거물은 전설의 교훈성과 함께 수용자의 정신 공간에 교화적 공간을 구성한다. 지명 전설에서 자연이 존재하는 방식은 순수하게 자연의 상태로 남아있기 보다는 인간의 사고와 행위에 의해 모습과 성질을 갖추게 된다. 마찬가지로 인간이 살아가는 생활 터전도 자연의 힘에 의한 지배를 받음으로써 공간의 의미를 개념화한다. 지명 전설의 공간을 전승자의 인지 해석의 일환으로써 살핀 본고의 논의는 증거물이 남아 있는 공간에 새로운 의미를 보탠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legend of the name reveals the origin of the evidence, including the appearance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objects, and the origin of the names of villages and mountain streams. The natural space where evidence is placed is meaningful through the cognitive interpretation process of the Story Acceptor rather than the space where nature is placed itself. This Study Based on the legend of the names in Jeollabuk-do, which was included in Lim Seok-jae s collection, the mental space of the inmates was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The images of human and nature in the legend of nomination are divided into two aspects: Man: Nonhuman and Nature: Nonnature. it is according to the logic of the experience world. Accordingly, four mental space types were examined. First of all, the type of human-nature forms a space for solidarity between humans and nature, which can exist in the experience world. The second type of non-human-non-natural is the story of changing the appearance of nature. human reigns before nature as a man of transcendent power. Thirdly, the type of human-non-natural is a story that solves human problems with the divine nature of nature. This deals with the healing space. The last type of non-human-natural is a story in which the nature of nature has been changed by human greed, selfishness, and violence. These evidences constitute an edifying space in the mental space of the Story Acceptor, along with the moral nature of the legend. In the legend of geographical names, the way nature exists is shaped and characterized by human thought and behavior. Similarly, human s living foundation conceptualize the meaning of space by being governed by natural forces.

