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의학의 정신질환 개념에 관한 연구 - 癲狂, 邪出 示, 臟燥症을 중심으로 -

        李符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6

        As a supplementary research to the previous investigations in 1973 and 1991 of the mental illnes in Dong Ui Bogam, the handbook of Korean medicine from the 18th Century, the author has investigated the concepts of Cheon, Kwang, Sasu and Chang-zo-chung in more wide range of literatures including the Chinese classic of medicine, Huang Chi Nai Ching and other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s. In spite of the difficulties of the comparisons between the diagnostic categories of the eastern and the western medicine, some common observations on the clinical features of the mental disorders are confirmed. In Huang Chi Nai Ching, Cheon indicates both epilepsy and abnormal mental states characterized by the withdrawal and the suppressed state of conciousness. Kwang indicates wildness. Some descriptions of Kwang are apparently identical with the catatonic excitement of schizophrenia whereas some other description indicates manic state suggesting no distinction was made between the schizophrenic and the manic states. The term Kwang also has been used to any organic delirious states. Dong Ui Bogam has dealt with the state of Cheon as epilepsy in more detail separately from the section of Cheon Kwang. The book has maintained the concept of Cheon of Huang Chi Nai Ching as the state of mental depression in contrast to Kwang, the wild excitation. The book also has supported the possibility of comorbidity of Cheon and Kwang. Dong Ui Bogam particularly has dealt with the state of Sasu which can be identified with schizophrenic symptoms of disorganized type. However, in some description it was difficult to differentiate from the dissociate disorder with temporary hallucination. The descriptions of Chang-zo-chumg in Dong Ui Bogam was very sparce. However,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s of Bun Don Byung in the Chinese medical references, Chang-zo-chung may indicate the classical hysterical disorder. The diagnosis of the oriental medicine aims at the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the state of man in his or her sufferings including the psychic, social and genetic physiologic aspects other than the search of the unitary disease as seen in the western medicine. Very meticulous categorizations of mental states in relation to physiological aspects for each different prescriptions are noteworthy. The concerns of the oriental medicine with the abortive symptoms and latent potentiality of pathological development are also worthy to note. 중국의학 문헌과 한국전통의학문헌에서 癲狂, 邪出 示, 臟燥症이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를 조사하고 그것을 현대 서양정신의학의 증후론과 비교 고찰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황제내경 소문과 영추 및 동의보감을 주된 대상자료로 삼고 그밖의 동양의학 문헌을 참고자료로 하여 문헌 적고찰의 방법을 따랐다. 그결과 황제내경에 기재된 癲疾은 오늘날의 간질과 유사한 증후로 간주되면서도 때로는 狂疾에 대조되는 정신적 침체, 위축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이상 상태라고 간주됨을 알 수 있었다. 狂에 관한 기술은 현대정신 과 질병분류상의 조증, 망상과 환각을 수반한 정신분열증의 긴장성흥분상태와 열성섬망을 포함한 기질적정신 병적증후를 모두 포괄하고 있다. 전 과 광은 다른 증후이면서 공존하거나 이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동의보감은 전간과 전광을 구분하여 기술하여 전자를 분명한 경련성질환으로 설명하였고 전광은 정신이상 상태의 서로 대립되는 증후로 보면서도 양자의 공존관계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邪出 示의 증후는 환각을 수반 하는 정신분열증 해체형의 징후와 유사함을 알수 있었으나 해리성장애와 구별하기 어려운 묘사도 있었다. 臟 燥症에 관한 기술은 매우 적으나 부인의 히스테리성 장애에 견줄수 있었고 奔豚病은‘히스테리구’를 수반한 해리성전환장애의 증후와 유사했다. 동양의학의 진단법은 서양의학과 달리 질환과 질병개념을 토대로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라 그때 그때의 정신 생리적 상태의 단면인 言正의 진단이므로 현대정신과 진단분류를 그대로 동양의서의 정신증상에 적용하 는데는 무리가 있음을 확인했다. 전통의학이 정신병리 현상을 병태생리와 체질적조건 신체상태와의 밀접한 관련아래 항상 치료적응증을 전제로 기술함으로서 서양정신의학 보다 심신상태에 대해 매우 포괄적이면서도 다양한 기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밖으로 들어나지 않으나 안에서 진행된 마음의 변화나 질병과 정에 대해서도 통찰하고 있었음을 알수 있었고 兼病 comorbidity의 개념이 일찍부터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진단학적 방법론에 대한 동서의학의 계속된 비교연구가 요청된다.

