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명의무와 지도의무 -설명의무에 관한 최근 판례의 동향-

        안법영 ( Bup Young Ahn ),백경희 ( Kyoung Hee Baek ) 안암법학회 2013 안암 법학 Vol.0 No.40

        The duty to explain(Aufklarungspflicht, informed consent) in medical living relationship has the principle of the rule for duty and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unlike duty in a general legal living relationship. Therefore, the duty to explain a medical procedure without the patient`s valid prior consent if the configuration is found to infringe on the patient`s self-determination. The Supreme Court`s recent judgement has imposed to the doctor a duty, How to care so that the patient can be properly recovered obligations. However, there is some doubt that this judgement of the Supreme Court is equal to the duty of explain. Because this is doctor`s notice about the convalescence methods observed by patient during or after medical treatment, the Supreme Court`s judgement corresponds to medical duty of care, which is required in medical treatment. It is required by the medical duty of care. Patients` self-determination is not a problem for him and patients should be followed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Eventually difference between the two duties appears in the legal structure, the content, the transition period, the legal effect of any violations, the burden of proof. So, the latter must access to a separate description of the two duties and shall be named as ``Duty to instruct``.

      • KCI등재

        인권옹호직무방해죄(형법 제139조)의 해석

        이주원 ( Joo Won Rhee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고려법학 Vol.0 No.58

        This work examines the legislation process, its purpose and legally protected interests of article 139 of the Korean Criminal Code. Furthermore, with regard to the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bove article, the author focused on the validity of the restrictive interpretation of the vindication of human rights, the validity of a prosecutor`s execution of duties and instruc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ime on interference of executing official duties and dereliction of duties. In interpreting the above crime, the constituent conditions must be held subject to restrictive interpretation, with attention given to its legislation purpose. The subject of the above crime is not the prosecutor`s execution of duties or instructions as a whole, related to the violation by the judicial police officer of the vindication of human rights. The subject should be strictly restricted only to such a prosecutor`s execution of duties or instructions, the interference or non-observance of which would be so gravely illegal as to necessitate the criminal punishment of the judicial police officer. It is highly likely for an investigation of a crime to entail a direct violation of the rights enjoyed by the suspects or pose a specific risk to them. Therefore the vindication of human rights is critical for the execution of a prosecutor`s duties. However this does not suggest that the above crime recognizes the superiority of the prosecutor to the judicial police officer, or that the status of a jurist is favored to that of a non-jurist. Since prosecutors are responsible for investigating crime, there is always the possibility of human rights violations on their part as well. The present crime is merely a means for enhancing the rule of law by the prosecutor in order to restrain the investigation carried out by judicial police officers.

      • KCI등재후보

        수업개선지원 기능에 비추어 본 초등교육 담당 장학사의 직무수행 분석

        김영란,허병기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7 敎員敎育 Vol.23 No.2

        이 연구는 장학의 본질적 기능을 수업개선지원이라 전제하고,수업개선지원 기능과 관련하여 장학사의 직무내용과 직무수행 방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장학사의 직무내용과 직무수행 방식이 수업개선지원 기능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직무내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장학사의 직무내용은 장학영역,인사영역,담당학교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장학사의 직무 내용이 이처럼 수업개선에 초점이 맞춰지지 않고 학교의 전반적 교육활동과 관련된 것이어서 교사의 수업을 적극적으로 조력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장학사의 직무수행 방식은 수업참관과 협의 방식,수업자문과 정보제공 방식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사와 장학사 간에 수업에 대한 사전 협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수업 내용에 대한 자문과 정보제공 활동 등이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학사의 직무수행 방식이 교사의 수업을 전문적으로 조력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education supervisors' official duties and their job performance styles.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fundamental function of supervision is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It analyzed supervisors' official duties and their job performance styles, focusing on their function of supporting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pervisors' jobs were generally related to the whole range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teacher personnel administration, student guidance, and other details of schooling. Among supervisors' 'purely' supervision-related duties are instructional supervision, consultation for teachers,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instruction. Second, there were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 duties of supporting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by observing classroom teaching, giving advice on instruction to teachers, and providing teaching-related information for teachers. Third, affirmative responses and negative ones coexisted in supervisors' and teachers' evaluative opinions on the effect of the supervision performed by supervisors. Some teachers were seeing the supervision as helpful to their teaching improvement, while others viewing it as useless.

