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리적 직관주의에 관한 일고찰

        이대희 새한철학회 2022 哲學論叢 Vol.108 No.2

        Ethical intuitionism was an extremely contested moral epistemology during the second half of 20th century. For example, J.L. Mackie called intuitionism a ‘travesty of our moral thinking’ and John McDowell referred to it as a ‘bogus epistemology’. When trying to elucidate ethical intuitions, Prichard uses the formulation ‘an act of moral thinking’. He contrasts it with an act of providing an argument, which he explicitly calls a ‘process of non-moral thinking’. Instead, an ‘act of moral thinking’ is an ‘immediate or direct apprehension’ of an obligation, for example. The problem with these formulations is that they are not very illuminating, which might invite the suspicion that intuitionism is indeed a ‘bogus epistemology’. As is well known, throughout the 20th century, intuitionism has undergone much criticism. At a certain stage, intuitionism became so unpopular that many philosophers took every opportunity to declare that they were not intuitionists. Only recently has intuitionism experienced a reviv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ethical intuitionism. For this work, this study will first carry out an objective examination of the credibility of ‘intuition’ based on the intuition debates. And the validity of the traditional critique of ethical intuitionism will be examined. And finally, through an objective examination of the fundamental position of affectual intuitionism and the challenges of neuroethics and social psychology, it will prove the validity of affectual intuitionism, and furthemore, confirm the reliability of ethical intuitionism. 윤리적 직관주의는 20세기 후반의 기간 동안 격렬한 논쟁이 이루어진 도덕 인식론이다. 예를 들면, 매키는 직관주의를‘우리의 도덕적 사유의 희화화’라고 불렀고, 맥도웰은 그것을‘유령 인식론’이라고 불렀다. 윤리적 직관의 해명을 시도할 때, 프리차드는‘도덕적 사유작용’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그는 그것을‘도덕과 무관한 사유작용’인 논증 제시작용과 대비시킨다. 도덕적 사유작용은 예컨대 의무에 대한 즉각적 혹은 직접적 인식이다. 이러한 표현들이 가진 문제는 그 표현들이 매우 분명하지 않아서 직관주의가 실제로 유령 인식론이 아니냐는 의심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직관주의는 20세기 내내 수많은 비판을 겪어왔다. 그리고 특정한 기간 동안 직관주의는 평판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철학자들이 기회가 있을 적마다 자신은 직관주의자가 아니라고 공표하곤 하였다. 하지만 최근에 와서 직관주의는 부활을 체험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윤리적 직관주의의 신뢰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러한 작업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직관 논쟁을 통한‘직관’의 신뢰성 여부에 대한 객관적 검토를 시행할 것이다. 그리고 윤리적 직관주의에 대한 전통적인 비판의 타당성 여부를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윤리적 직관주의의 새로운 형태인 정서적 직관주의의 근본 입장 및 그에 대한 신경 윤리학과 사회 심리학의 도전에 대한 객관적 고찰을 통하여 정서적 직관주의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나아가서 윤리적 직관주의의 신뢰성을 확인할 것이다.

      • KCI등재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에 의한 공맹 예론의 해석

        채석용(Chae Seok Yo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9 인간연구 Vol.0 No.38

