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NGO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탐색과 제언

        서유경(You-Kyung Suh) 한국NGO학회 2014 NGO연구 Vol.9 No.1

        지난 10여년 사이 NGO학을 둘러싼 주변 환경이 눈에 띄게 나빠졌다. 우리는 다음 두 가지 질문을 해 봐야 한다. 첫째, 한국의 성공적인 민주화 운동과 급격한 시민사회의 성장이라는 현대정치사적 특수성에서 발원한 ‘NGO학’의 한국적 유용성이 완전히 소진되었는가? 둘째, 한국의 ‘NGO학’이 한국적 특수성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학문적 보편성을 담보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없는가? 이 글은 한국에서 NGO학의 유용성은 소진된 것이 아니라 2세대 시민 운동의 동력을 창출해야 할 변화의 시점에 있으며, 이제 NGO학은 그것의 형식과 내용을 재정비하여 보편적 학문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마침 해외 유수한 대학들도 우리의 NGO학과 유사한 성격과 지향성을 보이는 다분과적 전공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시대적 요구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현재 제안 단계에 있는 가칭 ‘한국 NGO학-NGO섹터 협의체’의 창설과 그것의 본격적인 활동에 앞서 진지하게 검토해야 할 핵심문제로서 현재 한국의 NGO학과와 연계전공들이 설치하고 있는 교육과정의 개선에 대한 실천적 방향 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During the past 10 years the number of applicants for the NGO Studies has noticeably decreased in our society. As a result, some of its departments have changed their names into something else or merged with other departments not to mention the total abolishment of its departments. Those who still maintain their names are pondering on their next moves. At this juncture, the following two important questions need to be asked: first, has the usefulness of the NGO Studies grown out of the successful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rapid growth of civil society of S. Korea as well as its nuanced political history of late totally exhausted?; and, second, is there any possibility for the Korean NGO Studies to acquire an overarching academic universality beyond the Korean soil? The strong argument in this paper is that the usefulness of the NGO Studies has not exhausted but arrived at a turning point when it must create strength required for the 2nd civic movement by reshaping its forms and contents. In this connection, it is worth taking into account that many overseas universities are presently responding to the timely demands of the would-be students by providing various interdisciplinary curricula akin to the Korean NGO Studies in terms of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s. In conclusion, I propose that we create ‘The Korean Consortium for the NGO Studies-NGO Sector’ to take up the mission of making the curricula more sensitive to the current changes in demand for the NGO Studies.

      • NGO를 통한 선교전략

        최유석 신학과 실천학회 2017 신학과 복음 Vol.4 No.-

        본 논고는 기독교선교를 위한 창의적 접근의 차원에서의 NGO를 통한 선교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0세기 중반을 넘어 21세기를 지나가면서 기독교정신, 그리고 선교적 가치를 기반으로 설립되고 성장하였던 NGO가 보편화되고 있다. 보편적 인류애를 향한 NGO는 그 존재 가능성을 확장하고, 사회적 영향력을 확장하며, 재정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종교 중심에서 인류애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필자는 한국 기아대책본부를 중심으로 NGO를 통한 창의적 선교의 관점에서 어떻게 기독교 정신, 더 나아가 선교적 목적을 중심으로 NGO를 활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로 한국 기아대책본부와 같이 기독교정신과 선교적 목적을 위해 운영되는 NGO를 보편적 NGO와 구분하기위하여 필자는 선교적 NGO라 정의하였다. 특별히 NGO가 가장 활발하게 확장되고 설립되는 1900년대 중반 이후 국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였던 선교적 NGO들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선교적 NGO는 창의적 접근의 관점에서 매우 의미있고 효과적인 선교 방법 중 하나이다. 둘째는 필자는 선교신학적 의미에서 선교적 NGO로서 한국 기아대책본부를 평가하였다. 필자의 선교신학적 평가는 세가지 차원에서 한국 기아대책본부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정복적 선교이후 선교의 방법론에서 일대 전환이 되는 성육신적 선교로서 평가할수 있다. 또한 통전적 선교로서 이는 매우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선교의 모라토리움 선헌’이후 선교를 위한 창의적이며, 동시에 종합적 접근은 선교에 대한 그간의 오해를 해소하고, 선교의 창의적 접근성을 위한 통전적 접근을 현실화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는 선교 켜뮤니케이션으 일환으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선교로 평가할 수 있음을 밝혔다. 선교가 언어적 요소를 통해 전해지는 과정에서의 선교적 접촉점으로서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교적 NGO가 당면한 문제는 후원체계와 재정원칙에 있어 기독교적 정신과 법적 재정활용도 제한의 경계가 양립된다는 것이다. 또한 선교적 NGO로서의 성장정책에 있어서도 이러한 기조가 유지되고 있다. NGO로서의 재정과 선교기관으로의 재정운용, 그리고 양적 성장의 과정에서 끊임없이 기독교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한국 기아대책기구에 대한 연구를 통해 밝힌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한국 기아대책기구와 같은 선교적 NGO를 복음주의 선교신학적 관점에서 선교와 복지, 복음과 지역개발을 통한 지역과 사람, 그리고 영혼의 궁극적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선교페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는 21세기 선교에서 필자는 한국 기아대책기구와 같은 선교적 NGO는 한국 선교에 큰 기여와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후보

