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주의 생명의료윤리와 여성주의: ‘자율성’과 ‘관계적 자율성’

        박상혁(Park, Sang-Hyuk)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동서인문학 Vol.0 No.60

        In contemporary biomedical ethics, liberal biomedical ethics, communitarian biomedical ethics, feminist biomedical ethics are competitive theories. In contemporary liberal societies, arguably liberal biomedical ethics is the default position among these theories, Against liberalism, however, communitarian-feminists raise the following criticism: Liberalism is based upon individual conceptions of self and autonomy whereas feminist biomedical ethics are based upon the conceptions of relational self and autonomy. The former individual conceptions are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inadequate whereas the latter relational conceptions are; therefore feminist biomedical ethics is more appropriate a theory than liberal biomedical ethics. Against this feminist criticism, I argue that relational autonomy has serious theoretical problems to be an adequate conception of autonomy so that it cannot replace individual conception which are legally and politically default view; furthermore liberal biomedical ethics can accommodate relational autonomy under individual autonomy. Hence I conclude that liberal biomedical ethics is more appropriate an ethical theory than feminist biomedical ethics.

      • 생명의료윤리학의 흐름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

        김민철 ( Min Chul Kim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18 통합연구 Vol.20 No.2

        생명의료윤리의 뿌리를 추적해 가보면 고대 그리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 이래로 의료윤리에는 두가지 관점의 흐름이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하나는 덕을 추구하는 목적론적 윤리이고 다른 하나는 생명의 신성함을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존중하는 의무론적 윤리이다. 후자는 히포크라테스 선서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선서는 기독교를 만나면서 이론과 실제 임상에서 더 강화되었다. 이 선서가 20세기 초반에 의료윤리 분야에 심대한 이슈들이 일어날 때까지는 의료윤리를 주도하는 관점이었다. 이차세계대전과 함께 그 후 급격하게 발전한 의술은 예상하지 못했던 질문들과 논쟁을 촉발하였다. 가장 충격적인 변화는 분자생물학 기반의 유전공학의 발전이 었는데 이것은 기업들의 개입으로 더욱 심화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비종교적 의료윤리학자들은 의료윤리의 어떤 이슈에든지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원리를 설정하기를 원했고, 그 결과 다음 4가지 원칙이 제시되었는데 이는 자율성 존중의 원칙, 악행금지의 원칙, 선행의 원칙, 그리고 정의의 원칙이다. 불행히도 이 원칙들을 생명의 료윤리의 보편 원칙으로 받아들이면서 히포크라테스-기독교 전통은 유기되었다. 본 논문은 목적론적 원칙주의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 히포크라테스-기독교 전통을 생명의료윤리의 이슈들을 판단하는 원리로 복귀시켜야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하나님이 인류에게 주신 언약에 기반을 둔 램지(Paul Ramsey)의 의무론적 생명의료 윤리와 거스타프슨(James Gustafson)의 하나님 중심의 생명의료윤리를 살펴볼 것이다. 생명윤리의 무게중심이 히포크라테스-기독교 전통으로 다시 향하여 갈 때 의료는 하나님 노릇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섬기게 될 것이다. The root of biomedical ethics can be traced back to the ancient Greek era. Since then, two major streams of perspectives in medical ethics have persisted to this day. One is teleological ethics in pursuit of virtues; the other is deontological ethics which seeks the sanctity of life above all else. The latter is well known as the Hippocratic oath. As the oath was handed down it was reenforced by Christianity, both in theory and practice. It became a dominant perspective in medical ethics until the early part of the 20th century which raised serious issues in the field of medical ethics. World War II, followed by rapid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ies, brought forth unexpected questions and serious debates. The most striking changes occurred in the area of molecular genetics boosted by entrepreneurial intervention. Under the situation, as non-religious medical ethicists sought to set principles universally applicable to any issue in biomedical ethics, 4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emerged: Respect for Autonomy, Nonmaleficence, Beneficence, and Justice. By adopting these as the universal principles in biomedical ethics, the tradition of Hippocratic-Christian oath was abandoned. This review critically evaluates the teleological principlism, and emphasizes that the Hippocratic-Christian tradition should be restored as the guiding principle over the issues in biomedical ethics. For this purpose, this review highlights the deontological biomedical ethics by Paul Ramsey based on the covenant God has given to humans, as well as God-centered biomedical ethics by James Gustafson. As the pendulum swings back toward the tradition of Hippocratic-Christian oath, the role of medicine can be restored - serving God, rather than playing God.

