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적극적 안락사의 정당성에 관한 형법이론적 고찰

        김종덕(Kim Jong-Deok) 한국법학회 2010 법학연구 Vol.40 No.-

        적극적 안락사의 형법이론적 정당성 고찰에 있어서 본 논문의 기본관점은, 먼저 사실의 문제와 가치의 문제를 구별하고, 도덕적ㆍ종교적 관점이 아닌 순수한 법적 관점에서만 고찰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소극적 안락사와는 달리 적극적 안락사는 적극적이고 명시적인 의사가 있는 경우 등 소극적 안락사보다 더 엄격한 요건 하에서 극히 제한적으로만 허용될 수 있으며, 사람의 生命이라는 價値에도 質的 量的인 差異가 인정될 수 있으며, 생명에 대해서도 자기결정권을 인정해 주는 것이 인간의 주체성과 존엄성 인정의 측면에서 더 타당하다는 전제에서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적극적 안락사의 허용을 주장하는 학자가 극히 드물지만, 본 논문은 위와 같은 관점 하에서 적극적 안락사도 형법이론적으로 허용될 수 있음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적극적 안락사도 위법성조각사유의 일반이론의 관점에서 볼 때 행위반가치를 상쇄시키는 주관적 정당화요소와 결과반가치를 상쇄시키는 객관적 정당화요소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그 충족요소는 적극적 안락사의 허용요건을 소극적 안락사의 허용요건보다 더 엄격하게 제한하는 가운데서 정당행위 등으로 인정될 수 있는 요소(근거)를 찾고자 하였다. 먼저 정당행위 등으로 인정되기 위한 주관적 정당화요소로는 극심한 苦痛除去의 目的이 존재하고, 다음으로 객관적 정당화요소로는 不治의 疾病을 앓고 있는(회복불가능한) 死期가 臨迫한 상태에서 현대의학으로 제거ㆍ완화시킬 수 없는 極甚한 肉體的 苦痛을 겪고 있는 환자의 진지하고도 積極的이며 明示的인 意思(소극적인 승낙과 비명시적인 추정적 승낙은 제외)에 따라 醫師에 의한 倫理的인 方法과 節次에 의한 안락사시술이라는 요소들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엄격한 허용요건 하에서의 극히 제한적인 적극적 안락사는 형법이론적 관점에서 허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justification of active euthanasia in view point of criminal law theories. Fundamentally this paper only studied in view point of the distinction theory about facts and values, not moral-religious but legal view. And we have to permit self-determination right about self life for guarantee the subjecthood or independence and essential dignity of human. Though korean criminal law scholars nearly is not admitted the active euthanasia, this paper studied that the active euthanasia also can admit in view point of criminal law theory the same as passive euthanasia. The active euthanasia could be admitted In view point of general theory about extinguish of illegality. Because we can discover the subjective justification facts extinguishable illegality of behavior and the objective justification facts extinguishable illegality of result in the active euthanasia. First, there is the aim for exclusion of severe pains as a subjective justification facts. Second, there are sicking patient a incurable and hopeless disease, approached the time of death, having severe physical pains, serious, active-clear-ardent desire of self-patient about active euthanasia, adopting ethical-moral a surgical operation method and process of euthanasia by doctor as a objective justification facts. In short, I think that the active euthanasia could be admitted within very limited extent of a strict permission requisite.

      • KCI등재

        적극적/소극적 안락사 구분 논변에 대한 비판적 고찰

        장동익 ( Chang Dong Ik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科學 Vol.- No.89

        이 논문에서는 적극적/소극적 안락사 구분이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논의에서 큰 의의가 없다는 것을 해명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적극적/소극적 안락사를 구분해 준다고 주장되는 근거들을 살펴보았다. ‘행위’와 ‘무행위’, 그리고 ‘죽이려는 의도’가 적극적/소극적 안락사를 구분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없다는 것을 해명하였다. 그리고 적극적/소극적 안락사 구분에 실패한다면, 적극적 안락사는 금지하고, 소극적 안락사는 허용하려는 입장은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해명하였다. 또한 행위와 무행위에 의해, 적극적/소극적 안락사를 구분할 수 있지만, 이렇게 구분된 적극적 안락사와 소극적 안락사에 도덕적 차이가 없다는 이유로, 적극적 안락사도 허용되어야 한다는 레이첼스의 견해에 논리적인 문제점이 있다는 것도 지적하였다. In this paper, I tried to explain that the classification of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is not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ethical discussion of euthanasia. For this purpose, the grounds for distinguishing between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were examined. It was clarified that “action,” “omission,” and “an intention to kill” cannot be the basis for distinguishing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This study also proved that if the distinction between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fails, the position of banning active euthanasia and allowing passive euthanasia is not successful. In addition, this paper found a logical problem in Rachels' view, according to which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can be distinguished by action and omission but active euthanasia should be allowed because no moral difference exists between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 KCI등재