        환경NGO와 기업간 상호관계의 영향요인

        장임숙(Jang Im-Sook),강성철(Kang Sung-Chul)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社會科學硏究 Vol.23 No.2

        연구의 목적은 환경NGO와 기업간 상호관계의 영향요인을 밝히는데 있다. 먼저 이론적 토대로서 자원의존이론을 적용하여 NGO와 기업간 관계를 상호의존관계, NGO우위의 의존관계, 기업우위의 의존관계, 상호독립관계로 유형화한다. 이러한 관계는 NGO와 기업간 자원의 교환을 통해 형성되는데, NGO와 기업의 자원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 관계의 영향요인으로 선정한다. 그리고 백두대간보전회와 라파즈한라시멘트의 관계와 광양환경운동연합과 포스코의 관계를 사례로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상호의존관계, NGO우위의 의존관계, 상호독립관계가 발견되었고, 상호의존관계와 NGO우위의 의존관계는 환경운동에 대한 정치적ㆍ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받는 반면 상호독립관계는 환경문제에 대한 정치적ㆍ사회적 무관심과 기업의 지역경제적 지배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influencing factors of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NGOs and corporations. First of all, as a theoretical basis the relationship between NGOs and corporations were classified by the resource dependence theory as patterns including mutual dependency relationship, NGO-dominant dependency relationship, corporation-dominant relationship, and mutual independency relationship. These relationships were formed through the exchange of resources between NGOs and corporations, and the resources of NGOs and corporations were selected to be an influencing factor of relationship, under the consideration that the resources of NGOs and corporations may be affected by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s. Whe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aekdudaegan Preservation Association and Lafarge Halla Cement, and between the Gwang Yang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and POSCO were analyzed as appropriate cases, mutual dependency relationship, NGO-dominant dependency relationship, and mutual independency relationship were shown. In this study, mutual dependency relationship and NGO-dominant dependency relationship were affected by the political and social support on environmental movements, while mutual independency relationship was affected by the political and social indifference on environmental movements and the local-economic control of corporations.

      • KCI등재

        NGO 연구동향 분석

        권해수 서울행정학회 201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4 No.2

        「한국사회와 행정연구」에서 NGO 관련 논문은 총 27편이며, 이는 전체 논문에서 3.2%수준이다. 연도별 NGO 관련 연구의 논문 편수는 2000년 이전에 10편이 발표되었으며, 이는 연평균 1편정도이다. 2001년부터 2004년까지는 연평균 약 2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지만 이후 서서히 감소해 2005년 이후에는 연평균 1편이다. 이를 연구 영역별로 분석하면 NGO의 성장원인 및 활동방식에 관한 논문이 9편, 정부-NGO관계, 정부지원에 관한 논문이 7편의 순으로 게재되었다. 서울행정학회의 NGO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지 않은 성과가 있지만 아직도 고유한 이슈를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고유의 NGO 및 시민단체의 발전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비교론적 시각이 필요하다. 또한 초기 질적 연구가 우세하다가 점차 양적 연구가 보완되고 있지만 이의 균형도 필요하다.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has published 27 NGO-related papers, which account for only 3.2% of the total number of papers published. Prior to the year 2000, approximately one paper per year was published, for a total of 10 papers. From 2001 to 2004, approximately two papers were published annually, but since 2005, the annual number of published NGO studies has fallen back to one paper. Amongst the published studies, nine papers concentrated on NGO growth and activities, seven focused on NGO-government relations, and another seven studied government support.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NGO research is competitive in terms of quantity, but the journal has failed to differentiate itself. To remedy this, an effort is need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development of Korea-specific NGOs and civil organizations. Moreover, though quantitative research has made progress in recent years, a more balanced approach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NGO의 영향력 형성요인에 관한 분석 -G시 NGO 내부 활동가의 주관적 인식을 중심으로-

