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Recent Movement and the Policy on the Internet of Things of Japan

        Jung-Hyun Song(송정현)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9 전자무역연구 Vol.17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정책을 분석하는 것이다. 논의의 쟁점은 ICT산업이 센서 네트워크(RFID/USN)에서 1대1 통신의 사물지능통신(Machine to Machine, 이하 M2M), N대N 통신의 사물인터넷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일본의 정책동행과 과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논문구성/논리: 일본에서 사물인터넷은 2005년경부터 ICT업계 내에서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사물인터넷 용어는 무선센서 네트워크 및 관련기술 또는 디바이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이르기 까지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가 살펴보고자 하는 바를 질문 형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물인터넷의 출현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출현까지의 변화를 검토한다. 둘째, 사물인터넷 활용방안에 대한 정부정책은 무엇인가?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총무성, IT본부, 경제산업성의 사물인터넷 관련정책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결과: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시장 확대를 위한 일본정부의 정책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전개하였다.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물 인터넷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3조 400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 된다. 또한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13%의 성장률이 예상되고 있다. 둘째, 사물 인터넷 산업을 활용한 경제성장 전략이다. 일본은 사물인터넷 산업이 확대되면서 경제 성장 전략의 중심산업으로 설정하여 파급효과에 의한 산업구조 개혁과 전자정부을 도입하여 정부 효율성을 유인하려 하고 있다. 셋째, 사물인터넷 산업을 둘러싼 정부부처 간의 정책경쟁이다. 정부부처는 고유의 정책영역이 있다. 정책영역이 겹치는 부분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정부부처는 정책영역이 겹치는 것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한다. 각 부처는 겹치는 영역을 강조하여 자신들의 영역을 확고히 하려는 경향이 있다. 독창성/가치: 기존 사물인터넷 시장동향과 발전방향을 중심으로 전개하고 있는 선행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물인터넷 산업에 대한 정부의 발전방향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활용이 확대되면서 정부차원의 기술개발장려와 정책적 대응이 커지고 있다. 사물인터넷을 통한 생활의 질적 향상과 지속적 경제성장 및 국가경쟁력 제고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적에서 일본정부는 정책주진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 ‘internet of things’ of Japan. The focus of discussion is that analyze the recent movement of policy and the task of Japan to expand the market share as ICT industry is transformed from Sensor Network (RFID/USN) to Machine to Machine of one-to-one communication and Internet of thins of N to N communication. Composition/Logic: Internet of things of Japan has introduced since 2005. The terms of Internet of things are widely used from wireless sensor network and relative technique to various application which are based information of device. This study focus on these questions; First, what the appearance of internet of things does mean? This study reviews appearance of internet of things. Second, what s the government policy to utilize internet of things? This study review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IT headquarter, the policy of internet of thins of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Finding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policy of the internet of thins in Japan. These are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through analyzing. First, the industry of internet of things grows rapidly. World market size of internet of things on 2013 is about $1.3 trillion and is expected to expand to $3.04 trillion on 2020. Average annual growth rate is expected around 13% from 2013 to 2020. Second, there is economic growth strategies through utilizing internet of things. Japan intends to entice governmental effectiveness through adopting e-Government and industrial structure revolution as setting up internet of thing as economic growth strategy policy. Third, there is policy competition over internet of things industry among government ministry. Government ministry has its own policy sector which often overlap each other. Government ministry tends to fix its own policy sector emphasizing overlapping part. Originality/Valu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eeks for government s development strategy as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existing market trend of internet of things. As utilizing internet of things is expanded,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government level and political countermeasures get bigger. Life qualitative improvement by internet of things, continuous economic growth and enhancing national productivity are expected. Japan government take up a positive attitude on policy enforcement.