        하이트(J.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Social Intuitionist Model)에 의하면 인간의 도덕적 판단과정에서 전략적 추론은 직관보다 뒤늦게 작용한다. 우리는 먼저 직관적으로 도덕 판단을 내린 이후 전략적 추론작업을 수행한다. 서구 윤리학에 의하면 인간의 내면적 도덕성은 사회적 규범과 구분되는 것이다. 도덕은 보편적이지만 규범은 상대적이다. 도덕적 보편성은 합리적 이성에 의해 도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하이트의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에 의하면 이러한 구분은 착각이다. 인간의 도덕감과 사회적 규범은 서구 사회에서조차 결코 구분되는 것이 아니었다. 인간은 직관에 의해 도덕적 판단을 내리고 이러한 판단은 사회적 규범으로 확대된다. 공자와 맹자는 사회적 규범으로서의 예가 타인에 대한 배려와 존중의 마음을 의미하는 사양지심과 공경지심을 바탕으로 형성된다고 믿었다. 예에 관한 그들의 입장은 정서주의적이라 규정된다. 이들의 정서주의적 입장은 직관, 판단, 추론 사이의 연결망에서 추론을 늘 직관보다 뒤늦게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한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의 기본구도와 일치한다.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의 기본 구상에 따라 공맹의 정서주의적 예론은 재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구성에 따르면 사양지심과 공경지심을 통해 사회규범으로서의 예에 관한 구체적 판단이 수행된다. 그렇게 수행된 판단의 결과에 대해 시비지심이 작동하여 이론적 정당화를 시도한다. 이러한 합리적 과정은 타인의 사양지심과 공경지심을 우러나오도록 작용함으로써 사회적 규범으로서의 예가 확산된다. 그러나 사회적 규범으로서의 예를 확산시키는 좀 더 근본적인 방법은 직관에 의해 도출된 판단이 시비지심의 도움을 받지 않은 채 곧바로 타인의 사양지심에 작용하는 것이다.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과 공맹 예론 사이엔 중대한 차이점이 있다.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은 직관에서 판단, 판단에서 추론에 이르는 과정의 정당성을 평가하지 않는다. 직관과 추론 모두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에서는 관찰 대상일 뿐 평가대상이 아니다. 반면 공맹 예론은 직관으로서의 존중심을 도덕의 근원으로 긍정한다. 또한, 맹자는 공자와 달리 추론능력으로서의 시비지심까지 긍정한다. According to J. Haidt’s Social Intuitionist Model, strategic reasoning comes after intuition in the human moral judgment-making process. Human beings intuitively make moral judgments first and then perform strategic reasoning. According to Western ethics, human internal morality is distinguished from social norms; morality is universal, but social norms are relative. In addition, moral universality should be derived through rational reasoning. However, according to Haidt’s Social Intuitionist Model, this distinction is illusory: human moral sense and social norms were never distinguished, even in Western societies. According to Haidt, human beings make moral judgments through intuition and then these judgments are extended to form social norms. Confucius and Mencius believed that propriety - as a social system of norms - is formed on the basis of consideration and respect for others. Their theory of propriety is defined as emotional. This emotional theory is consistent with the basic framework of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which perceives that, in the network between intuition, judgment, and reasoning, reasoning always acts behind intuition. Their emotional theory of propriety can b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basic concept of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According to this reconstruction, one’s sense of modesty and deference makes concrete judgments about propriety as a system of social norms. As a result of this judgment, the theoretical justification is achieved through the operation of one’s sense of approval and disapproval of right and wrong. This rational process serves to promote one’s sense of modesty and deference toward others, thereby spreading propriety as a social system of norms. However, a more fundamental means of spreading propriety as a social system of norms is that the intuition-derived judgment is directly related to one’s sense of modesty and deference toward others without help from one’s sense of approval or disapproval toward right and wrong.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and Confucius and Mencius’s theory of propriety.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does not assess the justification of the process from intuition to judgment and from judgment to reasoning. According to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intuition and reasoning are both observable and distinct from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 theory of propriety affirms one’s sense of modesty and deference as a source of morality. Furthermore, unlike Confucius, Mencius affirms belief in one’s sense of approval and disapproval of right and wrong as a reasoning ability.

      • KCI등재

        기업가의 통찰력이 중소기업 지속가능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원주(Wonju Kim),양동우(Dongwoo Yang) 대한경영학회 2021 大韓經營學會誌 Vol.34 No.10