        이민창,김상률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3 신학과 사회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조직이론과 사회운동이론의 관점에서 NGO의 영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NGO의 영향력에 관련한 기존 연구들이 특정 유형의 NGO나 개별정책 사례와 관련된 NGO를 중심으로 논의함으로써 NGO의 영향력에 대한 일반화의 한계점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NGO들에 관한 실증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NGO의 영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환경, 자원, 조직화 등 3가지 요인으로 선정하였다. 다중회귀모형(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환경 요인과 자원 요인이 NGO의 영향력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조직화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타나났다.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G시에서 활동 중인 NGO의 내부 활동가들은 자원 요인이나 조직화 요인보다 환경 요인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riables affecting on the NGO’s influence on the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 theory and social movement theory. Prior researches on NGO’s influence are focusing on finding the specific typology of NGOs or policy related NGO cases, which reveals the limitations of theoretical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To compensate this limitations, this research adop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Environment, Resource, and Level of organizing were accepted as variables which could verify the NGO’s influence. The result shows that Environment and Resource are meaningful variable while Level of organizing doesn’t.

      • KCI등재

        NGO의 인력관리체계 분석

        이희태(李熙泰) 한국지방정부학회 2007 지방정부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NGO의 인력관리체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NGO 인력관리체계의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21개 NGO의 인사관리의 최고 책임자 및 실무책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적 분석결과 직원 모집의 적극성, 교육훈련의 체계성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인력관리 기반의 취약성, 비정기적인 근무성적평가 및 그 결과의 비공개, 신분의 불안정과 낮은 보수 수준, 근무여건과 편익의 열악성 등의 문제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NGO의 인력관리 방안으로 인사관리 기반의 체계화 및 합리화, 근무성적평가의 정기적 실시 및 그 결과의 공개, 승진기준의 조화, 보수의 적정화, 신분의 안정성 확보, 복리후생제도의 적극화 특히 NGO공제회 도입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NGO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f verifiable factors related to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of NGO. To implement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ersonnel management directors and person"s in-charge of twenty-one different active NGOs in the Busan area. As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analysis, this study concluded positive results on staff recruitment and systemized training, but there were problems of a weak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basis, non-periodic performance appraisals, un-stabled status, low-salary levels and poor work environment and benefits. Based on such analysis, systemized and reasonable human resource management, periodic performance appraisal, a harmonized promotion base, a reasonable salary, secure safety status, a positive benefit system among other things were suggested as ways to improve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of NGO.