      • Confucian Virtue Ethics and its Contribution to Biomedical Ethics

        Choi, Suk Ewha Institute for Biomedical Law & Ethics 2010 BIOMEDICAL LAW & ETHICS Vol.4 No.2

        Recent reinterpretations of Confucian ethics as a virtue ethics have focused on demonstrating that Confucian ethics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a virtue ethics in Western ethical discussions. But these works have tended to neglect discussions of whether Confucian ethics can overcome some of the challenges that virtue ethics typically encounters. In the first part of my paper I will attempt to remedy that oversight. Some critics of Confucian ethics doubt its possible relevance to biomedical ethics, and one philosopher attempts to apply Confucian ethics to issues in contemporary biomedical ethics by interpreting Confucian ethics as a role-based ethics. But in my view, their interpretations of Confucian ethics overlook that Confucian ethics is built on and pursues recognition, cultivation, and realization of common human virtues. Furthermore their analyses of Confucian ethics do not successfully demonstrate that Confucian ethics can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contemporary bio-medical ethics. Hence in the second part of my paper I will attempt to implement Confucian virtue ethics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biomedical ethic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issues of personhood and patient-doctor/researcher relationship.

      • KCI등재

        국내 생명의료윤리 연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김준혁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49

        Background: Biomedical ethics research in South Korea began in 1998 and has continued to the present. However, no analysis has been conducted on its entire quantity and research tren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overall orientation of Korean biomedical ethics research. Methods: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on English keywords of 1,064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five major journals in the field of biomedical ethics in South Korea.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cluster analysis,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The method was applied again by dividing the entire research history into three periods (1998-2008, 2009-2015, and 2016-2021). Results: Biomedical ethics research in South Korea was mainly focused on the area of research ethics. Medical ethics education, autonomy, and privacy were also received attention. Virtue ethics was centers in the theoretical domain. On the other hand, public health ethics, religious bioethics, environmental ethics, neuroethics, and professional ethics had been received relatively low attention. Discussion: This paper suggested diversification at the theoretical domain in biomedical ethics research, academic efforts to support the exploration of less examined topics, and the use of Medical Subject Headings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research results. 배경: 한국 생명의료윤리 연구는 1998년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르고 있으며, 그 전체적인 양과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생명의료윤리 연구의 전체적인 지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부터 2021년 초까지 국내 생명의료윤리 분야 주요 5개 학술지에 투고된 논문 1,064개의 영문 키워드를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군집,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을 통해 분석하였고, 세 시기(1998~2008년, 2009~2015년, 2016~2021년)로 나누어 다시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결과: 한국 생명의료윤리 연구는 주로 연구 윤리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고, 의료윤리 교육, 자율성, 프라이버시 또한 주목을 받았다. 이론적 측면에선 덕윤리에 관심이 기울여졌다. 반면, 공중보건 윤리, 종교 생명윤리, 환경윤리, 신경윤리, 전문가 윤리 영역에선 상대적으로 연구가 덜 진행되었다. 토의 및 결론: 본 논문은 생명의료윤리 연구에서 이론적 차원의 다변화, 덜 다루어진 주제의 탐구 지원을 위한 학술적 노력, 연구 결과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의학주제표목의 활용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공법 : 연구윤리위반행위에 대한 법적 규율

        정규원 ( Kyu Won Jung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논총 Vol.27 No.4

        Research misconduct in biomedical research attracts significant concern in Korea. Biomedical research usually use human subjects or biological materials which are originated from human bodies. Also, the products of biomedical research are applied to human bodies for the purposes of preventing, diagnosing or treating diseases. Because of theses reasons, biomedical research should be examined not only its scientific feasibility but its ethical appropriateness. Some types of the research misconduct are regulated by legal means, such as <Bioethics and Safety Act> in Korea. Research misconduct can be done through all the process of the research. When a researcher submits research proposal, The proposal should be scrutinized carefully by third party such as institutional review board on the aspects of scientific and ethical standard. Also, the selection of subjects and obtaining biological materials should be done according to the ethical process. Respect of autonomy is the main principle that should be followed in this process and researcher should obtain informed consent of subject. The performance of research also done ethically. Some types of research misconduct can be composed of fraud, embezzlement, or dereliction of duty. However, it should be very cautiously examined before criminally punishing certain research misconduct. Fabrication, falsification, or plagiarism are main problems that can be done in the publication process of the research products. When we regulate biomedical research, legal framework should be considered as the last means. Ethical guideline which is made according to the consensus of all the interested parties is the first choice to regulate biomedical research. There can be a lot of ethical or legal frameworks which aim to regulate biomedical research. The regulatory framework which is chosen by the society is influenced by ethical standard of that society and the standard is continuously changing. I argue that ethical or legal regulatory frameworks should not be the ruling means to control the biomedical research. Rather, they should be the means to adapt the products of the biomedical research to society without conflicts.