      • KCI등재

        노인정신의학 : 개요 Overview

        오병훈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5

        노인정신의학은 정신의학의 한 가지(A branch of psychiatry)이며, ″Old Age Psychiatry″로 명명한다. 노인정신의학은 출발은 노인정신질환은 다른 신체적, 정신적인 질환과 마찬가지로 치료되어 질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다는 기본에서 출발하였다. 지난 10년간의 대한노인정신의학회를 주축으로 한 노인정신의학의 발전은 연구 분야가 몇몇 분야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향후 연구의 폭을 넓혀야 할 과제를 제시해 주고 있다. 특히 만성적인 질병과 노화에 따른 부정적인 면뿐만 아니라 노년기에 일어나는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교육의 측면에서도 소수의 독점적인 아닌 노인정신의학의 폭넓은 발전을 위해서는 실제적으로 노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에서 구체적인 역할을 가지고 의과대학에서부터 fellowship의 과정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노인의료전달체계를 구축하여 활동하는 체계를 이루어야 하는 함이 제시 되었다. 아울러 노인정신의학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우선 의학의 생물학적 노화의 개념에서 벗어나 노년기를 발달사적 견해로 볼 수 있어야 하며 사회정신학적 발달사의 접근으로 노인을 새롭게 이해해야 함이 강조되었다. 결론적으로 볼때, 노인정신의학의 발전방향은 노인 정시건강증진의 차원에서 질적인 삶의 보장은 물론 창조적 삶의 지향이 가장 중요한 의식의 전환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환자를 위한 서비스체계의 구축 및 운영에 있어서 행정적 지원체계 구축도 발전방향의 한 축으로 반드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노인정신의학의 기반이 되는 학문적 발전의 국내 외의 폭넓은 교류에 중추적, 주도적 역할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연구 및 인력양성이 노인정신의학의 Vision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Old Age Psychiatry″ is a branch of psychiatry. WHO, WPA and IPA strongly suggest that the Old Age Psychiatry is directed to ″Lead(Guide) best possible care of geriatric patients and their families, Education and training for all health and social care workers, Development of appropriate training manuals with culturally appropriate material, Encourage the direction of geriatric psychiatry health policy. To the development of Old Age Psychiatry. Integrated approach and paradigm, Prevention, diagnosis and rehabilitation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is essential. And strategies for mental health services, ″Systemic care services and Delivery care services″ is needed. When we review of past 10 year of Old Age Psychiatry in Korea, we have problems such as Inadequate human resources, Training issues, Multi-disciplinary infrastructure, Economic issues. But we hope that Old Age Psychiatry in Korea has a potential to develop and it should be overcome with enthusiasm and patience. In conclus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Old Age Psychiatry, Old Age Psychiatry must be based on the disorders in elderly can be treated successfully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creating of life.

      • KCI등재후보

        북한 의사들이 바라보는 북한의 정신의학 현황

        김석주,박영수,이혜원,박상민,Kim, Seog-Ju,Park, Young-Su,Lee, Hae-Won,Park, Sang-Mi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2 정신신체의학 Vol.20 No.1

