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행복의 개별적ㆍ사회적 조건에 관한 哲學史적 고찰

        이명곤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문화 Vol.0 No.11

        그것이 무엇이든 단순히 ‘인간의 행위’가 아닌 ‘인간적인 행위’라면 그 행위에는 하나의 전제되는 조건이 있을 것이다. 그것은 그 행위가 지향하는 궁극적인 목적이 ‘행복의 추구’라는 것이다. 이것이 아리스토텔레스가 생각한 것이고 대부분의 고․중세 철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러한 행복을 ‘진리에 대한 관조’로 보았고, 중세철학자들은 ‘최고선’으로 규정하면서 이를 ‘신적 존재’와 동일시하였다. 하지만 고․중세 철학에서는 ‘행복하다’는 것이 어떠한 상태를 말하는 것인지 혹은 행복의 존재론적인 특성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말해주지 않고 있으며, 또한 행복이 ‘최종적으로 주어지는 것’이라는 이들의 결론은 ‘행복지수’를 통해 드러나는 현대인의 행복개념에는 적합하지 않다. 왜냐하면 현대인이 ‘행복지수’라는 것을 통해서 고려하고 있는 ‘행복’이란 지금 ‘현재의 개별적인 삶’ 안에서 유기적이고 총체적으로 고려된 ‘실존적인 상태’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행복을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삶의 조건들 안에서 고려하고 있는 것은 특히 근대철학자들에 있어서인데, 이는 칸트의 사유 속에서 잘 나타나고 있는 점이다. 그리고 라이프니츠는 “지속적인 발전”이나 “새로운 완성” 등과 같은 삶의 진보를 헤겔은 “현재의 만족한 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확신”을 나아가 니체는 “역경을 극복할 수 있는 내적인 힘”에 대한 느낌 등을 행복의 조건으로 고려하였다. 즉 근대철학자들은 인간의 행복에 대한 조건으로서 ‘한 개인의 개별적인 삶의 다양한 조건들’을 특히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들로부터 행복의 조건에 대해서 두 가지 차원에서 규정할 수 있는데, 하나는 자아가 형성되기 이전에 요구되는 모두에게 유사한 ‘존재론적인 질서로부터의 조건’과 자아가 형성된 이후에 요구되는 ‘자기 동일성에 의한 조건’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 실존주의자들의 개념을 빌어 전자에 의한 행복을 ‘존재의 충만’으로 그리고 후자에 의한 행복을 ‘자아실현’으로서의 행복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존재의 충만’과 ‘자아의 실현’이 어떻게 주어질 수 있는가 하는 점을 논하고 있는데, 이를 ‘관계성’에 대한 올바른 정립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레비나스의 ‘타자의 철학’에서는 개인의 동일성이란 <너>에 대한 <나>의 관계를 통해서 주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관계정립’을 통한 ‘자기 동일성의 획득’ 없이는 결코 ‘내적인 충만’을 획득할 수 없는 것이 인간됨의 조건과 같기 때문이다. 나아가 본 논문은 이러한 관계성의 확립을 위한 방법론에 대해서 현대 유신론적인 실존주의자인 ‘가브리엘 마르셀’의 ‘상호주관성’의 개념과 ‘모리스 네동셀’의 ‘의식의 상호성의 개념을 통해서 논하고 있다. ‘의식의 상호성’이나 ‘상호주관성’은 기능주의에 의해 실추된 개인(인격)의 존엄성을 회복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인데 이는 <너>에 대한 <나>의 열림을 말하는 것으로 ‘자기에 대한 이해’와 ‘너에 대한 이해’라는 상호적 이해를 통해 인격의 소통과 일치를 유발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인격적 차원의 일치는 곧 나의 깊은 자아와 너의 깊은 자아가 서로 교감을 하고 소통을 하며 일치를 이루는 진정한 의미의 ‘사랑’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격과 ... S'il est un acte humaine non pas un acte d'homme, tous les actes présuppse une condition. Cette condition est que son but final est la recherche du bonheur. Cette position est celle d'Aristote et présque tous les philosophes au moyen-âge sont en accord ave lui. Aristote a considéé ce bonheur comme 'la contemplation de la vérité', et les philosophes médiévaux sont l'apellé 'le bien suprême' et identifie avec Dieu. Or, les philosophes antiques et médiévaux ne précisent pas l'état de ce bonheur, et leurs conclusion que le bonheur n'arrive que comme finalité, ne conforme pas avec la notion moderne du bonheur. Parce que le bonheur moderne