      • KCI등재

        남당 한원진의 인간관

        민황기 조선시대사학회 2010 朝鮮時代史學報 Vol.55 No.-

        이글은 남당 한원진의 인간관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남당은 공자와 맹자 그리고 주자를 도학의 정통으로 삼고 율곡으로부터 이어지는 사계(-신독재)-우암-수암의 적통을 계승한 기호유학자로서 한국 성리학에서 제기되었던 거의 모든 주제들을 언급, 종합 정리하였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그는 인성과 물성의 준별 문제로 人物性相異論을 주장하여 인간이해를 체계적으로 해명하며 한국 유학의 큰 틀인 인본사상을 드러냈다. 남당은 性을 ‘在氣’의 理라는 성격과 의미로 성의 개념을 정의하고 성과 리의 관계를 주자의 리일분수와 율곡의 리통기국을 통해 보다 분석적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그의 성삼층설을 통하여 인․물의 고유한 본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사람과 동물의 본성의 차이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람의 본성이 다름도 극명하게 논하였다. 그에 의하면 성에는 초형기의 人物皆同의 성, 인기질의 人物不同․人人同의 성, 잡기질의 人人不同․物物不同의 성 등으로 구분된다. 남당에 의하면 사람과 사물의 차이는 그들의 타고난 기의 정편․통색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사람은 기가 바르고 통한 것을 얻게 된 것이고, 사물은 기가 치우치고 막힌 것을 얻게 된 것이다. 따라서 바르고 통한 기만으로 응취된 사람만이 오직 건순․오상의 덕목을 완전히 갖추어 천지와 같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이며, 만물 중에서 마음이 가장 영묘하고 성품이 가장 고귀하다는 것이다. 남당은 허령 자체 또는 명덕 자체로 말한다면 성인과 범인 간의 차이가 없다고 인정하면서 사람의 마음이 어떤 기의 응취 여하에 그 품격이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주장하여 성․범 또는 성인․현인․중인․불초 4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사람은 기의 정․통한 것을 얻은 중에 또한 청․탁․수․박이 고르지 못한 데, 지극히 청․수한 것을 얻은 자가 성인이 되고, 청․수한 것이 많고 탁․박한 것을 적게 얻은 자가 현인이 되고, 탁․박한 것이 많고 청․수한 것을 적게 얻은 자가 중인이 되고, 지극히 탁․박한 것을 얻은 자가 하우가 된다는 것이다. 인간의 주체적 자각의 주체가 바로 聖人이다. 즉 성인은 총명한 예지로서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여 밝히는 주체이고, 항상 겸양하고 공경한 태도를 지님으로써 도덕적 이념인 선을 수용하는 주체이며, 동정 간에 항상 경으로 일관함으로써 마음을 보존하는 주체이고, 직으로서 사람 된 도리를 체인하는 주체인 것이다. 이것이 바로 성인의 도덕적 인간상이라 할 수 있다. 남당은 성인과 범인의 다름을 기품의 차이를 통해서 설명하려 했고, 따라서 그 기질의 변화를 통한 선한 본성의 회복을 주장하였다. 또한 기질은 변화가 불가능한 신체적인 조건과는 달리 분명히 가변적인 성질을 띠고 있는 것이어서, 우․불초의 탁박한 기질이라 할지라도, 순과 같은 성인의 청수한 기질로 변화시킬 수가 있다는 것이다. 남당에 있어서 수양공부는 성선을 자각하는 일과 기질을 변화시키는 일로 양대 축으로 이 양자는 수양공부의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선한 본성을 구현할 수 있는 실천방법은 사람의 본성이 선하다는 것을 알아 그것을 기준으로 마음의 기질을 순수하게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남당은 도덕적 인간상을 실현하기 위한 인간 수양론의 요체를 타고난 바탕에 있어서는 총명, 덕의 실천에 있어서는 겸공, 마음을 다스리는 법에 있어서는 경, 도체를 체인하는 것에 있어 ... This is studied about a view of human in NamDang HanWonJin. NamDang is well acquainted with Confucius, Mang-Ja and Ju-Ja, as a KiHo confucian scholar which succeed the line of decent from YeulGok to SaGae(-SinDogJae)-WooArm-SuArm, remarked and arranged almost all of the subjects which raised a question in Korean Confucianism. Particularly, he asserted a theory of human nature is different with a property of matter about distinction topic between human nature and property of matter, explained human understanding and showed humanism ; a flame of Korean Confucianism. NamDang defined a conception of nature in a sense of Li of Jae-Gi(在氣), can be appreciated analytically the nature-Li relation through Liilbunsu(理一分殊) of JuJa and Litongkiguk(理通氣局) of YeulGok. He arranged analytically own nature of human property through his opinion of three floor in Seong(性三層說), discussed in detail the difference of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s well as the difference among human nature. According to NamDang, Nature is divided such as nature of the same human-property in transcendence of body, nature of deference of human-property in deposition and nature of deference of human each other and property each other in mixture deposition. According to him, difference of human and animal is depended on their own rightness and bias ,circulation and closeness of deposition. Human get thing that deposition is straighten and go through. Property get thing that deposition is inclined and closed. Hence, people with straighten and circulating deposition only are qualified virtue strong and confirmity five-Sang(五常), also are sole existences as heaven and earth and most noble, mind-ethereal beings. Under HerReoung(虛靈) itself or bright virtue, NamDang recogniz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an saint and ordinary person, suggested human's character bear no resemblance essentially to some deposition put and classified it into saint, ordinary person or saint, sage, commoner, unworthy person. Human's the main body of the core recognition is saint and this is typical human of morality. NamDang illustrated the difference of saint and ordinary person through disparity of given deposition so he mandated recover of good nature through that change of deposition. Also deposition distinctively has a variable temperament alike physical condition of non-variable, then although impure and coarse deposition of fool, unworthy person, it is possible to change it into clear and pure deposition of saint like Soon. To NamDang, moral cultivation have both pillars which recognizing good nature and changing deposition, both are inseparably related. Practice method to realize good nature is to learn that human nature is good, and in this basis, alter deposition of mind purely. NamDang indicated that four cardinal point of human theory of moral culture is sagacity(聰明), modesty(謙恭), respect(敬) and rightness(直) realized by means of recognition of human and practice. Contrastively, NamDang suggested preservation- cultivation(存養), Self-reflection(省察), arrival to Wisdom(致知), performance hardly(力行) in a way of moral culture in a basis of human's acquired act and effort. This understanding of human in NamDang established human nature and morality, showed the dignity and value of man and opened the door to restore of humanity. This is worthy of investigation into human and contribution to NamDang school.