      • KCI등재

        주주 충실의무론의 수용

        김재범(Jae bum Kim) 한국비교사법학회 2015 비교사법 Vol.22 No.1

        주주의 충실의무은 이사의 충실의무와 함께 그 도입에 논란이 있는 개념이다. 이사의 충실의무는 상법에 규정이 있지만, 그 개념이 확정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고 논란을 빚고 있다. 충실의무는 명확히 개념이 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법원도 이사의 충실의무 및 주주의 충실의무에 관하여 적극적으로 개념을 정립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 성문화된 이사 충실의무의 개념을 정립한다면 이것이 주주의 충실의무의 개념정의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사가 업무집행 시에 어느 정도의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지 여부에 관한 선관주의의무와 달리 충실의무는 이해충돌 상황으로부터 그 위반을 인정하므로 주의의무 위반(고의 또는 과실)에 대한 판단이 반드시 따라야 하는 것이 아니다. 주주의 충실의무는 이사처럼 직무를 수행하지는 않지만, 경영에 영향력을 미치는 지배주주의 지위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결정적인 의결력을 가진 주주에게 회사이익을 우선하라는 요구로서 그 도입이 주장되고 있다. 상법은 지배주주의 행위를 규율하는 규정으로서 업무집행지시자 등의 책임(제401조의2), 자기거래(제398조) 상장회사의 주요주주에 대한 신용공여제한(제542조의9), 특별이해관계인에 대한 의결권제한(제368조 제3항) 등을 두었으나, 이는 지배주주 행위를 독립적으로 규율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도 면에서 완전치 못하다. 주주의 충실의무는 그의 권리행사가 회사 또는 다른 주주의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처럼 지배적인 영향력을 갖는 주주에게 그에 따르는 의무로서 인정될 수 있다. 충실의무가 적용될 사례로서 회사와 지배주주의 거래, 회사기회의 편취 및 소주주를 억압하는 행위 등을 들 수 있다. 충실의무를 적용하면 해당 거래에 대한 금지청구, 의결권 행사 시에는 결의하자의 소 및 손해배상청구권이 성립한다. The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has been a debate with the concept of director's duty of loyalty. The latter has a legal basis in the Commercial Act, but owing to the ambiguousness of the concept, court has not set up the concrete concept of it. When we set up the concept of the director's duty of loyalty, it would effect the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While the duty of care is related to the caution about conducting corporate business, the duty of loyalty does not relate to whether or not there be a breach of duty of care. It has been insisted to introduce the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to regulate the shareholder's behavior through which involve management or resolute in the shareholders' meeting to cause to the loss of corporation or shareholders. The Commercial Act has the articles to regulate the controlling shareholder like as the liability of a person instructing to conduct corporate business(§ 401-2), self-dealing(§ 398), credit offering(§ 542-9) and limit of vote of specially interested shareholder(§ 368 ③). However these articles do not regulate directly the shareholder. The duty of loyalty should be imposed to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whose exercise of right would influence the interest of corporation or shareholder. The application case of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are self-dealing between corporation and shareholder, the usurpation of corporate opportunity and the oppression of minority shareholders, etc. When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were violated, the relief of filing for an injunction and the suit for affirming nullity of resolution or damages c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진술증거 수집의 위법성과 확대된 진술거부권 고지의무 - 대법원 2009.3.12. 선고 2008도11437 판결에 대한 비판과 대안 -

        임철희 ( Chul-hee Yim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6 비교형사법연구 Vol.18 No.2