qui resort du 'indice du bonheur' signifie l'état existentiel comprnant tous les conditions au présent. C'est pour les philosophes modernes qui considére la bonheur dans la vie pésente, en particulier chez Kant. Et pour Leibniz le développement contiu ou l'achèvement nouvel, et chez Hegel la convition sur l'état satisfait au présent, et chez Nietzsche la force intérieur qui peut surmonte la difficulté, ce sont les conditions du bonheur. C'est-à-dire les philosophes modernes sont concidère 'les conditions diveres dans la vie individuelle d'un homme' comme condition du bonheur humaine. De cette considération nous pouvons définir la condition du bonheur en deux dimentions. Le prmière est 'la conditon de l'ordre ontologique' qui est exigée à tous les hommes en resemmblance avant avoir l'identité de soi, et le seconde est 'la condition par l'identité de soi' aprés avoir l'identité de soi. Dans cette recherche nous avons définie par les termes des existentialists le bonheur de la prmière condition comme 'plénitude de l'être' et celui de la scende comme 'bonheur de l'achèvement de la conscience de soi'. Puis nous avons essayé comment celles-ci sont possible. Nous avons le considéré tout d'avord à la constitution de la relation humaine. 'La philosophy de l'autre' chez Lévinas manifeste que l'identité de soi ne possible que par la relation avec 'toi'. Et la consition humaine ne nous permet pas 'la plénitude intérieur' sans cette relation du 'toi' et 'moi'. Finalement nous avons recherché le moyen d'établir cette relation humaine qui est comme condition de la plénitude ontologique. C'est la notion de 'la subjectivité réciproque' chez Gabriel Marcel et celle de 'la réciprocité des consciences' chez Maurice Nédoncelle que sont le moyen véritable de celu-ci. 'La subjectivité réciproque' et 'la réciprocité des consciences' sont pour eux la seule chose qui peut rétablir 'la dignité humaine' tombée par la fonctionalisme moderne. Ce sont l'ouverture du moi vers le toi, et la porte qui permet la communication au niverau de la personalité. Cette communication est aussi ce qui permet l'unité intérieur du moi et du toi par la connaissance réciproque de du moi et du toi. Cette connaissance et cette unité sont ce qu‘on appelle l'amour. Dans cette véritable de vie humaine où il y a une communication de la personne à la personne, le vrai vealeur de la personne est illumine est le vrai bonheur est possible. Dans la conclusion de cette recherche nous avons également manifesté les conditions sociales qui peut permettrait cette condition de réciprcité humaine ainsi : <la volonté des civiles qui veulent la prospérité sociale>, <la conscience des citoyens qui respecte la valeur des humaines>, <Les ambiences qui respecte l'esprit communautaire de 'avec'>, et <l'esprit de tolérence qui respecte les personalités elles-mêmes des indidvidus> etc.