      • KCI등재

        공공부문 사물인터넷의 지각된 사회적 유용성 및 지속사용의도 향상을 위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윤승정,김민용 대한경영정보학회 2017 경영과 정보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최근 지속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사물인터넷 중 공공 부문에 대한 핵심적인 기술수용요인을 찾고자 한다. 기존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은 디지털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해 인간의 개입이 거의 관여하지 않는 반면 사람에게 전달하는 많은 산출물(정보)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해 온 디지털 시스템과 매우 다르다고 정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디지털 시스템은 사람이 주체이지만, 사물인터넷은 디지털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하여 인간이 객체가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사물과 사물간의 네트워크만을 가지고도 디지털 시스템을 작동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결국 이러한 장점들이 그 기능을 발휘하여 공공부문에서 사물인터넷을 통하여 사회적 비용을 상당히 줄이는 성과도 최근 보고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사물인터넷의 강점에도 불구하고 사물인터넷에 대한 사용자의 기술수용요인을 구체적으로 밝힌 연구는 거의 없다. 이는 사물인터넷의 개발 시에 목적성에만 부합하면 된다는 개념을 말하고 있다. 만약 이러한 목적 부합적인 개발에만 집중하게 되면, 사용자가 어떤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지 구체적인 이유에 대하여 간과하게 되어 향후 사용자들은 지속적 사용을 거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86년부터 2003년까지 기술수용모델에 대한 도입, 확인, 확장, 정교화의 4단계 과정을 거친 검증모형을 활용하여 공공부문에 사물인터넷 개발 시에 반드시 반영해야 할 요인들을 사용자들로부터 찾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공공사물인터넷의 결과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유일하게 지각된 사회적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사용자에게 사용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확보한 경우 지속사용의도를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공공사물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될 때는 결과에 대하여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사람과 사물이 그리고 사람 간에 그 결과에 대하여 상호소통이 가능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현재 제공 되고 있는 공공 사물인터넷에 결과에 대한 이해를 위해 사용자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한다. This study is to find the key factors of the Internet of Things for development in public sector. In previous studies, it is said that Internet of Things can work digital system without human operation and gives a lot of outputs(information) users. Generally, people are a subject of operating digital system in traditional way, while people are an object on the internet of thing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work digital system with only networking from things to things. After all, it is reported that these advantages of the Internet of Things make possible to reduce social costs significantly in public sector. However, despite the strengths of the Internet of Things, there is a specific user acceptance of the technology factor for the Internet of Things rarely. It means that developing of the Internet of Things only focuses on the final purpose. If the focus on development meet this purpose, the user is ignored for the specific reason that using a technique. As a result of this, many users gradually decrease the continuous using of the Internet of Things. Thus, in this study, we need to find what critical factors should reflect to the Internet of Things in public sector. To find this result, there is no choice to us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Many researchers have proved that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s valid through the four process in model introduction, confirmation, expansion and refinement from 1986 to 2003.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sult explanatory power of Internet of Things in public sect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only perceived social usefulness and ease of use. Finally,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has a positive attitude toward use,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continuous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When the public Internet of Things service is provided, it means that the user can easily understand the result, and when the person and the object communicate the result to each other, they should be 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is means that a lot of user effort is needed to understand the outcome of the public Internet of Things being provided.

      • KCI등재

        일본의 사물인터넷 정책과 향후 전망

        송정현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9 전자무역연구 Vol.1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 ‘internet of things’ of Japan. The focus of discussion is that analyze the recent movement of policy and the task of Japan to expand the market share as ICT industry is transformed from Sensor Network (RFID/USN) to Machine to Machine of one-to-one communication and Internet of thins of N to N communication. Composition/Logic: Internet of things of Japan has introduced since 2005. The terms of Internet of things are widely used from wireless sensor network and relative technique to various application which are based information of device. This study focus on these questions; First, what the appearance of internet of things does mean? This study reviews appearance of internet of things. Second, what's the government policy to utilize internet of things? This study review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IT headquarter, the policy of internet of thins of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Finding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policy of the internet of thins in Japan. These are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through analyzing. First, the industry of internet of things grows rapidly. World market size of internet of things on 2013 is about $1.3 trillion and is expected to expand to $3.04 trillion on 2020. Average annual growth rate is expected around 13% from 2013 to 2020. Second, there is economic growth strategies through utilizing internet of things. Japan intends to entice governmental effectiveness through adopting e-Government and industrial structure revolution as setting up internet of thing as economic growth strategy policy. Third, there is policy competition over internet of things industry among government ministry. Government ministry has its own policy sector which often overlap each other. Government ministry tends to fix its own policy sector emphasizing overlapping part. Originality/Valu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eeks for government's development strategy as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existing market trend of internet of things. As utilizing internet of things is expanded,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government level and political countermeasures get bigger. Life qualitative improvement by internet of things, continuous economic growth and enhancing national productivity are expected. Japan government take up a positive attitude on policy enforcement.