      • 문선명·한학자 선생의 평화사상과 유엔갱신을 위한 평화NGO의 역할 : 유엔 경제사회이사회의 NGO협의지위 인증제도를 중심으로

        김인수 한국평화NGO학회 2021 평화NGO연구 Vol.1 No.-

        문선명·한학자 선생의 세계평화를 위한 전략은 궁극적으로 유엔갱신을 향하고 있다. 현재의 유엔은 회원국들의 자국우선주의에 따라 세계평화를 가져올 수 없음을 비판받고 있다. 문선명·한학자 선생은 이러한 현재의 유엔은 몸적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마음적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갱신되어야 하며, 그 마음적 기능을 종교권이 담당해야 하고, 그 역할을 수행할 다양한 NGO들(평화NGO)을 설립하고 운영하였다. 궁극적으로 유엔은 양원제를 도입하여 운영이 될 때, 인류에게 하나의 세계로 가는 방향을 다시 제시할 수 있음을 문선명·한학자 선생은 강조하고 있다. 그렇다면 문선명·한학자 선생이 주창한 ‘유엔갱신’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이 연구문 제를 위해 본 논문은 첫째, 문선명·한학자 선생의 평화사상과 평화NGO를 통한 유엔 갱신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둘째, 현재의 유엔에 종교지도자들을 중심한 상원과 기 존 정치지도자들을 중심한 하원을 두는 양원제의 도입을 위한 방법으로서, 유엔 경제 사회이사회(UN ECOSOC)의 NGO협의지위(Consultative Status) 인증제도를 소개하였 다. 셋째, 상기의 2가지 연구를 근거하여 문선명·한학자 선생의 평화사상을 통한 유엔 갱신의 꿈을 실체화하기 위해,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세계평화여성연합(WFWP)과 천주평화연합(UPF)처럼 UN ECOSOC의 NGO협의지위 인증제도를 활용하는 전략적 행보를 해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끝으로, 평화NGO들과 선학유피대학원대학교 평화 NGO학과의 산학협력을 제안하였다. 문선명·한학자 선생이 주창한 평화사상을 통한 유엔갱신을 실체화할 수 있는 전략적 방법은 문선명·한학자 선생이 설립하고 운영한 평화NGO들이 UN ECOSOC의 포괄적협의지위와 특별협의지위 그리고 등록협의지위 에 포진하면서, 특히 포괄적협의지위 인증을 목표로 하여, 현 UN과 협업을 하면서 신 뢰관계를 구축할 때에야만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평화NGO들과 선학유피대학원대학 교 평화NGO학과는 주도적이며 전략적인 산학협력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The strategy toward world peace of Masters Moon Sunmyung and Han Hakja is eventually orienting toward UN Reform. Today’s UN is under criticism for inability to bring world peace because of member nations’ tendency of domestic preference. Masters Moon Sunmyung and Han Hakja foresaw that the U.N. of today performed only bodily function and so should be reformed so as to be able to do spiritual function and such spiritual function should be taken in charge by religious realm, and then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a variety of NGOs (Peace NGOs) to perform such role. Masters Moon Sunmyung and Han Hakja are emphasizing that the U.N. can once more present humankind the direction advancing toward one world when it is eventually operated with being applied of the bicameral system. Then, what should be done in order to realize ‘UN Reform’ that Masters Moon Sunmyung and Han Hakja advocated? For this research question, this paper firstly has reviewed on Peace Thought of Masters Moon Sunmyung and Han Hakja and UN Reform through Peace NGO. Secondly, it has introduced the accreditation system of the Consultative Status for NGOs with the Economic and Social Council of the U.N. (UN ECOSOC) as a way to adopt the bicameral system of putting the Upper House centering on religious leaders and the Lower House centering on existing political leaders in today’s UN. Thirdly, it has argued that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should take a strategic move to utilize the accreditation system of the Consultative Status for NGOs with UN ECOSOC as like the Women’s Federation for World Peace (WFWP) and the Universal Peace Federation (UPF), in order to substantialize the dream of UN Reform through Peace Thought of Masters Moon Sunmyung and Han Hakja based on 2 types of aforementioned researches. And finally, it has suggeste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between Peace NGOs and Peace NGO Department of SunHak UP Graduate University. The strategic way to be able to substantialize UN Reform through Peace Thought that Masters Moon Sunmyung and Han Hakja advocated is possible only when those Peace NGOs that Masters Moon Sunmyung and Han Hakja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build up a relationship of trust in cooperation with Today’s UN while being stationed in the General Consultative Status, the Special Consultative Status and the Roster Consultative Status, targeting in particular the accreditation of General Consultative Status, and for this, Peace NGOs and Peace NGO Department of SunHak UP Graduate University would need to devise dominant and strategic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 KCI등재

        복지NGO의 구조적 특성과 대정부관계 인식에 대한 경험적 연구

        문병주(Byung-Joo Moon) 한국정치학회 2004 한국정치학회보 Vol.38 No.5

        이 글의 목적은 한국 복지NGO의 구조적 특성과 대정부관계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복지NGO의 실상을 파악함으로써 정부와 복지NGO의 파트너십 형성 가능성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는데 있다. 기존의 NGO에 관한 연구들이 정치ㆍ경제개혁과 환경영역 중심으로 쏠린 것에 대하여, 이 연구는 새롭게 부상할 것으로 예견되는 한국 복지NGO의 실태와 이들의 정부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경험적 차원에서 직접 조사ㆍ분석하고 있다. 한국 복지NGO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복지NGO의 구조적 특성은 이들의 조직규모가 급속하게 성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인적 자원과 재정적 자원에서는 불충분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구조적 한계는 복지NGO의 전문성 부족과 수혜대상의 한정성 문제, 그리고 복지정책의 결정 및 집행과정에서 정부와의 정책경쟁은 물론 협력관계 형성을 위한 잠재적 조건의 빈약함으로 귀결되고 있다. 둘째로 한국 복지NGO의 대정부관계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를 보면, 복지NGO는 사안별로 다르긴 하지만, 정부와의 관계에 대해서 경쟁적 혹은 갈등적 관계보다는 협력관계로 인식하고 있어 정부와의 협조적 파트너십을 형성하기에 매우 유리한 환경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복지NGO들은 복지영역의 문제를 ‘복지권운동’의 차원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인적ㆍ재정적 자원의 불충분성을 비롯하여 역량의 한계로 인하여 충분히 제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이렇게 볼 때, 한국적 상황에서 복지NGO의 역할과 그것의 정부와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가 하는 문제는 정부가 복지NGO의 사회적ㆍ경제적ㆍ행정적 역할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느냐의 여부가 관건이라 하겠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circumstances of welfare NGOs through a survey performed to find out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welfare NGOs and to recognize their relations with the government. With the survey results, I will extract implication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partnership between welfare NGOs and the government. The results of analysis on Korean welfare NGOs are as follows. First, despite rapid development in their scale as an organization, the welfare NGOs have yet to advance concerning insufficiencies of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Secondly, the result of examining recognition on the relations between welfare NGOs and the government has displayed that, although differences exist in each case, welfare NGOs recognize their relations with the government as that of collaboration, rather than that of competition or conflict. Thus, it has been found that Korean welfare NGOs are in a very advantageous environment to establish collaborative partnership with the government. From this perspectiv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avorable way of establishing the role of welfare NGOs and their relations with the government would depend on the government positively accepting the social, economic, and administrative role of welfare NGOs.