        경영예측과 판단이 어려워지고 있는 환경변화 속에서 기업이 생존률을 높이고, 기업발전의 지속 성장을 위해서는 기업가의 통찰력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기업가의 통찰력은 경험, 직관 등 여러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거쳐 기업경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기업을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성장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통찰력은 기업가 혼자의 노력을 통해서도 가능하지만 구성원과의 사회적 상호관계내지 연대를 통해 성장하고 구체화되는 과정을 거친다. 통찰력이 폐쇄적 환경보다 개방적 환경에서 더 적합한 생태토양을 기반으로 하여 성장함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통찰력 구현을 위한 주위 환경 요소들 가운데 기업 내 집단 간 태도인 사회지배지향성에 관한 내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사회지배 지향성은 사회 내 특정 집단이 다른 집단에 대해 지배력을 행사하거나 불평등을 지지하는 성향으로 사회지배성향이 높은 기업가는 그렇지 않은 기업가보다 온전한 통찰력 형성 내지 구현이 어려울 것이다. 아울러 종속변수로써 경제적 책임, 사회적 책임, 환경적 책임을 그 구성요소로 하는 지속가능경영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찰력, 사회지배지향성, 지속가능경영의 이론적 고찰을 하고, 이들 상호간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실증 분석하였다. 첫째, 통찰력과 사회지배지향성의 관계분석 결과, 통찰력의 전략적 관심, 멘탈 시뮬레이션은 사회지배지향성의 사회적 위계성에 유의하였으나, 통찰력의 참여적 의사결정은 사회적 위계성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찰력의 전략적 관심, 참여적 의사결정이 사회지배지향성의 사회적 반평등성에 유의하지 않은 반면, 통찰력의 멘탈시뮬레이션은 사회지배지향성의 사회적 반평등성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찰력과 지속가능경영의 관계분석 결과, 통찰력의 참여적 의사결정이 지속가능경영에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전략적 관심과 멘탈시뮬레이션은 지속가능경영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지배지향성과 지속가능경영의 관계분석 결과, 사회적 위계성과 사회적 반평등성은 지속가능경영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nsight of entrepreneurs in order for companies to increase their survival rate and to achieve sustainable growth in corporate development amid changes in the environment in which business prediction and judgment are difficult. Entrepreneur’s insight plays an important role in growing a company into a ‘sustainable company’ by influencing corporate management decision-making through the interac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experience and intuition. Insight is possible through the entrepreneur’s own efforts, but it goes through the process of growing and materializing through social interaction or solidarity with members. It means that insight grows on the basis of ecological soils that are more suitable in an open environment than in a closed environment.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ocial domination orientation, which is an attitude between groups within a company, among environmental factors for the realization of insight. Social domination orientation is a tendency in which certain groups in society exercise dominance over other groups or support inequality. In addition, as a dependent variable, sustainability management with economic responsibility, social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s its components was presented. In this study,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insight, social domination orienta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were condu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empirically analy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sight and social domination orientation, strategic interest of insight and mental simulation showed that the social hierarchy of social domination orientation was significant, but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of insight did not have significant significance on social hierarchy. In addition, the strategic interest of insight and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did not show significance in the social anti-equality of the social domination orientation, whereas the mental simulation of the insight was significant in the social anti-equality of the social domination orient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sight 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of insight was significant in sustainability management, but strategic interest and mental simulation were not significant in sustainability manageme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omination orienta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social hierarchy and social anti-equal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sustainable management.

      • KCI등재

        수학문제해결 측면에서의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에 관한 고찰

        최경아,강문봉 대한수학교육학회 2016 수학교육학연구 Vol.26 No.3

        Intuition i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has been stressed the importance with the logic because intuition is the cognition that give significant clue or idea to problem solving. Fischbein classified intuition by the origin; primary intuition and secondary intuition And he said the role of the personal experience and school education. Through these precedent research, we can understand the social influence. This study attempt to investigate social intuition model of Haidt, moral psychologist that has surfaced social property of intuition in term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The major suggestions in problem solving and the education of intuition are followed. First, I can find the social property of intuition i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econd, It is possible to make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odel by transforming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Third, the role of teacher is important to give the meaningful experience for intuition to their students. Fourth, for reducing the errors caused by the coerciveness and globality of intuition, we need the education of checking their own intuition. In other words, we need intuition education emphasized on metacognition. 수학문제해결에서 직관은 문제해결의 실마리,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중요한 인지로 논리와 함께 그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왔다. Fischbein은 직관을 기원에 따라 일차적 직관과 이차적 직관으로 분류하고, 직관에 있어서 개인의 경험과 학교 교육의 역할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에서 직관이 사회적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직관의 사회적 성격을 표면적으로 드러낸 도덕 심리학자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을 수학문제해결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수학문제해결과 직관 교육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수학문제해결에서도 직관의 사회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을 변형하여 직관이 작용하는 수학문제해결과정을 모델화할 수 있었다. 셋째, 수학문제해결에서 직관이 중요하고, 직관에 관한 의미 있는 경험이 교육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직관의 강건함과 전체성 등으로 인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 직관을 확인하는 교육, 즉 메타인지를 강조한 직관 교육이 요구된다.