      • Innovation and Development Strategy of Logistics Ser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RFID Automatic Technology

        Jiafei Geng,Zhanglei He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Future Generation Communi Vol.9 No.12

        Internet of things is a major change i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combines the virtual information with the physical world, so that economic activity and social activities are more intelligent, convenient and efficient. In this paper, the author research on the innovation and development strategy of logistics service under the internet of things. The essence of modern logistics is to take the information technology as the core competitiveness, pay attention to the integration of resources and the whole process of logistics optimization, it is the ablest to play the advantages of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applications. The application of communication and network technology in real-time transfer of information, it can realize the logistics operation agility and integration.

      • KCI등재

        사물 인터넷 디자인 시대에 따른 한국의 수준과 방향 연구

        홍경민 ( Hong Kyung Mi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사물인터넷은 최근 가장 뜨겁게 정보통신업계를 흔들고 있는 트랜드이다. 수많은 사람이 사물인터넷을 말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질적인 전략과 국/내외 디자인 사례들을 통하여 사물인터넷이 우리의 문화생활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산업과 사회를 새롭게 변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기술적인 측면의 사물인터넷 예시들을 분석하여 한국의 수준과 방향성을 개인과 기업이 대비할 수 있도록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범위와 방법으로는 사물인터넷에 관한 이론적인 고찰을 시작으로 영역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스마트 제조사들의 사물인터넷 영역 및 방향성에 관하여 분석하고 연구한다. 이에 따른 한국의 준비 수준과 방향성에관하여 분석하고 연구한다. 블루오션을 창출하는 기업들의 활동을 조사하여 사물인터넷에 관하여 앞으로 준비해야 하는 것을 연구하는 것이다. 사물인터넷은 어떠한 의미를 담고 있으며, 기업들이 사물인터넷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연구한다. 그중에서 특히 다양한 디자인 제조기업들을 분석하여 결과적인 한국의 수준과 방향성을 연구해본다. Recently, Internet of Things is a hot waving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business trends. A number of people say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se products are newly emerging. This study was through examples of real strategy and design cases home and abroad and how on the Internet of Things is our cultural life, present the design direction of the focusing about new changing industry and society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Individuals and businesses can prepare for the Korea's level and direction by the analysis the technical aspects and the examples of the Internet of Things. The range of studies and methods is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ea by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beginning of the Internet of Things. A Study on the analysis about the area and direc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of the smart manufacturers. According to this, this study is a research and the analysis for the preparation of Korea’s level and direction. This study is an investigating the activities of companies to create blue ocean and preparing the studies in the future of the Internet of Things. Furthermore, This study research the Internet of Things has any meaning and companies are how to using about the Internet of Things. In particular, this is a study on the resulting level and direction of Korea by an analysis of variety manufacturing design companies.