      • KCI등재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와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과 인공지능기술에 대한 인식

        김진동(Kim JinD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의료 및 건강 분야는 어느 영역보다 윤리적 판단이 중요한 분야이고, 보건의료 종사자들은 생명윤리의식과 인공지능기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에 직면했다. 본연구에서는 2018년 5월부터 10월까지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와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인공지능기술 인식을 비교 분석하고,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보건 의료인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이 인공지능기술의 도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와 대학생은 현재 의료분야의 인공지능 적용 가능성, 인공지능이 미칠 긍정적 영향의 가능성, 인공지능에 대한 선제대응의 필요성을 모두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와 대학생의 생명윤리의 식과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간의 상관성에서는 다소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인공지능의 긍정적 영향, 단순 업무의 대체가 가장 높은 유의적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명윤리의식과 인공지능의 부정적 영향 문항에서 가장 높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보건의료분야의 종사자나 대학 생은 인공지능기술이 향후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판단하지만 생명윤리적 입장에서 바라보면, 인공지능기술의 도입에 많은 의문과 우려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과 함께 임상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인 갈등에 대응하여 올바른 윤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는 의사 결정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것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과 전담 기구 구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field of medical treatment and health is regarded as the most significant one when it comes to the ethical judgement. Therefore, healthcare workers are required to thoroughly contemplate awareness on biomedical ethics and the technology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2018 starting May to October,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ts influence on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by comparing and analyzing awareness on biomedical ethics among healthcare workers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care and identifying correlation between their biomedical ethics and aware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esult of this survey indicates that both groups highly perceive the applicable possi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the current medical field, the plausibly positive influ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e-corresponded necessity. On the other hand, the relatively different result is deduced in cor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n biomedical ethics and aware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mong healthcare workers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care. There 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in an area such as the affirmative influ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ts replacement of simple work and there 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in an area such as biomedical awareness and its negative influ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other words, healthcare workers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care approve the crucial influ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our future society but disapprove its introduction based on many doubts and concerns of biomedical ethics. As a result,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further study on ways to cultivate abilities to make right and moral decisions when facing ethical conflicts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healthcare workers and to develop systematic infrastructures of education and institutions exclusively for that

      • KCI등재

        생명의료윤리에서 철학이 필요한가?

        김준혁 한국생명윤리학회 2023 생명윤리 Vol.24 No.1

        Is philosophy necessary for biomedical ethics? Traditionally, ethics has been considered a field within philosophy, but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applied ethics, as a subset, also falls under the umbrella of philosophy. At least in terms of the current state of biomedical ethics, it's challenging to suggest that it should be practiced exclusively as a philosophical endeavor. One paper summarizes three reasons why philosophy remains important to bioethics. First, bioethics is still pervaded with philosophical concepts. Second, new developments in biomedical science demand philosophical consideration. Third, novel theories emerging from philosophy continually renew bioethics. While these arguments demonstrate the contributions philosophy can make to biomedical ethics, they do not prove its essentiality or secure its place within the field. In this context, philosophy is but one of many components that comprise bioethics. We propose that the task of philosophy should be to critique biomedical ethics, particularly its conceptions of biology and medicine. We illustrate this with an argument from philosophical posthumanism. This task is unique to philosophy and cannot be substituted by any other discipline, thereby establishing its indispensable role in bioethics and empowering it to address questions that we currently face. 오늘날 생명의료윤리에서 철학이 필요한가? 전통적으로 윤리학은 철학에 속하는 분야로 여겨져 왔으나, 응용윤리 분야 또한 철학에 속하는지는 점검이 필요하다. 적어도 생명의료윤리 분야의 현재 상황을 볼 때, 해당 분야는 반드시 철학으로만 수행되어야 한다고 보기 어렵다. 한 논문은 이런 상황에 있어 여전히 철학이 생명의료윤리에서 중요한 이유를 세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 생명의료윤리는 여전히 철학적 개념으로 편만하다. 둘째, 의과학의 새로운 발전은 철학적 고찰을 요구한다. 셋째, 철학에서 등장하는 새로운 이론들이 생명의료윤리를 쇄신한다. 본 논문은 이 세 가지 주장이 비록 여전히 생명의료윤리에 철학이 할 수 있는 기여를 보여준다 해도, 철학의 필수성 또는 자리의 확실성을 증명하지는 못한다고 주장한다. 이때, 철학은 생명의료윤리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하나가 될 뿐이다. 오히려, 철학은 생명의료윤리, 특히 그 생명과 의료 개념을 비판하는 작업이 되어야 한다고 이 논문은 주장하며, 그 예로서 철학적 포스트휴머니즘을 경유한 비판을 제시하였다. 이 과업은 다른 학문이 대체할 수 없는 철학 고유의 것으로서 생명의료윤리에서 철학의 위치를 불가결하게 만듦과 동시에 현재 우리가 겪고 있으면서도 아직 분야가 제대로 답하지 못하는 문제를 다룰 수 있는 힘을 부여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생명의료윤리에서 서사(narrative)의 역할과 의의