        안락사 허용여부에 대한 기초론적 고찰

        김종덕(Kim Jong-Deok) 한국법학회 2010 법학연구 Vol.37 No.-

        본 논문은 인간존엄성과 생명보호의 원칙 그리고 인간의 자기생명에 대한 결정권의 행사라는 측면에서 안락사, 특히 적극적 안락사의 정당성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인가를 고찰하였다. 우선 인간에게는 인간답게 살 권리 못지않게 고통없이 인간답게 죽을 권리를 인정할 때, 그리고 자신의 죽음도 統制를 할 수 있는 인간 주체성을 인정할 때 비로소 참다운 인간존엄성이 보장된다. 자기 스스로 자살할 수 있는 行爲의 自由는 형법은 물론 이론적ㆍ현실적으로도 制限할 수 없고 또 생명권에는 최소한 신체ㆍ생명의 不可侵性에 대한 소극적 權利가 인정되는 바, 자신의 생명을 處分할 수 있는 소유권 유사의 事實上 處分權能 내지 資格은 가진다고 해야 한다. 다만 피해자의 촉탁ㆍ승낙에 따라 살해행위(안락사 시술)를 한 제3자(의사 등)에 대해서도 생명에 대한 소유권(처분권) 유사의 권능(적극적 자살권) 행사의 부수적 내용 및 효과로서 처벌하지 아니할 것인가이다. 생각건대 안락사의 엄격한 허용요건에 해당하는 경우는 일반적 상황이 아닌 예외적 특수상황으로서 형법상의 위법성조각사유 원리(주관적 정당화요소와 객관적 정당화사정)를 충족시키는 구조와 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되므로 위법성이 부정된다고 본다. 또한 형사처벌을 하기 위해서는 본인 이외에 他人 또는 社會에 대한 害惡을 줄 가능성 즉 처벌이익이 있어야 하는데, 안락사는 이러한 처벌이익이 존재하지 아니한다고 생각되므로 적극적 안락사의 정당성을 인정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자기 소유의 財産에 대해 자유로운 사용ㆍ수익ㆍ처분이 인정되듯이 자기의 生命에 대한 처분도 인정함이 타당하기에 안락사를 인정할 수 있다. 다만 자기 소유의 재산이라도 공공의 이익 등을 위한 일정한 제한이 가해지듯이, 자기의 신체ㆍ생명에 대해서도 그것이 남용 또는 악용되어 他人과 社會에 대해 일정한 해악을 끼칠 경우에는 제한되어야 한다. 따라서 소극적 안락사는 물론 적극적 안락사도 그 것이 남용 또는 악용되지 못하도록 하는 엄격한 허용요건과 절차 등을 정하여 허용하는 것은 정당성이 인정된다. 결국 적극적 안락사의 허용여부는 타인이나 국가ㆍ사회에 대한 법익 침해 등의 해악가능성이 있느냐 라는 기준에 따라 판단하고 결정해야 할 것이다. The euthanasia issue raises some profound questions regarding life and death. This paper deals with a basic matters of debate as to whether chiefly the active euthanasia should be allowed or not. That is to say, should the active euthanasia be allowed or not when we studied it in a point of view of dignity of human, principle for protection of human life and his own decision right(self-determination right) about pain life or Good Death(dying without pain) ?. Some Studies reported that active euthanasia can not be allowed. But because the active euthanasia is not an illegal act of murder in strict permission conditions, I think that it should be allowed. Therefo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against basic foundations of the active euthanasia's lawfulness. In short, in case of the hopeless patients with incurable diseases having severe pains, we should be accepted not only Passive euthanasia but also active euthanasia in strict permission conditions. Because it is necessary for the essential dignity of human and respect of self-determination right(subjecthood) of human and substantial realization of protection spirit to the human life in all patients near the end of their lives.