      • KCI등재

        도덕적 민감성에 관한 흄과 현대 흄주의 비교연구

        양선이(Yang, Sunny)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8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0

        이 논문의 목표는 도덕적 민감성에 관한 흄과 하이트의 입장을 비교해 봄으로써 하이트의 사회적 직관주의의 문제점을 보이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하이트는 도덕판단에 있어 직관이 우선하며 추론은 상대적으로 무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직관과 감정이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주장한다. 하이트에 따르면 이와 같은 직관은 진화의 산물인 ‘준비(preparedness)’를 바탕으로 하여 ‘도덕모듈’로 발현된다. 즉 우리의 도덕적 직관과 동기는 진화에 의해 인간의 마음이 발달해 오면서 준비한 몇몇 직관에서 유래했으며, 도덕판단은 신속하고도 자동적인 직관의 산물로, 이를 바탕으로 상대적으로 느린, 의식적인 도덕적 추론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하이트의 사회적 직관주의는 도덕적 직관과 정서와의 긴밀한 관계를 설명하는 데 있어 난점이 있다. 하이트는 이에 대해 도덕적 직관은 타고난 도덕적 모듈과 사회적 구성으로서의 덕의 상호의존 관계 속에서 발달한다고 말하지만, 덕과 선천적인 도덕모듈의 관계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나아가 하이트는 직관들이 결함이 있거나 틀릴 수도 있는데, 이 때 특정 직관들의 선함이나 나쁨을 어떻게 판단하는지에 대한 답을 제시하지 못한다. 이 논문에서 나는 이에 대한 답을 흄의 공감이론에서 찾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Jonathan Haidt’s social intuitionism by comparing Hume’s moral sentiment with Haidt’s moral intuition. Haidt argues that intuition prevails in moral judgment, that reasoning is relatively incompetent, and that intuition and emotion are closely related. According to Haidt, this intuition is expressed as a ‘moral module’ based on ‘preparedness’, the product of evolution. In other words, our moral intuition and motive came from some intuition prepared by the development of human mind by evolution, and moral judgment is the product of quick and automatic intuition, and based on this, it is relatively slow, conscious moral reasoning. The first difficulty of Haidt’s social intuitionism is the problem of explain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moral intuition and emotion. Haidt argues that moral intuition develops in an interdependent relation of virtue as a congenital moral module and social composition,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e and innate moral modules is still unclear. The second problem of Haidt’s social intuitionism is that intuition can be defective or wrong, but it does not provide an answer for how to judge the goodness or the badness of certain intuitions. In this paper, I find the answer in Hume’s sympathy theory.

      • KCI등재

        하이트(J. Haidt)의 『사회적 직관』개념의 도덕심리학과 도덕 교육적 적용의 적절성에 대한 연구

        이정렬 ( Lee¸ Jeong Ryeol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0 倫理硏究 Vol.131 No.1