        이 평석대상 판결에서 대법원은 수사기관이 범죄혐의를 근거짓는 구체적 사실에 기초하지 않고 수사를 개시하여 위법하게 증거물을 압수하였으며, 이 에 기초하여 다른 파생증거들을 수집하였다는 점을 적절히 평가하지 못했다. 이 증거물의 압수 직전에 이루어진 위법한 피의자신문에서 피고인이 제공한 범죄 관련 정보는 인과과정의 진행을 촉진한 하나의 요소에 불과하다. 대상 판결은 이런 두 가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이루어진 이후의 수사절차와 공판 절차에서 수집한 파생증거들이 1차적 증거들과 인과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위법성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지 못했다. 그래서 대상판결이 위법성 제거가 그 위법의 실질과 관련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는 점 과 그 구체적 기준을 제시하지 못한 것이 우연이 아니다. 이런 부족함을 메 우기 위해 이 글에서는 새로운 진술증거의 수집과 관련하여 (법원의) 진술거부권 고지는 이전 (수사)절차에서 이루어진 증거수집이 위법했다는 내용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야 한다(``확대된 진술거부권 고지의무``)는 점을 그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In this commentary I criticize a judgement regarding the duty to instruct the suspect of his right to silence. The Korean Supreme Court does not adequately consider that the seizure is illegal in the first place. This procedural error - in addition to the violation of the duty to instruct the suspect of his right to silence - constitutes the illegality of the secondary evidences. A attenuation of the procedural errors must be referred to as a relevante procedural error. The Supreme Court has overlooked this: The disobedience of the duty to instruct produces a confesssion which usually makes the suspect feel bound to. Only an advanced duty to instruct the suspect can rule out the illegality of the previous procedural error. The suspect must be instructed that illegal evidence and secondary evidence, as the confession, is excluded from trial.