      • KCI등재

        행복학교의 학생 행복도 분석

        김순남 ( Kim Soonnam ),이병환 ( Lee Byunghw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행복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행복도 인식 수준을 비교하고 행복학교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모든 학생들이 더 왕성하게 행복을 체감할 수 있는 학교의 모습을 상정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행복도 인식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광역시교육청관내 행복학교로 지정되어 운영되는 초등학교 12개교 289명의 학생과 일반학교 1,107명 학생의 행복도 4개의 하위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행복도에 대한 인식의 수준이 행복학교와 일반학교가 주목할 만한 차이는 볼 수가 없었으나 학생 자신에 대한 타인의 긍정적인 인식 수준, 교우관계, 수업에 대한 만족도 등에서 행복학교의 학생들이 좀 더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학생들이 직접 행복을 체감하기 위해서는 행복학교에서처럼 일반학교에서도 평가의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규 교육과정 중에서 행복 관련 내용을 반영하기 위한 재구성 노력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학교의 노력 뿐 아니라 가정과 지역사회가 더불어 노력할 때만 행복교육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nquires the characteristics of happy school by comparing recognition standard of happiness degree between happy school and general school.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the image of happy school which all the students could dream happier life. This study analyzed recognition difference of happiness degree about 4 subordinate perspectives of 12 elementary school, 289 students designated happy school and general school, 1107 students. As a result, there was no noticeable difference of recognition standard of happiness degree between happy school and general school. But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re positive recognition in the happy school about friendly relations, self-esteem, satisfaction of class, etc. This study, above all, made certain that in the general school as happy school it is important to alleviate the burden of score evaluation. This study, also, made clear that it is necessary to redesign the regular curriculum containing happiness in the students` daily life. This study, above all, made clear that it is important to cooperate with school, family, community.

      • KCI등재후보

        그림책을 활용한 행복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유선혜(Yu, Sun-hea),백지혜(Baek, Jee-hea)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행복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구에 위치한 A초등학교병설유치원과 B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만 5세반 46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 23명은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행복 프로그램을 11주간 24회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 23명은 그림책을 활용한 독후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이은주(2010)의 유아 행복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LeBuffe와 Naglieri(1999)의 DECA(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ment)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행복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유아의 행복감 전체 점수 및 하위요소인 부모관계, 교사관계, 또래관계, 인지 및 성취, 몰입, 영성, 건강, 생활만족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즉,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행복 프로그램은 유아의 행복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행복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유아의 자아탄력성 전체 점수 및 하위영역인 애착, 주도성, 자기통제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즉,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행복 프로그램은 유아의 자아탄력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행복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ren’s happiness program utilizing picture books on their happiness and self-resilience. The study invited 46 children, five years old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A elementary school and B elementary school in Daegu metropolitan area. The children’s happiness program which utilizing picture books was carried out to 23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twenty four times over eleven weeks. On the other hand, the reading activities utilizing picture books were conducted to 23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Children’s Happiness Scale adopted from Lee(2010)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happiness and DECA(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ment) by LeBuffe and Naglieri(1999) was employed to assess their self-resilience. The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outperformed the comparison group on the children’s happiness including all of sub-categorie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and their teachers, peer relationship, recognition and achievement, immersion, spirituality,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re was the experimental group outperformed the comparison group on children’s self-resilience such as attachment, initiative, and self-control. These two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s happiness program utilizing picture books is helpful to improve their happiness and self-resilience.