      • KCI등재

        艮齋의 人物性論 고찰 − 「中庸記疑」를 중심으로 −

        길태은 동양철학연구회 2020 東洋哲學硏究 Vol.104 No.-

        This study is a study on Ganjae’s Human nature and The nature of things Theory focusing on Jungyonggieu. Ganjae was born a generation after the Horak controversy and had been at the center of the argument on the principle of human nature since the mid-19th century. He inherited the Nakron Seongri theory based on the doctrines of Neo-Confucianism, which can be summarized as consisting of Yulgok's Seongri theory, Inmulseongdong, Mibal-sim Chae-seon (undetected principle of the mind), and Seongbeomsim-dong(聖凡心同). The interpretation of single line theory of Ganjae that will be discussed here also raises some questions about nature and human nature. The leading arguments in Doctrine of the Mean can be summarized as consisting of two main ideas. First of all, Gyeonghak theory states that Neo-Confucianism and Limu Yu-gi Youyu is a “correct study” of the Yumun Juri. For moral learning, “sikja” was suggested as a condition of study. In addition, the study was devoted to “Eonhae” (interpretation) to convey the standard learning. Second, a consistent principle that suggests the morals of Confucianism is represented as “Jon Sung (reaching the highest level of human nature/the noble disposition) ”in the theory of Jon Sung. However,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foundation of Ganjae's Gyeonghak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it is only possible to reach the highest level of human nature by recording it with the sprits and energy as SimSigi (Your heart is your energy).” In the interpretation of Ganjae’s human nature and the nature of things, the characteristics of Inmulseongdong and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have been reviewed. Ganjae explains human nature in terms of structures of Seongri Simgi (human nature and mine) and Seongdong-gi. To judge from the trend of Korean Neo-Confucianism, Ganjae's Inmulseong theory inherits the tradition of Nakron Seongri theory, which shows the ideology of Zhu Xi's Neo-Confucian philosophy to be at its root. Ganja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nature, consequently revealing the problem of practical realization of human nature with Sim bon seong and Sung-sa Simjae, and sought to pursue the ideal of Confucianism. 이 연구는 간재의 인물성론에 대해 「中庸記疑」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간재는 호락논쟁 이후 세대로서 19세기 중반 이후 성리논변에 대해 중심에 서 있던 인물이다. 그는 주자학을 기본으로 율곡 성리설과 인물성동, 미발심체선, 성범심동 등으로 요약되는 낙론계 성리설을 계승하였다. 여기서 다루려는 간재의 인물성론 해석 역시 자연과 인간 본질에 대한 제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중용기의」에 나타난 주요 논점은 2가지로 요약하여 볼 수 있다. 첫째, 경학론에서는 성리심기론⋅리무위기유위에 대해 儒門主理의 ‘正學’임을 입언하며, 도를 배우려면 經을 먼저 익히기 위해 ‘識字’를 경학의 조건으로 제시하며, 표준적인 학문을 전수하기 위해 ‘諺解’에 심혈을 기울였다. 둘째, 尊性論에서 ‘유학의 도’를 제시하는 일관된 정신은 심본성 등의 존성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간재 경학의 바탕에는 ‘심시기로서의 精爽의 기로 명기해야만 존성이 가능하다’는 전제가 내포되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간재의 인물성론 해석에서는 인간의 본질 이해와 人物性同에 대한 특징을 검토하였다. 간재는 인간의 본질을 성리심기⋅기질체동의 구조로 풀이한다. 한국 성리학의 흐름에서 볼 때 간재의 인물성동은 낙론계열의 전통을 계승하는 모습에서 주자의 성동기이 사상이 근저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간재는 자연과 인간의 본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결과적으로 인간 본성의 실천적 구현의 문제를 심본성⋅성사심제로 밝히며, 인간다움을 실현하는 유학의 이상을 추구하려고 노력하였다.

      • KCI등재

        “Advocate Goodness of Human Nature to Anyone Coming across”: Analysis on “Good Nature Theory” of Mencius

        ( Zeng Zhen-yu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3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19