      • KCI등재

        즉시연금보험약관의 법적 쟁점

        김은경 한국상사법학회 2023 商事法硏究 Vol.42 No.3

        Starting from September 2018, 15 lawsuits related to immediate annuity in total have been filed. Regarding the application for mediation, the insurer has accepted the recommendation of the Financial Disputes Settlement Committee(FDSC) of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FSS) in Korea. However, the problem began when the insurer filed a lawsuit for confirmation of nonexistence of obligation against other policyholders who were applying for dispute mediation, insisting they would be judged by the court through litigation. The lawsuit regarding immediate annuity, reaching the total amount of disputes about 1 trillion won, is currently pending in the Supreme Court of Korea as the result of the first trial courtʼs ruling was in favor of the consumer, and then the result of the High Courtʼs ruling was in favor of insurer. Analyzing the judicial precedents related to immediate annuity cases leads to the issues that the instructional wordings of the calculation method cannot be incorporated into the annuity policy(or T&C), and that the incorporation of the policy per se has already become fait accomplias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uty to explain is violated. The calculation method is a professional actuarial document with mathematics formulas and is one of the basic documents along with the policy under the Korea Insurance Business Act.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instructional wordings alone can be considered as the contents of the policy. In order for the policy to be effectively incorporated into a contract, the insurer must provide the contents of the policy in a way that consumers can easily understand them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in Art. 3 of the Korea Standard Form Contract Regulation Act(or T&C Regulation Act), and according to the duty to explain the policy, the contents of the policy, depending on the type, must be specified in a generally expected manner, and when requested by the consumer, a copy of the policy must be delivered to the consumer. Of course, the insurer must also perform its duty to explain the important contents of the policy so that consumers can comprehend them without any difficulties. In consumer contracts utilizing the policy(or T&C),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surer, that is the policy maker, can abuse the formative status on the contents of the policy for its own contractual interest, and the superior status is a result of information asymmetry using the instructional wordings of the calculation method in this immediate annuity case, and it leads to a continuous imbalanced relationship. This imbalance must be corrected, at least through judicial control on the policy, which in turn ensures fairness to consumer contracts in regard to the policy. Therefore, the calculation method with actuarial mathematics formulas that are hard to understand, just by using the instructional wordings in the annuity policy, should not be incorporated into the content of the contract. Even if the calculation method is included in the policy with the indirect instructions, as the insurer insists, it is important content in the contract and is subject to the duty to explain. The duty to explain the policy is an obligation added before the contract to mitigat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insurer and policyholder, and to be incorporated into the policy, the duty to explain the significant contents of the contract must be implemented. Only then the unbalanced state of interest caused by the difference in unequal bargaining power will be complemented or corrected. In accordance with this comprehensive perspective, the indirect instructional wordings of the calculation method etc. are not incorporated into the immediate annuity policy. 2018년 9월을 시작으로 총 15건의 즉시연금 관련 소송이 제기되었다. 즉시연금과 관련하여 금융감독원 금융분쟁조정위원회 조정신청에 따른 결정에 대하여 보험자가 이를 수락한 바 있다. 그러나 분쟁조정 신청 중에 있는 다른 계약자에 대하여는 소송으로 법원의 판단을 받겠다며 채무부존재확인을 제기한 것이 문제의 발단이었다. 1심 최초 판결의 결과가 소비자의 승소였다가, 이후 보험사의 승소 결과로 나는 건이 생기면서 현재 즉시연금 소송 건은 대법원에 계류 중이다. 총 분쟁규모는 약 1조 원에 다다른다. 즉시연금 사건과 관련한 판례를 분석해 보건대 크게 보험약관에 지시문구를 통한 산출방법서 편입이 안된다는 것과 이미 약관편입을 기정사실화하고 설명의무 위반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나뉘어 있다. 산출방법서는 수식이 주로 나온 전문적인 보험계리문서이고 보험업법상 약관과 함께 기초서류 중 하나이다. 이것이 지시문구만으로 즉시 약관의 내용으로 볼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약관이 계약으로 유효하게 편입되기 위해서는 약관규제법 제3조 투명성의 원칙에 따라 고객에게 약관의 내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작성해야 하며, 약관명시·교부의무에 따라 약관의 내용을 종류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예상되는 방법으로 명시해야하고, 고객이 요구할 때에는 당해 약관의 사본을 교부하여야 한다. 물론 약관의 중요한 내용을 고객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여야 할 약관설명의무를 빼놓을 수 없다. 약관을 활용한 소비자계약에서는 약관작성자가 가지는 해당 계약 내용에 대한 형성적 지위를 자신의 계약적 이익을 위해 활용할 가능성이 있고 그 우월적 지위는 금번 즉시연금의 경우 산출방법서의 간접지시방식을 활용하는 정보의 비대칭의 결과로 나타나 지속적인 불균형 관계에 있게 된다. 적어도 약관의 사법적 통제를 통하여 이 불균형은 교정되어야 하며 이것이 결국은 약관에 있어서의 소비자 계약에 대한 공정성을 담보하는 길이다. 그러므로 보험약관에 지시문구를 활용하여 이해하기도 어려운 수식의 산출방법서를 계약의 내용으로 편입시킬 수는 없다. 설령 보험자가 고집하는 바와 같이 간접 지시문구로 약관에 포함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는 계약상 매우 중요한 내용으로서 설명의무의 대상이다. 약관의 설명의무는 보험자와 보험계약자 간의 정보비대칭을 교정하기 위하여 계약 전에 부가되는 의무로서, 보험약관에 편입되기 위해서는 계약의 중요내용에 대한 보험약관의 명시설명의무가 이행되어져야 한다. 그래야 협상력의 차이로 인한 이익의 불균형 상태가 보완이 되거나 교정이 된다. 이러한 종합적인 관점에 따르면 즉시연금보험약관에서 산출방법서의 간접지시문구 등은 약관에 편입되지 아니한다.