        황임경(Hwang Im-Kyung) 한국생명윤리학회 2011 생명윤리 Vol.12 No.1

        인간은 이야기를 하는 동물이다. 서사는 현실 또는 허구의 사건들과 상황들을 하나의 시간 연속을 통해 표현하는 것으로, 인간 삶의 근본 요소 중 하나이다. 서사는 삶을 살아가면서 인간이 겪게 되는 경험을 이해하고 재구성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삶의 의미를 찾도록 해준다. 최근 인문사회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서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학자들은 인간의 구체적인 삶의 모습을 드러내는 개별 서사를 중요하게 여긴다. 이런 학문적 영향 때문에 생명의료윤리 분야에서도 서사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은 생명의료윤리의 지배적인 담론인 원칙주의가 의료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건의 구체적인 맥락을 추상적으로 재단하여 판단을 내림으로써 환자들의 고통이나 의료현장의 실제적인 갈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서사 의료윤리의 이론적, 실천적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서사와 생명의료윤리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각이 있는데, 이것을 크게 ‘보완으로서의 서사’, ‘방법으로서의 서사’, ‘형식으로서의 서사’, ‘토대로서의 서사’, ‘대체로서의 서사’ 로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서사적 평형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서사 의료윤리가 생명의료윤리의 한 방법론으로 유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서사는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 행위자의 의도, 감정 등을 알려줌으로써 윤리 원칙과 규칙을 현실에 적용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원칙과 규칙들은 삶의 서사적 맥락에서만 생겨날 수 있고 의의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서사는 윤리 원칙의 토대가 된다. 그리고 좋은 서사를 통해 우리는 원칙뿐만 아니라 좋은 삶에 대한 태도, 품성 등을 기를 수도 있다. 결국 서사 의료윤리를 통해 우리는 더욱더 깊고 풍부한 생명의료윤리의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Narratives are discursive form which is to narrate the life events in time. Man is a storytelling animal. Human experience is understood, reconstructed and transmitted as a narrative form and we seek the meaning of life from the narrative. Recently, so-called ‘narrativist turn’ has occurred in the many fields of humanities and sociology. The scholars influenced by postmodernism are concerned about narrative, because it represents the concrete aspects of the human life. There has also been growing interest about narrative in medicine to make an approach to the suffering of patients. Narrative approaches to biomedical ethics have been also well known in the fields of biomedical ethics. It is grounded in the certain assumptions of principlism, which is the dominant paradigm in the fields of biomedical ethics, can not represent and solve the real problems in clinical practice. Narrative approaches to biomedical ethics can be categorized as supplement, method, form, foundation and substitution in view of function and relationship to the principlism. This paper explores a context of a rise of narrative with a reflection of the success and shortcomings of principlism in biomedical ethics. By careful scrutinization of its method, theoretical framework and potential application to practice, the authors argue that ‘narrative biomedical ethics’ can be useful as an alternative method of biomedical ethics and its education.