      • 우리나라 NGO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욱경,김석곤 慶熙大學校 밝은社會問題硏究所 2001 밝은社會硏究 Vol.22 No.1

        So far the marker and state have been the main factors determining our quality of life, which see their limitations with the advent of NGO's. These days NGO's are performing a lot of important functions of the society and their role is ever expanding. Yet local NGO's are facing difficulties because they are younger in terms of history, less roganized and financed than those of the Western society. And the public as well as the government do not show enough interest and do not realize NGO's weight, either. Also lack of theoretical work on NGO's makes them less specialized in both organization and role. This research is aimed at giving a theoretical look on NGO's and presenting guidelines and assignment to local NGO's. Accordingly, topics will be discussed in following order:systematization for fund raising, specialization for effective operation, construction of NGO network, activation of NGO's, improvement of roganization democracy and autonomy, t;ransparency and morality of NGO's, member expansion and expert recruitment, and finally construction of international bondage with NGO's overseas.

      • KCI등재

        정부와 언론NGO, 양자간 상호관계에 대한 시론적 고찰 : Advocacy型 NGO 사례를 중심으로

        김호균(Kim, Hou-Gyun) 한국NGO학회 2005 NGO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정부와 언론NGO 양자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분석대상 시기는 전두환 정부부터 노태우 정부 김영삼 정부 김대중 정부까지 20년 동안이며 이 시기 동안 정부가 추구하는 언론정책과 언론개혁을 주창하는 advocacy NGO의 언론개혁 방향과는 어떠한 상호관계가 존재하는지를 고찰하고 있다. 자료수집방식은 주로 문헌조사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외의 각종 저널과 단행본 등이 광범위하게 활용되었다. 본 연구는 특히 정부와 언론NGO와의 관계분석을 위해 방법론으로 사례연구(case study)방식을 채택하였다. advocacy NGO의 사례로 민주언론운동협의회(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가 선정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전두환 노태우 정부의 경우 언론정책은 통제적 수단을 활용하였고 언론NGO의 언론의 방향성에 대한 시각은 두 정부의 언론을 바라보는 입장과 전연 별개의 양태를 노정하였다고 할 수 있다. 두 정부와 언론NGO와의 관계는 대립적 관계(Confrontation)에 서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민간인 출신 정부인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의 경우도 언론NGO 와의 관계는 대립적 관계(confrontation)로 해석되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이 설정한 〈정부와 언론NGO 간의 관계는 정치체제의 속성차이로 인해 차별성을 가질 것이다〉라는 연구가설은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군 출신 정부의 경우 언론정책은 기본적으로 언론통제적 요소가 강했다. 반면 민간인 출신 정부의 경우 언론개혁이라는 총론적 시각에서는 언론 NGO 와 별다른 시각차가 없었다고 해석할 수 있으나 정부가 선택한 전략적 수단(preferred strategy)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언론통제 의혹을 받았다는 점이 서로 다르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정부와 언론NGO 관계에서 앞으로 정부의 언론정책이 어떠한 방향으로 승화 발전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여러 시사점을 주고 있다고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how government and media NGO relationships changes in turn-over of political power in Republic of Korea-focused on media policy and media reform. Time horizon that It analyses government-media NGO relationships is during some more than 20 years from 1980 to 2003. It studies relationships between government and media NGO by virtue of four-C framework grounded on institutional interests and preferences for policy ends and means-cooperation in the case of similar ends and similar means, confrontation in the case of dissimilar ends and dissimilar means, complementarity in the case of similar ends but dissimilar means, and co-optation in the case of dissimilar ends but similar means. It is found out that in Chun, Doo-Huan and Row, Tae-Woo political powers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media NGO is respectively suitable to confrontation model. And also it indicates in Kim, Young-Sam and Kim, Dae-Jung political powers relationships between government-media NGO is chiefly fitted for confrontation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