        연구목적 : 남북한의 정신의학 체계나 내용이 매우 다를 수 있지만 현재까지 북한의 정신의학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정신의학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려 하였다. 방 법 :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중 북한에서 10년 이상 의사 경력이 있던 3명을 면담하였다. 정신건강의학과 환자 진료 경험, 북한 정신의학의 실상, 북한의 정신건강의학과적 치료, 일반 북한 주민들의 정신장애 인식도, 북한의 자살에 대해 반구조화 면담이 진행되었다. 결 과 : 북한의 정신건강의학과는 49호라고 불리며, 대부분 확연한 정신병적 증상이 있는 경우에만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진료를 하였으며, 비정신병적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는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주로 다루지 않는 편이었다. 정신장애의 병인은 유전적 이유 등 생물학적 요소에 집중되었으며, 사회심리적 요소나 정신역동적 요소는 정신장애의 병인으로 중시되지 않았다. 정치이념적 요소와 정신의학은 별개로 간주되었다. 주로 입원과 생물학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인슐린 혼수 요법과 같이 상당히 뒤떨어진 치료법이 사용되고 있었다. 사회 전반적으로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은 심하였다. 북한에서는 자살을 민족 반역으로 간주하며 자살이 드물었다. 결 론 : 북한의 정신의학 현황은 남한의 정신의학 현황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과거 사회주의 국가의 정신의학과 유사한 점이 많지만, 북한 고유의 정신건강의학과적 특성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 Psychiatry in North Korea is believed to seem very different from psychiatry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is nearly no information regarding psychiatry in North Korea until now. Our study aimed to get information about North Korean psychiatry. Methods : Three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whose clinical experience as medical doctors in North Korea was over 10 years, were recruited. They underwent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content of which included the clinical experience with psychiatric patients, the details of psychiatry, the treatment of psychiatric patients, the stigma of mental illness, and the suicide, in North Korea. Results : In North Korea, psychiatric department was called as 49th(pronounced as Sahsip-gu-ho in Korean). Only patients with vivid psychotic symptoms came to psychiatric department. Non-psychotic depression or anxiety disorders usually were not dealt in psychiatry. The etiology of mental illness seemed to be confined to biological factors including genetic predisposition. Psychosocial or psychodynamic factors as etiology of mental illness appeared to be ignored. Psychiatry was apparently separated from political or ideological issues. The mainstay of psychiatric treatment is the inpatient admission and out-of-date therapy such as insulin coma therapy. Stigma over mental illness was common in North Korea. Suicide is considered as a betrayal to his/her nation, and has been reported to be very rare. Conclusion : The situation of psychiatry in North Korea is largely different from that of South Korea. Although some aspects of North Korean psychiatry are similar to psychiatry in former socialist countries, North Korean psychiatry is considered to have also its unique characteristics.

      • KCI등재

        노인정신의학 : 교육 Education

        김도관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5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노인정신의학 전임의 교육과정을 위하여 갖추어야 할 조건들을 제안하였다. 노인정신의학은 노년기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정신질환과 행동장애의 평가, 진단, 치료 및 예방을 주 관심사로 하는 정신의학의 세부 전공분야이다. 노인정신의학의 교육 프로그램은 이와 같은 관심사에 대한 전문 지식과 술기를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는 잘 지도-감독된 임상경험과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노인정신의학 세부전공 전임의 교육과정의 이수조건은 교육의 목적, 수련기관의 구성, 노인정신의학 전임의 수련과정을 위한 인적자원, 수련을 위하여 필요한 시설 및 임상환경(clinical setting), 그리고 노인정신의학 전임의 수련과정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포함되어야 한다. 노인정신의학 분야의 체계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시행해 가면서 핵심의 교육과정을 발전시키고, 우리나라 현실에 맞게 정착 시켜 나가야 한다. 노인정신의학 전임의의 수련기간은 수련자의 요구도에 따라서 1년 과정이 될 수도 있고, 2년 과정이 될 수도 있다. 1년 과정의 노인정신의학 전임의 교육프로그램은 임상훈련에 주된 역점을 두는데 비해서, 2년 과정의 교육프로그램은 임상훈련 뿐만 아니라 연구 영역에서의 훈련에도 역점을 두는 전문가 교육과정으로 설계된다. 교육 프로그램은 훈육적인(didactic) 강의식 요소와 창의적이고 실험적인(experimental) 요소들을 활용하여야 한다. 훈육적인 강의식 교과과정에서는 노화의 정상적인 면과 병리적인 면, biopsychosocial model을 사용한 노인환자들의 평가와 치료를 위한 새로운 개념과 지식 등을 중심으로 편성되어야 한다. 실험적인 교과 과정에서는 노인환자들을 경험하면서 임상가로서의 숙련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보다 창의적인 연구활동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제공한다. The requirements for fellowship program in geriatric psychiatry in Korea has been proposed. Geriatric psychiatry is that area of psychiatry which focuses on prevention, diagnosis, evaluation and treatment of mental disorders and disturbances seen in old adult patients. An educational program in geriatric psychiatry must be organized to provide professional knowledge and well-supervised clinical experience. Educational goals, institutional organization, faculty and staff, facilities and clinical setting, and educational programs were covered in this article. The program requirements in Korea should be modified based on the environment and readiness with respect to the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The fellowship period may be for one or two years,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trainee. The one year program emphasizes clinical training while the two year option combines clinical and research training. The program has both didactic and experimental components. The didactic curriculum addresses normal and pathological aspects of aging, as well as current concepts for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elderly patients using the biopsychosocial model. The experimental component provides clinical and research experience in geriatric psychiatry.