      • KCI등재

        2000년대 이후 미디어를 통한 소비와 행복의 트렌드 분석 - 빅카인즈와 구글 트렌드 분석을 중심으로

        박상준,원도연 한국문화경제학회 2020 문화경제연구 Vol.23 No.2

        This study starts from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eas of happiness and society. And it aims to interpret the elements of happiness contained in the happiness pursuit phenomena pursued by modern people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 category of the area to be analyzed in the study is the consumption area, and as a method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consumption trend, data analysis on the happiness trend used in the article is made. The analysis tool used the article DB site, Big Kinds, and the temporal category is set from 2000 to 2019, the period after the IMF crisis. In addition, Google trend was used as a complementary tool to distinguish the changes in the times of happiness trend keywords derived from Big Kinds.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flow of happiness trends by period by searching for happiness trends derived from Big Kinds in Google Trends, and to achieve an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t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nce the 2000s, the happiness consumption trend has been intensifying with individualism centered on Hedonian happiness theory as the economic environment changes. Second, Since 2000, the happiness trend is divided into 2015 as a period of time. ①From 2000 to 2014, the well-being trend toward dematerialism was followed by a healing trend. ②Since 2015, the happiness trend has diversified such as YOLO, Work life balance, Honbap(rice eaten alone), small but certain happiness(小確幸), and cost-effectiveness(價心比), It spreads to the center. Since the 2000s, the happiness trend has been arising from social alienation, and the hedonic form of pursuing happiness has been limited due to the deepening of individualism. And this phenomenon means that the perspective of modern people's happiness needs to be expanded more socially than individuals,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consumption contents based on the theory of eudemonic(social) happiness. 본 연구는 행복과 사회라는 두 영역의 관계에 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리고 현대인들이 추구하는 행복추구현상 속에 담긴 행복의 요소를 사회문화적 관점으로 해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영역의 범주는 소비영역이며, 소비트렌드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기사에서 활용된 행복트렌드에 대한 데이터분석을 이룬다. 분석도구는 기사DB사이트인 빅카인즈(Big kinds)를 활용했으며, 시기적 범주는 IMF사태 이후의 시기인 2000년부터 2019년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빅카인즈에서 도출된 행복트렌드 키워드의 시대적 변화를 구분하기 위해 구글트렌드(Google trend)를 보완적 도구로 활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방향성은 빅카인즈에서 도출한 행복트렌드를 구글트렌드에 검색하여 시기별 행복트렌드의 흐름을 정리하고 시대상과의 관계에 대한 해석을 이루는 방향을 취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2000년대 이후 행복 소비트렌드는 경제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헤도니아(쾌락적) 행복론 중심의 개인주의화로 심화되고 있다. 둘째. 2000년 이후 행복트렌드는 시기적으로 2015년을 기점으로 구분되는데 ①2000년~2014년까지는 탈물질주의화를 지향하는 웰빙(Well-being)을 시작으로 힐링(Healing) 트렌드로 이어졌다. ②2015년 이후 행복트렌드는 욜로(YOLO), 워라밸(Work life balance), 혼밥(혼자 먹는 밥), 소확행(小確幸), 가심비(價心比)와 같이 다양해지며 여가와 소비 형태를 중심으로 확산된다. 2000년대 이후 행복트렌드는 사회적 소외로부터 발생되어 개인주의화의 심화에 따른 헤도니아적(쾌락적) 행복추구형태의 한계를 띄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현대인의 행복에 대한 관점을 개인보다 사회적으로 확장시켜야함을 의미하며, 유데모니아적(사회적) 행복론에 기반한 소비콘텐츠의 확장을 필요로 한다.

      • KCI등재

        고전사회학에 나타난 근대사회의 ‘행복’ 논리

        박성환(Park Seong-Hwan)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3

        온갖 사회는 그 속의 인간이 염원하는 ‘행복’의 종류와 방식에 따라 주조되기 마련이고, 다양한 문화란 사실상 ‘행복’이라는 프로젝트의 구현에 다름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근대에 들어서서 행복은 모든 세계의 표어가 되었다. 따라서 ‘행복’이라는 범주는 근대사회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아이콘 가운데 하나라고 하겠다. 행복의 개념은 전통사회에서 인간의 외적 상황 및 우연을 확정하는 데 사용되었는데, 근대사회의 도래와 더불어 주관화되고 세속화되었다. 행복은 인간에게 우연히 주어진 운명이 아니라, 인간이 자유롭게 책임지고 만들어가야 할 역사가 된 것이다. 이러한 근대의 행복 논리는 공리주의에 의하여 ‘자유로운 욕구충족’의 범주로 해석되었고, 근대사회의 이론과 실천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사회의 이와 같은 핵심적인 행복 논리에 준거하여 고전사회학자들의 행복에 관한 담론을 분석한다. 콩트는 인간의 행복이 달성될 수 있는 실증적 조건을 ‘인류’의 합의에서 발견했다. 뒤르케임은 사회경제적 진보와 더불어 개인의 욕구충족이 증대한다는 생각에 회의를 품고 행복의 사회적 조건을 강조했다. 맑스는 이기적인 욕구충족과 이에 따른 소외가 극복되는 공동체 사회를 인간 행복의 실존적 조건으로 제시했다. 짐멜은 목적론적 욕구충족에서 얻어지는 행복 너머에 또 다른 행복의 가능성을 인간의 존재 그 자체에서 찾았다. 막스 베버는 행복이 삶의 기술적 지배를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는 생각을 유보하고, 거기에는 자동화된 욕구충족 이상의 그 무엇이 잠재되어 있다고 보았다. Every society is coined by the mode and the way of happiness that its constituents conceive of, and cultures are nothing but projects of happiness. In modern society happiness is a motto of all the world, and happiness is a keyword that can help us understand the modern society. In traditional society the concept of happiness was used to ascertain external circumstances and contingency of mankind. With the coming of modern society the concept is reinterpreted, i.e. subjectified and secularized. The term is used differently to describe the internal state of human being, and so happiness is no more a contingent fortune but a history that man has to make freely for himself on his own responsibility. Happiness is pursued in diverse features in modern social system: in free creation of life by socio-political power, morally free cultivation of subjective meaning of life, economic achievement and welfare on free market, successful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on the ground of social freedom. Now modern mankind becomes an engineer who can work out the world as he wishes and plans. He can decide his own fate according to his own will. Therefore the modern logic of happiness consists of passive self-maintenance and active self-determination. Such double structure of happiness was unified and transformed by modern utilitarianism into the logic of free satisfaction of needs, which influences the theory and practice of modern society strongly. The advocates of modernity pride themselves on their restoring the pursuit of happiness, while their critics indicate the consumptive hedonism of modern society, such as Auguste Comte, Emile Durkheim, Karl Marx, Max Weber, Georg Simmel. In spite of their interior differences these sociological classics are concordant with the point that modern logic of happiness cannot be the definite solution to the matter of happiness.