      • KCI등재

        계열사 경영과 지주회사 이사의 역할 - 모회사 이사의 자회사 경영에 대한 권한과 의무 -

        송옥렬 한국경제법학회 2019 경제법연구 Vol.18 No.3

        In corporate groups, it is widely noted that important business decisions are made at the group level, not at the individual company level. But it has not been much discussed whether such practice are legally supported. This article conducted preliminary research, asking what duties and rights the directors of a parent company in a corporate group have in relation to the management of the subsidiary companies. One question is whether the directors of the parent company have a duty to monitor the subsidiary companies. Recent discussions in Japan tend to recognize such duty, on the ground of the fact that the shares of subsidiary companies are an important asset of the parent company, of which the directors of the parent company have a duty to maximize the value. According to this theory, such obligation is not limited to the directors of the holding company, but is extended to those of the parent company in general. In this regard, the duty of directors of the parent company to establish an internal control system of subsidiaries has been much discussed. More controversial is the question of whether directors of the parent company are entitled to instruct the subsidiary management. On the one hand, achieving the efficiency at the group level requires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group. On the other hand, however, such integrated management may harm the other shareholders of the subsidiary company. These two perspectives are very hard to reconcile. The paper finds that, in major jurisdictions, the parent company’s right to instruct is recognized only if the interests of the subsidiary’s other shareholders are eliminated or substantially altered. In the United States, for instance, solves this problem by eliminating the subsidiary’s shareholders through 100% owning the subsidiary. The German law also change the interests of the subsidiary’s shareholders to those of the creditors or those of the parent’s shareholders. Thus, it is very hard to recognize such rights, when the parents only holds a part of the subsidiary company. 기업집단에서 중요한 의사결정은 개별 회사가 아니라 기업집단 단위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그 법적 근거는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 학계에서는 지금까지 이런 사실상의 영향력 행사를 전제로, 기업집단에서 이사의 책임에 대한 고찰이 많았다. 이 글은 그 책임의 전 단계로, 기업집단에서 모회사의 이사에게 자회사의 경영관리와 관련하여 어떤 의무가 있고 어떤 권한이 있는지, 즉 현재의 사실상 영향력의 행사를 회사법적 제도로 수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고찰한다. 먼저 모회사에 자회사에 대한 관리의무 또는 감시의무가 있는가? 최근 일본에서의 논의는 자회사 주식이 모회사의 중요한 자산이라는 점에 기초하여, 모회사 이사의 자회사 관리의무를 인정하는 경향이다. 이 논리에 따르면, 이 의무는 지주회사 이사뿐만 아니라 모회사 이사 일반에 인정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기업집단 차원에서 자회사의 내부통제 시스템의 구축의 중요성이 많이 논의되고 있다. 다음으로 모회사 이사에게 자회사 경영진에 대한 지시권이 있는가? 이 문제는 기업집단에서의 그룹경영이 양면성을 고려해야 한다. 한편으로는 그룹 차원에서의 효율성 달성을 위해서는 지주회사 또는 모회사의 통합적인 경영이 요구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이런 통합적인 경영이 자회사의 투자자 보호가 취약하게 되는 근본원인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입법례를 검토해 보면, 결국 그룹의 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특정 자회사에 손해가 발생하는 경우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미국은 100% 자회사를 통하여 자회사의 주주를 없앰으로써, 독일은 계약콘체른을 통하여 자회사 주주의 이해관계를 변경시킴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자회사에 다른 일반주주의 이해관계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는 모회사의 지시권이 인정될 수 없다는 것이다. 결국 자회사 일반주주의 이익 보호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기업집단 차원에서 이사가 적극적으로 그룹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다는 주장은 설득력을 얻기가 쉽지 않다. 회사법을 개정하여 이사의 지시권을 인정하는 것이 힘들다면, 결국 그룹경영의 수단은 사실상의 관행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 KCI등재