      • KCI등재후보

        신생아의 안락사에 관한 연구

        주호노 대한변호사협회 2008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87

        Diese Arbeit beschaftigt sich mit dem Thema der Fruheuthanasie bei schwerstbeschadigten Neugeborenen. Es gibt einen Uberblick uber Fragen und Entscheidungen bieten und die Komplexitat dieses Thema zum Ausdruck bringen. Diese Untersuchung besteht aus 4 Teile. Teil 1 ist Einleitung und beginnt mit dem Begriff der Fruheuthanasie. Es gibt also Problematik und den Grundsatz des absoluten Lebensschutzes. Ausgangspunkt ist der Grundsatz, dass jeder Mensch ein Recht auf Leben hat. Das Leben wird in Phase in gleicher Weise als Rechtsgut angesehen, welches ohne Rucksicht auf das Lebensgefuhl sowie das Lebensinteresse des einzelnen anerkannt wird. Es ist zudem grundsatzlich geschutzt ohne Rucksicht auf die Wertschatzung, welche die Allgemeinheit dem Leben des einzelnen als sozialer Funktion entgegenbringt. Der Schutz des Lebens hangt daher auch nicht vom Alter des Rechtsguttragers und seinem Gesundheitszustand ab. Sogar schwerste Mißbildungen oder geistige Defekte durfen nicht zu einer rechtlichen Beurteilung als lebensunwertes Leben fuhren oder gar die Befugnis zu dessen Vernichtung mit sich bringen. Insoweit besteht der Grundsatz eines absoluten Lebensschutzes. In Korea gibt es zurzeit kein Gesetz, das die Fruheuthanasie direkt regelt. Menschliches Leben darf in keinem Fall aktiv vernichtet werden. Sie fallt unter den §250 Totung, §251 Kindestotung oder §252 abs. 1 Totung auf Verlangen des koreanischen StGBs. Das Leben wird nicht mehr biologisch.quantitativ, sondern personal.qualitativ betrachtet. Teil 2 befasst sich mit der Diskussion um Fruheuthanasie in Auslander. Er versucht eine umfassende rechtsvergleichende Analyse der Gesetzgebung einschließlich der einigen Falle zur Fruheuthanasie in Niederland, Detschland, England und Japan. Im Januar 2005 gibt es besonders in Niederland sog. Groningen Protokoll als Staat.Richtlinie zur Fruheuthanasie. In Deutschland liegt also ein Alternativentwurf eines Gesetzes uber Sterbehilfe(1986) und die Einbecker Empfehlungen(Ursprungliche Fassung von 1986/Revidierte Fassung von 1992) als Richtlinie zur Fruheuthanasie vor. Die Einbecker Empfehlungen hat die Deutsche Gesellschaft fur Medizinrecht(DGMR) beschlossen, um der Rechtsunsicherheit bei Behandlung Fruhgeborener und schwerstbehinderter Kinder zu begegnen. Am 15. November 2006 bietet England sog. die Empfehlungen von Nuffield Council on Bioethics. Trotz entgegenstehender Rechtssprechung zur Euthanasie (1962 Nagoya.Urteil/1995 Tokai.Universitat Fall) hat Japan keinen Fall und keine Regelung hinsichtlich der Gesetzesaspekte zur Fruheuthanasie. Teil 3 untersucht die Zulassigkeitsvoraussetzungen der Fruheuthanasie. Die