      • KCI등재

        한의의료서비스의 소비자행복에 관한 연구

        김보민,라선아 한국소비문화학회 2020 소비문화연구 Vol.23 No.2

        As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has prolonged the life expectancy, medical consumers in modern society have become more concerned with not only living longer but also living a happy and healthy lif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services can provide personalized medical care and preventive management, providing quality of life and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in addition to the original functions of medical services such as health recovery and life extension. As the demand for traditional medical services including TKM is increasing around the world, it is timely to explore the meanings and contexts of TKM services to domestic medical consum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appiness experiences that TKM services would provide to medical consumers and the effect of these experiences on the lives of consumers. First, the literature on consumer happiness, happiness marketing, and medical services marketing was reviewed to prepar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Then, the authors conducted one-to-one in-depth interviews with medical consumers who had used TKM services currently. From the qualitative analyses, both of intrinsic and extrinsic domains of consumer happiness of TKM were found. Also, four sources and six types of consumer happiness were discovered. As a result, the conceptual framework of consumer happiness in TKM services was drawn. The nature of happiness of TKM consumers was similar to plateau experiences which were long-lasting emotions such as comfort or tranquility rather than extreme emotions such as excitement or joy. These emotional experiences were not limited to a certain age group of consumers, but appeared across diverse medical consumers with different demographics. This is a multidisciplinary study that encompasses two distinct disciplines of TKM services and consumer happiness marketing. Thus, the research fills the void of the healthcare marketing literature by providing theoretical implications in many ways. Particularly, the findings of the study shed lights on the TKM marketing practic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presented.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현대 사회의 의료소비자들은 단순히 오래 사는 것뿐만 아니라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것에 더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한의의료서비스는 개인 맞춤 의료와 예방적 관리가 가능하여 건강 회복, 생명 연장이라는 의료서비스의 본래적 기능에 더하여 삶의 질 향상과 긍정적 정서 경험을 제공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한의학을 포함하는 전통의학 의료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는 시점에서, 한의의료서비스가 국내의 의료소비자들에게 어떠한 의미와 맥락을 갖는지에 대해 탐구하는 것은 시의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의의료서비스가 의료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행복 경험과 이 같은 경험이 소비자의 삶에 미친 영향에 대해 심도 있게 분석하여 한의의료서비스의 소비자행복에 관한 개념적 틀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소비자행복, 행복 마케팅 및 의료서비스 마케팅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였다. 이후, 한의의료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의료소비자를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 면접을 진행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행복이 본질적 의료 행위인 진단․치료․처방․간호와 관련되었는지, 아니면 의료서비스의 비본질적 측면과 의료 외적 기타 요인에 의해 발생하였는지에 따른 두 가지의 상위 차원 아래 총 4가지 소비자행복 원천과 6가지 소비자행복 유형을 도출하였다. 한의의료서비스 소비자행복은 즐거움, 흥분, 쾌락 등 극치의 감정보다는 안정감, 편안함, 평온함 등 오랫동안 지속되는 고원감정의 특성을 띠었으며, 이러한 감정 경험은 특정 연령대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의료소비자에게서 보편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의료 수요자의 관점에서 소비자행복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되며, 국내 의료 마케팅 분야에서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소비자행복을 연구 주제로 삼았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한의학과 경영학을 아우르는 다학제적 연구로서 한의의료서비스의 행복 마케팅을 제안하고, 이를 실무적으로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행복과학과 행복철학