      • KCI등재

        Process-Aware Internet of Things: A Conceptual Extens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Framework and Architecture

        ( Meesun Kim ),( Hyun Ahn ),( Kwanghoon Pio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6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 Vol.10 No.8

        This paper tries to extend the conventional conceptual framework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so as to reify an advanced pervasive IoT-community collaboration concept, which is called the process-aware Internet of Things. The extended conceptual framework is embodied as a referential architecture that can be a standardized reference model supporting the conceptual integr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process awareness. The extended referential architecture covers the full range of the architectural details from abstracting the process-aware behavioral semantics to reifying the IoT-process enactments. These extended framework and architecture ought to be the theoretical basis for implementing a process-aware IoT-community computing system supporting process-aware collaborations of Things in pervasive computing environments. In particular, we do point up that the proposed framework of the process-aware Internet of Things is revised from the Internet of Things framework announced in ITU-T SG13<sup>3</sup> Y.2060 [26] by integrating the novel concept of process awareness. We strongly believe that the extended conceptual framework and its referential architecture are able to deliver the novel and meaningful insight as a standardized platform for describing and achieving the goals of IoT-communities and societies.

      • KCI등재

        사물인터넷시대에서 정보인권 보장을 위한 법적 고찰

        이준복 ( Joonbok Lee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홍익법학 Vol.16 No.3

        In the past, It was called human-centered development of Internet media but It is true enough that society is changing to Hyper Connected Society which all things are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and Mobile media and the pace of change is unpredicable. Thus, Hyper Connected Society enables to obtain the wealth of information with active interaction, connection extension b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For this reason, network-based infrastructure which intelligent convergence service is to expand can be provided. As mentioned before, Internet of Things means that all things such as people and objects are connected and all information is created and utilized. This concept has began to be discussed since 2005 and indicates a shift of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ferred to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no restriction in the area where Internet of Things is applied such as urban, environment, water resources, measurement, security , medical, industrial control, agriculture, health, etc.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et of Things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a big date, clouding computing, etc. Internet of Things-related domestic policy is promoted by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but the driving force of the state said to be very weak. ICT fusion in Internet of Things is needed through a variety of devices rather than the meaning itself. Due to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which is increasingly intensified,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dition of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In this study, the main purpose is to prevent the problem of Internet of Things by understanding the evolutionary aspect of technology and preparing countermeasures in advance. As a countermeasures for preventing the problem beforehand, It leads to the conclusion to the security issue in Things of Internet, responding to common legal problem, proposing measures for the individual law including the role of the Things of Internet etc.

      • KCI등재

        사물인터넷과 개인정보보호

        황창근 한국법제연구원 2014 법제연구 Vol.- No.46

        In the age of Internet of Things(IoT), every behaviors and data of individuals is unnoticeably collected by things and exploited by big data. Consequently, a risk of infringement on personal data increases. There are hardly any policies at home and abroad which directly dealing with personal data protection issues related to Internet of Things. Amongst domestic personal data protection laws, Location data law is the most closely related law to Internet of Things. About existing personal data protection law,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opt-in rule, a notion and protection extent of personal data and location data and the business rgulation regarding personal data collecting and exploiting. It is neither desirable regulating Internet of Things in order to protect personal data nor giving up personal data protection for the purpose of revitalizing Internet of Things. What is required is a balanced measure to reduce riskiness of invasion of personal data and also to revitalize Internet of Things. It is inevitable consequence that data within things connected by internet are collected and utilized. Thus, the highest importance lies in a switchover to that data are easily collected but not exploited with strict control. Moreover, taking into account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norms and transactions, Internet of Things needs to follow a form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rather than to be legislated hastily. 사물인터넷 시대에는 개인의 모든 행동, 정보가 사물을 통하여 부지불식간 수집되고, 빅데이타를 통하여 활용되게 되는 것이므로 개인정보의 침해위험성이 보다 높아진다. 아직 국내외 정책동향을 보더라도 사물인터넷에서의 개인정보보호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것은 발견하기 어렵다. 국내의 개인정보보호법제 중 사물인터넷과 가장 관련이 많은 법제는 위치정보법이다. 기존의 개인정보보호법제에 있어서는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 등의 경우에는 정보주체의 사전동의원칙, 개인정보 내지 위치정보의 개념 및 보호범위, 위치정보법상 사업자 등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하여 사물인터넷의 활성화를 규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사물인터넷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개인정보 보호를 포기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어떻게 하면 개인정보 침해 가능성을 줄이면서 사물인터넷의 활성화를 도모할 것인가의 균형 잡힌 대책이 필요하다.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물이 가지고 있는 정보의 수집과 이용을 피할 수 없는 현실에서는 수집은 용이하게, 이용은 엄격하게 통제하는 수집에서 이용으로의 발상의 전환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또한 사물인터넷은 국제적으로 표준이 설정되고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성급한 입법 보다는 국제적인 규범의 형성을 따라가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사물인터넷의 범죄활용과 대응