Fruheuthanasie bei schwerstgeschadigten Neugeborenen ist nur ein Sonderfall in der allgemeinen Debatte um die Euthanasie. Dieser Teil zeigt, dass zwischen aktiver und passiver Fruheuthanasie unterschieden wird. Aktive Fruheuthanasie meint die bewusste Heilbeifuhrung bzw. Beschleunigung des Todes, etwa durch das Spritzen bestimmter Medikamente, unabhangig ob das Neugeborene bereits im Sterben liegt oder noch gerettet werden konnte. Passive Fruheuthanasie dagegen meint das Sterbenlassen bzw. Liegenlassen des Neugeborenen. Das scherstbehinderte Neugeborne wird sterben, wenn auf lebenserhaltende bzw. Lebensverlangernde intensivmedizinische Maßnahmen sowie chirurgische Eingriffe verzichtet wird, obwohl sie aus medizinischer Sicht durchaus moglich sind, um das Leben des Kindes zu erhalten. Passive Fruheuthanasie meint sowohl die Falle, in denen eine Behandlung gar nicht aufgenommen wird als auch die Falle, in denen die Behandlung zwar aufgenommen, aber aufgrund mangelnder bzw. Fehlender Genesungsaussichten wieder abgebrochen wird. Aktive oder passive Fruheuthanasie ist laut §250 Totung oder §251 Kindestotung des koreanischen StGBs dann strafbar, wenn eine Lebensverlangerung beim Neugeborenen moglich gewesen ware. Ein Sterbenlassen schwerstgeschadigter Neugeborener ist deshalb nur in solchen Fallen zulassig, die dem einseitigen Be... 신생아의료의 발달과 더불어 중증의 장애신생아의 출생도 늘어나고 있다. 더 이상의 장애제거 가능성과 치료가능성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치료는 언제까지 계속되어야 하는가가 문제되지 않을 수 없다. 더구나 형법상 절대적 생명보호의 원칙은 중증의 장애신생아의 경우에도 예외가 인정될 수 없기 때문에 그 해결은 쉽지 않다. 여기서 대두되는 것이 바로 신생아안락사의 문제이다. 신생아안락사란 중증의 장애신생아에 대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살해하거나 생명유지치료를 포기 내지 중단하여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현행법상 하등의 규정이 존재하지 않고, 선행연구도 전혀 없다. 이 논문은 신생아안락사에 관한 외국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에 관한 해결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논문의 I은 서론이고, IV는 결론이다. II에서는 해외에서의 논의로서 네덜란드, 독일, 영국 및 일본에서의 논의를 살펴본다. 특히, 네덜란드의 그로닝 지침과 독일의 아인벡 권고에 관하여 상세히 소개한다. 여기에서는 일정한 요건하에 신생아안락사를 허용하도록 하고 있다. III은 신생아안락사의 허용요건이다. 신생아안락사도 일반인에 대한 안락사에 있어서와 원칙적인 문제에 있어서는 크게 다를 것이 없다. 여기서 신생아안락사의 허용요건을 적극적 신생아안락사와 소극적 신생아안락사로 대별하여 고찰한다. 그러나 신생아는 원천적으로 의사무능력자라는 점과 인생의 경험이 전무하다는 점에서 일반인의 경우와 다른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의사능력을 전제로 하거나 본인의 의사를 추정하는 신생아안락사의 형태, 즉 간접적 신생아안락사 내지 소극적 신생아안락사는 인정될 수 없음을 밝힌다. 결국, 신생아에 대한 안락사는 그의 의사와 무관하게 소극적 신생아안락사의 형태로서 일방적인 치료포기 내지 중단에 의하여 인정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 논문은 결론에서 일방적 치료포기 내지 중단의 기준으로서 독일의 학설에 의하여 주장하고 있는 불가능성, 기대불가능성, 비인간성, 불비례성 및 고통의 완화에 관하여 검토하고 최종적으로 이에 관한 더 많은 연구와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한국형 기준을 도출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적극적 안락사 및 의사조력자살 허용 입법의 필요성 - 실존적 사실 및 통계적 근거를 중심으로 -