        하이트(J. Haidt)는 도덕심리학에서 합리주의 모델을 비판하면서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사회적 직관의 개념은 도덕적 정서와 사회 문화적 맥락성과 환경을 강조함으로써 인간의 도덕 판단과 행동에 대한 적절한 설명력을 제공한다.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은 인간은 선천적으로 도덕적 본성을 타고 난다는 도덕성 기반 이론과 관련되어 있다. 도덕성 기반 이론에 의하면 인간은 타고난 도덕적 본성을 바탕으로 사회 문화 속에서 학습을 통해 도덕성을 형성한다. 문화 심리학에서 제시되는 사회적 구성주의는 인간의 도덕적 마음의 초안과 사회 문화가 상호작용하면서 구성된다는 공동구성주의로 설명될 수 있다. 한편 도덕성 기반은 그 자체로 도덕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모듈성이 아니라는 점에서 하이트는 도덕성 형성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요소들을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직관’ 개념은 도덕 판단과 도덕적 행동에서 이성과 도덕적 반성의 역할을 간과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사회적 직관의 개념은 도덕적 판단을 기술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당위적 규범으로서의 도덕성을 제시하지 못한다. 하이트의 ‘사회적 직관’의 개념은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적 실행에서 도덕성의 범위가 보다 더 확대되어야 하며 도덕성에서 사회 문화적 측면과 이성과 정서라는 인간의 두 가지 도덕적 특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과제를 제시한다. J. Haidt criticized the rationalism model in moral psychology and suggested the Social Intuitional Model. The concept of social intuition provides adequate explanatory model regarding human moral judgment and action by emphasizing moral emotion and socio-cultural contexts and environments. The social intuitional model is related to MFT(Moral Foundation Theory) that humans are inherently born with a moral nature. According to a MFT, humans form morality through learning within social cultures based on their innate moral nature. The social constructivism presented in cultural psychology can be explained by co-constructivism that is composed as the first draft of moral minds of humans interact with social culture. On one hand, Moral Foundations do not have complete modularity that can morally appear on their own and J. Haidt can be criticized for overlooking the various elements demanded in the formation of morality. Also, the concept of ‘social intuition’ has limitations to overlook the role of reason and moral reflection in moral judgment and moral action. And there is a limit that concept of ‘social intuition’ cannot explain morality as a normative norm by descriptively presenting morality. Haidt's concept of ‘social intuition’ gives us a task that the domain of morality should expand in moral psychology and moral educational practice should take into account both human nature, reason and emotion.

      • KCI등재

        도덕적 직관과 도덕 교육

        이정렬(Lee, Jeong Ryeol)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6

        인지 심리학의 이중처리모형에 의하면 인간은 주로 무의식적이고 빠르고 자동적인 직관에 의거하여 판단하고 행동한다. 인간이 일상에서 도덕적 직관을 자동적이고 무의식적으로 자주 사용할 수밖에 없다면 도덕교육에서는 도덕적 직관을 도덕적으로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도덕적 직관은 도덕적 판단과 행동을 위한 매우 유용한 사고 시스템이자 행동 능력으로서 도덕적 기능들과 관련되어 있다. 하지만 도덕적 직관에 의거한 판단과 행동은 도덕적 상대주의의 가능성과 오류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자연적 성향으로서 직관의 유용성을 인정하면서도 직관의 한계를 인식시키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도덕적 직관을 위한 교육’과 ‘도덕적 직관에 대한 교육’을 제시하였다. ‘도덕적 직관을 위한 교육’은 직관의 자연적 특성을 보다 유용하게 발달시키기 위한 접근들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도덕적 직관에 대한 교육’은 도덕적 직관에서 나타나는 한계와 오류를 보완하고 성찰하고 반성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과정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dual process model of cognitive psychology, humans tend to judge and act upon unconscious, fast and automatic intuition. If humans had to frequently use moral intuition automatically and unconsciously, in moral education, moral intuition is needed to be educated so that it can be more usefully utilized. Moral intuition is a very useful system of thinking for moral judgment and behavior and is related to moral functions as a behavioral ability. But, it is needed to recognize the fact that judgment and behavior based on moral intuition have possibilities of moral relativism and errors. This study proposes “education for moral intuition” and “education on moral intuition” with the view that the usefulness of intuition is recognized as man’s natural inclination and that education can help recognize limits of intuition. “Education for moral intuition” consists of approaches to develop natural characteristics of intuition more usefully. On the other hand, “education on moral intuition” includes processes that complement and examine limits and errors found in moral intuition and nurture self-reflective abilities concerning moral intuition.