      • KCI등재

        The Crisis of Psychiatry : Psychiatric Patients, Quo Vadis?

        Kim, Kwang-iel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4

        2000년에 들어서면서 정신의학분야에는 놀라운 변화가 일어날 것이 예상된다. 이 결정적인 시점에서 우리는 정신의학의 주체성 내지는 위기에 대해 숙고해야 한다고 본다. 다음 세기에 일어날 정신의학의 특성 및 문제상황으로는 가) 생물학적 정신의학 일변도, 나) 비정신과적 치료자 내지는 사이비 치료사들의 범람, 다) 사회의 경제적 압박으로 인한 정신과 진료의 위축 등이다. 이러한 상황적 여건은 필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초래한다. 즉 가) 진료상황에서 나타낼 정신과 의사의 안일성, 나) 피상적인 환자진료와 이에 따른 불충분한 진료효과, 다) 환자의 불안, 및 이에 따른 대체의학이나 사이비 치료사들의 난무, 라) 전화상담, 가상공간을 이용한 진료 등이다. 우리는 정신과의 위기가 닥쳐오고 있다는 사실을 우선 자각해야 하고 예상되는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방안을 강구해야 하며 생물- 정신- 사회의 연구 및 치료모델이 잘 조화된 교육에 힘을 기우려야 할 것이다. In the year two thousand and following years, there will be tremendous changes in the field of psychiatry. At this critical period, we should rethink the identity of psychiatry.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psychiatry in the near future include a) 'mindless'psychiatry confined into the brain cell, b) a continuous evolution of non-psychiatric practi-tioners, medical or nonmedical, c) the atrophy of psychiatric practice due to economic pressure by society, and d) psychiatric policy of functional diagnostic criteria and guidelines in practice. The above situations can result in a) the more superficial and easy going attitude of psychiatry in practice, b)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patients and inadequate treatment outccome, c) patients' frustration and seeking help from altemative or quasi-practitioners, and tele-psychiatry or cyber space. Psychiatrists' recognition of a crisis, active coping with the problems and harmonized and integrated education were suggested for the better contribution.

      • KCI등재후보

        한국 정신신체의학연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고영훈,Ko, Young-Hoo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2 정신신체의학 Vol.20 No.1

        정신신체의학은 심리적, 행동적, 의학적 요인들이 인간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생물정신사회적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의학 분야이다. 초기의 정신신체의학은 신체 질환의 원인을 심리적인 요인으로 이해하고 접근하고자 하였으며 이후 다양한 관련 분야의 발전을 통해 보다 확대된 관점에서 신체 질환을 바라보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결과 내외과 질환 환자들의 정신과적인 문제를 다루는 자문조정이 임상적으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여러 내과적 질환들의 원인, 경과, 치료에 스트레스 혹은 정신과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고 더 나아가 질환뿐 아니라 삶의 질이나 인격 특성 등 인간의 행동적인 측면 역시 연구 대상으로 확대되게 된다. 최근 내외과 질환이 보다 세분화되고 그 원인에 대한 생물학적 연구들이 진행되며 다양한 검사 및 평가 도구가 개발되는 등 연구 여건이 변화됨에 따라 정신신체의학 연구도 더욱 다양화되고 세분화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한국 정신신체의학 연구의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 정신신체의학 연구의 과거와 현주소를 확인하고 미래를 전망하고자 한다. Psychosomatic medicine is a part of medicine which is to find the effect of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medical factors on the human body and disease.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idea of psychogenesis had been developed and resulted in the concept of psychosomatic disease which was believed to be caused by psychological factors. However a multifactorial model of illness developed and it allowed illness to be viewed as a result of biopsychosocial interactions. The following have been highlighted by consultation-liaison psychiatry. Psychosomatic medicine has addressed stress and psychiatric factors which affect the etiology, course, and treatment of medical disorders. Moreover it contributes the growth of other related disciplines such as psychoneuroendocrinology, psychoimmunology, behavioral medicine, health psychology and quality of life research. Nowadays, psychosomatic field becomes enlarged because medical and surgical departments have been developed rapidly, and research methods and tools have brought forth rapid progress and advance in medical science. Therefore the author reviews the past and present psychosomatic researches and suggests the future of psychosomatic research in Korea.