        이문호 대한변호사협회 201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82

        South Korea acknowledges a narrow range of euthanasia under “Act on hospice, palliative care, and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but it has yet to fall short of the actions taken by major advanced countries regarding euthanasia, and therefore the “human dignity, values and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guaranteed by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has not been materially realized in the realm of self-determination and well-dying rights to death. Advanced OECD countries are on the fast track to allow physician-assisted suicide and active euthanasia in terms of real human rights protection in response to social demands, and the high number of surveys in favor of active euthanasia and social pathological situations prevalent around the world, including Korea, suggest that our society is strongly requesting active euthanasia and physician-assisted suicide. We hope that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nd other human rights-related state agencies and the National Assembly will work together to draw up a professional survey on whether to allow these euthanasia, draw up social consensus, follow-up legislative measures, and establish human and material infrastructure for the establishment of ‘euthanasia and assisted death review board’. Based on sufficient reference to advanced legislation, legislative action recognizing active euthanasia and assisted suicide in accordance with Korean affairs will be the least preparation the state must provide for the death of the people’s dignity, the right to die happily without fear will free every moment of life, and transform daily life into a consciously elevated, love-inspired life. Because such a life would be an expression of true life, in which well-being and well-dying harmonized. 한국은 「연명의료결정법」으로 좁은 범위의 안락사를 인정하고 있지만, 아직은 안락사와 관련하여 주요 선진국들이 취한 조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고, 따라서 헌법 제10조가 보장하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이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웰다잉권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선진 OECD 국가들은 사회적 요청에 부응하여 실질적 인권보장 차원에서 의사조력자살 및 적극적 안락사를 빠른 속도로 허용하는 추세에 있고, 한국을 포함 전 세계적으로 만연하는 사회 병리적 상황들과 적극적 안락사를 찬성하는 높은 수치의 조사결과는 우리 사회도 적극적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 허용을 강하게 요청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국가인권위원회 등 인권 관련 국가기관들과 국회는 공조하여 이들 안락사 허용 여부와 관련한 전문적 실태조사 및 사회적 합의의 도출과 후속 입법 조치 그리고 ‘안락사 및 조력사 심사원’ 설치를 위한 인적·물적 인프라 구축 등에 관심을 기울이기를 희망한다. 선진 입법에 대한 충분한 참조를 기반으로 한국 실정에 맞는 적극적 안락사 및 조력자살을 인정하는 입법 조치는 국민의 품위 있고 존엄한 죽음을 위해서 국가가 제공해야만 하는 최소한의 준비가 될 것이며, 공포 없이 행복하게 죽을 권리는 생명체의 매 순간을 자유롭게 하고, 매일의 삶을 의식적으로 고양되고 사랑으로 각성된 자유의 삶으로 변모시킬 것이다. 왜냐하면 그런 삶이야말로 웰빙과 웰다잉이 조화된 진정한 생명의 표현일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패널토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사결정에 나타난 의사결정 변화 양상과 내용 분석

        문성채 ( Sungchae Mo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5 윤리교육연구 Vol.0 No.38