        지배주주에 대한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의 적용에 관한 시론(試論)

        박창규(Park, Changgyoo),유진희(Ryu, Jin-Hee) 경희법학연구소 2021 경희법학 Vol.56 No.4

        우리나라는 지배주주가 회사기회유용을 통해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지배주주에게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를 적용해야 할 필요성이 높다.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는 이사와 같이 신인의무를 부담하는 자는 회사의 동의 없이 회사의 사업기회를 자신을 위해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미국 판례법의 원칙이다. 미국 법원은 회사의 재정적 능력, 회사의 사업범위, 회사의 이익·기대, 이사의 이해충돌 등을 회사기회유용의 판단 요소로 본다. 지배주주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주주와 함께 회사의 의사결정과 경영에 대해 실질적인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는 주주라고 정의할 수 있다. 미국은 이사와 임원 외에도 지배주주에게도 충실의무를 인정하여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를 적용한다. 이때 이사에 적용되는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는 지배주주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우리나라에서 지배주주에게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배주주의 충실의무를 인정해야 한다. 회사에 대한 사실상 지배력, 회사와 소수주주의 보호, 주주의 충실의무와 관련된 상법 조항 등을 고려하면 지배주주에게도 충실의무를 인정할 수 있고, 지배주주의 충실의무가 인정되면 지배주주에게도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지배주주에게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가 적용되더라도 지배주주가 주주로서 가지는 권리가 부당하게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다만 지배주주가 회사기회를 이용하여 회사와 소수주주의 이익을 심각하게 해치고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경우 지배주주의 권리행사는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지배주주의 충실의무가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현행 상법 제397조의2는 회사기회유용금지의 주체를 이사로 한정하고 상법 제401조의2는 제397조의2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상법상 지배주주에게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를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입법론적인 해결이 필요하다. 우선, 상법에 지배주주의 정의를 규정하고 제397조의2에 지배주주를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입법이 어렵다면 제401조의2에 제397조의2를 추가하여 지배주주가 업무집행지시자에 해당되는 경우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배주주가 업무집행지시자가 아닌 경우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로 규제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지배주주의 정의를 규정하고 제397조의2에 지배주주를 추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본다. In Korea, there is a high need to apply the corporate opportunity doctrine (“COD”) to controlling shareholder because controlling shareholder has pursued its private benefit through usurping corporate opportunities. The COD is the principle of US courts’cases that a corporate fiduciary like a director should not divert a business opportunity from the corporation without the corporation’s approval. The US courts identify four considerations related to determining whether a business activity constitutes a corporate opportunity: the financial ability of the corporation, the line of the corporation’s business, an interest or expectancy in the opportunity of the corporation, and a conflict between a director’s self-interest and that of the corporation. Controlling shareholder can be defined as a shareholder who alone or jointly with other shareholders, can exercise the actual control over the decision-making or the management of corporation. The US courts recognize the duty of loyalty of controlling shareholder to the corporation, and they apply the COD to controlling shareholder as well as a director and an officer. The COD for a director has been applied to controlling shareholder equally. In Korea, the duty of loyalty of controlling shareholder should be accept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COD to controlling shareholder. Considering the actual control over the corporation, the protection of the corporation and the minority shareholder, and the provisions under the Korean commercial law the duty of loyalty to controlling shareholder can be accepted, and then the COD can be applied to controlling shareholder. However, the right of controlling shareholder should not be restricted unduly even if the COD can be applied to controlling shareholder. Also, the exercise of the right of controlling shareholder can be limited by the COD in case that controlling shareholder harms the corporation and the minority shareholder significantly and it pursues its private benefits through usurping corporate opportunity. Although the duty of loyalty of controlling shareholder is accepted, it is not easy that the COD is applied to controlling shareholder because under the Korean commercial law the article 397-2 limits the subject of usurping corporate opportunity to a director and the article 401-2 does not include such section 397-2. Therefore, a legislative solution is needed. First, the definition of controlling shareholder should be added in the Korean commercial law and controlling shareholder should be included in the article 397-2 under the Korean commercial law. Second, if the amendment above is not easy, the article 401-2 should include the article 397-2 so that the COD can be applied to controlling shareholder who falls into person who instructs another person to conduct business (“PIAP”) under the amended article 401-2. However, this amendment has the limitations that if controlling shareholder is PIAP the COD cannot be applied to such controlling shareholder. Therefore, it is the most effective way that the definition of controlling shareholder is added in the Korean commercial law and then controlling shareholder should be added to the subject of the article 397-2.