        김요한(Kim, Jo-Hann)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5 No.3

        행복이란 무엇인가? 행복의 정의와 관련해서 행복을 마음의 상태로 보는 입장과 가치있는 것으로 보는 두가지 접근이 존재한다. 마음의 상태로서 행복은 행복 과학의 대상이고 가치있는 삶으로서 행복은 행복 철학의 대상이다. 최근 긍정심리학의 발달로 행복과학이 자연과학적 방법론을 통해서 행복감을 극대화시키는 다양한 실험적인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자는 행복 과학의 몇가지 근본 입장들속에서 행복이 단순하게 행복감에만 머물러있지 있지 않고 가치문제들에 대한 심사숙고가 포함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행복 철학과 행복과학의 상호 관련성을 이 논문에서 탐구하고자 한다. 논의를 통해서 우리가 도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행복지수의 측정과 관련해서 행복 개념을 설정하는데 행복 철학이 기여할 수 있다. 행복 지수의 정확한 측정은 불가능하지만 그 근사치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삶의 만족으로 이론으로 접근하는가 또는 정서 상태로 이론으로 접근하는 가에 따라 그 값이 달라 질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이 행복하다는 행복과학의 경험적 주장도 행복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라는 행복의 본성에 관한 행복 철학의 접근 방식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행복의 본성에 관한 철학적 지침이 행복지수의 기준에 대한 행복 과학 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둘째, 행복의 원천으로서 경제적인 이익과 관련해서 행복 철학의 역할이 중요하다. 돈은 삶의 만족 이론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정서 이론에서는 미약한 영향을 갖는다. 이는 돈의 역할이 어떤 종류의 사회에 사는가에 따라 그 역할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행복의 원천으로서 돈의 긍정적 기여와 부정적 기여는 우리가 어떤 종류의 사회를 꿈꾸고 실현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사회 정치철학적 논의는 행복과학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What is happiness? There are two ways of approaches in terms of definition of happiness: a state of mind or valuable thing. While happiness as a state of mind is the object of science of happiness, happiness as a valuable thing is the object of philosophy of happiness. Recently thanks to development of positive psychology the science of happiness is strengthening happy experiences of ordinary people by means of methodology of natural sciences. In this article I propose that investigations of happiness in the field of positive psychology should include value problems in the fundamental themes of science of happiness, not simply remaining on how to increase pleasant emotions of ordinary life. So we have to find interrelation between science of happiness and philosophy of happiness. We can draw conclusion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happiness plays a great role in measurement of happiness. It is impossible to measure accurate hedonometer, because amount of happiness is variable if different concepts of happiness are available. In some cases theory of life satisfaction is used but in other time affect-based theory is used. Also the empirical claim of science of happiness that most people are happy depends on the different approaches of philosophy of happiness which determine the nature of happiness. So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f the nature of happiness should be starting point of science of happiness in terms of measurement of happiness. Secondly, philosophy of happiness plays a important role in the source of happiness in relation to economical interest. Money has hard impact in the theory of life satisfaction, while soft impact in the affect-based theory. That"s why the role of money is subject to change in terms of what kind of society we live on. So positive or negative contribution of money as source of happiness depends on what kind of society we aim to accomplish. Some discussions of social-political philosophy would give a great influence to those of the science of happiness.