      • KCI등재

        사회적 직관주의 이론의 비판적 해석 및 통합적 윤리교육 모델에의 적용 가능성 연구

        양해성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2

        As the importance of the intuitive and implicit information processing is increasingly emphasized,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of J. Haidt and the Dual Process Model of J. Greene has received att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both theories premise that it is valid to borrow the concept ‘Intuition’ and ‘Reasoning’ from cognitive psychology to clarify the phenomenon of moral judgment. However, with regard to clarify the phenomenon of moral judgment, no examination has been made as to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use cognitive psychological concept categories. But there is a risk of interpretive contradiction when clarifying the phenomenon of moral judgment by borrowing cognitive psychological concept categories. In Greene’s study(Greene, 2001), the answer for Non-Moral Dilemma could be interpreted as reasoning and intuition both, even though it was classified as reasoning. Through a series of analysis work, I draw a conclusion that it is better to clarify the phenomenons by using the concept ‘Disapproval Intuition’ and ‘Purpose Oriented Cognition’. 개인의 인지에 있어 자동적인 정보 처리 과정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됨에 따라, 직관적 도덕 판단의 기제를 규명한 하이트(J.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Social Intuitionist Model)과 그린(J. Greene)의 이중과정 모델(Dual Process Model)이 관심을 받게 되었다. 두 이론은 도덕적 판단이라는 동일한 현상을 대상으로 직관과 추론의 역할 및 관계에 관한 상이한 주장을 펼치는 이론으로 이해되었으며, 그린의 이론이 보다 다양한 경우의 수를 포괄하는 타당한 이론으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두 이론이 주장의 근거로 제시하는 문항을 비교할 때, 두 이론은 도덕적 판단이라는 동일한 범주의 현상에 대해 상충하는 규명을 제시한 관계가 아닌, 도덕적 판단이라는 현상을 구성하는 상이한 하위 범주의 현상을 각각 규명한 관계로 보아야 한다. 또한 직관과 추론이라는 개념 범주를 활용하여 두 이론이 연구 대상으로 삼은 현상을 해석하는 경우, 이론에 모순된 해석의 위험성이 내재하기에, 두 이론이 규명한 현상을 보다 타당하게 해석하기 위한 보완적 개념 범주의 마련이 필요하며, 이러한 보완적 개념 범주로서 ‘불승인 직관’과 ‘목적 지향적 인지’의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판적 해석 작업에 기반하여, 두 이론이 규명한 도덕적 판단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판단에 기능하는 인지의 관계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에 기반하여 직관적 도덕 판단의 기제를 도덕 교육에 반영하고자 시도된 나바이즈(D. Narvaez)의 통합적 윤리교육 모델(Integrative Ethical Education)의 개선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후보

        梁漱溟 文化哲學의 理論體系에 관한 연구

        최홍식 동양철학연구회 2003 東洋哲學硏究 Vol.33 No.-

        본 논문의 목적은 양수명 문화철학의 전반적인 이론체계에 대해서 규명하는 데 있다. 첫째, 양수명은 존재론적 본질인 의욕(意慾)이 현상적으로 드러난 것이 문화라고 본다. 양수명이 말하는 의욕은 끊임없이 지속(相續)하는 우주의 본질, 동력, 근원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문화를 논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문화 속에 내재하는 문화정신 즉 인간의 내재적 생명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양수명은 가장 이상적인 문화는 바로 인간의 내재적 생명을 왕성하게 드러내는 문화이며, 가장 나쁜 문화는 인간의 생명활동을 가로막는 문화라고 주장한다. 둘째, 양수명은 인식론적 측면에서 중국문화는 直觀的 사유를 바탕으로 전개된 도덕문화이며, 서양문화는 이지적 사유를 특징으로 하는 물질문화라고 보았다. 양수명은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동서문화는 결코 조화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인류문화는 인생태도의 전환에 따라 그 방향만을 바꿀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것이 바로 인류문화 삼단계 방향설(三大路向說)이다. 셋째, 양수명의 문화철학의 마지막 귀착지는 바로 유교적 사회주의였다. 그는 사적소유를 토대로 하는 자본주의는 인간의 생명활동을 가로막는 사회라고 보았다. 그러므로 인류가 도달해야 할 이상적인 사회는 유교적 인생태도에 바탕을 둔 사회주의 문화를 건설하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일생동안 이러한 문화를 건설하기 위해서 鄕村建設運動에 종사했다. 양수명의 문화철학은 문화의 시대성과 문화발전의 일반성을 부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지만, 그가 평생동안 견지했던 이상적 인류문화에 대한 문제의식은 문화전쟁의 시대를 살고 있는 오늘날에도 상당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The Chinese modern times can be described as ages of culture philosophy. The Chinese intellectuals of the modern times construed the Western culture shock, which came with invasion of imperialism, and the political and economic crisis as the crisis of culture. They tried to find the solution for the crisis through cultural reform. Therefore, culture is the core of a matter in modern times of China. Liang shu Ming took the lead of modern Neo-Confucianism of culture philosophy. He ushered debate on Eastern and Western Culture which began around May Fourth Movement and the desire for the cultural reform into the territory of philosophy. The initiator is 『Eastern and Western Culture』, a guide of culture, in which he analyzed Eastern and Western culture in terms of philosophy and the future of human culture through his phdosophical cogitation. The objective of the thesis is to look closely into the whole theoretical system of the culture philosophy of Liang shu - Ming. The followings are the concrete contents. First, he sees culture is that ontological essential, will, reveals itself phenomenally. And the will he means is the unending essence of the universe, dynamic force, and source. Therefore, in discussion on culture, he argues that cultural spirit inherent in culture, namely, intrinsic life of human beings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is point of view, he states the ideal culture makes intrinsic life of human beings express vigorously; the most detrimental culture is that the one which interrupts human life activity. Second, he says that in terms of epistemology the Chinese culture is a moral culture basically developed from intuitional thought but Western culture is a material culture based on intellectual thinking. And further he makes a conclusion that Eastern and Western culture can not get along with each other and insisted that mankind culture only change its direction when attitude to one's life converts. This is his theory of Three-Direction of Culture. Third, his final conclusion of culture philosophy is Confucianism socialism. He thinks that capitalism of private possession is a society that put obstacle to life activity of human beings. So he concludes the ideal society is to build a socialistic culture based on Confucian Me and he is engaged in Rural Reconstruction Movement and spends all his life in order to achieve such culture. His culture philosophy has a limit in that it denies the characteristic of times of culture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culture development but his point of view in the ideal human culture maintained all his life gives valuable questions to the today's life of culture warfare.