        孟子人性論的基本觀點爲"人性善"或"性善",業已成爲"國民常識"。在這一常識的背後,隱伏著深度的誤讀與曲解。孟子從個體生命體驗和形式邏輯層面反複證明的一個觀點爲――人性有善端。仁義禮智"四端"源自天,存諸人心爲"立命"。人性之善是與善惡相對之善,善不是絶對之善。但是,孟子從未否定"性"有惡端。人性有惡端是眞理,惡具有實質義。硏究孟子人性學說,在方法論上應當遵循"以孟釋孟"原則,在文本釋讀與思想詮釋上,應當區別"君子所性"與"性"兩個槪念。在"君子所性"層面,孟子刻意强調君子與禽獸的"幾希"之別,君子在應然意義上當以"四端"爲性,而不可以"食色"爲性;但在"性"或"人性"層面,孟子幷沒有否定"性"或"人性"有惡端, "大體"與"小體"同在於人心。盡管君子在功夫論層面不將"味"、"色"、"聲"、"臭"稱之爲性,但芸芸衆生之"性"還是蘊含"味"、"色"、"聲"、"臭"。秦漢以降,曆代學人之所以對孟子人性學說理解不一,大多在於未厘淸"君子所性"與"性"兩個槪念的區別。 Mencius’ view on human nature can be summarized as “goodness of human nature” or “goodness of nature”; however, it is seriously misread and distorted when it becomes a “common sense of all the people.” Human nature can be a good starting point - Since Mencius, it has been proven time after time from the aspects of life-experience and of formal logic. The starting points of “humanity,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come from Heaven (tian 天),1 and are internalized in human heart.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is, however, not an absolute concept but a relative one, opposite to badness. Mencius, nevertheless, had never denied bad starting points of human nature; for him, bad starting points also truly and substantially lie within human nature. When studying and analyzing Mencius’s theory of human nature, “interpreting Mencius by Mencius” should be adopted as a methodological principle. In interpreting text and thought of Mencius, the distinction between “nature” and “nature for the exemplary person” must also be stressed. On the level of the exemplary person, Mencius deliberately emphasizes “little difference” between nature of the exemplary person and that of animals. As a matter of course, the exemplary person should take “four starting points” as his nature instead of “food and sex.” On the other side, since Mencius does not deny the bad starting points from the aspect of nature or human nature, he also maintains that “the excellent parts 大体” and “the common parts 小体” co-exist within one human heart. From a view of Gongfulun 功夫论 (accomplishment of cognizing things), the exemplary person excludes “taste,” “sex,” “sounds,” and “smell” from one’s nature, but for common people, on the contrary, such bodily functions and desires are still included in their nature. Since Qin and Han dynasties, scholars presented various interpretations on Mencius’ notion of human nature, but most of them had neglected the distinction between “nature” and “nature for the exemplary person.” [Article in Chinese]

      • KCI등재

        朱子 氣質之性論의 양면성과 退⋅栗 性理學

        이상익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7 No.-

        The pre-Chin Confucian theory of human nature develops with two axis of nature and instinct. Mencius supposes that human virtues such as generosity and righteousness are true human natures, thus his theory of good human nature. Xunzi(荀子) supposes that human instincts such as eating and sexual desires are true human natures, thus his theory of bad human nature. The Li theory of human nature of Song dynasty synthesizes diverse theories of human nature with a premise that human being has two aspects such as inner and emotional nature. It supposes that Mencius's theory of good human nature explains human inner nature and Xunzi's theory of bad human nature explains human emotional nature. However, Zhuxi's(朱子) theory of emotional nature focuses on particular nature of things not on eating and sexual desires. Toegye understands emotional nature as eating and sexual desires, thus his theory of Li-Ki mutual dynamics, Yulgok understands emotional nature as particular nature of things, thus his one way theory of Ki-moving and Li-mounting. But this two theories have some problems, so I propose new theory in this paper. 先秦儒學의 人性論은 本性(仁義之性)과 本能(食色之性)을 두 축으로 삼아 전개되었다. 孟子는 仁義之性을 인간의 고유한 본성으로 여겨 性善說을 주장했던 것이요, 荀子는 食色之性이 仁義之性을 압도하는 현실을 보고 性惡說을 주장했던 것이다. 宋代 性理學에서는 人性을 本然之性과 氣質之性의 두 측면으로 구분하여 논의함으로써, 기존의 다양한 인성론을 종합하고자 하였다. 요컨대 性理學에서는 맹자의 性善說을 本然之性에 대한 설명으로, 순자의 性惡說을 氣質之性에 대한 설명으로 간주했던 것이다. 그러나 주자의 氣質之性論은 食色之性(本能)보다는 사물의 個性(개별적 특수성)에 초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退溪는 食色之性에 초점을 맞추어 氣質之性을 이해했고, 그 결과 理氣互發論을 제창하게 된 것이다. 반면에 栗谷은 사물의 個性에 초점을 맞추어 氣質之性을 이해했고, 그 결과 氣發理乘一途說을 주장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두 사람의 이론은 모두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새로운 개념체계를 모색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