      • KCI등재

        정신의학의 위기:정신과 환자, 어디로 갈 것인가?

        김광일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4

        2000년에 들어서면서 정신의학분야에는 놀라운 변화가 일어날 것이 예상된다. 이 결정적인 시점에서 우리 는 정신의학의 주체성 내지는 위기에 대해 숙고해야 한다고 본다. 다음 세기에 일어날 정신의학의 특성 및 문제상황으로는 가) 생물학적 정신의학 일변도, 나) 비정신과적 치료자 내지는 사이비 치료사들의 범람, 다) 사회의 경제적 압박으로 인한 정신과 진료의 위축 등이다. 이러한 상황적 여건은 필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초래한다. 즉 가) 진료상황에서 나타낼 정신과 의사 의 안일성, 나) 피상적인 환자진료와 이에 따른 불충분한 진료효과, 다) 환자의 불만, 및 이에 따른 대체의학 이나 사이비 치료사들의 난무, 라) 전화상담, 가상공간을 이용한 진료 등이다. 우리는 정신과의 위기가 닥쳐오고 있다는 사실을 우선 자각해야 하고 예상되는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방 안을 강구해야 하며 생물–정신–사회의 연구 및 치료모델이 잘 조화된 교육에 힘을 기우려야 할 것이다 In the year two thousand and following years, there will be tremendous changes in the field of psychiatry. At this critical period, we should rethink the identity of psychiatry.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psychiatry in the near future include a) ‘mindless’ psychiatry confined into the brain cell, b) a continuous evolution of non-psychiatric practitioners, medical or nonmedical, c) the atrophy of psychiatric practice due to economic pressure by society, and d) psychiatric policy of functional diagnostic criteria and guidelines in practice. The above situations can result in a) the more superficial and easy going attitude of psychiatry in practice, b)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patients and inadequate treatment outccome, c) patients’ frustration and seeking help from alternative or quasi-practitioners, and tele-psychiatry or cyber space. Psychiatrists’ recognition of a crisis, active coping with the problems and harmonized and integrated education were suggested for the better contribution.

      • 법정신의학의 개략

        장동원(Dong Won Cha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1

        법정신의학은 법과 정신의학이라는 서로 다른 두 전문분야가 만나는 부분을 다루는 학문이다. 법정신의학은 크게 두 분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법의 집행에 정신의학이 관여하는 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정신과 치료에 대한 법적인 규제가 된다. 현재 법정신의학에서 문제가 되는 주요 이슈로는 행위능력, 의료과오, 형사책임능력, 고지후 동의, 비자발적 입원, 비밀보장 등이 있다. Forensic psychiatry operates at the interface of two disparate disciplines:law and psychiatry. Although most cases in forensic psychiatry practice produce no conflicts, functioning at the interface of these two disciplines can lead to confusion and ethical dilemmas. Forensic psychiatry can be divided roughly as the psychiatry in the practice of the law and legal regulation of psychiatry. Some major issues in forensic psychiatry are reviewed briefly.