      • KCI등재

        일과 삶의 균형에 따른 사회적 계층이 주관적 행복감

        김은희(Kim Eun hee),김철원(Kim Chul won) 대한관광경영학회 2017 觀光硏究 Vol.32 No.7

        본 연구는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사회적 계층과 일과 삶의 균형의 관계를 규명하고,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사회적 계층 및 일과 삶의 균형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계층은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계층이 낮아질수록 주관적 행복감은 낮아진다. 본 연구는 주변적 중산층을 기준으로 그 보다 아래계급에 위치한 하층과 위의 계급에 위치한 핵심적 중산층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주변적 중산층에 비해 하층의 주관적 행복감은 낮았으며, 핵심적 중산층의 주관적 행복감은 높은 것으로 고찰되었다. 둘째, 일과 삶의 균형이 잘 이루어질수록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한편, 행복감에 대한 사회적 계층 및 일과 삶의 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부분적으로 입증되어, 주변적 중산층에 비해 하층일 때 일과 삶의 균형이 잘 이루어진다면 더욱 큰 행복감을 갖는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는 ‘왜 한국인들은 행복하지 않을까’ 라는 사회적 물음에 대해 의미 있는 답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헌법은 국민의 행복추구권을 보장한다. 행복을 추구하는 것은 모든 인간에게 부여된 보편적 권리이며, 우리는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계층문제와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공론의 장을 만들고 실천적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즉 본 연구 결과는 97년 IMF 외화위기 이후 지속되고 있는 양극화 심화의 문제와 높은 노동시간으로 인한 일과 삶의 불균형 문제에 대한 성찰적 논의와 함께 실제적 실천을 함께 이루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lass on subjective happiness in terms of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reciprocal effects between social class and the work and life balance on subjective happiness. The 2016 Korean leisure activity survey data were applied in this study. The major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lass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subjective happiness. The lower class is less happier than the peripheral middle class. On the other hand, the core middle class is happier more than the peripheral middle class. Second, the perception of work and life balance have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subjective happiness. Final, This study also proved reciprocal effects between social class and the perception of work and life balance on subjective happiness. The results made implications that improving the work and life bal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subjective happiness.

      • KCI등재후보

        초·중 고등학생의 일상적 행복 및 불행 경험

        신현숙(Hyeonsook Shin)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행복에 대한 상향식 접근과 토착심리 관점에서는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가지는 구체적이고 소소한 행복 경험들에 주목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2학년 1,599명이 일상생활에서 가지는 주관적 행복감 수준과 일상적 행복 경험(행복한 이유, 활동, 장소, 대상) 및 불행 경험(행복하지 않은 이유, 활동, 장소, 대상)을 알아보는데 있다. 첫째, 주관적 행복감 수준에 대한 2원 분산분석 결과, 성별 주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지만 학교급 주효과는 유의하였고 성별과 학교급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남녀 두 집단에서 학교급이 높을 수록 주관적 행복감 수준이 낮았다. 둘째, 일상적 행복 및 불행 경험에 대한 개방형 자유응답의 내용을 범주화하고 각 학교급의 범주별 응답 빈도를 산출하였다. 모든 학교급에서 가장 많은 수가 원만한 인간관계를 행복의 이유로 기술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일상적 즐거움, 심리적 안정, 자율 및 자유, 성공경험 등이 언급되었다. 모든 학교급에서 가장 많은 수가 친구와 함께 활동이나 대화를 할 때 행복하다고 보고하였지만, 행복한 활동의 다음 순서는 학교급에 따라 달랐다. 행복을 느끼게 하는 장소로는 모든 학교급에서 가장 많은 수가 집을, 두 번째로 많은 수가 학교를 언급하였다. 행복을 느끼게 하는 대상으로는 초등학생 집단에서 가장 많은 수가 가족을, 중・고등학생 집단에서는 친구를 언급하였다. 셋째, 초등학생 집단에서 가장 많은 수가 인간관계 문제를, 중・고등학생 집단에서는 학업 및 입시 스트레스를 불행의 이유로 기술하였다. 불행한 활동으로는 모든 학교급에서 가장 많은 수가 학교공부를 언급하였고, 초등학생 집단에서 두 번째로 많은 수는 숙제를, 중・고등학생 집단에서 두 번째로 많은 수는 자유를 억압하고 강요하는 활동을 불행한 활동이라고 기술하였다. 불행을 느끼게 하는 장소로는 초등학생 집단에서 가장 많은 수가 학원을, 고등학생 집단에서 가장 많은 수가 학교를 언급하였다. 학교, 학원, 기타 공부장소를 모두 합하면, 각 학교급의 절반 정도가 공부와 관련된 장소에서 불행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초・중학생 집단에서 가장 많은 수가 또래를, 고등학생 집단에서는 낯설고 친하지 않은 사람을 불행의 대상으로 보고하였다. 요약하면, 일상적 행복 및 불행 경험의 범주 구분이 모든 학교급에서 비슷하지만, 일부 범주의 응답 빈도는 학교급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From the bottom-up perspective and indigenous psychological approach toward happiness, this study explored daily happiness and unhappines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 single-item scale measuring the subjective sense of happiness and open-ended free-response questions inquiring daily happy and unhappy experiences were administered to 1,599 Korean students in Grades 5 through 11. First, in both genders the higher the school level the lower the level of the subjective sense of happiness. Second, the content analysis on free responses revealed that categorical classifications of daily happy and unhappy experiences are similar across school levels but response percentages per category are somewhat different among school levels. The majority of students stated that they felt happy because of good interpersonal relations, when engaging in activities and conversations with friends, and at home. The majo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elt happy with their family whereas tha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elt happy with their friends. Unhappiness was due to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academic stres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choolwork was the number one unhappy activity in all school levels. Homework was the second unhappy activ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freedom-stifling activitie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were the number one unhappy pla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schools for high school students. Those who feeling unhappy in school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and other study places totaled almost 50%. The largest number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felt unhappy with peers but that in the high school level felt unhappy with strangers/unfamiliar people.