        본 연구는 생명윤리 교육에서 패널토론을 적용하고 의사결정 변화를 살펴보고자, 대학교양 생명 윤리 교육에서 패널토론을 2회 실시하고 대학생 28명의 패널토론 전과 후 의사결정 양상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널토론 전과 후 의사결정에서 의사를 고수한 청중은 배아줄기세포연구와 적극적 안락사는 85.7%, 소극적 안락사는 82.2%로 나타났다. 토론 후 청중이 의사결정을 고수한 이유는 패널의 정보에 의해 결정한 의사에 대한 논거가 더욱 견고해졌기 때문이었다. 둘째, 패널토론 후 의사결정 변화는 배아줄기세포연구와 적극적 안락사는 14.3%, 소극적 안락사는 17.8%로 낮게 났지만, 패널의 정보를 통해 청중들의 논거는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배아 줄기세포연구의 대안으로 성체줄기세포연구가 제기되었으며, 소극적 안락사에서 환자의 사전 의사 결정의 중요성과 의료복지 차별화 가능성에 대한 논거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셋째, 패널토론에 의한 윤리적 의사결정 그룹 간 차를 유형별로 비교한 결과, 배아줄기세포연구와 소극적 안락사에서 유형1은 그룹1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형4는 그룹2가 높게 나타나, 그룹 간 윤리적 의사결정 차를 보였다. 유형2와 유형3의 그룹 차는 배아줄기세포연구와 적극적 안락사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소극적 안락사는 그룹2에서 21.4% 증가했다. 그룹2가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의사를 변경한 이유는 가족의 공리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적 이유로 인한 안락사는 사회적으로 의료복지 차별화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윤리적 의사결정을 목적으로 하는 생명윤리 교육에서 패널토론 적용은 패널이 제시한 다양한 논거에 덧붙여 이러한 가치가 개인과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부연 설명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was aimed to examine decision-making through a panel discussion. 28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in bioethics education and decision-making before and after a panel discussion. The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panel discussions, the percent of the audience who did not change their decisions was 85.7% in both embryonic stem cell research(ES) and active euthanasia(AE), and 82.2% in passive euthanasia(PE). The reason was that audiences reinforce their arguments by the panels`` opinions. Second, after the panel discussions, the percent of audience who changed their decisions was only 14.3% in ES and AE, and 17.8% in PE. Even though the difference of decision-making was not significant, arguments were more diverse with information from panels. Especially, new arguments appeared as alternatives, such as adult stem cell in ES, pre-determination of a patient and a possibility of health and welfare differentiation in AE. Third, in ES and PE, group1 was higher in type1 but group2 was higher in type2 due to group ethical decision-making. In regards to group differences of type2 and type3, no difference was found in ES and AE, but group2 was increased to 21.4% in type2 of PE. The reason for this decision change of group2 in PE was due to consideration of family utilitarianism. However, euthanasia due to economic reasons should be thought about carefully, because it may lead to an inevitable selection due to differentiation of medical and social welfare care. In conclusion, panels provided various arguments to audience in panel discussion, and these arguments had worth for decision-making in bioethics educ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lain how worth affects individuals and society.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웰다잉에 대한 인식과 연명치료중단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김미자 대한산업경영학회 2020 산업융합연구 Vol.18 No.6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웰다잉에 대한 인식과 연명치료중단의 태도 및 안락사에 대한 태도 간 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기간은 2018년 4월 1일부터 5월 6일까지로 D광역시에 소재한 간호학 과의 288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웰다잉에 대한 인식은 연명치료중단의 태도 와 적극적 안락사, 소극적 안락사와 정(+)의 상관관계로, 연명치료중단의 태도는 적극적 안락사, 소극적 안락사 와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간호사는 연명치료과정에서 많은 윤리적 갈등을 경험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간 호대학생 시기에 웰다잉에 대한 인식, 생명윤리교육을 받는 것이 필요하고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평가가 요구된다. Although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law is in effect, health care worker have many difficulties in determining life-sustaining treatment.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well-dying(WD),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AWLST), and the attitude toward euthanasia(AE) for nursing students who will take care of dying patients in the future will be analyzed and used as basic data for bioethics classes. The study period was from April 1 to May 6, 2018,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88 nursing students in D City. As a result of the study, WD was found to have positive (+) correlations with AWLST and AE , while AWLST was positive (+) with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As nurses are expected to experience many ethical conflicts in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process, it is necessary to receive education related to well-dying awareness, bioethics education, and life-sustaining treatment during the nursing student period.

      • KCI등재

        존엄사 - 법적 안락사의 유형과 규범적 기초 -

        Gunnar Duttge,김성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8 형사정책연구 Vol.76 No.-

        안락사문제가 등장할 때 법적, 의료윤리적 관점에서 고려되는 규범적 기준은 ‘인간존엄에 부합하게’ 결정하라는 요청이다. 이러한 결정에서는 개인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해야 함과 동시에, 생명보호의 측면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생명보호와 자기결정권 중 어느 한 쪽을 절대화하는 것은 다른 한 쪽을 부정하는 데로 이르게 될 뿐만 아니라 인간존엄의 근본적 의미를 오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생명보호와 자기결정권의 가치가 충돌하는 안락사문제에서는 각 안락사유형마다 어떤 가치원칙들을 어디까지 적용할 것인지를 특히 가치평가의 우위라는 관점에서 판단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관점에서 다른 가치를 제한하려면, 이를 정당화할 수 있는 가치의 우위가 매우 구체적으로 존재해야 한다. 그리고 결정권을 가진 사람은 결정에 대한 규범적 정당화의 의무도 함께 져야 한다. 또한 통제문제나 권한문제 등으로 인한 남용이나 오용의 위험에 대비하여 모든 안락사상황에서 충분한 ‘규범적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충분한 안전절차를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나아가, 안락사를 정당화하는 확실한 상황이 존재하더라도 의학의 진보에 따른 새로운 가능성, 인간의도의 불분명성이나 변화 및 착오가능성을 고려하여 신중한 결정을 내려야만 한다. 여기서 법은 인간존엄에 부합하는 삶과 죽음의 조건들을 가능하게 해주는 틀이며, 우리는 주의 깊게 이러한 법의 틀을 채워나가야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