      • 정신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들

        이정태(Chung Tai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1

        사회정신의학(social psychiatry)은 정신질환과 인간의 환경간의 관계를 다루는 정신의학의 한 분야로서 사회적 결속(social cohesion), 공유되는 가치들(shared values), 경제적 상태, 적에 의한 위협, 생존에 대한 기대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의 효과들에 관한 개념들을 포함한다. 또한 개개인과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것들 사이의 접촉 영역에 작용하여 결국 정신질환의 발생에 기여하거나 경과에 영향을 끼치는 힘들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된다. 사회정신의학의 영역에는 정신의학적 역학, 지역사회정신의학, 사법정신의학, 문화정신의학, 횡문화 정신의학 등이 포함된다. 본 고에서는 정신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들을 역학적 연구조사의 결과들을 함께 고찰하였다. 연령, 성별, 혼인상태 등이 질병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계층에 따른 질병 분포, 도시화, 지역에 따른 영향, 세대의 변화에 따른 영향, 거시사회적 요인들, 그리고 전쟁이나 급속한 현대화 등의 영향을 고찰하였고, 이어서 부정적 생활사건들이나 가혹한 경험들, 실직 등이 정신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사회적 지지의 많고 적음에 따른 차이를 추정해 보았다. 동시에 최근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였던 대형 사고나 재해 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고찰을 시도하였다. 대부분의 문헌이 우리 나라의 처지를 반영한 것은 아니어서 괴리감이 없지 않으나, 우리가 아직 깊이 연구해 보지 못했던 분야에 대하여 하나의 자극제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Social psychiatry is a component of psychiatry, and is concern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disorders and the human environment. It includes the concepts about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such as social cohesion, shared values, economic stutus, threat from the enemies, and expect for survivor. Also it is defined as the science studying the forces which affect the interface between individuals and those around them, and which may act on the onset, or influence the course of mental illnesses. There are psychiatric epidemiology, community psychiatry, forensic psychiatry, cultural psychiatry, and cross-cultural psychiatry, in the realm of social psychiatry. Author reviewed various social factors affecting mental disorders, with presentation of the results of epidemiological studies, Those reviewed were the effects of age, sex, marital status, and social class in the distribution of mental illnesses, the influence of urbanization, regional variation, and secular change, and the macrosocial factors including war and rapid modernization, which succeeded to the review of adverse life events, extreme experiences, and unemployment affecting mental illnesses, as well as social support as a protective elements of the human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author also reviewed the results of researches approaching psychological effects of one of the human disasters, named “Sampoong Accident”, and economic crisis, so called “IMF crisis”, both which recently impacted upon our society and resulted in adverse consequences.

      • KCI등재후보

        한국 의학 교육에서 정신신체의학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김의중,Kim, Eui-Joo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2 정신신체의학 Vol.20 No.1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정신신체의학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있었지만 의학 교육에서 정신신체의학이 차지하는 비중은 적은 편이었다. 현재에도 대학마다 배정된 시간과 비율이 다르고 일정한 틀과 일치된 목표도 없이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임상적으로도 자문-조정 정신의학에 대한 인식과 교육은 여전히 비체계적이고 미흡하였다. 앞으로 의과대학의 교육에서, 전공의 교육, 전임의 제도, 세부 전공 제도로 이어지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의 틀이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자문-조정 의학의 활성화, 종사자 훈련에 이르는 임상 교육 체계도 정립되어야 한다. 다른 나라의 정신신체의학의 교육 지향점을 참고하여 생물-정신-사회적 모델에 기초한전인적 질병 개념과 치료 주관을 가진 의사를 양성하고 이를 정신신체의학 교육의 목표로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목표를 담을 수 있는 교육 내용을 통일되게 규정하고 그 교육 과정이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체계화해야 한다. There were several documents that might reflect the great concern on the education of psychosomatic medicine in medical school from the 1960s. But the hour of class and proportion of psychosomatic medicine have been quite small among the total lecture time of psychiatry. Notwithstanding the importance of biopsychosocial perspective in practice and research there have been no agreement on the goal and content of teaching psychosomatic medicine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Consultation-liaison psychiatric activity in the hospital were currently under-developed and educational content and process were not systematic. We should have established the goal of psychosomatic education in the medical school that includes making doctor who could not only cure disease but also care the ill patients. And we should develop the curriculum that covers essential area of psychosomatic medicine and checking system to monitor the process of education. With the continuance of psychosomatic perspectives from medical school education to clinical subspecialty we can make progress in this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