      • KCI등재

        유아교육분야 행복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강현경(Kang, Hyung-Ky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9

        본 연구는 유아교육분야의 행복 연구들의 연도별 게재현황,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결과를 고찰함으로써 이 분야 행복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4월까지 이루어진 국내학술지논문 및 석?박사학위논문 총 119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행복 관련 논문의 연도별 게재현황을 살펴본 결과, 행복 관련 논문은 2003년부터 시작되었고, 2009년부터 그 수가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2년 이후부터 최근 3년 간 급증하였다. 둘째, 행복 관련 논문을 연구주제에 따라 분석한 결과, 연구주제는 모두 5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교사 행복과 타 변인과의 관련성’을 보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론 ‘부모 행복과 타 변인과의 관련성’, ‘유아 행복과 타변인과의 관련성’ 순서로 연구가 이뤄졌다. 셋째, 행복 관련 논문의 연구방법을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으로는 교사, 부모, 유아, 예비교사, 문헌 순으로 나타났고, 연구유형으로는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행복 관련 논문의 연구결과를 살펴본 결과, ‘교육활동과 유아 행복과의 관계’, ‘교사의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직무 관련 변인과 교사 행복과의 관계’, 그리고 ‘유아의 능력변인/양육행동 및 양육스트레스와 부모 행복과의 관계’ 연구가 주로 이루었으며, 이를 통해 유아, 교사, 부모의 행복은 이러한 변인들이 큰 상관을 갖고 있음이 가장 많이 입증되는 결과를 낳았다.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studies on happine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the trends of the research period, themes, methodologies, and resul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119 articles published till the April, 2014, were collected for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rticles had dramatically increased for the last three years with its first appearance in 2003 and the increase in number of articles in 2009. Second,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by 5 research themes, and the theme of "the teacher"s happin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factors" was the highest number of articles, and "the parents happin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factors" and "the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factors" were the next in order. Third,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was current teachers, parents, young children, preliminary teachers, and literatures in order, and the number of research methodology was quantitative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and literature analysis in order. Forth, the following factors like "the young children"s happines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e teachers" happiness related to the work-related satisfaction/stress", and "the parents" happiness related to the fostering methods/stress or the abilities of their young children" were the most verified as the most popular factor for happiness of each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