      • KCI등재

        인권옹호직무방해죄

        문영식 ( Young-sik Moon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서울법학 Vol.15 No.1

        The apparent reason, upon historical examination, for the existence of Criminal Code, Article 139[Obstruction of Official Duties for Vindication of Human Rights] is because of the concern that police may not follow the public prosecutor's instruction for vindication of human rights, or that the public prosecutor's execution of duties for vindication of human rights may meet with interference. It needed a separate penalty clause from Article 136①[Assault or Threat in Performance of Official Duties], Article 137[Obstruction of Official Duties by Trickery], or Article 122[Dereliction of Official Dutie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nature and spirit, the benefit and protection, the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 of Article 139, it is apparent that Human Rights, here means the kind that may be easily compromised by the investigation in the process of police-judicially work, namely : the freedom of a person as specified in the Article 12 of Constitution, consisting of the right not to be arrested, detained, subject to search and seizure, or interrogate excepting by due process of law, the right not to be tortured, compelled to give a statement against oneself, and the right to have an attorney. Viewing the definition of human rights as noted, it can be clearly and objectively said that the public prosecutor's instruction for vindication of human rights also concerns the constitutionally guaranteed rights, especially as they related to the accused, witness, and other related person. Non-compliance to the public prosecutor's instruction can possibly cause direct harm or accompany real danger to the human rights of the accused and others. It also carries the danger of normal and smooth operation of government function by interfering with the prosecutor's execution of protecting human rights. Therefore, action such as these must be met with a stringent sanction to suppress it to the extent possible, and so it is understandable enough that criminal responsibility is assigned to this non-compliance. One may observe that a decision has been made to impose strict punishment on special public official such as police who violate human rights. However, only the upper limit on punishment has been legislated, and so the court may impose an appropriate sentence at discretion. Therefore, this does not constitute excessive punishment.

      • 도덕과에서의 효 교육 지도 방안 연구

        차우규 ( Woo Kyu Cha ) 인구교육센터 2011 인구교육 Vol.4 No.1

        효란, 한 인간이 부모에게서 생명을 얻게 되면서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사랑의 감정이며, 인륜질서의 근본이자 행복의 원천이다. 이러한 효는 한국적 문화적 특성을 대표하는 상징이며, 오늘날 우리 사회에 풍미해 있는 지나친 자기중심적 삶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미래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현대 사회에 맞는 효 사상을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전통적 효 사상을 현대적으로 승화시키고 현대적인 효행 덕목을 개발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그런데 효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점차 커지고 있지만, 이를 위한 교육은 아직 빈약하고 불충분하여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체계적인 효 교육을 위해서는 초등학교 과정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올바른 지도 방향과 전략을 수립하여 효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그중에서도 도덕과의 경우에는 전통적으로, ‘효(孝)' 자체를 도덕과 교육의 일부 내용으로 다루어왔으며, 이는 도덕과 교육과정에도 잘 드러나고 있지만, 요즘은 과거에 비해 효의 중요성이나 다루어지는 비중이 점ㅈ머 축소되어지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현재 2007개정교육과정 도덕과에서 효 교육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고,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효교육 지도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현장 교사가 교실 현장에서 도덕 교과 효교육 활동에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효 교육 지도방법 및 우수 지도 사례를 제시해 주는 것도 나름대로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