        선종수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3 비교형사법연구 Vol.25 No.1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ICT) enriches our lives, but the opposite occurs. In particular,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almost all activities are carried out through the 'Internet' in modern society. This Internet has traditionally functioned as a tool for connecting people to people. But the function of the Internet has evolved here, connecting things with everything else. In other words, it has become a world where the Internet of Things(IoT), a concept that was only an abstract concept, is realized. This Internet of Things is a prerequisite for the establishment of a so-called 'hyper-connected society'. The Internet of Things has a positive effect that not only makes economic growth but also makes people's lives convenient and safe, but it also has a negative effect. Positive effects should be developed and pursued from the present, and negative effects should be clearly identified and avoided. In particular, negative effects can bring social risks, and the damage caused by them is difficult to estimat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learly identify crime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This identification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paring countermeasures against crime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the future. Specifically, crime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re similar and show different forms compared to existing crime groups. Accordingly, it shows the difficulty of not being properly regulated in the current legal system.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through revision of related laws or through new legislation.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전은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기도 하지만 이와 반대의 상황도 나타나게 된다. 특히 현대 사회는 ‘인터넷’을 통해 거의 모든 활동이 이루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인터넷은 전통적으로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 주는 도구로 기능해 왔다. 그러나 인터넷의 기능은 여기에서 진화하여 사물을 다른 모든 것들과 연결하고 있다. 즉 하나의 추상적 개념에 불과하였던 개념인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 실현되는 세상이 된 것이다. 이러한 사물인터넷은 이른바 ‘초연결사회(超連結社會, hyper-connected society) 구축을 위한 전제조건이 된다. 사물인터넷은 경제성장뿐 아니라 국민의 생활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어주는 긍정적 효과도 있지만, 부정적 효과도 상존한다. 긍정적 효과는 현재보다 발전시켜 지향하고 부정적 효과는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명확하게 파악하여 지양해야 할 것이다. 특히 부정적 효과는 사회적 위험을 불러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는 가늠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범죄를 명확하게 규명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규명은 향후 사물인터넷 활용 범죄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구체적 보면 사물인터넷 활용 범죄는 기존 범죄군과 비교하여 유사하면서 다른 형태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에 따라 현행 법률체계에서 적정하게 규율하지 못하는 난점을 보인다. 이러한 문제는 관련 법령 개정을 통하여 해결할 수도 있으며, 새로운 입법을 통하여 해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물인터넷과 메를로퐁티의 ‘상호세계’

        김화자(Hwa Ja Kim) 한국현상학회 201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65 No.-