      • KCI등재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모색

        목광수(Mok Kwang-su),류재한(Ryu Jae-han) 한국생명윤리학회 2015 생명윤리 Vol.16 No.2

        최근 들어 생명의료윤리 영역에서 공통도덕과 관련된 논쟁이 활발하다. 대표적으로 탐 비첨(Tom Beauchamp)과 제임스 췰드리스(James Childress), 그리고 버나드 거트(Bernard Gert)는 자신들의 생명의료윤리학을 동일하게 공통도덕의 토대 위에서 구성하면서도, 공통도덕에 대한 정당화뿐만 아니라 내용에 있어서도 논쟁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논쟁 과정에서 양 진영의 차이가 무엇이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 등에 대한 논의가 없어 논쟁이 생산적인 단계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양 진영의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재구성을 통해,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논의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비첨과 췰드리스(이하 BC)와 거트 등과 같은 생명의료윤리학자들이 최근 들어 공통도덕 논의에 집중하고 있는 현상의 원인을 분석하여 그 필요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둘째, BC와 거트 논쟁분석을 통해 공통도덕 논의에서 이루어지는 논쟁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재구성되고 수정된 공통도덕 논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재구성되고 수정된 공통도덕 논의는 BC의 공통도덕에 대한 기본 입장과 틀을 유지하면서도 이론적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거트의 논의를 수용한 것이다. 이렇게 모색된 공통도덕 논의는 다원주의 사회에서 합당한 도덕적 불일치의 범위를 설정하여 생명의료윤리학의 이론적 체계화를 위한 토대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감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debate between Tom Beauchamp and James Childress (hereafter, BC) and Bernard Gert, demonstrates that the field of biomedical ethics has been paying more attention to common morality. This is because many believe common morality is an effective justification for a biomedical ethics theory within a pluralistic society. Despite common morality receiving much attention, a constructive process has not been undertaken for searching for such a theory. In this paper, we reconstruct a biomedical ethics theory of common morality in a pluralist society. We explicate BC and Gert"s theories of common morality, and use our critical response to reconstruct a theory of common morality that works within biomedical ethics. According to our analysis, if both theories are appropriately revised, BC"s theory of common morality is not only compatible with Gert"s, but also the two theories can be integrated to become a biomedical ethics theory of common morality. We suggest a revised theory of common morality based on BC"s theory and supported by Gert"s. This is because BC"s common morality is much more applicable within a pluralistic society and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biomedical ethics. We argue that a newly reconstructed theory of common morality should meet multiple justificatory method levels (i.e., empirical, conceptual, and normative justifications); that common morality’s scope should be restricted for universal justification and a firm foundation; and that this theory should be theoretically sophisticated. This reconstructed and revised theory of common morality will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ystemization of biomedical ethics in pluralistic society and set a boundary for reasonable pluralism, which permits reasonable moral disagreement in biomedical ethics.

      • KCI등재

        의철학 연구의 최근 경향

        권상옥(Sang-Ok Kwon) 한국의철학회 2008 의철학연구 Vol.6 No.-

        유럽 의철학은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으며, 후에 생겨난 생명의 료 윤리학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40년 정도의 짧은 역사를 지닌 미국의 의철학은 생명의료 윤리학과 같은 시대에 태어났지만, 별개의 학문으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수렴되어 가는 점이 유럽과 다르다. 학제간 분야인 생명의료 윤리학이 발전하는데 의철학 및 철학 지식은 많은 기여를 하였다. 의철학이나 철학 지식이 생명의료 윤리학 이론에 적극 도입된 대표적인 예로는 인간에 대한 존경이라는 칸트 이론과 법철학의 권리 이론, 자아 동일성 이론과 생물 철학, 언어 분석, 몸과 마음의 관계에 관련된 심리 철학, 인격 이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의철학은 의료 윤리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초기에는 ‘의사와 환자의 치유 관계’에서 의료의 본질을 파악하여, 이 위에 생명의료 윤리학을 정초하고자 하는 토대주의가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의료의 본질이나 의료윤리의 정당성을 의료 내적인 가치나 규범뿐만 아니라 의료 외적인 사회문화적 전통과 가치 위에 세워져야한다는 주장이 호응을 받고 있다. 의철학을 의학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라고 정의할 때, 최근 의철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분야는 생명의료 윤리학이며, 형이상학과 인식론이 뒤를 잇고 있다. European philosophy of medicine has come from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medicine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regarded the biomedical ethics as part of philosophy of medicine. But the philosophical interest of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has burgeoned over the last three decades. The philosophy of medicine and biomedical ethics were thought of as quite separate fields of study. Currently philosophy of medicine includes all sorts of philosophical reflection on medicine, and is dominated by biomedical ethics The philosophy of medicine has supported the critical examination of the concepts and argument underlying the field of biomedical ethics. The philosophy of medicine has helped biomedical ethics to solve the ethical dilemma, clarifying the value-context and to construct the grounding, analysing the goals of medical practice. The core issues of philosophy of medicine and other specialities in philosophy has penetrated into discussion of biomedical ethics. Both field has evolved from debates about ethical conduct(primarily conduct of physician) to a basic reformulation of what medicine is about. There is the gradual convergence of themes in philosophy of medicine with specific issues in biomedical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