      • KCI등재

        사회적 직관주의의 한계와 신체화된 인지의 가능성

        김은미 ( Eun-mi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41

        사회적 직관주의는 도덕 판단의 과정이 감정과 직관에 크게 의존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 은 추론을 통한 판단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도덕심리학적 흐름과 상반된다. 이러한 새로운 이론적 접근을 통해 도덕심리학 및 도덕교육은 감정과 직관의 중요성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사회 문화적으로 형성되는 감정과 직관은 서로 다른 공동체 사이에서 상이한 도덕 판단이 빈번하게 생 기는 이유를 타당하게 설명한다. 도덕교육에 있어서, 사회적 직관주의 모형은 도덕적 경험의 중요 성을 일깨운다. 바람직한 추론의 과정을 연습하는 것보다 직관을 통한 자동적 인지과정을 반복적으로 접하는 것이 도덕교육에서 더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사회적 직관주의는 직관의 기제를 정확 하게 설명하지 못한다는 약점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또한 사회적 직관주의는 인지와 도덕적 판단 이 전적으로 뇌에서 처리되는 과정이라고 보기 때문에 신체가 감정과 직관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지 못한다. 사회적 직관주의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신체화된 인지 이론에 주목한다. 신체화된 인지 이론은 신체와 인지의 긴밀한 상호 연관성을 주장한다. 또한 이 이론은 행위를 통하여 의미가 구성된다는 행위화적 접근법을 취한다. 신체화된 인지 이론은 인지 과정에 대한 전제를 신체 및 신체의 운동감각적 능력으로 확장함을 통하여, 경험을 통한 습관 형성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A social intuitionist model asserts moral judgment depends upon intuitions which arise from emotions. This assertion oppose to moral psychologists who argue that reasoning is the best way to judgment. So new approach to moral judgment arouses the importance of emotion and intuition in moral education. Also, emotion and intuition which are formed by sociocultural environment are explain adequately different moral judgment in different social community. In moral education, social intuitionist model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oral experience. But social intuitionist model has a weakness that is unable to account how to intuition make possible. And social intuitionist model assumes that cognition come into brain exclusively, so that it has a disadvantage to explain how body effects on emotion and intuition by mutual. To explain this problem, we have to take a note to embodied cognition. Embodied cognition asserts that body and cognition have a connected correlation. And this theory take enactive approach which action make it possible to constitute meanings. Embodied cognition expands the assumption from brain to body and body``s sensorimotor(Kinasthese). So, this implies that habituation is important in mo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