        무선네트워크, 센서를 장착한 디지털 기기들이 인간은 물론 다른 사물기기들과 직접 소통하려는 ‘사물인터넷(IoT)’이 최근 디지털 융합산업과 문화의 핵심이다. 인간과 사물기기, 현실과 가상을 연결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려는 사물인터넷의 생태계는 인간이 중심이고 사물이 수동적 객체가 되는 비대칭적 관계로는 제대로 이해될 수 없다. 게다가 사물기기들 끼리의 연결은 자동화 시스템을 더욱 가속화시킨다. 이 논문은 인간이 배제되지 않은 사물인터넷을 위해 이질적인 인간과 디지털 기기의 비환원적인 대칭 관계의 존재론적 특징을 시몽동(G. Simondon)의 ‘기술적 앙상블’, 라투르(B. Latour)의 ‘행위자네트워크이론(ANT)’, 메를로퐁티의 ‘살’의 상호세계에 근거해 탐색한 것이다. 시몽동의 ‘기술적 앙상블’, 라투르의 ‘ANT’는 사물인터넷이 인간-비인간 사물기기가 짝을 이룬 대칭적인 행위자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는 이종적 연결의 존재론적 근거를 제시해 준다. 그러나 자동화와 편리함을 증대시킨 사물인터넷의 네트워크가 초래할 인간 배제, 인간과 기계의 동일화, 투명한 사생활 노출과 같은 폐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존재론적 토대를 메를로퐁티의 몸과 환경과의 ‘감각적?순환적 상호작용’, ‘살의 상호세계’에 입각해 모색했다. 즉 혼종적인 연결망을 통해 몸의 운동감각적, 지향적 정보가 가상세계의 체화된 인지가 될 수 있지만 인간과 기계가 온전히 하나가 되지 않는 비환원적인 대칭적 소통의 의미와 가치를 메를로퐁티의 ‘살’의 ‘키아즘(chiasme, 교직교차)’이 남긴 교훈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주체와 객체를 횡단하며 연결하는 살의 원심적-구심적 자기 전개운동인 키아즘이 잡종적인 존재들을 하나로 연결해 상호세계를 형성하지만 그 운동이 완성되지 않는 ‘틈’을 통해 다양한 존재들을 하나로 동일화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인간의 몸과 디지털 기기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사물인터넷의 이종적 연결망이 상호세계를 형성하더라도, 그 ‘틈’으로 인해 인간과 자연은 기계장치로 환원되지 않는다. 요컨대 메를로퐁티에게서 ‘살의 상호세계’의 원리인 ‘키아즘’은 이종적인 인간과 사물기기들이 주?객의 분리 너머 상호 순환적인 관계로 연결되면서도 비환원적인 존재영역을 유지할 수 있는 ‘틈’, 즉 ‘거리’의 필요성을 깨닫게 해준다. 그 결과 인간과 사물기기, 사물과 사물들 사이의 상호작용적 대화가 만들어 가는 사물인터넷의 상호세계는 인간-기계되기, 기계-인간되기가 완성되지 않는 ‘협력적이지만 대칭적 관계’를 통해 새로운 소통의 네트워크를 창조해나갈 수 있다. Digital devices with radio network and sensors without a support of keyboard and mouse are important in today"s digital convergence industry and culture of IoT that communicates with men and other devices. Both the connection between men and devices and the connection between daily realities and virtual produce new values to let the ecosystem of Internet of things be men-oriented and things be passive object that cannot be understood by asymmetric rela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istence in non-reducing and asymmetric relations between men and digital devices associated with the Internet of things including m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chnical ensembles of G. Simondon, ANT of B. Latour, and the world of flesh in Merleau-Ponty. Not only the technical ensemble of G. Simondon but also ANT of B. Latour have produced a pair between Internet of things and men-machine to be a symmetric Actor-Network and to give a basis for the existence of heterogeneous connection. Network in the Internet of things that has increased automation and convenience may remove men to regard the machines and to disclose humans’ private lives: To lessen such losses and damages as much as possible, the study investigates not only the sensitive circulation with body and environment but also the world of the flesh suggested by Merleau-Ponty. In other words, a hybrid connection network maycognize the virtual world of biometric data of the body; and the doctrine of "flesh" in Merleau-Ponty discovers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non-returning, symmetric communication that does not simply integrate both men and machine completely. The crossing that is centrifugal and centrifetal movement to both the subject and the object can produce a world by connecting different things. The connection network in the Internet of things that connects human body with digital devices can produce a mutual world, and the gap does not belong to either one to prevent men and the nature from being destroyed. "Crossing" that is a principle of the "mutual world of the flesh" in Merleau-Ponty connects body with digital devices to overco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and to establish a circulating relation and to keep the non-returning area. Interactive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men and things are made not to produce a world between men and being machine but to create a network of the new commun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